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범대학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송신철 이치하 심규철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The instrument consisted of seven components:the adequacy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need of change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usefulnes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n teacher's life, the need for fields of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perception about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s and pract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science teachers(38 males and 92 female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wasn't adequate, and should be changed, and the ratio of subjects related to science contents as well as science education should be heightened. They perceived that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lated to general education theory and literacy, and selective subjects should be reduce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f science teaching material, and science teaching method among science education field.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s related to secondary content analysis, appli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teaching experiments and inquiries. It seems desirable that the scienc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considering science teachers' needs. Key words: 본 연구는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교사 생활에 대한 유용성,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증가 또는 감소시켜야 할 분야, 교과교육학 과목의 중요성, 교육과정에서 지식과 실습 영역의 중요성 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수 참여 과학 교사 130명(남자 38명, 여자 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과학 교사들은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으며 현행의 이러한 교육과정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교사 생활에 필요한 부분의 우선 순위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분석결과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등을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에서 증가시켜야 할 영역으로는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교육실습 등을, 감소시켜야 할 교육과정 영역으로는 일반교육학, 교양과목, 일반선택 등이라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과교육학 과목 중에서 과학교재연구, 과학교수법 등을 특히 중요한 과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 교사들은 교사 양성 교육과정 중 지식영역에서는 교과내용학 지식,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 중․고등학교 교과내용 등을, 실습영역에서는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의 분석, 중․고등학교 교과 내용에 대한 수업 실습,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의 활용, 실험(탐구) 수업 실습 등을 지금보다 더 강화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과학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필요하다고 절감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여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신·구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중 생물영역에 대한 비교 연구

        김영,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0 科學敎育硏究報 Vol.17 No.-

        새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중학교 과학 2의 5종 교과서 중 생물영역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고, 종래의 과학 2 교과서의 내용과 상호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구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포괄적인 총괄목표를 제시하고, 이에 따라 다시 영역별로 도달목표를 세분하였으며, 구 교육과정에서는 4개 항목이었으나, 신 교육과정에서는 5개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2. 신·구 교육과정은 모두 학년당 5개 항목으로 목표가 세분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구 교육과정에서 생물체내의 물질대사과정의 이해로 된 생물영역의 목표가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의 이해로 바뀐 것을 제외한 나머지 4개 항목에서는 거의 유사했다. 3. 신·구 교육과정 모두 지구과학, 생물, 물리, 화학의 4영역으로 구분이 명확하며, 물리영역을 제외한 3영역의 대단명이 바뀌었다. 4. 실험목표를 분석해 본 결과 신·구 교과서 모두 원리와 법칙응용을 목적으로 한 실험이 가장 많았고, 과학적 창조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실험은 전혀 없었다. 5. 신·구 과학과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 비교를 보면 구 교육과정에 있던 환경의 중요성 인식과 인구문제와 성에 대한 도덕적 가치항목은 신 교육과정에서 빠졌으며, 신 교육과정에서는 구 교육과정에 없던 과학에 관련된 학습내용 개발항목이 새로이 제시되어 있었다. 평가상의 유의점은 신·구 교육과정 모두 2항목으로 내용이 같았으며, 평가방법은 구 교육과정에서는 3항목, 시 교육과정에서는 4항목으로 앞의 3항목은 구 교육과정과 내용이 유사하였다. 6. 영역별 강조도를 보면 구 교과서에서는 물리영역이 가장 강조되었으나, 신 교과서 5종에서는 A교과서(물리영역강조)를 제외한 B,C,D와 E 교과서에서 생물영역을 가장 강조하였다. 실험, 관찰을 영역별로 보아도 신·구 교과서 모두 생물영역의 실험, 관찰수가 가장 많았으며, 신 교과서에서는 B와 E교과서가 거의 비슷하게 가장 많았다. 연구는 교과서에서는 B와 E교과서가 거의 비슷하게 가장 많았다. 연구는 구 교과서에서는 생물영역이 13회로 가장 많았으며 신 교과서 5종 중 B, C와 D교과서에서도 구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생물영역에서 가장 많았다. 읽을 거리, 익힘문제 등은 신·구 교과서에서 현저한 차이가 없으며, 종합문제는 신·구 모두 각 영역별로 1편씩 평균 4편이었다. 그림과 사진은 구 교과서 321편에 비해 신 교과서 5종 모두 증가하였으며, 표는 신·구 교과서에서 평균 19편, 21편으로 거의 유사했다. 물음은 구 교과서에서는 없었으나, 신 교과서에서 보완되었다. 생물역역에 대한 신·구 교과서의 총면수는 신 교과서 B에서 가장 많았고, C에서 가장 적었으며, 5종 모두 구 교과서 보다 늘었으며, 실험도 10회인 구 교과서에 비해 신 교과서에서는 11.8회로 더 많았고, 구 교과서에 없던 부록은 신 교과서 A와 C를 제외한 B,D,E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생물영역의 단원구성을 보면 구 교과서에서는 대단원 1개와 소단원 3개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신 교과서에서는 소단원이 1단원 줄어 2개로 되어 있었다. 7. 교과서 내용면을 볼 때 수준으로는 신·구 교과서 모두 조직과 기관이 가장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신 교과서 A, B, C에서는 세포수준을 다루었으나, 신 교과서 D와 E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신·구 교과서 모두 분자, 개체군, 군집, 생물권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주제로는 신·구 교과서 모두 구조와 기능이 가장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와 신 교과서 A, C, D와 E에서 다루었던 생물 개념의 역사 주제는 B교과서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았다. 신교과서에서는 구 교과서에 비해 구조와 기능이 덜 강조되고, 조절과 항상성이 더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에 있던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생물과 환경주제는 빠져 있었다. 8. 실험과 관찰은 신 교과서 D는 14항목, A와 B는 13항목, E는 12항목으로 10항목인 구 교과서보다 증가하였으나, 신 교과서 C는 7항목으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실험주제는 신·구 교과서가 거의 같은 내용이었다. 9. 재료 생물은 6종 10회 사용된 구 교과서보다 신 교과서 A,D와 E교과서에서는 증가하였으나, B와 C교과서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신·구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재료는 없었다. 10. 약품 사용은 7종 7회 사용된 구 교과서보다 신 교과서 B와 D에서 증가하였으나, A, C, E교과서에서는 오히려 줄었다. 신·구 교과서 5종 평균은 7.8종으로 구 교과서와 거의 유사했다. BTB 및 녹말용액은 신·구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기구 사용은 신 교과서 5종 모두 구 교과서보다 증가하였다. 11. 그림 및 사진은 신 교과서 A, C와 D에서는 88편, 91편, 83편으로 구 교과서보다 늘었으나 B와 E교과서에서는 74편, 61편으로 80편이 실린 구 교과서보다 오히려 줄었다. 그림과 사진의 내용은 신 교과서 5종 모두에서 생물의 내부구조에 관한 그림 및 사진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생물학적 법칙, 작용에 관한 모식도 및 사진, 기타 순으로 생물학적 법칙, 작용에 관한 모식도 및 사진이 가장 많았던 구 교과서와 차이가 있었다.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to obtain data for developing an ideal middle school biology curriculum in Korea. The new and the former editions of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target of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presents all-inclusive omnibus goals, and subdivides the reaching goals in each domains. It presents 4 items in former curriculum, but 5 in the new one. 2. The targets in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s are subdivided into 5 items in each school year. In view of the contents, 4 items were almost similar to each other except 1 item in which the target of biology area has changed from understanding the metabolism process of living organism in the new curriculum. 3.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were clearly divided into 4 areas of earth science, biology, physics and chemistry. And the large unit name of 3 areas except physics were changed. 4. An outcome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purpose shows that the most experiment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was aimed to apply principles and rules, but there was not an experiment aimed to achieve the extension of the scientific creative abilites. 5. The comparison of guide and tips on appreciation between the new and the former science shows that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for environment, the population problem and the moral value for sex were exempted in the new curriculum and development item for studying material concerned with science was newly presented in the new curriculum.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have 2 items of the tips on appreciation and the contents were same. The former curriculum has 3 items and the new one has 4 in the appreciation method and the first 3 items of the new curriculum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former one. 6. Upon noticing the emphasizing degree of each area, the physics area was most emphasized in the former textbook. But B, C, D and E except A in the new textbooks emphasized the area of biology. Both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have the most frequency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in area of the biology. And B and E textbook competed in the frequency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among the 5 kinds of new textbooks. The investigation was presented 13 times in the biology area of the former textbook. B, C and D among new textbooks have the most number of investigation in the area of the biology. The reading material and the practice don't hav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re were 4 pieces of general question in average with one piece of each area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the new textbook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former one which contains 321 pieces. There were 19 pieces of tablet in average in the new textbooks and 21 pieces in the former one, thus being similar to each other. There were no inquiries in the former textbook but supplemented in the new ones. The most in number of the total page of the biology area was the new textbook B and the least was the textbook C. All of the new textbooks preceded the former one. The experiment was also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s, being 11.8 times compared to 10 times in the former one. The appendix which was not contained in the former texbook was also not treated in the new texbook B, D and E except A and C. Upon noticing the structure of unit, the former textbook consisted of one large unit and 3 small units. But the new one had 1 less of small units. 7. Over the level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the tissue and organ was most emphasized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And the new textbook A, B, C treated the level of cell as the former textbook did so ut the new textbook D and E didn't. The molecule, population, colony and biosphere were not treated both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s. In view of the subject, the stucture and function were most emphasized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 history of biological concept which was treated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 A, C, D, E was not treated in the new textbook B. The structure and funcion was less emphasized and the regulation and homeostasis was more done so in the new textbooks than the former textbook. The biological basis of action and the living organism and environment in the former textbook were exempted in the new one. 8. In view of the experiment and observation, the new textbook D had 14 items, A and B has 13 items and E had 12 items, thus being increased compared to 10 items of them in the former one. But those of the new textbook C was decreased to 7 items. The subject for experiment had the same contents in both of them. 9. The living organisms for material which was used 10 items with 6 kinds in the former one was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 A, D, E, but decreased in B, C. There were no commonly used material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s. 10. The use of chemicals which was used 7 times with 7 kinds in the former textbook was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 B, D. But decreased in the A, C and E books. The average of the 5 kinds of new textbooks were 7.8kinds, thus being similar to that of the former one. BTB and starch liquid were commonly used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s. The use of appliances in the new textbooks was increased than the former one. 11.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the new textbook A(88 pieces), C(91 pieces) and D(83 piece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former textbook(80 pieces). But the new textbook B(74 pieces), E(61 pieces) were decreased. In view of the contents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the most in number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about the living organism's internal structure was follwed by the drawing and picture of the biological principle and operation and etc. in the 5 kinds of kinds textbooks, thus being different from the former one in which the most in number was the drawing and picture of the biological principle and operation.

      • 科學的 態度育成을 위한 情意的 評價道具의 開發

        文正大,具福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87 科學敎育硏究報 Vol.14 No.-

        과학 교육의 목표가 인지적 목표, 정의적 목표, 기능적 목표로 되어 있으나 인지적 목표외에는 그 개념이나 내용이 추상적이기 때문에 학습 지도면에서 소외되어 왔다. 이로 인해 평가면에서도 인지적 목표 영역에만 국한하여 정의적 목표 영역면의 평가가 경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과학과 학습의 일반 목표에도 명시된 바와 같이 과학적 태도면의 육성이 필수적으로 되어 왔다. 탐구 과정의 일부분으로서의 과학적 태도는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동기를 증진시킬 뿐 아니라, 기초적인 교양 교육에 있어서도 그 중요성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교육 전문가들은 중학교에서 길러져야 할 과학적 태도 요소들을 추출하여 체계와 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적 태도 육성을 위한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내용을 요약하면 주로 과학적 태도 육성을 위한 주안점 9개 범주 즉 호기심, 정직성, 인내성, 객관성, 비판성, 정확성, 안전성, 적용성, 개방성에 대해 이들 각 범주의 세부 항목을 설정하여 모두 51개의 세목을 개발하였으며, 또 적용 연구를 위하여 중학 과학2, 단원 Ⅲ . 물질의 입자(중단원 1,2,3)에 적용할 평가 기준을 이 척도에 따라 작성하였다. 적용 연구는 학습 지도 계호기에 따라 수업 중 그 시간에 가장 두드러진 학생의 행동을 중심으로 태도를 관찰하거나 질문, 보고서, 가상문 등을 통하여 과학적 태도 평가를 실시한 후 통계·처리하였다. 이 연구가 비록 많은 개선점과 문제점을 안고 있으나 일서 교사들의 학습 지도의 방향과 평가 방법의 연구에 다소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 The objectives of education are cognitive object, affective one, an functional one. But these objectives except cognitive one have been neglected in teaching by reason of their abstraction of concept and contents. It causes the neglect of affective domain and learning too much on cognitive domain in evaluation. But it is essential to bring up the scientific attitude as seen in the general purpose of science education. scientific attitude ; a part of inquire process, is acquiring importance in fundamental education of persons as well as in the motive mover of scienticic problem solving. Therefore the authors selected the factors of scientific attitude which must be developed at the secondary school and systematized them.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the affective evaluation instrument for bringing up of the scientific attitude. In brief, nine categories to bring up the scientific attitude ; curiosity frankness, patience, objectivity, criticism, correctness safety, application and openness. Each boundary is divided into subscales which have fiftyone items are made to be applied Middle school science, Book 2, Book 3. "A particle of matter (section 1,2,3)". The applica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by taking statistics after observing the students attitude, especially the obvious one through class and checking their questions, reports and description of impressions while teaching them according to the teaching plan. I hold a firm belief that this study is helpful for teachers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evaluation method of guidance though it leaves much room for improvement.

      • 고등학교 신 교육과정의 생물 및 구 교육과정의 생물Ⅱ 교과서에 대한 비교 연구

        조운복,박원혁,문두호,최병태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1 科學敎育硏究報 Vol.18 No.-

        새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종래의 생물Ⅱ교과서의 내용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ㆍ구 교육과정의 과학과 목표는 총괄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다시 영역별 도달목표를 구 교육과정에서는 5개, 신 교육과정에서는 6개항을 제시하고 있었다. 2. 과목의 목표는 신 교육과정이 6개항목, 구 교육과정이 5개 항목이며 신 교육과정에서 흥미와 호기심의 증진, 탐구능력과 개념의 문제해결에대한 적용과 활용, 실험ㆍ실습강화등이 강조되었다. 3. 과목내용은 구 교육과정의 생물Ⅱ의 4개 단원에서 신 교육과정의 생물의 5개 단원으로 늘어 났으며 구 교육과정의 생물의 항상성이 제외되고 새로이 생물의 다양성과 진화가 첨가되었다. 4. 신ㆍ구 교육과정의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을 보면 신 교육과정이 교과 단원별 학습내용과 교육과정 운영상 실험ㆍ실습 시간을 15% 이상으로 명시해 두었다. 평가상의 유의점은 신ㆍ구 교육과정 모두 2개 항목이었으나 평가방법에서 구 교육과정이 3개 항목인데 비해 신 교육과정이 실험ㆍ실습기능의 평가가 첨가되어 4개 항목이었다. 5. 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생물Ⅱ가 230면인 반면 생물이 249면으로 그 분량이 강화되었으며, 실험관찰도 생물이 13.3으로 생물Ⅱ가 11.2인 것에 비해 강화되었으나, 사진 및 그림은 1면당 평균 0.76, 0.78로 유사하였다. 연구, 고찰, 물음, 탐구가 생물이 38.9, 8.9, 22, 0.7로 생물Ⅱ의 25, 7.8, 11.2, 0.6보다 더 많이 다루고 있었다. 익힘문제, 종합문제 등은 서로 유사하나 생물이 읽을거리, 요점정리, 부록 등을 고루 싣고 있었다. 6. 교과서의 내용중 수준을 보면 생물이 분자(49.1%), 개체(28.0%), 세포(17.%), 개체군(5.6%)순이었고 생물Ⅱ가 분자(43.8%), 조직과 기관(28.6%), 세포(18.3%), 개체(4.9%)의 순으로 생물이 조직과 기관을 다루지 않은 반면에 개체를 강화하였음을 보여준다. 주제별로는 생물이 구조와 기능(45.2%), 다양성과 단일성(19.5%), 유전적 연속성(18.8%), 진화(16.5%)의 순이었고 생물Ⅱ가 구조와 기능(31.1%), 조절과 항상성(22.1%), 유전적 연속성(20.2%), 다양성과 단일성(17.7%)이었다. 생물Ⅱ에 비해 생물의 진화가 강화되었고 조절과 항상성 및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가 빠져 있었다. 7. 실험과 관찰의 주제는 생물Ⅱ가 28항목인데 비해 생물이 45항목이었다. 공통적으로 많이 다루고 있는 주제는 효소의 작용과 성질, 잎의 색소분리, 삼투와 삼투압, 호흡율의 측정 등이었다. 8. 재료생물은 생물이 48종 104회 이며 생물Ⅱ가 39종 72회 이었으며, 사용빈도가 높은 재료는 생물이(9회), 검정말(8회), 양파(7회), 시금치(6회), 개구리(5회), 감자, 곰팡이, 사람, 연두벌레(4회) 등이었고, 생물Ⅱ는 개구리, 사람(7회), 시금치, 양달개비(5회), 검정말(4회) 순이었다. 9. 사용된 시약은 생물이 65종 208회이며 생물Ⅱ가 53종 120회 이었다. 사용빈도가 높은 시약은 생물에서 설탕(15회), 증류수(14회), 염산(13회), 젤라틴(9회), 수산화칼륨, 아라비아고무, 포도당(8회)이며, 생물Ⅱ는 설탕(9회), 증류수(8회), 수산화나트륨(6회) 등이었다. 10. 사용된 기구는 생물이 128종 585회이며 생물Ⅱ가 85종 286회이며, 사용된 횟수는 생물이 현미경(36회), 비커, 슬라이드글라스(35회), 시험관, 커버글라스(33회), 스포이트(24회), 핀셋(23회), 막자사발(13회) 등이었고 생물Ⅱ는 시험관(20회), 현미경(15회), 비커(14회), 스포이드, 슬라이드글라스(13회), 거름종이, 커버글라스(12회) 순이었다. 11. 그림 및 사진의 장수는 생물 및 생물Ⅱ에서 각각 188.6, 178.6장이며 1면당 장수는 0.76, 0.78로 유사하였다. 내용별로는 생물 및 생물Ⅱ 모두 생물학적 법칙 및 작용에 관한 모식도 및 사진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생물내부구조에 관한 그림 사진 이었다. 그 다음이 생물에서는 생물의 외부형태에 과한 그림 및 사진이었고, 생물Ⅱ에서는 실험방법에 관한 그림 및 사진이었다. This present work was undertaken to obtain data for developing an ideal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in Korea. The new and the former editions of Korean high school textbook were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arget of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of science presents omnibus goals and has the reaching goals in each domain. It presents 5 items in the former curriculum but 6 items in the new one. 2. The target of biology course is subdivided into 6 items in the new curriculum and 5 items in the former one. In the view of contents, several items are almost similiar to each other, but emphasis is put on interest and curiousity of students, laboratory works and applicable abilities to practical problems in the new curriculum. 3. In the regard to the contents, 5 large units are allocated to Biology, and 4 large units in Biology Ⅱ. Biology contains the new units of diversity of organism and evolution instead of homeostasis of organism. 4. In comparison of consideration of the guide and valuation between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it is stipulated in the new one that the contents of study is clearly described, and 15% of the curriculum hours is allocated for laboratory works at least. both the new ant the former curriculum have 2 items of appreciation on valuation, and the contents are same. However, 3 items are added to the former curriculum and 4 items to the new one in valuation methods, and the test of laboratory works is newly presented in the new one. 5. The comparison of contents; an average page of Biology and Biology Ⅱ are 249 and 230 page respectively. an average pate of Biology shows an increase in 19 page compared with Biology Ⅱ. The number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is increased in Biology, being 13.3 times compared with 11.2 times in Biology Ⅱ. The number of research, investigation, question and inquiry in Biology is 38.9, 89, 22 and 0.7 times respectively, and this is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Biology Ⅱ which contains 25, 7.8, 11.2 and 0.6 times. Reading materials are contained in all textbook of Biology. 6. The level of the contents ; Biology consists of the molecule (49.1%), individual (28.0%), cell (17.3%), and population (5.6%) and Biology Ⅱ molecule (43.8%), tissue and organ (28.6%), cell (18.3%) and individual (4.9%). The themes of Biology are stressed on structure and function (45.2%), diversity and unit (19.5%), genetic continuity (18.8%), evolution (16.5%), and Biology Ⅱ structure and function(31.1%), regulation and homeostasis (22.1%), genetic continuity (20.2%), diversity and unit (17.7%). Evolution is more emphasised in Biology, but regulation and homeostasis and biological basis of behavior are exempted in Biology. 7. In the view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Biology has 45 experimental subject, thus being increased compared with 28 of the former one. The common subject for experiment and observation is properties and mechanism of enzyme, osmosis and osmotic pressure, separation of plant pigment, and measurement of respiratory rate. 8. The kinds of organism which are used in experiment and observation are total 48 species with 104 times in Biology, and 39 species with 72 times in Biology Ⅱ. In Biology, the species of material organism with the using frequency of the application are yeast (9 times), waterweed (8 times), onion (7 times), spinach (6 times), frog (5 times), potato, fungi, mankind and euglena (4 times). And in Bilogy Ⅱ, the using frequency of the material organism is frog, mankind (7 times, spinach, Tradescantia (5 times), waterweed (4 times). 9. In Biology, there are total 65 kinds of chemical with 208 times. Common chemicals are sugar (15 times), distilled water (14 times), hydrochloric acid (13 times), gelatin (9 times), potassium hydroxide, arabic gum, glucose (8 times). The kinds of chemical are 53 kinds with 120 imes in Bilogy Ⅱ. Common chemicals are sugar (9 times) distilled water (8 times), and sodium hydroxide (6 times). 10. There are total 128 kinds of instruments with 585 times in Biology and 85 kinds with 286 times in Bilogy Ⅱ. The using frequency o the instrument is microscope (36 times), beaker, slide glass (35 times), test tube, cover glass (33 times), spoid (24 times), pincette (23 times), mortar (13 times) in Bilogy and test tube (20 times), microscope (15 times), beaker (14 times), slide glass (13 times), filter paper, cover glass (12 times) in Biology Ⅱ. 11.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Biology and Biology Ⅱ are 188.6, 178.6 pieces respectively. In Biology, the number of illustration and picture per one page is similiar to that of Biology Ⅱ. The majority of the contents are the illustrations and pictures of biological principles and mechanism. Secondly are the internal structures of living organism in both editions and thirdly are the external structure of living organism in biology and experimental methods in Biology Ⅱ.

      • 지구과학의 地震 학습을 위한 STS 프로그램의 개발

        주국영,김종희,김상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7 科學敎育硏究報 Vol.24 No.-

        과학적 소양을 갖춘 시민 양성이 오늘날 과학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를 위한 교육방법의 하나인 STS 교육은 우리나라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게 인정되고 있는 형편이다. STS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우리 나라의 교육 환경 하에서 활용할 수 있는 STS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안내서 및 기본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활동의 중심이 되며 교사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STS 수업의 실제 상황을 예시하고, 이 과정에서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과 활용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지구과학의 지진 분야 학습을 위한 STS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여 지구과학 수업에서 STS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it is a one of important objects of science education today to bring up citizens with scientific attainments. As a way to achieve the above object, STS's importance is being highly emphasized. To activate STS education, it is needed to develop STS programs, guide books and fundamental materials. Considering these sectors, this study shall present actual situations of STS education in which students are at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teachers are assistants. Based on teaching learning methods and material applied in the above process, this study shall help to enable STS in earth science by developing and presenting STS program for earthquake portion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생물단원 STS 내용 분석

        이영심,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04 科學敎育硏究報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school scene, by finding the extent of agreement between the educational purposes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by the 7th curriculum and those of science curriculum, and by dividing the contents of STS into the subject and activity area. In the study, the contents of STS were analyzed by e eight elements in STS course as Yager and student activities of SAT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TS material are included average 20.8%, the highest 26.2%(textbook G) and the lowest 15.6% (textbook E) and the STS material are included 67.9% in the chapter of Biological concentration, 19.9% in Reproduction, 13.1% in metabolism, 9.9% in Stimulation and Reaction. 2. The contents of STS were analyzed by the STS standards presented by Yager(1984, 1989). The majority of the STS contents integrated 'application of science' and 'practice with decision - making strategies', 'social problem', relation of local communities', but didn't include evaluation concerned getting and using information. 3. The STS program suggested by SATE in the textbooks are mostly 'data analysis', 'practical work' and survey. But there is no case study. In STS material, 'application of science' were heavily concentrated while the activity category geared towards 'data analysis' and 'practical work', which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less diversity of STS contents and activity were included.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과학과 STS 내용의 교과서 분포상황을 분석하여 각 교과서가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에 얼마나 부합되었는지를 알아보고, 학교 현장에서의 교육활동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STS 내용은 Yager(1984)가 제시한 8가지 요소와 SATIS program에 나타난 활동유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과학 교과서의 '생물'영역에서 STS 교육 내용의 포함률은 평균 20.9%로 최고 26.2%(교과서 G)에서 최저 15.6%(교과서 E)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그리고 중단원별 포함률은 생물농축 단원이 67.6%로 가장 높고, 생식 단원 19.9%, 물질대사 단원 13.1%, 자극과 반응 단원이 9.9%로 나타났다. 2. 과학 교과서 '생물'영역에 포함된 STS 내용 포함 횟수는 평균 24.7회로 최고 31회에서 최저 15회로 나타났는데, 과학의 응용성에 관한 것이 가장 많았고, 실제 문제의 협동작업, 사회적 문제, 지역사회와의 관련성, 과학과 관련된 직업 선택, 과학의 다면성, 의사결정 함양 능력 순으로 나타나며, 정보의 선택 및 이용에 관한 내용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3. 과학 교과서 '생물'영역의 STS 내용을 SATIS 활동 영역에 따라 분석한 결과 평균 38회로, 최고 46회에서 최저 30회인데 자료 분석이 가장 많았고, 실제 활동(실험), 조사 활동, 구조화된 토론, 역할놀이 및 모의실험, 문제 해결 및 의사 결정과 연구 설계 순으로 나타났고, 사례 연구는 한번도 제시되지 않았다.

      • 제6차 교육과정의 공통과학 및 지구과학 교육과정 내용에 관한 연구

        김상달,박수경,김해동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5 科學敎育硏究報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is study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revision, educational objectives, organization, contents of the high school common science and earth science curriculum in the sixth curriculum, and to analyze problems of this curriculum by making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ifth curriculum and sixth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common science and the solving methods for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objectives of common science, the expression of solving capacity for real life should be changed to issues concerning phenomena and changes of environment life. Second, in regard to the contents of common science, degree of integration should be reexamined, because the present common science curriculum is integrated formally, externally. Besides, contents about science history should be included in contents of the present common science curriculum. Third, the problems in teaching common science is to produce teachers who are able to teach integrated curriculum effectively for this in-service for teachers should be implemented near-sighted and the system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reorganized far-sighted. Forth, available teaching-learning model of common science should be developed for preparing effective teacher's guides and material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more necessary to consider problems of sixth common science curriculum and to implement the curriculum in high school.

      •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중 생물영역 내용 분석

        나문경,정길남,이경희,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03 科學敎育硏究報 Vol.30 No.-

        The following was e analysis result of high school textbook(biology) m e seventh curriculum. 1. It followed closely fundamental notions ; deleted nutrition, health, heredity and organized metabolism. 2. The total page of a life unit in each science textbook was like the followings. Textbook A was 23%, textbook B 21%, textbook C 21%, textbook D 23%, textbook E 19%, textbook F 22% and textbook G 22%, respectively. The introduction part in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unit could variously carry out direct and experienced studies, providing cartoons, pictures, photos and questions which caused interesting and motives. 3. In terms of the level among textbook contents, the order was like an tissue and organ(38.1%), cell(26%), individual(12%), molecular biosphere(10.9%), molecule(1.6%), large group(1.0%), and the level was to need basic comprehension about the cell, and molecule, tissue and organ of life in biosphere. Comparing the whole textbooks, the subject dealed with science as research, while it didn't deal with evolution and genetic permanence. Because each textbook set up various research study to perform ingenuity and self-initiative study, reducing class hours as deleting heredity unit in the seventh curriculum.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 of each textbook was the order like G, D, F, A, C, B and E. Comparing to the each subject, it was the order like science as research(31.8%), structure function(22.7%), regulation and homeostasis(18.9%), life and environment(11%), variety and unity, the biological basis of behavior, the history of life notion, genetic permanence, evolution. 4. The following was the times and proportion of research activity. It writed down D(13/20%), C·G(11/17%), A(10/15%), B·F(8/12%), E(4/6%) in metabolism and A·D(11/18%), C·G(10/17%), F(9/15%), E(5/8%), B(4/9%) in stimulus & reaction in order. In terms of the unit, it was the order like D(13/20%), C·G(11/17%), A(10/15%), B·F(8/12%), E(4/6%) in metabolism, A·D(11/18%), C·G(10/17%), F(9/15%), E(5/8%), B(4/7%) in stimulus and counteraction, and C(11/24%), F(9/20%), D·G(7/15%), A·B·E(4/9%) in generation. As it supplied various realizable scientific research-activity in the classroom or laboratory, students studied scientific conception, principal with direct, and concreted experiences and operations. Also, they were understood the materials by reading and thinking the unable activity. 5. As the pictures and photos showed the cartoons in relation to subject and study materials and specific aims, it could motive the student's interest and study. The pictures related to daily life, and it introduce fully the original picture about the human body and sense organ in the generation. And the cartoons and pictures express easily to understand and interesting. Comparing to the total percentage, It is the order like D(118/17%), B·G(114/16%), F(95/14%), C(94/14%), E(83/12%), A(78/11%). But in terms of the each unit of the total textbook, 277% in stimulus and counteraction, 209% in metabolism, there wasn't differences. 6. Further & supplementation courses enabled the students to study science with self-initiative, creative through e discussion method to understand the materials-to get easily, table-not to handle in the main text, picture. And as it also supplied the direct & experimental materials, the students could get the opportunities to close the science.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정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생물영역)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명 단원에서 영양과 건강, 유전을 삭제하고 물질대사를 신설하여 기본 개념 학습에 충실하였다. 2. 과학 교과서별 생명 단원의 총면수는 A교과서가 68면으로 23%, B교과서가 76면 21%, C교과서가 66면 21%, D교과서는 72면으로 23%, E교과서는 69면으로 19%, F교과서는 66면인 22%, G교과서는 72면인 22%로 설정되었으며, 도입부에서는 단원의 주제와 관련하여 실생활 소재나 재미있는 관련 삽화, 사진과 함께 그림을 제시하여 학습 흥미와 동기 유발을 일으킬 수 있는 질문 등을 사용한 점과 다양한 탐구활동을 설정하여 직접적이고 경험적인 활동을 바탕으로 학습을 다양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교과서의 내용 중 수준을 분석한 결과 생물권내에서 생물의 세포, 분자 나아가 조직과 기관의 기본적인 이해를 요하는 수준으로 조직과 기관(38.1%), 세포(26%), 개체(12%), 분자·생물권(10.9%), 분자(1.6%), 군집(1.0%)순이었다. 주제로는 전체 교과서를 비교해 봤을 때 탐구로서의 과학을 주로 다루었으며, 진화나 유전적 연속성은 거의 다루지 않았는데, 7차 교육과정에서 유전단원을 삭제하여 시수를 축소하여, 실생활과 관련한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을 위해 다양한 탐구학습이 주로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교과서별 전체 주제를 다룬 비율을 살펴보면 G, D, F, A, C, B, E순으로 나타났다. 주제별로 비교하면, 탐구로서의 과학(31.8%), 구조화 기능(22.7%), 조절과 항상성(18.9%), 생물과 환경(11%), 다양성과 단일성,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생물개념의 역사, 유전적 연속성, 진화 순이었다. 4. 탐구활동 첫수 및 비율을 비교해 보면 C(19%), D(18%), G(16%), A(15%), F(15%), B(9%), E(8%)순서로 되어 있다. 단원별로 살펴보면 물질대사에서는 D(13/20%), C·G(11/17%), A(10/15%), B·F(8/12%), E(4/6%)로, 자극과 반응에서는 A·D(11/18%), C·G(10/17%) F(9/15%), E(5/8%), B(4/7%)순서로 실려 있었으며, 생식 단원은 C(11/24%), F(9/20%) D·G(7/15%), A·B·E(4/9%)로 되어 있는데, 교실이나 과학실에서 실현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탐구 활동을 제시하여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조작을 바탕으로 과학 개념과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고, 실제로 해보기 어려운 활동들은 제시된 자료를 직접 읽거나 보고 생각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수록, 이해하도록 하였으며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읽을거리와 상식들을 제공하여 과학을 가깝고 쉽게 느끼고 접할 주 있도록 하였다. 5. 단원의 성격이나 학습 내용에 부합하는 사진, 그림, 삽화를 제시하고 또한 주제와 관련된 만화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학습동기 유발을 강화하였는데, 사진은 일상생활과 관련되고, 자극과 반응, 생식단원에서는 인체나 감각기 등 실물사진을 상세히 소개하였으며 그림이나 삽화(만화포함)는 재미있고 이해하기 아주 쉽게 표현하였다. 총계적 비율로 비교해보면 D(118/17%), B·G(114/16%), F(95/14%), C(94/14%), E(83/12%), A(78/11%)순이었으며, 전체 교과서의 단원별로는 자극과 반응이 277(%), 생식210(%), 물질대사209(%)순으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심화, 보충학습은 단원별로 쉽게 해볼 수 있는 실험이나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 상식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의 자료제시, 본문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의 자료제시, 표나 그림을 이해하여 정리, 토의하도록 하는 방법들을 통해 과학학습이 자기 주도적, 창의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생물다양성 가치 교육을 위한 교재화 연구

        구나경,이성희,김기대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2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biodiversity valu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the biodiversity value awareness as the core content of biodiversity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the authors analyze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as well as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raining course” of Grades 3 to 6, when biodiversity education was integrated into the syllabus. Also, teaching materials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whether the value of biodiversity wa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or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integrate authentic biodiversity courses, which emphasize the value of biodiversity, into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e intrinsic value of biodiversity in the course materials entailed respecting life and loving nature. And a practical course stressed the importance of being mindful of the benefits of biodiversity. Secondly, a curriculum, comprising topics as diverse as Korean, art,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could help to achieve the goal of valuing biodiversity. These subjects can be used in biodiversity education as part of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example, Korean texts extolling the value of biodiversity could be included in the materials for biodiversity education. Meanwhile, the music curriculum could involve composing and creating new songs about biodiversity and singing them,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 appreciation. Physical education could also contribute to biodiversity education. The comprehensive education curriculum could include learning and playing in various settings, for example by giving students outdoor learning and playtime. 이 연구는 생물다양성 교육의 핵심내용을 생물다양성의 과학적 의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생물다양성 가치인식으로 보고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생물다양성 교육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6학년을 대상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생물다양성 교육의 통합 가능성을 확인한 후, 분석 내용을 토대로 초등학교 생물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재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분석 준거에 의한 실제 생물다양성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 본 결과, 기존 교과의 성취기준 내에서 생물다양성 교육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과들은 과학, 도덕,사회, 실과였다. 성취기준 내에서 생물다양성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는 어려우나 생물다양성 교육 목표를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교과는 국어, 미술, 음악, 체육인데 이들 교과는 생물다양성 교육을 위해서 간학문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생물다양성 교육에 맞는 내용과 자료를 선정하고 조직하여 교과와 연계한 분산적 접근이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한 범교과적인 접근이 가능한 교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