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임금근로자의 직장폭력 경험 현황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홍기명 ( Hong Kimyong ),이경무 ( Lee Kyoung-mu ),장숙랑 ( Jang Soong-na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保健社會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한국 임금근로자의 직장폭력(workplace violence) 경험의 현황과 그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4차 한국근로환경조사 자료 중 19세 이상 임금근로자(n=36,277)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직장폭력 경험은 지난 12개월 간 업무수행 중 직장동료와 상사, 후배 또는 업무 중 만난 고객이나 거래업체등의 사람들로부터 따돌림, 성희롱 또는 신체폭력을 경험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전 근로자를 대표할 수 있도록 가중치를 적용하여, 성별, 연령별로 각각 직장폭력 경험 비율을 산출하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관련요인을 평가하였다. 중고령 임금근로자(≥55세)의 직장폭력 경험비율은 남녀 각각 0.68%와 0.73%로 나타났으며, 이는 청장년 임금근로자(19~54세)의 경우와 비교하여 낮은 수준이었다(남녀 각각 0.79%, 1.06%). 세 가지 폭력 유형별로 구분하였을 때, 남성의 경우는 중고령 및 청장년 임근근로자에서 신체폭력 경험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각각 0.61%, 0.65%), 중고령 여성 임금근로자에서는 신체폭력 경험이 가장 많았고(0.40%), 청장년 여성 임금근로자에서는 성희롱 경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0.74%). 직장폭력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직장내 폭력의 유형(따돌림, 성희롱 또는 신체폭력)별 경험비율은 성별, 연령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며, 교육수준, 직업, 교대근무, 상사의 지지, 고객의 수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our study, the prevalence of workplace violence (bullying, sexual harassment, or physical violence) in the last 12 months and related factors were evaluated among Korean wage workers using the 4th Korea Work Condition Survey Data (age≥19, n=33,654). The prevalence of workplace violence was 0.68% among men and 0.73% among women for the aged (≥55), and 0.79 among men and 1.06% for women for the non-aged (19~54). The prevalence of bullying was lower among the more educated (≥college vs. high school, OR=0.32). The prevalence of sexual harassment was higher among women, especially non-aged women (vs. non-aged men; 8.08), sales workers (vs. office workers; 2.01), and those with higher frequency of customer meetings (P<sub>trend</sub> = 0.001). The prevalence of physical violence was lower among non-aged women (vs. non-aged men; 0.45) and those with higher supervisor support (P<sub>trend</sub> = 0.02). And it was higher among service workers (12.3), agriculture/forestry/fishery workers (9.00), mechanic/electricians (6.73), and senior engineers (3.98) compared to office workers, and among shift workers (3.70), and those with higher frequency of customer meetings (P<sub>trend</sub> = <0.0001).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evalence of workplace violence varies remarkably according to sex and age group and are related with education, occupation, shift work and extent of supervisor support and customer meetings.

      • KCI등재

        소규모 외식업체 종사자의 주방위생관리 중요도․수행도 분석

        기명,완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1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 소규모 외식업체 경영주를 대상으로 위생관리 수행 수준을 분석하여 위생관리에 있어서 취약한 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소규모 외식업체에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위생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외식업체 주방 청소 실태 중 주방 청소주기는 1개월이 35.0%, 주 1회 31.4%의 순으로 나타나 식품의약품안전처 청소프로그램 권장주기보다 일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규모 외식업체 청소 프로그램이 잘 운영되도록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소규모 외식업체 종사자의 주방위생관리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으로 ‘식품안전’, ‘환경안전’, ‘개인위생’이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이 모두 0.9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소규모 외식업체 종사자의 주방위생관리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결과 ‘식품안전’ 요인의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IPA 분석 결과 2사분면에 ‘모든 음식물은 덮개로 덮거나 밀봉하여 보관함’, ‘해동은 흐르는 물, 냉장고, 저온 저장실 등에서 실행하고 해동식품은 24시간 이내 사용’, ‘식재료 검수는 식재료의 유통기한, 원산지 표시 등을 확인하여 안전성 확보’로 나타나 집중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요도・수행도가 모두 낮은 3사분면에는 ‘식재료의 냉장 보관 시 야채류와 육류, 가금류 등 구분 보관으로 교차오염 예방에 힘씀’, ‘식품의 신선도를 확보하기 위한 선입선출방식 실행’, ‘교차오염 예방을 위한 식품의 원포장재는 반드시 해체 후 식품을 보관함’, ‘알레르기 식품 인식으로 식품의 안전성 확보’로 나타났다. 위 항목 중 교차오염 예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GAP 평균값보다 모두 높게 나타난 항목으로 식품안전에서 식품취급 관리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환경안전’ 요인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결과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IPA 분석 결과 집중 관리 부분 항목인 2사분면에는 ‘식품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배기후드 시설의 정기적 기름때 제거’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요도・수행도가 낮은 영역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작업장 바닥의 건조 상태 유지’, ‘미생물과 세균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소독 및 방역 프로그램 운영’, ‘작업장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적인 청소 프로그램 운영’, ‘종업원 휴식 공간의 청결상태 유지’로 나타났다. ‘종업원 휴식 공간의 청결상태’를 제외한 위의 모든 항목이 GAP 평균값보다 모두 높게 나타나 중요도의 인식을 높이고 수행도를 높여야 하는 항목으로 음식 조리 시 비위생적이며 오염된 배기후드 사용으로 오염된 물질 등이 음식에 들어갈 수도 있으며, 유증기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에도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청소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개인위생’ 요인의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결과 중요도가 수행도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IPA 분석 결과 집중 관리 부분의 항목인 2사분면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손에 상처 났을 때 골무와 라텍스 장갑 사용으로 감염을 예방’, ‘식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복, 위생모 청결 유지’, ‘식품 취급 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위생장갑의 사용’으로 나타났다. 중... This study was designed to secure systematic data on kitchen hygiene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kitchen hygiene management of employees in small-scale foodservice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level of hygiene among small foodservice company employees, and this can ultimately lead to a clean and hygienic kitchen environment. Analysis on the seven items within the operation of a small-scale foodservice company kitchen cleaning program showed that the average length of the cleaning cycle was longer than that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n the small foodservice company employees’ kitchen hygiene management showed a sta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mportance value than performance values in all items regarding food safety, environment safety, and personal hygiene. IPA on food safety, environment safety, and personal hygiene placed the following items in the ‘focus here’ 2nd quadrant. Those items in need of intensive management included ‘store all foods in containers with lids or keep them tightly sealed’, ‘defrost food in running water, a refrigerator, or low temperature storage units, ‘use the defrosted food within 24 hours’, ‘periodically remove grease in the exhaust hoods for preventing food contamination’, ‘maintain the cleanliness of sanitary clothes and caps for preventing food contamination’, and ‘wear sanitary gloves when handling food to prevent food poisoning’.

      • KCI등재

        개방형 설문으로 조사된 직업정보를 이용한 직업분류 코딩 결과의 일치도 평가

        박문영,윤형기,윤형석,오세은,김솔휘,홍기명,박석환,이은선,이경무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2 대한보건연구 Vol.48 No.4

        Background: Information on occupation is known as one of the important information sources for socioeconomic and epidemiological research. It can be used to assume socioeconomic status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to forecast the likelihood of a work-related accident or disease, and to assess the existence and degree of exposure to various risk factors in workplace. Objective: Individual information on occupation is often collected by open-ended questions and then coded into job categories by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standard job classification system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reliability among the job codes that three raters independently classified using the information on occupation collected by open-ended questionnaire. Methods: Information on occupation was collected from two surveys with different populations (145 health examinees and 154 college students of open university) with open-ended questionnaire. Two surveys were basically self-administered, but the health examinee survey questionnaire was checked by a trained interviewer. Two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ystems, i.e.,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al (KSCO, 14 categories) and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KSIC, 21 categories) were used for job-coding by three junior researchers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The degree of agreement/concordance was assessed by Cohen’s Kappa or Fleiss Kappa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Results: Concordance of job codes among three raters for KSCO was moderate for health examinees (k=0.56, 95% CI=0.52-0.58) and fair for open university students (k=0.34, 95% CI=0.31-0.38). That of KSIC was moderate for both health examinees (k=0.60, 95% CI=0.57-0.63) and open university students (k=0.46, 95% CI=0.43-0.49). There was observed a lot of variation in category-specific kappa values for both KSCO and KSIC classification. Conclusion: Increased concordance of job coding is expected when interview survey is used to collect open-ended questions for the information on occupation and then definite protocol for classification is adopted or to conduct prior education before cod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연구자 간 직업분류 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직업분류 과정의 신뢰도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설문 응답자에게 자신이 경험한 직업 중 가장 오래 종사한 직업을 개방형으로 답하도록 하였고, 세 명의 보건학 전공자에게 독립적으로 설문 답변을 직업분류표의 직업 코드로 변환하도록 하였다. 이후 이들의 분류 결과가 얼마나 일치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카파통계량을 구하였다. 주요결과: 면접 설문 요원의 개입이 있었던 병원 내원자들을 설문 대상으로 한 경우(n=145), ‘중간 정도’의 일치도를 보였다(한국표준직업분류 14범주: k=0.56, 95% CI=0.52-0.58, 한국표준산업분류 21범주: k=0.60, 95% CI=0.57-0.63). 면접 설문 요원의 개입이 없었던 원격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우(n=154), ‘중간 미만’ 이나 ‘중간 정도’의 일치도를 보였다(각각, k=0.34, 95% CI=0.31-0.38, k=0.46, 95% CI=0.43-0.49). 결론: 일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 종류에 대한 상세한 이해, 코딩을 위한 세부적인 지침 마련, 사전 교육 등이 필요하며, 직업분류 일치도를 해석할 때는 설문 방법 확인, 설문 집단의 연령 분포, 직업 분포, 전문직의 비율 등 다양한 원인을 고려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근로자의 화학적 노출과 주관적 호흡곤란 증상간의 연관성: 3차 근로환경조사 자료 분석

        박문영 ( Moon Young Park ),황성호 ( Sung Ho Hwang ),홍기명 ( Ki Myong Hong ),오세은 ( Se Eun Oh ),이경무 ( Kyoung Mu Lee ) 한국산업보건학회 2016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6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hemical exposure among workers has relevance to dyspnea using data from the 3rd Korea Working Conditions Survey.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were 29,711 wage workers. Chemical exposures consist of four factors, (1) breathing in vapors, fumes, dust and dirt, (2) breathing in organic solvent vapors, (3) handling or touching chemicals, and (4) secondhand smok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hemical exposure and dyspnea in the last 12months using proc surveylogistic in SAS 9.3 statistical software excluding people who had received a diagnosis of hypertension or obesity that can affect the respiratory distress symptoms(n=27,842). Results: Chemical exposure among workers was associated with dyspnea after adjustment for demographics and job characteristics. Prevalence of dyspnea was 4.9 per 1,000 among men and 5.8 per 1,000. Compared to a total score of 0 points of chemical exposure among workers, a total score of 1, 2-3, and 4 points tended to have increased risk of dyspnea in a dose-response manner for both men (OR=1.43, 1.93, and 4.26; P-for trend=0.002) and women(OR=1.10, 2.81, and 7.70; P-for trend=0.002). Stratified analysis by duration of current job showed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chemical exposure and dyspnea tended to get stronger until 15 years and then disappeared afterwards, which reflects healthy worker survivor effect. Conclusions: We observed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chemical exposure and dyspnea using the data of the 3rd Korea Working Conditions Survey. Our results warrants providing knowledge related to chemical exposure, performing prevention activities, and creating various health policies to protect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