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Comparison of trophic factors changes in the hippocampal CA1 region between the young and adult gerbil induced by transient cerebral ischemia.

        Yan, Bing Chun,Park, Joon Ha,Kim, Sung Koo,Choi, Jung Hoon,Lee, Choong Hyun,Yoo, Ki-Yeon,Kwon, Young-Geun,Kim, Young-Myeong,Kim, Jong-Dai,Won, Moo-Ho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12 Cellular and molecular neurobiology Vol.32 No.8

        <P>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neuronal death/damage in the gerbil hippocampal CA1 region (CA1) and compared changes in some trophic factors, such as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CA1 between the adult and young gerbils after 5 min of transient cerebral ischemia. Most of pyramidal neurons (89%) were damaged 4 days after ischemia-reperfusion (I-R) in the adult; however, in the young, about 59% of pyramidal neurons were damaged 7 days after I-R.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not GDNF, in the CA1 of the normal young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adult. Four days after I-R in the adult group,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were distinctively decreased, and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 of GDNF were increased. However, in the young group, all of their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young group. From 7 days after I-R, all the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appare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normal adult and young. In brief, we confirmed our recent finding: more delayed and less neuronal death occurred in the young following I-R, and we newly found that the immunoreactivities of trophic factors, such as BDNF, GDNF, and VEGF, in the stratum pyramidale of the CA1 in the young gerbil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adult gerbil 4 days after transient cerebral ischemia.</P>

      • KCI등재

        수평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견인 : 증례 보고

        김미니,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4

        본 증례는 수평 변위 매복과 치근 만곡을 가진 상악 중절치를 폐쇄 노출법을 이용한 교정적 견인을 시행하여 영구 전치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였다. 상악 영구 전치가 수평으로 매복된 경우,가급적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며, 촉진,시진,방사선 사진 등을 이용한 적절한 치료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상악 영구 전치의 매복이 조기에 적절히 치료되지 못하면 정중선의 변위,인접치의 이동에 의한 맹출 공간의 감소,치조골 높이의 차이 뿐만 아니라,이로 인한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소아 심리 발달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매복치의 치료는 매복치의 형태,위치,상태에 따라 다양하나,주기적 관찰 방법,상부 연조직과 경조직을 단순히 제거하여 맹출을 유도하는 방법,외과적 노출 후 매복치를 교정적으로 견인하는 방법,치아 이식술,발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이중 이번 증례에서 시행한 매복치의 교정적 견인은 매복치의 치축이 정상 맹출로와 일치되지 않으며,주기적인 관찰 후 더 이상의 맹출이 기대되지 않을 때 시행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으로 매복의 심도,치아의 발육단계,만곡의 부위와 정도,수술방법과 견인방향 등을 고려하여 치료의 예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Maxillary central incisor impactions occur infrequently. Their origins include various local causes, such as odontoma, supernumerary teeth, space loss, and disturbances in the eruption path, also trauma and apical follicular cysts. Impacted teeth can cause serious dental and aesthetic difficulties as well as psychological problems especially in anterior regions. Although the impaction of maxillary incisor occurs less frequently than that of the maxillary canine. it is of concern to parents during the early mixed dentition stage because of the uneruption of the tooth. Forced eruption of impacted teeth should be considered in young patients because this technique can lead to suitable results from a periodontal, occlusal, and esthetic perspective at an earlier stage better than with other treatment options. This report presents the surgical and orthodontic treatment of cases with horizontally impacted and dilacerated maxillary central incisors. For each patient. we used the closed eruption method. placed an attachment on the impacted tooth on surgery, and fully closed the flap. Traction was applied immediately. The impacted tooth erupts through the healed tissue in a manner resembling normal eruption.

      • KCI등재

        교정환자의 브라켓과 치아 경계부에 존재하는 치면세균막내 mutans streptococci 종 및 생물형의 식별

        김미애,유소영,김화숙,국중기,임성훈,윤영주,김광원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1

        본 연구는 교정환자의 브라켓과 치아 경계부 및 브라켓으로부터 2 mm 이상 떨어진 치아 평활면의 치면세근막에 존재하는 mutaus streptococci의 종 및 생물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13세 이상 35세 미만의 환자 28명으로부터 브라켓을 장착하고 있는 61개 치아에서 치균세균막을 채취하여 mutans streptococci를 MSB 배지에서 선택적으로 분리한 다음, 이들의 지놈 DNA를 추출하여 dextranase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을 시행하고, 그 증폭물을 Hae Ⅲ로 소화하고, 이를 전기영동하여 제한효소절편길이에 따라 그 종을 식별하였다. 또한 생물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브라켓과 치아 경계부 및 브라켓으로부터 2 mm 이상 떨어진 평활면의 치면세균막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 종은 서로 비슷한 검출 빈도를 보이나 두 곳에 존재하는 mutans streptococci 생물형은 서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브라켓과 치아 경계부 및 치아 평활면의 치면세균막의 mutans streptococci 생물형의 차이와 브라켓 주위의 법랑질 탈회 및 치아우식증 발병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pecies and biotypes of mutans streptococci isolated from dental plaques sampled from the interfaces between the bracket and tooth surface and smooth tooth surfaces in orthodontic patients. Dental plaque was collected from the interfaces between brackets and teeth (test group), and from smooth tooth surfaces distant from brackets by more than 2 mm (control group). The dental plaque collected by a sterilized curette was transferred into a vial of 1 X PBS. The sample in the vial was vigorously vortexed for1 min and plated on mitissalivarius bacitracin (MSB) agar plate using cotton tips. The agar plates were incubated at 37℃ in a candle jar for 2 days, and again incubated for 1 more day at anambient temperature. Individual colonies were cultured in TH broth at 37℃ CO₂ incubator. The PCR-RFLP based on dextranase gene was performed for the identification of mutans streptococci at the species-level. For biotyping of mutans streptococci, biochemical tests were perform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species of mutans streptococci isolated from both test and control groups. However, the biotypes of the mutans streptococci isolated from test and control groups were different. These results may offer the basic data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tans streptococci biotype and enamel decalcification or dental caries i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s.

      • SCOPUS
      • 당뇨병성 합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혈중 Erythropoietin 농도

        김동규,유기동,허광식,김상용,윤성호,조영신,권용은,김태원,김건영,정종훈,배학연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98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3 No.1

        연구 배경 : 고혈당성에 의한 산화환원반응 이상(가저산소증)이 조절 되지않는 당뇨병의 특징으로 혈관과 신경 기능에 대한 진성 저산소증의 효과와 유사하며, 당뇨 합병증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혈당이 있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수준이 정상이듯이, 빈혈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서 EPO의 농도는 실제 혈색소 농도의 감소비율과 차이가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Friedman 등은 당뇨병성 합병증 원인 인자로 가저산소증(pseudohypoxia) 또는 저산소증(hypoxia)을 제기하였고 이런 인자들이 EPO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 결핍에 의한 것임을 보고하였다. 방법 : EPO-Trac^(TM 125)I RIA kit을 이용하여 방사면역측정법으로 EPO 수준을 검사하였다. 전혈 3㎖을 5-10㎖ 시험관에 정맥 채혈하였으며, 용혈과 장기간의 보존을 위하여 원심분리를 즉시 시행하여 혈청을 영하 200C에서 냉동 보관 후 일괄적으로 검사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996년 9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조선대학교 부속병원 내과에 입원한 2형 당뇨병 환자 63례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당뇨병성 합병증이 없는 군과 있는 군간의 혈색소, 혈중 EPO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색소의 감소율보다 혈중 EPO의 감소율이 더 높았다. 2) 당뇨병성 망막증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중 EPO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증식성군에서만 혈중 EPO의 감소비율이 혈색소에 비해 높았다. 3) 당뇨병성 신증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혈중 EPO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혈색소 감소율에 비해 EPO농도의 감소율이 높았다. 신증의 중증도에 따른 혈색소, EPO의 차이는 미세알부민뇨군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혈색소 감소율에 비해 EPO의 감소율이 더높았다. 4)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EPO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혈색소와 EPO의 감소비율은 비슷하였다. 신경병증의 중등도에 따른 혈색소와 EPO농도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stage 3에서는 혈색소감소율보다 EPO감소율이 더높았다. 결론 : 당뇨병성 합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빈혈의 정도는 대부분 혈청 EPO치의 절대적 감소에 의함을 간접적으로 밝혀낼 수 있었으며 차후 더 많은 대상으로 비교 분석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Hyperglycemic-induced redox(pseudohypoxia) imbalance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poorly controlled diabetes that mimics the effects of true hypoxia on vascular and neural funct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complications. As is true for apparently "normal" insulin levels typically found in NIDDM even in the presence of hyperglycemia, a "normal" erythropoietin level in an anemic diabetic subject may be disproportionally low for the actual red cell mass. Therefore, Friedman et al suggested that pseudohypoxia or hypoxia as an etiological factor of diabetic complications are due to absolute or relative erythropoietin deficiency Method: EPO-TracTM 125I RIA kit was us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rythropoietin(EPO) in serum by radioimmunoassay. An adequate sample of blood (3ml whole blood) was collected aseptically by venipuncture in a 5~10ml glass tube to yield a minimum of 400 L of serum per assay. The serum was promptly removed from the clot by centrifugation in order to avoid hemolysis. Then to increase its storage time it was frozen at -200C in a nonself defrosting freezer. Finally, tests were undertaken simultaneously Results We studied 63 cases with diabetes mellitus, who were admitted to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1996 to February, 1997 at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e defined the control group, as diabetic patients who did not have anemia(<13mg/dl), diabetic complications(retinopathy, nephropathy, neuropathy) and the remainders were defined as the experimental group(we excluded anemic patients, who had secondary causes of anemia and diabetic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Data were as follow 1) The relationship of Hb and the 24hr urine protein betwee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significantly differed(p=0.02, < 0.001 respectively), but the Hb level was poorly related betwee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retinopathy(except in preproliferative, proliferative subgroups) and neuropathy. 2) Subgroups of patients with diabetic complications had higher 24hr urine protein than patients without diabetic complications, except stage I diabetic neuropathy 3) The EPO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4) The correlation between EPO and Hb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with retinopathy and nephropathy according to severity of diabetic complications, compared with patients who did not have diabetic complications such as retinopathy and nephropathy. Conclusion: We know that anemia induced by diabetic complications is due to relative EPO deficiency than absolute EPO deficiency, and further evaluation and studies are needed on many cases in the future

      • SCOPUSSCIEKCI등재

        요추후방에 발생하는 Juvenile Spur(Kim's Spur)

        김영수,오성훈 대한신경외과학회 199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9 No.10-12

        The bony spur formation without degenerative change in the lumbar spines in the young age group is quite interesting and not uncommon. This bony spur is different from the degenerative spur in the old age group in shape and mechanism of formation. The authors analyzed 111 patients with such posterior lumbar bony spur for recent 3 years and 9 months. The authors concluded that posterioly located Schmorl's node is a main cause of the bony spur without degenerative change at lumbar region. The authors advocated 'Juvenile spur' as a new disease ent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