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fluence of Country-of-Origin on American Consumers' Evaluation of Apparel Products Made in Korea

        Yu, Haekyung,Ann Fairhurst 한국의류학회 1994 한국의류학회지 Vol.18 No.5

        본 연구는 원산지 표시(country-of-origin)가 미국 소비자의 한국산 의류상품 평가와 제품 이미 지 (product image)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소비자 특성과 원산지 표시의 영향, 의류 상품의 제품이미지와의 관계를 집중 분석하였다. 미국 전역의 성인을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 회수하여 284부의 설문지가 자료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과 중국, 한국산 의류제품과 중국산 의류제품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소비자들은 한국산 의류와 중국산 의류는 모두 저가의, 위신성이 낮고 대량 생산되어 부분처리가 떨어지는 평범한 제품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산 의류는 유행색의 사용이나 유행성에서는 많이 뒤떨어지지 않으나, 위신성과 부분처리에서 특히 낮게 평가를 받았다. 라이즈스타일, 점포유형에 따른 쇼핑빈도, 성별, 교육정도, 소득수준, 인종에 따른 제품 이미지 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령, 결혼여부, 직업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50세 미만 의 사람들이 50세 이상의 연령층보다, 결혼한 사람이 결혼하지 않은 사람보다(독신, 이혼 등) 좀 더 정적인 제품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직업을 가진 사람들보다는 전업주부의 제품이미지가 더 긍정적이었다. 의류제품이 다른 어떤 제품보다도 한국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나타나서, 한국산 의류제품의 이미지 향상은 섬유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른 산업계와 정부, 단체가 모두 힘을 모아서 노력하여야 할 과제임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The Trends of Computer Aided Desig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in U . S . A . Colleges & Universities :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Choi, Hyun Joo 한국의류학회 1993 한국의류학회지 Vol.17 No.4

        현재 미국에서 컴퓨터 디자인 (Computer aided design)은 의류산업과 의류학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CAD의 도입은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내 대학을 중심으로 의류학관련 학과에서의 전반적인 CAD 교육 경향을 조사 분석하여 실질적인 자료와 국내 의류학관련 학과의 CAD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3년 5월, 총 19문항의 질문지가 124개 대학 의류학관련 학과에 우편으로 배포되었으며 71부가 회수되어 57%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71개 학교)중 56%가 CAD를 커리큘럼에 포함시켰다. 특히 의상디자인 전공을 가진 학과의 79%가 CAD를 도입하여, 의상디자인 전공이 없는 학과(28%가 CAD를 도입)보다 그 비율이 훨씬 높았다. 의류학 교육에서 CAD의 도입은 1988년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강의는 의류학분야 교수진에 의해, 의류학과 시설물내에서 이루어졌다. CAD를 독립된 과목으로 강의하는 경우 대부분 필수과목으로서 한 학기 코오스가 많았으며 3 학년부터 시작되었다. CAD를 다른 의류학 과목에 포함시켜 일부분으로 강의할 경우 영역 별로는 복식 의장학 분야의 과목에, 시간 별로는 한 학기 중 "몇 주" 정도로 가르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전체 CAD 강의에서 다루는 주제로는 패턴 메이킹이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에는 패턴 그레이딩, 마커 메이킹, 직물/패턴 디자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의상디자인 순이며 스토어 레이 아웃 상품전시 및 디스플레이 계획이 가장 적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CAD를 강의하고 있거나 앞으로 CAD를 커리큘럼에 도입하려는 한국 의류학 분야 교육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논문의 양적정보에 대한 연구동향

        ( Umair Ahmed Siddiqui ),전은경 ( Eunkyung Jeon ) 한국의류산업학회 2017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9 No.1

        To predict and foster professional research issues for the present and futu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eam of research trends.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f research trend through analysis of quantitative variables in 1,374 articles from the first issue to the present(2015) of the Fashion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As a result, in the former periods, articles in the field of textile science & technology and fashion design & historical concerns, and articles that used experiments and others as a research method were dominant; in the latter periods, articles in the field of fashion marketing & merchandising and apparel production & technology, and articles that used survey as a research method were dominant. According to each detailed research field and meth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pages, authors and references of articl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pages and the number of references increased sharply in the latter period, indicating that the contents of the papers were more detailed and faithful to references of other stud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ashion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published a variety of articles in the academic fields. The research information analyz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future design for the research as well as the academic societies.

      • KCI등재

        Export Positions in the Global Apparel Commodity Chain and Unit Values of Apparel and Textile Products Exported to the United States

        Lee, Eun-Ju,Lee, Kwang-Bae 한국의류학회 2002 한국의류학회지 Vol.26 No.12

        본 연구는 국제의류사슬 내 수출위치를 단순조립생산 (Mere-Assembly Production), 주문자 상표부착 생산방식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고유상표 생산방식 (Original Brand Name Manufacturing)으로 규명하고, 각 국가의 의류사슬 내 수출 위치가 수입 단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1999년 미국 Department of Commerce의 무역자료를 사용하여 국제의류사슬 내 각각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 방글라데시, 홍콩, 한국, 이태리를 비교한 결과, 의류사슬 내 위치에 따라 이들 국가로부터의 섬유 및 의류제품의 미국 내 수출단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Analysis of Problems in the Sourcing Strategy of U . S . Apparel and Footwear Industries : 미국 의류,신발산업을 중심으로

        Kim, Yongju 한국의류학회 1995 한국의류학회지 Vol.19 No.1

        의류산업의 효율성(efficiency) 제고를 위한 중요한 결정의 한가지는 상품생산지 및 생산방법 즉 생산지 결정전략(sourcing strategy)에 관한 것이다. 점차 생산의 대상지역과 방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이는 복잡한 의사결정체계를 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생산지 결정의 의사결정과정에서 흔히 중요시되는 생산비용 이외에 비생산비용, 즉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으로 표현될 수 있는 인자를 분석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미국 의류, 신발 산업의 생산지 결정의 첫단계로서 해외기지생산과 국내생산의 문제점을 비교하였다. 의류산업과 신발산업에 있어 적시공급과 품질관리가 생산지에 관계없이 공통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의류산업의 경우 노동력의 부족과 재료의 공급이 국내생산의 문제점으로, 오랜생산기일과 생산국가의 환경적요소(예를 들면, 정치적 불안정, 정부규제 등)가 해외기지생산의 특이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의 의류, 신발 산업을 대상으로 한 것이나, 최근 저가의 노동력을 찾아 동남아 또는 남미로 생산지를 이전하는 국내 의류, 신발업체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우리 산업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1977~2013년 한국의류학회지와 해외 의류학 저널 출판논문의 연구동향 및 저자, 연구관계망 분석-피복과학 분과를 중심으로-

        박성진 ( Sung Jin Park ),하정윤 ( Jeong Yoon Ha ),이혜은 ( Hae Eun Lee ),이주영 ( Joo Young Lee ) 한국의류학회 2014 한국의류학회지 Vol.38 No.6

        This study investigated original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JKSCT) from 1977 through 2013 with a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collaboration structure. Two international journals were chosen: Textile Research Journal (TRJ) and International Journal of Clothing Science and Technology (IJCT) in order to compare the clothing science research trends of JKSCT-publications to international trends. The collected data from the three journals were used to probe periodic changes in the number of publications and nationality of authors to find the relative international position of Korean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ers. Figures, tables, and references in each article were counted to suggest the most suitable way to express and interpret clothing science results. In addition to the quantified data analysis, a qualified analysis was investigated with the co-author network analysis. The findings reveal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in JKSCT until 2009 with the rapid decrease after. The number of co-authors in JKSCT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RJ and IJCT but growing in the clothing and textile science group. The number of references in JKSCT increased 3 times from 1977 to 2013; therefore, it was assumed there is more recent active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Lastly, a pattern of authors`` interaction and the most contributed authors in the network was illustrated in the clothing and textile science group.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at JKSCT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toward knowledge development in the clothing and textile field and suggests that the analysis of accumulative knowledge helps researchers broaden the scale and approach of studies.

      • KCI등재

        중국 여대생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인지가 한국 패션브랜드 인지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현경 ( Hyun Kyung Lim ),이정우 ( Jung Woo Lee ),김미영 ( Mi Young Kim ) 한국의류학회 2013 한국의류학회지 Vol.37 No.4

        This study use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as subjects to classify the components of the Korean national image as well as understand the recognition difference of country image factors and Korean fash-ion images; in addition, it examined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 of Korean national image factors on the Korean fashion attitudes of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A SPSS 18.0 statistic program with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paired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χ²-test was used. The results are: First, it was shown that there are six factors: culture-society, economy, products, sports, politics, and technology. Second, the recognition difference on the six fact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products, politics, technology, economy, culture-society, and sports, respectively. Third, the difference of Korean fa-shion images showed that they recognize design uniqueness and diversity to choose styles preferentially. Fourth, the purchase intention was significant in the order of culture-society, products, politics, and sports, and recognition affects culture-society, sports, and products, respectively. Fifth, they prefer THE E-LAND GROUP, Beaucre Merchandising, and The Basic House the most and show a strong purchase intention.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other various brands that are also recognized. These study results can provide Korean fashion companies with useful implications for marketing.

      • KCI등재

        스마트 의류의 제품 사례 연구 -스마트 의류 특허출원 기술을 중심으로-

        이재경 ( Jaekyong Lee ),추호정 ( Hojung Choo ),김하연 ( Hayeon Kim ) 한국의류학회 2021 한국의류학회지 Vol.45 No.1

        The importance of smart clothing as a product is increasingly emphasized as further growth in the potential of the smart market is expected. There is a high understanding and sympathy for the potential of smart clothing in the mass consumer market; therefore, commercialization is not actively carried out. This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roducts with a focus on technical benefits, in order for smart clothing to gain access to customers as wearable devices. This study identifies major technologies used in smart cloth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patent technology status of smart clothing in Korea. Smart clothing is divided into three types: passive smart, active smart and advanced smart clothing based on a reaction mechanism and functional scope. We present the smart clothing and discuss the product features for three types. According to research, smart clothing products were equipped with passive, active, and advanced smart systems as well as provided new services by converging big data and AI technologies, rather than only using technologies such as sensors, controls, and actuators. Future directions for new smart clothing product development is also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