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서해산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의 초기발생시 수온과 염분의 영향

        전제천,김치홍,정의영,이창훈,김병균 한국어류학회 2002 韓國魚類學會誌 Vol.14 No.3

        본 연구는 돌 가자미(Kareius bicoloratus)의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알아보지 위하여 수행되었다. 5단계의 수온 조건 (7, 10, 13, 16 및 19℃) 및 5단계의 염분 조건(25, 30, 35, 40psu 및 현장해수 염분 : 33.6psu)에서 수정란을 발생시켜 발생 속도와 부화율 측정하였다. 수정란의 발생속도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수온(T: ℃)과 각 발생 단계별 소요시간(h:hour) 사이의 관계를 직선 함수에 회귀시켰을 때 각 발생단계별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8세포기 : 1/h = 0.01441T - 0.02728(r^(2) = 0.998) 낭배기 : 1/h = 0.00269T - 0.00319(r^(2) = 0.997) 안포형성기 : 1/h = 0.00171T - 0.00053(r^(2) = 0.998) 심장형성기 : 1/h = 0.00121T - 0.00018(r^(2) = 0.995) 부화기 : 1/h = 0.00101T - 0.00266)(r^(2) = 0.998) 이상의 관계식으로부터 추정된 돌 가자미의 난 발생이 개시되는 생물학적 영도는 1.3℃이었다. 8세포기, 낭배기, 안포형성기. 심장형성기 및 부화기까지의 적산수온은 각각 72.9, 356.7, 525.8, 735.2 및 1156.7℃로 계산되었다. 수온은 부화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부화율이 수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7℃일 때 부화율이 62.0%로 가장 높았다. 수온이 16℃ 이상일 때 기형어의 출현율이 증가하였다(p<0.05). 염분 또는 부화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p<0.001). 염분에 따른 부화율은 자연해수의 염분인 33.6psu에서 54.1%로 가장 높았고, 이보다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부화율이 감소하였다. 특히, 염분이 30psu 미만으로 감소할 경우 기형어의 출현율 증가하였다(p<0.04). 돌 가자미의 난 발생 및 정상적인 부화를 위한 조건은 산란시기의 수온과 염분에 가까울수로고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stone flounder, Kareius bicoloratus as a part of research on the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the fish. Embryos were incubated under five different temperatures (7, 10, 13, 16 and 19℃) and five different salinities (25, 30, 35, 40 psu and the ambient salinity: 33.6 psu) until they hatched. The required times for embryonic development decreased with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ater temperature (T: ℃) and required times (h: hour) for the embryo to attain each develop-mental stage were obtained by linear regressions as follows; 8-cell stage : l/h = 0.01441T-0.02728 (r² = 0.998) 50%-epiboly stage : Uh = 0.00269T-0.00319 (r² = 0.997) Optic vesicle formation stage : l/h = 0.00171T-0.00053 (r² = 0.998) Heart formation stage : l/h = 0.00121T-0.00018 (r² = 0.995) Hatching stage : l/h = 0.00101T-0.00266 (r²= 0.998) From these equations, the biological minimum temperature for embryonic development of K. bicoloratus was estimated to be 1.3℃. Cumulative water temperatures to reach 8-cell stage, 50%-epiboly stage, optic vesicle formation stage, hearth formation stage, and hatching stage were 72.9, 356.7, 525.8, 735.2, and 1,156.7℃, respectively. Water temperature affected significantly the hatching rate (p< 0.001). The hatching rate decreased with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The highest hatching rate was 62.0% at 7℃. When the water temperature was higher than 16℃, the proportion of abnormal larvae increased (p < 0.05). Salinity also affected significantly the hatching rate (p< 0.001). The highest hatching rate was 54.1% at the salinity (33.6 psu) of ambient seawater. When the salinity was lower than 30 psu, the proportion of abnormal larvae increased ip < 0.05).

      • KCI등재

        주요 우울장애에서 Cytotoxic T Lynphocyte Antigen(CTLA-4) 유전자의 다형성

        전태연,배치운,김병균,채정호,박원명,김광수,유태열,한훈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5

        연구목적 : 세포의 면역 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CTLA-4의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여 주요 우울장애와의 면역 유전학적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DSM-Ⅳ진단 기준에 따라 주요 우울장애로 진단된 환자 77명을 선정하였으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혈모세포은행에서 보유하고 있는 149명의 정상 한국인 자료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전혈에서 DNA를 추출하였으며 중합효소반응으로 CTLA-4유전자 exon 1 부위를 증폭한 후 SSCP방법으로 유전?? 형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조군과 주요 우울장애 환자군 사이의 CTLA-4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의 발현 빈도를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 exon 1 CTLA-4 유전자형 및 대립유전자의 발현빈도는 주요 우울장애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없어, exon 1 영역은 후보 유전자로서의 가능성이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인들에 따라 대상군을 임상적으로 동질성을 지닌 집단으로 세분하여 조사대상 유전자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CTLA-4 which is related to the immunologic function such as T cell regulation. Methods : Among the korean patients diagnosed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according to DSM-Ⅳ, 77 patients without neurological illness, hormonal disorder, or comorbid mental illness were selected. The stored data of 149 normal Koreans from the Catholic Hemopoietic Stem Cell Bank of Korea, were used as a normal control group. The data of Korean control group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studies of different ethnics. DNA was extracted from whole blood and the exon I region of CTLA-4 gene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Gene typing was performed by using SSCP and then, the results were assessed.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otype frquencies of CTLA-4*G/G, CTLA-4*G/A, and CTLA-4*A/A betwee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the control group in Korean population(48.1% vs 46.3%, 41.6% vs 39.6%, 10.3% vs 14.1%, respectively).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elic frequencies of CTLA-4*G and CTLA-4*A between th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the control group in Korean population(68.8% vs 66.1%, 31.2% vs 33.9%, respectively). Conclusion : Considering negative result for the association of the exon I polymorphism of CTLA-4 gene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this study, the exon I polymorphism does not appear to be possible candidate gene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Moreover, further systematic researches including diverse clinical variables would required.

      • SGML을 이용한 제안서, 보고서 관리시스템 기술 개발

        전병현,한치근,이상훈 경희대학교 산학협력기술연구원 1997 산학협력기술연구논문집 Vol.3 No.-

        We designed an SGML-Based Proposal and Report Management System in this paper. In this system, SGML files are stored in a database and can be searched using keywords. Hence, the documents can be handled efficiently. The relational database structure is recommended for the system and also a hybrid approach is discussed for multimedia information in the text. Functions for each module of the system are defined and conceptual and practical design issues are provided.

      • KCI등재

        흰쥐의 발치와에 이식한 단계별 치아싹의 발육 과정

        정희훈,정한성,김성오,최형준,이제호,최병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t which stage of tooth germ would develop into normal calcification and hence to increase the success rate of transplantation. Therefore, tooth germs on the 15th, 17th embryonic day and the 3rd day of birth were separated for allotransplantation into maxilla of adult rat of 11 weeks. Calcification processes were analyzed radiograph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at 4 weeks and 8 weeks after allotransplant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llotransplanted tooth germ at 4 weeks and 8 weeks showed delayed calcification compared to that of normal odontogenesis. 2. At 4 weeks, abnormal calcified tissue, such as odontoma and ankylosis of osteodentin with surrounding alveolar bone were observed. 3. At 8 weeks, allotransplanted tooth germs of the 15th and 17th embryonic day showed calcification and osteodentin surrounded by periodontal ligament. 4. At 8 weeks, allotransplanted tooth germs of the 3rd day of birth showed calcification composed of cementum and osteodentin. In this study, we observed small sized and amorphous calcified tissue from allotropic allotransplantation of tooth germs. Since these calcified tissue were underdeveloped and shaped irregularly, for calcification into normal tooth form, further study needs consideration about the reduction of surgical trauma, developmental stage of transplanted tooth germ, blood supply from recipient site, fixation method in transplanted site and period of transplantation. 외상이나 치주 질환,유전적 결함 등에 의하여 치아가 상실되었을 경우,보철 수복이나 임플란트로 치료하고 있다. 그러나 보철 수복이나 임플란트는 자연치가 아닌 인공치를 이용한 치료로서 기능성과 섬미성 등에서 자연치에 비하여 한계 가 있으므로 자연치를 이용한 이식 방법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치아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이식 치아의 발육과 성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는 세 가지 단계의 치아싹을 발치와에 동종 이식하고 치아싹이 발육하여 석회화가 이루어지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임선 15일과 17일,출생 후 3일 된 흰쥐의 치아싹을 분리하여 11주 된 흰쥐의 발치와에 이식하고 4주와 8주 후 방사 선학적 그리고 병리조직학적으로 석회화 과정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치와에 이식된 임신 15일과 17일,출생 후 3일 된 치아싹에서 4주와 8주 후 석회화된 조직이 형성되었다. 2. 임신 15일과 17일,출생 후 3일 된 치아싹을 발치와에 이식하고 4주 후 치아종 같은 비정상적인 석회화 조직과 인접 치조골과 유착된 골양상아질이 관찰되었다. 3. 임신 15일과 17일 된 치아싹을 발치와에 이식하고 8주 후 골양상아질이 보였으며 치주인대로 둘러싸인 것도 관찰되었다. 4. 출생 후 3일 된 치아싹을 발치와에 이식하고 8주 후 골양상아질과 백악질이 형성되었다. 이 연구는 치아싹을 흰쥐의 발치와에 이식한 후 치아싹의 발육을 관찰한 것으로 이식 조직에서 크기가 작고 무정형의 석회화 조직이 형성되었다. 정상적인 치아보다 형태가 불규칙하고 발육이 늦었으므로 이식된 치아싹이 정상적인 치아 형태로 석회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식 조직의 발육 정도와 이식 조직을 절제할 때 외과적 손상의 감소,치아싹으로의 풍부한 혈류 공급,이삭 기간,이식 조직의 고정을 고려하여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재발된 단낭성 법랑아세포종의 증례보고

        이병도,이완,김진화,최동훈,팽준영,김은철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8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8 No.2

        The unicystic ameloblastoma (UA) is a variant of the solid or multicystic ameloblastoma, a less encountered variant of the ameloblastoma. It appears more frequently in the second or third decade with no sexual or racial predilection. It is almost exclusively encountered asymptomatically in the posterior mandible. We report a case of a 43-year old patient with UA, who had previously undergone a surgical treatment on the same site about 1 year ago, this lesion recurred and presented as an exophytic gingival lesion in the anterior mandibular region.

      • SCIESCOPUSKCI등재

        골반내에 발생한 Proximal-type 유상피성 육종 1예

        길준철,이상수,전병화,김성훈,손우석,목정은,박양순,강길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4

        유상피성 육종은 매우 드문 악성 연조직 육종으로, 전형적인 경우들은 주로 젊은 남성의 수부, 전완부와 같은 신체의 원위부에 피하 혹은 심재성 피부 종괴로 발생하며, 조직학적 소견상 적은 비정형성을 나타내는 유상피성 세포와 방추형 세포의 증식에 의한 다발성 결절 형태의 배열을 보인다. 최근에 전형적인 유상피성 육종과 조직학적 유사성을 가지나 더 공격적인 형태인 proximal-type 유상피성 육종이 보고되었으며, proximal-type은 전형적인 유상피성 육종에 비하여 현저한 유상피성 세포의 발현과 매우 심한 비정형성을 나타내며, 세포가 매우 크고, 소포성 핵과 뚜렷한 핵소체를 보이며, 자주 rhabdoid 세포의 양상을 띈다. 임상적으로는 전형적인 형태에 비하여 호발 연령이 조금 늦고, 주로 체간부에, 특히 골반, 회음부, 생식기 등과 같은 심부에 발생하고, 더욱 공격적인 양상을 나타낸다. 저자들은 13세 소녀에서 원발부위를 알 수 없는, 골반내에 발생한 proximal-type 유상피성 육종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pithelioid sarcoma is a rare malignant soft-tissue sarcoma with an unknown histiogenesis, typically presenting as a subcutaneous or deep dermal mass lesion in the distal portions of the extremities of young adults. Recently, a more aggressive, so-called 'proximal-type' epithelioid sarcoma has been reported. In contrast to conventional epithelioid sarcoma, the proximal type is characterized by a predominantly large cell epithelioid cytomorphology, marked cytologic atypia, and frequent occurrence of rhabdoid features in most patients. Proximal-type epithelioid sarcoma has a predilection for appearing in the genitalia, especially the vulva, penis, pelvis and buttocks. Also this lesion appears to be somewhat more aggressive or at least metastasizes earlier than the conventional epithelioid sarcoma. We report a 13-year-old girl who presented with a buge mass filling the pelvic cavity which was painful, hard and fixed on palpation, and was radiologically diagnosed as a malignant germ cell tumors on the CT scan. The mass was surgically excised and pathologically proved to be an proximal-type epithelioid sarcoma of unknown origin.

      • KCI등재

        계승치의 결손을 동반한 상, 하악 유구치의 다발성 유착에 대한 증례보고

        정회훈,최형준,김성오,최병재,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치아유착은 치근의 상아질 또는 백악질이 치조골과 융합된 것으로 치아의 맹출이상을 야기하여 치조골 성장의 장애를 일으킨다. 본 6세 여아는 유구치의 유착과 영구 소구치의 결손을 주소로 본과에 의뢰되었으며 특이할 만한 의과적, 치과적 병력은 없었다. 구강검진 소견상 상, 하악의 좌, 우측 유구치에서 저위교합이 관찰되었으며, 다수의 치아우식증이 존재하였다. 방사선 사진 검사 소견상 상악의 좌, 우측 영구 견치와 계승 소구치의 결손, 상악 유구치의 치근흡수와 하악 유구치의 치주인대공간의 소실 및 미약한 치근흡수가 관찰되었다. 계승 영구치의 결손을 동반한 유구치 유착시 치료목표는 적절한 치조골 성장과 유치의 유지이며, 유착의 발현 시기와 치근의 흡수 정도에 따라 관찰, 수복 또는 발치 등의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유착치아의 발치는 인접 치조골 성장에 문제가 없고 인접치의 경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최대성장점(growth spurt)을 고려하여 그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Ankylosis is defined as a fusion of cementum or dentine with alveolar bone. Due to the los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on the ankylotic area, the tooth is incapable of continued eruption and hence is unable to follow the normal vertical development of the neighboring teeth and alveolar process. A 6-year-old female was referred to the Dept. of Pediatric Dentistry for ankylosis of primary molars and congenital missing of permanent premolars on both jaws. She had neither specific past medical history nor trauma and infection history in oral and maxillofacial region. Radiographic finding is that the maxillary primary molars were the early onset of ankylosis and had fast root resorption rate. However the mandibular primary molars were ankylosed later and being resorbed slower than maxillary primary molars. The object of treating this case is to maintain the proper alveolar bone growth and retention of deciduous molars. The point of managing this case is as follows: Proper treatment (observation, restoration, of extraction) should be established after thorough consideration of the time of onset, the root resorption rate, progression of infraocclusion and the development of alveolar bone support. We should consider the timing of extraction of the ankylosed teeth without problem of neighbouring alveolar bone growth and tilting of adjacent teeth in the view of growth spurt. Early diagnosis is important to avoid many of the complications with infraoccluded primary mol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