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성김씨의 유래와 五土山 鎭民祠 사적

        김윤규 ( Kim Yun-kyu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2

        의성의 읍민들과 의성김씨 문중에서 오랫동안 향사하고 기념하던 오토산 진민사의 문헌들이 일괄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는 이 문서들이 가진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면서, 동시에 이 문서가 생산된 오토산과 진민사의 문화유적이 중요한 민족문화의 일부임을 확인한 일이다. 의성김씨는 시조 金錫의 후손으로 그 중 대부분이 고려태자첨사 金龍庇의 후손이다. 이들은 고려시대부터 한국의 중요한 성씨 중 하나로 국가적 사명을 담당했으며, 지금도 30만 명의 인구를 가진 큰 씨족이다. 이들의 조상인 김용비는 고려시대에 의성읍의 사람들에게 큰 공덕을 끼쳐 지역민들이 사당을 지어 향사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과정에서 기록된 수백년의 제향기록은 잘 해석되고 설명되어 민족문화유산으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오토산을 중심으로 한 이 지역에는 지질시대의 유적인 공룡화석산지로부터 신라 이전시기인 조문국 유적과 신라시대의 탑리오층석탑 유적 등이 있고, 조선시대의 선비문화를 가까이에서 체험할 수 있는 유서깊은 마을들이 있다. 이 중에 고려시대의 오토산 유적을 연결하면 한국사 전 시기의 중요한 역사와 유적을 연계하여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는 유적지구가 될 것이다. 오토산 지역은 “역사문화유적지구”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역의 지질시대 유적은 이미 전국적 지명도를 가지고 있고, 삼국시대 전후의 국가발생 유적도 보기 드문 특징을 가지고 발견되고 연구되었으며, 신라 후기 최고의 유적 중 하나인 탑리 오층석탑은 국보로서의 위엄을 가지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명문가의 학자들이 근처에서 생장했으며 조선의 위기와 일제 강점기에는 수많은 의병들과 우국지사의 활동이 있었던 지역이다. 일련의 역사시기 중에 흠결이 되었던 고려시대의 유적으로 오토산 묘소와 진민사 사적이 조명됨으로써 모든 시기가 일관된 역사유적으로 설명될 수 있도록 완성되었다. 이제 필요한 노력은, 산재한 이야기들과 유적들을 서로 연계된 이야기의 틀로 연결하는 일이다. 선대의 삶과 노력이 우리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설명하고 공감하게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Documents from Jinmin-sa(鎭民祠) of Mountain Oto(五土山) has long been commemorated by Uisung citizens and Uisung Kim’s Clan(義城金 氏), and now the documents ar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 This designation represents appreciation of the historic value of these documents, and at the same time it confirms that cultural remains of Mountain Oto and Jinmin-sa, where the documents were generated, are important part of national culture. Uisung Kims are descendants of progenitor Soek Kim(金錫), and most of them are descendants of Yongbi Kim(金龍庇), the Taejachumsa(who educated the crown prince) of Koryo Dynasty. Uisung Kim's Cl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lan of Korea ever since the Koryo Dynasty, and it took responsibilities of various national duties. It is also a big clan with 300 thousand people belonging. Their ascendant Yongbi Kim practiced great and generous deeds to Uisung citizen in Koryo Dynasty, so people built a shrine for him and commemorated him until now. All the records of commemoration should be well interpreted and demonstrated to be provided as national cultural heritage. The region surrounding Mountain Oto has many historic remains, from dinosaur fossils of geological period to Jomunguk nation's remains of pre-Shinla period and Tapliochungsuktop(Tapli 5 storied stone pagoda) of Shinla Dynasty. There are also historic and distinguished villages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culture of sunbi(scholars) of Chosun Dynasty very closely. If we connect Mountain Oto with these historic remains, we can establish a historic district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and learn about every period in the history of Korea, with all the remains from every dynasty connected. Regions surrounding Mountain Oto should rightfully be designated as "History and Culture District“. The remains from geological period already earned national recognition, the traces of countries that rose in the area around the Three-Countries-Period have been found and studied due to their distinctive features, and Tapliochungsuktop, one of the best remains from late Shinla Dynasty, has its authority as National Treasure. In Chosun Dynasty, scholars of noble family were raised around this region, and at the crisis of Chosun and a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umerous civil volunteer armies and patriots rose in the area. There had been one absent period in the flow of Korean history, but now since the remains of Mountain Oto and documents of Jinmin-sa are acknowledged as historic remains of Koryo Dynasty, this area now has a complete explanation of Korean history. Now, we need to put our effort in gathering scattered stories and remains into one connected story frame. We should try to explain how ancestors' life and effort are related to our life, and to make people sympathize with their sto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현황과 전망

        임종한,장성실,김성아,문재동,채창호,홍윤철,김수영,김진석,김영욱,한상환,이혜숙,원종욱,송동빈,하은희,강성규 대한산업의학회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2

        기존의 특수건강진단과 작업환경측정을 통한 직업병 관리가 진폐증, 소음성난청 등의 소수 특정질환에 국한되고 실제 직업병 발생 규모 파악이나 신종 직업병의 발견에 한계를 보인다는 사실은 산업의학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공감을 이루고 있다. 미국과 영국 등에서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에 대한 경험은 우리 나라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에도 새로운 자극제가 되면서, 1998년이후 인천, 대전, 여천, 구미, 부울경 지역에서 지역 직업성질환감시체계를 산업보건관리의 중요한 시스템으로 구축하려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새로이 구축되어지는 이들 지역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는 감시하고자 하는 대상질환, 활용 가능한 인적자원 및 자료원, 지역 의료체계의 특수성 등에 따라서 목적과 방법을 달리하면서 독특한 형태로 발전을 하고 있다. 각 지역단위 감시체계들이 그 상황에 맞게 독특한 목적과 전략들을 발전 시키면서도, 향후 발전할 국가적인 차원의 직업성질환 감시체계 구축을 위하여 직업성질환 감시의 기본 전략 등을 공유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환례 정의 및 기본적인 등록 서식의 공유, 직업성질환 감시 자료원의 발굴, 공동의 정보 네트워크 및 직업성질환 감시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직업성질환 감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기초 인프라 구축에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수집된 자료의 질 관리를 위한 직업성질환 감시의 원칙 제정과 감시 전략의 공유 등이 필요하며, 전국적인 직업성질환 감시체계의 하부구조라고 할 수 있는 지역감시체계의 기초 토대 마련과 강화작업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인터넷 과다사용 청소년의 가정내 변인 연구

        김현수,채규창,임연정,신윤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4 신경정신의학 Vol.43 No.6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hIy the family environments,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Vio-lence, Parental conflict, parental alcohol drinking that conthbute to intemet use of adolescent. Methods : Subjects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Gang-seo gu, Seoul city (N=998). Self-rating questionnaire in-cluded demographic data, intemet addiction scale,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conflict tactics scales 2 and children of alcoholics screening test. Results :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ST, family violence,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and family adaptability cohesion scale between addicted group and non-addicted group. 2)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vanants for internet addiction were problematic communication of parents and psychological aggression.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roblematic communication of parents, psychological aggression and CAST could explain 10.1% ofintemet addic-tions. Conclusion : This study was designed specifically to focus on the various domains of adolescents' family environment that may influence the ovemse of intenet. It proved that moderate level of adaptability, cohesion and open communicadon in a Pa-rentchild relationship can prevent the overuse of intenet. On the other hand, aggressive language spoken between the two parents and their alcohol abuse can aggravate the overuse of internet.

      •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 자살사고 및 우울증상

        김수인,연규월,하은희,우행원,김영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3

        연구목적 : 최근 산업재해(이하 산재) 및 교통사고 발생이 증가하면서 사고 후유증으로 치료받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산재를 포함한 각종 사고들은 환자의 신체적 상태를 변화시킬 뿐 아니라 이로 인한 사회적, 직업적, 경제적 문제들을 초래하게 되고 환자의 삶 전체를 변화시킬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재가 환자들에게 미치는 정신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산재 환자들과 대조군에서 삶의 질, 자살사고 및 우울증상을 비교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은 1999년 12월 21일부터 12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울산 마산·창원지역의 입원한 산재환자 169명이었고 정상 대조군은 울산의 공업단지 내 일반근로자 166명이었다. 평가군과 대조군 모두 남성이었고, 19세에서 60세였다. 모든 대상에서 일반 인구학적 특성, 삶의 질, 자살사고, 우울 증상을 평가하였고, 산재 환자군의 경우 사고일시, 사고원인, 치료기간, 손상부위를 추가로 조사하였다. 주관적 삶의 질은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 삶의 질척도로 평가하였고, 자살사고는 Beck의 자살사고(思考)척도로 평가하였으며, 우울증상은 PRIME-MD를 개선한 Patient Problem Questionaire의 우울증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 과 : 산재환자군과 대조군간 일반 인구학적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었다. 산재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삶의 질 척도 점수를 나타냈고, 유의하게 높은 자살사고와 우울증상을 나타냈다(p<.05). 산재환자군에서 연령, 결혼상태, 치료기간과 삶의 질 점수는 관련이 있었다. 30대 이상의 연령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10∼20대 연령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미혼이거나 이혼, 별거중인 경우 유의하게 삶의 질 점수가 낮았고, 치료기간이 길수록 낮았다. 치료기간과 자살사고가 관련있었으며, 치료기간이 길수록 자살사고가 많았다. 산재환자군에서 손상부위에 따라 삶의 질 점수, 자살사고 점수와 우울증상이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삶의 질 점수는 요추부 손상군에서 높았고, 경추부 손상군과 다발성 좌상환자군에서 낮았다(p<0.01). 자살사고 점수는 경추부손상군과 다발성 좌상 환자군에서 높았고, 요추부 손상군에서 낮았다(p<0.01). 연구 대상군에서 삶의 질 점수, 자살사고 점수, 우울증상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산재환자들은 일반 근로자들과 비교하였을 때 삶의 질이 낮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주관적으로 우울감과 자살사고를 많이 나타냈다. 따라서 산재로 인한 우울 및 자살등의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기 정신과적 치료 중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 As the occupational and traffic accidents are increased, patients who are treated for complications of accidents have been increased in recent years. Accidents including industrial injury affect the physical state of the patients and make social, vocational, and economic problems, so that they can affect the whole life of the patients. We performed this study to compare subjective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ideation in both industrial injury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in order to know how industrial injury affect patients in psychiatric aspect. Method : The subjects were 169 in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of industrial injury patients and 166 healthy control subjects. All subjects were male and their age is from 19 to 60 years old. Demographic variables, quality of life, depressive symptom, suicide ideation were assessed in subjects. The types of injury and duration of treatment were assessed in patients. The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KvSBQOL), and the suicide ideation was measured using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SSI), and the depressive symptom was measured using the Dpression scale of Patient Problem Questionaire(PPQ) which were devised from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PRIME-MD). Result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demographic variables between industrial injury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2)Scores of KvSBQOL were significantly lower, and SSI and Depression scale of PPQ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dustrial injury patients than control subjects(p<0.05). 3) In industrial injury patient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age and the scores of KvSBQOL(p<0.01). The scores of KvSQOL were lowest in older than 30's, highest in 10's-20'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recognized between the age and the suicide ideation, the depressive symptoms. Thr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marital status and the scores of KvSBQOL(p<0.01). In unmarried, divorced or separated state, the scores of KvSBQO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married state.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the duration of treatment and the scores of KvSBQOL, the suicide ideation. As the duration of treatment was longer, the scores of KvSBQOL were significantly lower(p<0.01), and the scores of SSI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4) In industrial injury patien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injury nd the scores of KvSBQOL, the suicide ideation, and the depressive symptoms. The scores of KvSBQOL were highest in the L-spine injury patients, lowest in the C-spine injury and multiple contusion patients(p<0.01). The scores of SSI were higher in the C-spine injury and multiple contusion patients, lowest in the L-spine injury patients(p<0.01). 5) In subject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KvSBQOL, the scores of SSI, and the Depression scale of PPQ. Conclusion : Industrial injury patients feel bad about the quality of life and have more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As a results, psychiatric intervention is needed for prevention of depression and suicide due to industrial injury.

      • 6차 교육 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공통 과학 (화학 부분)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분석

        김윤희,정경규,문경근,문성배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8 科學敎育硏究報 Vol.25 No.-

        In order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an ideal chemistry curriculum in the common science, four kind of common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Particularly, inquiry activities part was analyzed by the three dimension framework which consists of inquiry content dimension, inquiry process dimension and inquiry context dimension. The average volume of chemistry part in the common science text books was 13% (56 page). In the analysis of the inquiry content dimension of inquiry activities, the total number of themes in four kinds of textbook had similar inquiry activities. For the analysis of inquiry process dimension, 'interpreting data and formulating generalizations' category(39.1%) was most emphasized and the categories of 'observation and measuring'(30.8%), and 'building, testing and revising the theoretical model'(16.5%), 'seeing a problem and seeking ways to solve it'(13.5%) follow in order. As for the analysis of the inquiry context dimension, the scientific context was 82%, the individual context 1.8%, the social context 7.8% and the technical context 7.8%. It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STS related contents in inquiry activities was 18%. For the purpose of common science text book in the 6th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the high level inquiry process and the proportion of STS related contents.

      • 學生 生活의 質 改善에 關한 硏究 : 大學生活 經驗에 따른 新入生의 意識變化 Changes in Freshmen's Expectations for Higher Education through Collegians' Experiences

        김언주,박영철,김교헌,박동철,허윤근,사명규 충남대학교 1992 學生生活硏究 Vol.19 No.-

        1. 인적사항 ‘부모님과의 가치관의 차이가 없다’가 48.2%이고 ‘가치관의 차이가 있다’가 51.8%로 나타났다. 한 학기를 지낸 후 부모님과의 가치관의 차이에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재학 중 침식형태를 보면, 전체 학생 중 약 39%가 자책이 아닌 하숙, 기숙사, 자취 또는 친척집에서 다니고 있었다. 신입생들은 대체로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별로는 예술대학이 가장 높았으며 약학대학이 평균보다 낮았다. 그런데 입학당시에 비해 한 학기를 지낸 후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반응율이 낮아졌다. 이런 점은 다른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주된 이유는 대학사회라는 급격히 변화한 환경에 적응을 잘 하지 못한데서 연유된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은 인적사항에 대한 분석 결과는 부모님과 자녀 또는 기성세대와 대학생들 간의 긴밀한 대화의 통로를 마련할 것과, 원만한 인간관계 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종합적인 주거환경에 대한 대학교육목적 달성의 차원에서의 장기적인 대책 수립이 요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