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안 상서고분군 석재에 대한 암석학적 특성과 석재 유통 고찰

        윤석태 ( Youn Seok-tai ),고영구 ( Koh Yeong-koo ),오강호 ( Oh Kang-ho ),김해정 ( Kim Hae-jung ),신자경 ( Shin Ja-kyeong ),김해경 ( Kim Hai-gyoung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1

        이 연구는 전남 신안군 상태도에 위치한 상서고분군 축조에 사용된 석재들에 대한 암석학적 특성과 채석 등 유통과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고분 축조에 사용된 석재들에 대한 암석학적 특성 연구는 외관적 관찰에 의한 암석기재적 연구와 편광현미경 하에서 암석의 광물조성과 조직특성에 대한 연구 및 암석의 주성분 함량조성을 통한 지구화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들과 함께 주변지질들과 관련하여 고분석재들의 채석과 이송 등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였다. 고대로부터 신안군 일대는 한국-중국-일본을 연결하는 고대 해상교통로에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것으로 알려져 고분 축조에 사용되었던 석재 연구는 고대 해양사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기재적 관찰에서 석재들은 중성암맥 기원인 안산반암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응회암류에 해당한다. 이들은 라필리응회암과 세립질 응회암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세립질 응회암에 속한다. 응회암 구성입자들은 각상에서 초각상이고 분급도는 불량하다. 세립질 응회암들은 매우 치밀한 조직을 보유하고 특히 라필리응회암의 불규칙한 이탈흔들은 타포니(tafoni)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응회암의 입자들은 사장석편과 암편 등이 주를 이루며 크기 범위가 광범위하다. 사장석들은 알바이트 쌍정이 잘 나타나고 격자쌍정을 이루는 미사장석들도 출현한다. 응회암의 치밀한 조직은 부분적으로 속성작용과 관련되는 것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풍화정도를 보인다. 또한, 미세한 석영맥들이 응회암들을 종횡으로 관통하고 있다. 상기한 상서고분군 석재들에 대한 주성분 원소 함량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에 의하면, 이들 응회암은 화산암류 관점에서 산성암계열에 근접한 중성암 계열 및 산성암계열에 해당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함량분포 특성 상, 이 응회암들은 두 가지 군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TAS(total alakali vs silica) 분류에서 이 응회암들은 저알칼리암 계열에 도시된다. 고분축조에 사용된 응회암들은 주변의 암석과 매우 유사하며 석재들 자체도 광물조상과 조직특성에서 서로 유사정도가 높다. 일반적으로 응회암들은 판상특성, 가공의 용이성 및 상대적인 견고성으로 고분과 건축 등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결과들을 기반으로 고분축조에 사용된 응회암들은 산성암계열에 근접한 중성암계열 및 산성암계열 기원을 가지며 주변 암석에서 채석·이송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study considers on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to building stones of Sangseo tumuli in Santae Island, Shin-an, Jeonnam. The petrological study on the stones includes visually petrographical descriptions, textural study by polarized microscope and geochemical analysis. Along with the study, distribution routes of the stones were traced based on the regional geology of the island. Since ancient times, the study area is important as a base on international maritime traffic route. Therefore, studies on the tumuli are meaningful for ancient maritime history. In visual observation, above building stones are of tuffs except for an andesitic porphyry considered as intermediate dyke. The tuffs are assigned to lapilli and fine ones. Their grains are poorly sorted and angular to very angular in roundness. In particular, the fine tuffs show very dense textures and take up the most part of the building stones. In addition, the stones have irregularly removed depressions inferred as the linkage to tafoni, in lapilli tuffs particularly. The tuffs are mainly of plagioclases laths, rock fragments and matrices and ranges widely in grain size. The plagioclases show mostly unambiguous albite twin. And, microcline crystals are observed in the tuffs too. Matrices in the tuffs are considerably dense and weathered. Dense texture in the rocks are related to diagenesis in part. In addition, thin quartz veins irregularly intruded the rock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ccording to the geochemical analysis of building stones of above tumuli, the stones might be intermediate rock series near acidic rock ones and acidic rock ones in the correspondence of volcanics. Therefore, the tuffs probably grouped as two types and are assigned to subalkaline rock series by TAS diagram. Most the building stones mutually resemble in visu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Tuffs are generally platy, easy in use and relatively hard. In addition, rocks very similar to the building stones are widely distributed in surrounding area. Synthesizing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uffs used in tumuli building are corresponded to intermediate rock series near acidic rock ones and acidic rock, and got from surrounding rocks.

      • KCI등재

        쓰레기 매립장 주변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 연구

        이명경,최준열,김인경,조영아,김영신,정혜진,김리나,이영규,조영태,Lee, Myung-Kyung,Choi, Jun-Yeol,Kim, In-Kyoung,Cho, Yeong-Ah,Kim, Young-Shin,Jung, Hye-Jin,Kim, Li-Na,Lee, Young-Kyu,Cho, Young-Tae 대한예방의학회 2006 예방의학회지 Vol.39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a garbage dumping site has real and nega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QOL) for the nearby residents. The net effects of the residential distance from the garbage dumping site and from the garbage truck route were investigated for five domains of the QOL. Methods: Two hundred fifty seven Shin-dong Myeon residents, Chun-cheon Si, participated in a self-administrated survey. The Shin-dong Myeon garbage dumping site began operating in 1996. ANCOV A with generalized linear model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Descriptive analyses show that a residence nearby a garbage dumping sit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of the QOL. The residential distance from the garbage truck route does not exert any significant effect on various domains of QOL, except for the environmental domain. O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residents living near the garbage dumping site tended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QOL i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However, the distance from the garbage truck route did not show a significant nor substantial effect on the QOL.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ontrol variables are associated with a number of the QOL domains, and their patterns are consistent with the general expectation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garbage dumping site is considered to be an environmental hazard among the nearby residents according to the lower scores on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domains of the QOL.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residents' QOL, and they may help politicians and policy makers make decisions for appropriate interventions.

      • 膜分離에 의한 海水의 淡水化에 관한 硏究

        申盛義,李性琪,崔炯一,申大允,金永範,李抵憲,姜永周 조선대학교 환경연구소 1989 環境公害硏究 Vol.6 No.-

        In this study, we made investigation into water permeation, solute separation, concentration and Na^(+), K^(+), Mg^(2+), Ca^(2+), Cl^(-), SO^(2)_(4)-, HCO^(-)_(3) ions separation of seawater by the revers osmosis process using a suitable semipermeable membrane. The different thickness of membranes were prepared. On heat treatment, temperature was 80℃ and thier effects were also investigated. The flat single module system was made to be capable of treating feed solution at 200-2000cc/min and 120 atm. The experimental results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As the effective operating pressure increased, permeability of pure water proportionally increased. 2) As the exposure period of the manufactured membrane in air increased, permeation rate increased, but as the thickness of the membrane increased, permeation rate decreased. 3) The capacity for being reproductive of the manufactured membrane (CA: 30wt%, Formamide: 45wt%, Acetone: 25wt%) in their performance was less than 10-30% and agreed with that reported in the literature. 4) We could separated about 85-95% of salt ion in seawater using a flat single module system.

      • 하수처리를 위한 전기화학 반응의 적용 : 최적처리조건의 결정;Determination of Optimal Treatment Conditions

        김성호,김승도,신화섭,김영관,전양근 江原大學校 附設 環境硏究所 1999 環境硏究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화학방식의하수처리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주요 운전인자인전압, COD 부하량, pH, 전기전도도, 반응시간 등의 최적 처리조건을 결정하는데 있다. 각 웅전인자의 변화에 따른 COD의 처리효율을 비교 · 검토하여 최적조건을 도출하였으며, 대부분의 실험은 시간에 따른 COD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회분식 반응기를 사용하였고, COD 부하량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체류시간을 변하시키면서 실험이 가능한 연속식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최적 조건은 전압 25V, COD 부하량은 약 160g COD/㎡ · day, pH는 중성범위, 전기전도도는 1000~1300㎲/㎝, 반응시간은 10분으로 나타났다. 전기응집반응이 탁월하여 불용성 COD 는 10분만에 90%이상이 제거되었으며, 대표적 응집제인 alum 100ppm을 투여한 경우보다 처리효율이 약 20 % 정도 향상되었다. 전기화학반응은 불용성 COD의 농도가 높은 하수처리 등에 적적한 것으로 판단되며 처리 시간이 빠르고, 경제성도 뛰어나 향후 하수처리기술로서 주목을 받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test the feasibility of electrochemical method in sewage treatment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of operating parameters including applied voltage. COD loading. pH. Conductivity. And reaction time. They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COD removal efficiency either by batch reactor operation or by continuous flow reactor operation. For monitoring the variation of COD with time a batch reactor was used, and continous flow reactor was operated at various detention times to estimate the effect of COD loading. The optimal applied voltage, COD loading, and conductivity was found 25V, approximately 160g COD/m² · day, and 1,000~1,300㎲/㎝, respectively. The appropriate pH value for proper operation was in neutral range. This process achieved over 90% of insoluble COD within 10min of reaction, and this efficiency was about 20% greater than when 100ppm alum solution was used for coagul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electrocoagulation process may be best suited for treating gewage with high insoluble COD content. Good treatment efficiency and low operating cost could make this process gain an increased attention in the field of sewage treatment in not too distant future.

      • 오·폐수 처리시설용 다공질 석재 개발

        신영수,이윤수,연규석,김철영 강원대학교 부설 석재복합신소재 제품연구센터 1999 석재연 논문집 Vol.4 No.-

        이 연구는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 시멘트 콘크리트에 비해 우수한 역학적 성질을 갖는 폴리머를 이용한 현무암 다공질 석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물리. 역학적 특성 및 정화성능을 실험적으로 구명한 것이다. 그 결과 다공질 소재이나 강도가 높고 적당한 단위체적중량을 갖기 때문에 설치 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정화성능은 나일론 여재에 비해 떨어지지 않으므로, 현장 설치 및 시공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경우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porous media for sewage treatment facility using basalt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wall structures of sewage treatment plants improve the efficiency of sewage treatment. It was shown that the porous media developed by using basalt was not as efficient as existing media.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 polymer porous media can be economically applied to existing waste treatment plants and help improve sewage treatment efficiency.

      • 體操競技 運動素質點 算出에 關한 硏究

        金正默,申榮吉 慶北大學校 師範大學 1976 敎育硏究誌 Vol.18 No.-

        Finding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or man-10(r=0.36∼0.59) A. Through the stick r=0.59 t=6.2003 B. Knee dip r=0.55 t=5.5840 C. Half level r=0.52 t=5.1628 D. Double heel click r=0.51 t=5.0255 E. Wall pivot r=0.50 t=4.8849 F. Human ball r=0.48 t=4.6414 G. Full left turn r=0.39 t=3.5861 H. Crab bend r=0.37 t=3.2842 I. Grapevine r=0.36 t=3.2671 J. Side kick r=0.36 t=3.2671 2. for woman-10(r=0.45∼0.74) A. Horizontal to perpendicular r=0.74 t=8.3384 B. Single squat balance r=0.61 t=5.8627 C. Double heel click r=0.59 t=5.5651 D. Squat voult r=0.53 t=4.7599 E. Korean stand up r=0.53 t=4.7599 F. Tip up(Frog hand stand) r=0.50 t=4.3970 G. Bear dance(Russia dance) r=0.50 t=4.3970 H. Sit up r=0.49 t=4.1061 I. Stork stand r=0.46 t=3.9455 J. Wall pivot r=0.45 t=3.8376 3. Marking Two times each score is given when succesfully performed in first of three chances in test. Original score in the second or third performance. 0 score in failure. All score is 50 and each is(r×10). Following is each score for man and woman. for man; A=7, B.C=6, D.E.F=5, G.H.I.J=4 for woman; A=8, B.C=6, D.E=5, F.G.H.I.J=4 100score will be for man and woman all together.

      • 알루미나에 흡착된 친핵제와 염화 옥틸과의 치환반응 양이온의 종류와 물 함량의 영향

        김창배,신영문 단국대학교 1996 論文集 Vol.30 No.-

        Substitution of n-octyl chloride by four different metal bromdes adsorbed on active alumina was investigated. LiBr and CaBr_2 exhibited good nucleophilicity toward substitution, while NaBr and KBr did not. Effect of added small amounts of water diminished the product yield and CaBr_2 was affected drastically. These observ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olubility and activity coefficient.

      • 보강 폴리머 샌드위치 패널의 구조적 거동

        신영수,김관호,연규석,정경현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제품연구센터 1996 석재연 논문집 Vol.1 No.-

        UR 등의 세계 환경 시장의 변화에 따른 건설 시장의 개방으로 신건설 소재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료 중의 하나가 폴리머 재료라고 할 수 있다. 폴리머 콘크리트는 고강도이며 마모저항, 충격저항 성능 및 내약품성, 내구성 등이 우수한 제품으로 이미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재료 성질을 이용하여 제품화 연구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건설분야의 발전과 함께 발생하는 인력, 자재 부족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건설자재의 표준화 및 규격화가 요구되며 가능한 공장에서 제작하는 공업화된 자재에 대한 요구가 점차 높아 지고 있다. 건축분야에서는 구조체의 보수 및 보강재료로서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마감 재료로도 사용가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시공성능의 향상을 위해서는 기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물 외부 및 내부 간막이벽의 단점을 개선한 경량이고 경제적인 마감재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건설 산업용 소재인 폴리머 콘크리트 패널을 건축분야의 간막이벽체로 사용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간막이벽에 요구되는 구조성능 실험을 하므로서 개발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샌드위치 패널의 두께를 최소화 하는 방안으로 용접철망으로 배근하여 그 거동의 변화를 실험하여 보강된 폴리머 콘크리트의 구조적 거동을 실험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처짐량은 하부구조재의 두께가 두꺼울 수록 적게 발생하여 구조재로 사용한 하부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큰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2) 두께 40mm의 경우 20mm에 비하여 강성이 1.5-2.0 배 증가되었다. (3) 압축측 및 변형도 및 인장 측의 변형도는 배근량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하중- 용접철망의 변형도는 배근량의 증가에 따라 휨강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나 두께 40mm의 경우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파괴하중은 철근의 배근에 따라 증가하나 철근량에는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파괴형태가 연성적 거동으로 완전히 파괴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배근량이 증가하면 연성적으로 되는 것으로 나타나 배근량과 거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7) 패널의 파괴형태가 연성적이고 하중 부담능력이 우수하여 건축외장재로 사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충고의 변화에 두께를 조절하고 배근 할 경우 우�Iㄴ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8) 샌드위치 패널의 구조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휨인장 기강도실험, 압축강도 실험, 2축압축 시험 등을 통한 구조재료로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9) 해석적 접근과 구조설계식의 제안을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며 내구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From the open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the domestic construction environment is changing and the necessities of developing advanced construction materials are increased. Among these materials, polymer concrete precast products are in concern in the developed countries. Various polymer materials are being widely used in the many industries, such as automobile, aerospace. and mechanic industry.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polymer concrete has been introduced as new material and has become popular because of its good properties such as early age high strength, good chemical resistance. Due to these good properties,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architectural constru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erform basic studies and experiments and investigate the structural behavior of polymer concrte sandwich panels to use architectural cladding and interior partition. To study the structural behavior of polymer concrte sandwich panels, The followings are investigated through the experiments. (1) The flexural behavior of polymer concrte sandwich panels (2) Strain characteristics due to bending (3) structural properties of polymer concret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polymer concrete has good structural perfomance such as early age high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The polymer concrete is to be proved appropriate material to improve the defficiencies of precast concrete snadwich panel. (2) The area of reinforcing steel has little influence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polymer concrete sandwich panels. (3) The thickness of polymer concrete has much influence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panels. (4) The specimen has failed in the ductile man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