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태안 주민들의 재난 적응 과정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이론 구성

        김교헌,김세진,권선중 한국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an indigenous psychological theory which explains how people in Taean cope with the disaster caused by the oil spill from Hebei Spirit. Based on a grounded theory, personal in-depth interviews with 32 people in Taean a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nalyzed. Also,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derived theory, this research adopted a triangulation methodology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to personal in-depth interviews that another colleague researcher carried out to different people. As a result, 14 categories, 36 subcategories and 68 concepts were derived to compose a paradigm model. The phenomena in the model comprise ‘change from natural disasters to social ones’, ‘negative effect on physical health’ and ‘negative effect on an ecosystem’. Causal conditions are ‘oil spill’ and ‘failure to take quick copies in the early stage’. Contextual conditions that contribute to phenomena are ‘causes that aggravate situations’ and ‘contextual protection factor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re classified as ‘automatic/passive copies’ and ‘controlled/active copies’. Intervening conditions that influence action strategies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ability to deal with the disaster’. Consequently, Taean residents experience ‘chronic stress’ or show ‘growth after the disaster’. Finally,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action strategies as time goes on, coding for process was performed. By developing the storyline of phenomena, a core category of ‘a process of adjustment to returning to daily lives, which are different from before the disaster’ was induc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by relating to the intervention in the improvement of disaster problems and further researches. 본 연구에서는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로 인해 발생한 재난에 대해 태안 주민들이 어떻게 적응해가고 있는지를 설명하는 토착심리학적 이론을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을 활용했는데, 32명의 태안주민들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두 차례의 초점 집단면접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했다. 아울러 도출된 이론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동료 연구자가 다른 대상에게 실시한 개별 심층면접 자료에 근거이론 분석을 적용하는 삼각검증법을 시도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14개의 범주와 36개의 하위범주, 68개의 개념으로 만들어진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했다. 모형에 포함된 현상은 ‘자연재난에서 사회재난으로의 이행’과 ‘신체적 건강에 미친 부정적 영향’, ‘생태계에 미친 부정적 영향’이었으며, 인과적 조건은 ‘기름유출사고’ 및 ‘초동대처의 실패’로 나타났다. 현상에 기여하는 맥락적 조건은 ‘상황 악화 요인’과 ‘맥락적 보호요인’으로 나타났고, 작용/상호작용 양상은 ‘자동적/수동적 대처’와 ‘조절된/능동적 대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작용/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개인적 대처 역량’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태안주민들은 ‘만성적인 스트레스 반응’을 경험하거나 ‘재난 후 성장’을 보이며 이 시기를 지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작용/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과정분석을 실시했으며, 이야기윤곽 전개를 통해 ‘재난 발생 전과 다른 또 하나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과도기적 적응과정’이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재난 문제 개선을 위한 개입 및 추후 연구와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 청소년들의 컴퓨터 사용 실태와 컴퓨터 중독

        김교헌 충남대학교 2001 學生生活硏究 Vol.28 No.-

        대전광역시의 중산층 거주 지역에 위치해 있는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컴퓨터 이용 실태와 컴퓨터 중독 실태에 대해 살펴보고 컴퓨터 중독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짐작되는 심리사회적 위험 요인들의 설명력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청소년들은 주당 평균 15시간 정도를 컴퓨터 사용에 보내고 있었으며, 컴퓨터로 인해 잠을 설친 날 수도 2주당 1일 이상이나 되었다.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컴퓨터 게임에 월등히 많은 시간(12시간 대 2시간)을 보내는 반면, 여학생들은 남학생들에 비해 인터넷 사용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6시간 대 4시간 30분). 남학생들은 본 연구에서 개작해서 사용했던 컴퓨터 중독검사의 점수에서도 여학생들에 비해 평균 점수(7.8 대 6.8)와 고 위험 집단에 속하는 백분율(33% 대 12%)과 중독 집단에 속하는 백분율(4% 대 1%) 등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컴퓨터 사용 실태에 영향을 미치리라고 예상한 심리사회적 변수들이 사용 실태 변수들과 관계되는 정도는 성을 제외하고는 유의하지 않거나 미약했으며, 행동억제 체계와 행동활성화 체계의 개인차가 컴퓨터 사용 정도와 의미 있게 관련되고 있었다. 중학생용 컴퓨터 중독검사의 내적 합치도(α=.81)는 수용할 만 했으며, 분포의 양상도 정상분포에 가까웠다. 20문항 검사의 요인구조를 분석해 본 결과, "자기통제력 부족" "심리적 의존성" "사회적 고립" "강박적 집착" 및 "사용 은폐"로 명명할 수 있는 5가지의 하위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의 중다 회귀분석을 통해 밝혀진 컴퓨터 중독 경향의 잠정적 위험 요인들로는 '성(남자)' '게임 시간' '컴퓨터 때문에 밤잠 설친 날 수' '인터넷 사용 시간' '부모와의 갈등' '행동억제 경향' 및 '행동활성화 경향' 등이 많거나 높은 것 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들과 컴퓨터의 병리적 사용을 하위 분류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을 논의하였다.

      • 대학생과 교사용 분노 생활 사건 척도

        김교헌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95 學生生活硏究 Vol.22 No.-

        한국의 대학생들과 초·중·고 교사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분노 생활 사건 척도를 개발하려 했다. 제어 이론과 인지적 평가 이론의 입장에서 분노 생활 사건을 정의하고, 대학생들과 교사들이 일상 생활에서 빈번하게 경험하는 생활 사건들을 중심으로 각각 22개와 24개의 문항으로 구성한 대학생용과 교사용 척도를 만들었다. 259명의 남녀 대학생들과 297명의 초·중·고 남녀 교사들을 대상으로 척도의 심리측정적 성질을 검토했다. 문항분석과 전체 척도의 내적 합치도, 척도 점수의 분포와 기술 통계치, 척도의 요인 구조 및 준거 변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을 했다. 대학생용과 교사용 척도는 공통적으로 내적 합치도가 높고, 의미있게 해석할 수 있는 하위 요인 구조를 보이며, 준거 변인들과의 관련성도 사전 연구나 이론에서 예측되는 방향과 일치했다 분노 생활 사전 연구에 대해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논의했다. An attempt was made to develop the anger event scales for college students an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tems used in the scale, based on control theory(Chon & Kim, 1989, 1991) and cognitive appraisal theory(Lazarus, 1993; Lazarus & Folkman 1984) were selected from a preliminary survey on anger life events for korean undergraduates and teachers. participants were 259 college students(study 1) and 297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study 2). Internal consistency, descritive statistics of the scal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and relationships with criterion variables were analized. Both scales, for college students and for college students and for teachers, show high internal consistency, interpretable factor structure and convergent validity. Finally,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in the light of the present results.

      • KCI등재

        도박행동의 자기조절모형: 상식모형의 확장

        김교헌 한국건강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1 No.2

        An attempt, defining gambling precisely, was made and perspectives of the public health was adopted in order to class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gambling behaviors. It was discussed about how to define gambling problem to improve the efficiencies of communication between stakeholders. The loss of self-regulation or control on gambling behavior was supposed to be the key factor of the addictive(or pathological) gambling. Theories of self-regulation were reviewed and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applicability to th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pathological gamblers. The common-sense model for health and illness of Leventhal et al.(2003) and Cameron(2003, 2004) was adopted as a frame of reference to develop the self-regulation model for gambling behavior. Results of depth interview for pathological gamblers and GA members were fitted with common-sense model. And contents(identity, timeline, cause, consequence, and cure/control) of the representations about gambling addiction of pathological gamblers, social gamblers, addictive gambler's family members, employees of gambling venue, and normal group supported the applicability of common-sense model for gambling behavior. A common-sense self-regulation model for gambling behavior was suggested and discussed in relation with future challenges. 도박을 엄밀하게 정의하고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공중건강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았다. 관련 전문가들 사이의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도박문제의 정의를 시도해 보았으며, 도박문제의 핵심을 도박중독이나 병적 도박자의 발생으로 보고 이를 설명하는 중독증후군모형과 경로모형을 소개했다. 도박중독의 핵심을 도박행동에 대한 자기조절과 통제력 상실로 가정하고 자기조절이 상실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기존의 자기조절이론들을 기술했으며, 건강과 질병에 관한 자기조절의 상식모형이 도박행동의 자기조절에도 적용될 수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도박문제를 경험하고 있거나 경험한 적이 있는 도박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이나 도박과 관련되는 다양한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도박중독에 관한 인지적 표상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상식모형은 도박행동의 자기조절에도 잘 적용될 수 있다고 결론내릴 수 있었다. 한국인 표본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결과와 도박 상황의 특성을 고려해서 도박행동에 관한 상식모형을 구성해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구성한 상식모형을 바탕으로 자기조절의 관점에서 도박행동이나 도박문제를 접근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 KCI등재

        저수준 도박행동 연구를 위한 개념화 및 척도 개발

        김교헌,권선중,김세진,이순묵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2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conceptualizing lower level gambling behaviors and developing a scale measuring those behaviors. People at low levels in gambling behaviors take more than 90 percentage of the general population. First, we redefined some levels of gambling behaviors differently from the current usage. Level 0, ‘psychological zero level’, is redefined as a state of having no experience of gambling or a state of absence of intrinsic motivation, interest, or intention of gambling. Level 1 is a state of intrinsic motivation or interest in gambling behaviors characterized by “undeveloped damage or harmless consequences” and “not being involved in biopsychosocial risk factors”. To bridge the gap between level 1 and level 2, we introduced M level (1.5 level), a state of involving biopsychosocial risk factors. Preliminary 52 items were constructed including filler items. Data were collected from 627 respondents including college students and visitors at legal sites for gambling. Through the 3-round item and respondent selection process, 18 items were chosen. Then one item was removed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end 17 items were retained. Finally,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could confirm the 3-factor structure: level 0 factor, level 1 factor, and level M factor that were hypothesized to exist at the low end of gambling behaviors. 본 연구에서는 모집단의 대다수에서 관찰되는, 문제가 없는 저수준의 도박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개념화를 시도하였으며, 그에 따라 척도(L척도)를 개발하여 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도박 연구에서 사용된 도박행동의 수준별 개념들을 재정의 했는데, 0수준은 ‘심리적 0수준’으로 도박 경험이 없거나, 있더라도 도박에 대한 내재적 동기나 흥미, 의도 등이 부재한 상태로 정의했고, 1수준은 심리적 0수준과 2수준 사이에 있으되, Ferris와 Wynne(2001a, 2001b)가 2개의 소범주로 분류한 것을 참조하여 첫째 소범주를 1수준 “사교/오락” 도박으로, 둘째 소범주를 M수준 혹은 “저위험” 도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erris와 Wynne가 이들 소범주에 대해 제시한 정의를 보다 정교화하였다. 사교/오락 도박은 도박에 대한 내재적 동기나 흥미가 유발된 상태이면서 ‘피해나 폐해의 미발달’과 ‘생물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이 개입되지 않은 상태’ 및 ‘도박으로 사교와 유희를 즐기는 상태’로 규정했다. 저위험 도박은 도박문제를 보이는 2수준 도박행동의 전단계에 해당하는 개념으로서 1수준인 사교/오락 도박과 다른 점은 생물심리사회적 위험요인이 개입된 상태라는 점이다. 비교검사 문항을 포함한 총 52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대학생과 도박장 이용객 6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문항속성과 요인타당도를 평가했다. 3차에 걸친 문항 및 응답자 선별 과정을 통해 총 18문항을 남긴 후,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1문항을 제거하여 17문항의 최종 목록을 확정했다. 마지막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개념의 적합도를 평가한 결과, 0수준과 1수준, M수준으로 구성된 3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양호하게 나타났다. 추가로 새로운 자료를 수집하여 척도의 요인타당도를 재확인하고 번역본 CPGI 및 NODS와 변별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도박행동 연구와 정책 제언 및 개발된 척도의 용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김교헌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0 No.4

        산업화된 나라들에서 청소년기에 우울과 자살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증 발병률이 높아진다는 일관된 결과가 나타난다. 청소년기 우울은 불안과 섭식장애 및 주의력 결핍과 파괴성 행동장애와 함께 나타나는 경향이 높고 자살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에 관한 기초자료를 개관하고 제어이론의 입장에서 우울에 대한 기존의 심리학적 설명이론들을 통합해서 조망해 보려 하였다. 최근 수정된 제어이론의 입장에서 ‘우울과 불안과의 관계’ ‘우울과 자살과의 관계’ ‘청소년기에 우울이 급증하는 이유’ ‘청소년기부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을 많이 경험하는 이유’ 및 ‘한국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과 관련되는 문화적 요인’ 등에 대해 논의했다. Recently, rates of depression and suicide of adolescent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including Korea, were rapidly increasing. Adolescent depression was often associated with anxiety disorder, eating disorder, attention deficits hyperactivity/disruptive behavior disorder. and suicidal attempts. Epidemiological data about depression and suicide of adolescents are reviewed. Psychological theories of depression and suicide are integrated in terms of a control theory interpretation. Issues about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e' 'the reason why rates of depression and suicide are rapidly increasing at adolescence' 'the reason why the different prevalence of depression between female and male is conspicuous at adolescence' and 'Korean cultu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e of adolescen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vised control theory interpretation.

      • KCI등재

        한국인과 미국인의 분노 경험과 분노 표현

        김교헌,전겸구,류준범 한국재활심리학회 2000 재활심리연구 Vol.7 No.1

        한국에서 분노에 관한 기초 연구가 부족한 점에 주목하여, 분노에 관한 몇 가지 기본적인 측면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한국인과 미국인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때 보다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동시에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질적 연구로서 Averill(1982)의 분노 척도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문항을 일차적으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양적 연구로는 분노와 관련해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pielberger, 1988)와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Chon, Hahn, & Lee, 1998)를 중심으로 사용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분노 척도에 한국인 160명(대학생 80명과 일반인 80명)과 미국인 160명(대학생 80명과 일반인 80명)이 각각 포함되었으며,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에는 한국 대학생이 1200명과 미국 대학생 276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노 경험 차원과 관련해서는 미국인이 한국인에 비하여, 최소한 남학생에 국한해 볼 때, 상태 분노에서 높게 나타났다. (2) 분노 경험 차원 가운데 특성 분노와 관련해서는 전체적으로 볼 때 미국인과 한국인간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한국인이 미국인에 비하여 특성 분노-특질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에, 미국인은 한국인에 비하여 특성 분노-반응에서 높게 나타났다. (3) 한편, 분노 표현 차원과 관련해서는 미국인이 한국인에 비하여 분노-표출과 분노-통제에서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4) 한국인이 친숙하지 않은 사람들에 대하여 분노를 자주 경험하거나 표현하고 있는 데 비하여, 미국인은 친숙한 사람들에 대하여 분노를 자주 경험하거나 표현하고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개인주의 문화 대 집합주의 문화와 관련해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병적 도박 선별을 위한 K-NODS의 신뢰도와 타당도

        김교헌 한국건강심리학회 200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8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NODS(NORC DSM-IV Screen for Gambling Problems; NGISC, 1999). 1,806 Korean male(N=1,163) and female(N=643) adult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own gambling experiences and K-NOD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N=1,164), gambling game participant group(N=568), and gambling victim group(N=74). Normal adults recruited from the population of school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relatives. Gambling game participant group composed of casino(N=330), pari-mutuel(N=129), and bicycle racing(N=109) customers. Victim group composed of Gamblers Anonymous(N=67) and the accused of illegal gambling(N=7). L and P form of K-NODS were highly reliable(Cronbach's α = .91; .91) and stable(4weeks test-retest reliability r=.91; .89).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nd 1 factor structure of both K-NODS L and P. All diagnostic criteria of the K-NODS L form could discriminate among normal, gambling participants, and gambling victim group. Habits of gambling, motivation toward gaining money, and depression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K-NODS L and P score. Whereas self-esteem and proactive coping attitude were correlated negatively. The prevalence of pathological gamblers were 2.8%(L) and 1.7%(P) among Korean normal adults, 35.2%(L) and 31.1%(P) among gambling game participant group, and 87.8%(L) and 60.7%(P) among the victim group. Result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that K-NODS L and P form were both reliable and valid. Finally, cultural issues about diagnostic criteria of pathological gambling were discussed. DSM-IV(1994)의 병적 도박 진단준거를 바탕으로 하는 자기보고식 면접평가 도구인 NODS(NGISC, 1999)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초중고 교사와 대학생 및 그들의 부모와 친지로 구성된 일반인 집단(N=1,164)과 내국인 출입카지노(N=330), 경마(N=129) 및 경륜장(N=109)의 게임 참여자 집단(N=568), 그리고 단도박 협심자(N=67)와 도박 사범(N=7)으로 구성된 도박 피해자 집단(N=74)의, 전체 1,806명의 18세 이상 한국 성인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K-NODS L형의 10가지 진단준거는 일반인, 게임 참여자 및 도박 피해자 집단의 순으로 반응률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또 K-NODS L(평생)형과 P(1년)형은 4주 간격의 재검사 신뢰도(r= .91; .89)와 내적일치도(α= .91; .91)가 높았으며, 단일 요인구조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K-NODS L형과 P형의 점수는 도박습관과 돈을 따기 위해 도박을 하려는 동기 및 과거 도박 경험 등이 높을수록 높은 반면, 자긍심이나 주도적 인생태도는 높을수록 낮았다. L형과 P형 전체 점수는 도박 피해자 집단은 게임 참여자와 일반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게임 참여자 집단은 일반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병적 도박자의 백분율은 일반인 집단에서 2.8%(L형)와 1.7%(P형)인데 반해, 게임 참여자 집단은 35.2%(L형)와 31.1%(P형)였으며, 도박 피해자 집단에서는 87.8%(L형)와 60.7%(P형)로 급격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K-NODS L형 및 P형이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신뢰롭고 타당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병적 도박 평가와 관련된 문화적 쟁점과 K-NODS의 적용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