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다빈도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 개발

        남윤주,조철현,이유진,이헌정,Nam, Yoon-Ju,Cho, Chul-Hyun,Lee, Yujin,Lee, Heon-Jeong 대한수면의학회 2019 수면·정신생리 Vol.26 No.2

        목 적 : 본 연구는 대한수면의학회로부터 수면에 대한 전문가로 구성된 집단을 모집하여 델파이 기법을 통해 수면진정제의 안전사용지침을 개발하고자 한다. 방 법 : 대한수면의학회 소속 수면 전문가 15인을 모집하였으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웹 기반의 3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첫 델파이 조사는 39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에서 수면진정제 사용의 문제점을 환기하고, 안전사용지침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들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두번째 델파이 조사는 2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수면진정제 처방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을 수집하였다. 세번째 델파이 조사는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1, 2차 조사를 통해 도출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에 대한 의견 동의율을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을 개발하였다. 결 과 : 17개 항목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 동의율이 중앙값 4점 이상이었으며 평균 4.12, 표준편차 0.32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은 수면진정제의 처방, 유지, 그리고 감량 및 중단에 대한 총 13개의 지침을 제안한다. 결 론 : 증가하는 불면증 환자와 수면진정제 처방에도 불구하고 한국 임상 현실에 맞는 안전사용지침이 부재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면진정제 안전사용지침을 통해 한국 임상에서 수면 비전문가들이 수면진정제를 처방할 시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처방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 and consensus-based clinical safety usage guidelines for sedative hypnotics using the Delphi technique. Methods: A group of 15 sleep experts from Korean Academy of Sleep Medicine were chosen for this study comprising a three-round web-based Delphi survey. The first round survey was composed of 39 questions to identify problems with sedative hypnotics usage in Korean clinical practice and the result roughly outlined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guidelines. The second round survey was composed of 21 questions to collect specific opinions of experts on clinically important issues in prescribing sedative hypnotics, and its result provided the basis for the guidelines. A third round survey ai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stablished guidelines. Results: In the third round, all 17 items showed a median of 4 or more, with an average of 4.12 and a standard deviation of 0.32. Thus we present safety usage guidelines with 13 propositions for prescription, maintenance, and withdrawal of sedative hypnotics. Conclusion: The safety usage guidelines on sedative hypnotics developed from this study could lead to safe and effective prescription of hypnotics in clinical practice, especially for the non-experts in sleep medicine. Furthermore, the guidelines will help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omnia treatment by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safe regime for sedative hypnotics without excessive use of drugs.

      • KCI등재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불면증에 대한 인식조사

        소민아 대한수면의학회 2019 수면·정신생리 Vol.26 No.1

        Objectives: Insomnia is not only the most common sleep-related disorder, but als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of the comorbidities of insomnia is essential for proper treatment including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ethods to prevent disease chronificat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sleep clinic patients’ knowledge of insomnia.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44 patients (24 males and 20 females; mean age 54.11 ± 16.30 years) from the sleep clinic at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All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their reasons for visiting a sleep clinic and about their knowledge of treatment and comorbidities of insomnia. Results: The reasons for visiting the sleep clinic were insomnia symptoms of daytime sleepiness, irregular sleeping time, nightmares, snoring, and sleep apnea, in that order. Of the responders, 72.7% had a comorbidity of insomnia, and 22.7% showed high-risk alcohol use. In addition, 70.5% of responders chos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insomnia as the first option and reported collection of information about treatment of insomnia mainly from the internet and medical staff. More than half (52.3%)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never heard about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of insomnia such as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CBT-I) or light therapy. The response rate about comorbidities of varied, with 75% of responders reporting knowledge of the 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depression, but only 38.6% stating awareness of the 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alcohol use disorder. Of the total responders, 68.2% were worried about hypnotics for insomnia treatment, and 70% were concerned about drug depende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at a sleep clinic had limited knowledge about insomn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insomnia treatment guidelines and educational handbooks for those suffering from insomnia. In addition, evaluat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s essential in the initial assessment of sleep disorders.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장애로 수면클리닉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하게 된 이유, 찾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을 찾게 되는 가장 흔한 증상이자독립질환인 불면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향후 수면장애의 치료와 환자교육에 도움이 되고자하였다. 방 법 : 2018년 4월부터 10월 사이 6개월 간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외래환자들 중 만 19세 이상의 초진환자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때, 지적장애, 치매 등 심한 인지기능을 동반한 환자등을배제하였고, 총 44명(남성 24명, 여성 20명)이 연구에 참석하였다. 설문지는 자체개발한 설문지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한이유, 수면클리닉을 알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 방문 이전 수면질환의 치료력, 불면증의 인식에 대한 질문, 불면증의 치료에 대한 인식, 불면증의 동반질환(comorbodity)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결 과 :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총 44명으로 평균 연령은 54.11 ± 16.3세로 남성은 24명(54.5%), 여성은 20명(45.5%)였으며,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전체의 77.3%를 차지했고, 81.8%(36명)가 고졸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있었다. 환자들의 72.7%(32명)가 공존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22.7% 에서 고위험음주를 보였다. 수면클리닉에 내원한 이유는 잠들기 힘들고 중간에 자주 깸, 낮에 피곤하고 졸림, 불규칙한수면시간, 악몽을 자주 꿈, 코골이와 수면 중 숨막힘 등의순서였고, 93.2%에서 불면증을 인식하고 있었고, 가족 친지,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본인이 불면증에 대한 지식을얻게 되었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에 대해서는 70.5%가약물치료를 떠올렸고, 이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과 의료진을통해 주로 얻고 있었으며 불면증의 비약물학적인 치료방법에 대해 52.3%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45.5%가 특별한 선호도 없이 의사의 권유대로 따르겠다고 하였고, 불면증의 공존질환 중 우울증, 신체질환, 알코올사용장애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각각 75%, 50%, 38.6%의 응답률을 보였다. 수면제 복용 시 의사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75%에서 알고 있었지만, 전체 응답자의 68.2%가 수면제 처방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었고 이들 중 70%가 약물의존에대해 걱정된다고 하였다. 결 론 : 내원자의 56.8%가 내원전 타의료기관에서 수면장애로 치료를 받고 왔음에도 불구하고, 불면증의 치료, 특히 비약물학적인 치료에 대한 잘 알고 있지 못했으며, 본인의 수면제 복용여부와 상관없이 수면제에 대해서는 약물의존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불면증과공존질환으로서의 알코올 사용문제에 대해서는 간과하고있었다. 향후 일선 일차의료담당자의 불면증치료에 대한 이해증진 및 표준화된 불면증치료안의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생각된다. 또한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가초기 면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정신과에 의뢰된 환자 중 수면장애에 대한 ICSD와 DSM-Ⅳ 진단 비교

        이분희,김린,서광윤,Lee, Bun-Hee,Kim, Leen,Suh, Kwang-Yoon 대한수면의학회 2001 수면·정신생리 Vol.8 No.1

        Background: Sleep disorders are prevalent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 medical practice. Three diagnostic classifications for sleep disorders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ICSD),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ition (DSM-IV) and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edition (ICD-10). Few data have yet been published regarding how the diagnostic systems are related to each other. To address these issues, we evaluated the frequency of sleep disorder diagnoses by DSM-IV and ICSD and compared the DSM-IV with the ICSD diagnoses. Method: Two interviewers assessed 284 inpatients who had been referred for sleep problems in general units of Anam Hospital, holding an un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with each patient and assigning clinical diagnoses using ICSD and DSM-IV classifications. Results: The most frequent DSM-IV primary diagnoses were "insomnia related to another mental disorder (61.1% of cases)" and "delirium due to general medical condition (26.8%)". "Sleep disorder associated with neurologic disorder (38.4% of cases)" was the most frequent ICSD primary diagnosis, followed by "sleep disorder associated with mental disorder (33.1%)". In comparing the DSM-IV diagnoses with the ICSD diagnoses, sleep disorder unrelated with general medical condition or another mental disorder in DSM-IV categories corresponded with these in ICSD categories. But DSM-IV "primary insomnia" fell into two major categories of ICSD, "psychophysiologic insomni" and "inadequate sleep hygiene". Of 269 subjects, 62 diagnosed with DSM-IV sleep disorder related to general medical condition or another mental disorder disagreed with ICSD diagnoses, which were sleep disorders not associated with general medical condition or mental disorder, i. e., "inadequate sleep hygiene", "environmental sleep disorder", "adjustment sleep disorder" and "insufficient sleep disorder". Conclusion: In this study, we found not only a similar pattern between DSM-IV and ICSD diagnoses but also disagreements,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by clinicians and resulted from various degrees of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of the sleep disorders among clinicians. Non-diagnosis or mis-diagnosis leas to inappropriate treatment, therefore the clinicians' understanding of the classification and pathophysiology of sleep disorders is important. 목 적 : 최근 수면장애에 대한 3가지 진단 분류 체계가 발달하였다. 즉 국제 수면장애 분류(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 ICSD),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4 판(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4th edition, DSM-IV) 그리고 국제 질병 분류 제 10 판(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edition, ICD-10)이다. 국내에는 이들 진단 체계간의 비교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다. 본 저자들은 수면 문제로 정신과에 의뢰된 환자를 DSM-IV와 ICSD에 따라 진단하고 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고려대학부속 안암병원에 입원 환자 중 수면장애로 정신과에 의뢰된 2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ICSD를 숙수면장애에 대한 ICSD와 DSM-IV 진단 비교 44지하지 않은 정신과 전공의와 ICSD를 숙지한 정신과 전공의가 비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하고, DSM-IV와 ICSD의 진단 기준에 따라 임상적 진단을 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DSM-IV 진단 분류에는 "기타 정신장애 관련 불면증"(전체의 61.1%)과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로 인한 섬망"(26.8%)이 빈도가 가장 높았다. ICSD에서는 "신경과적 장애가 동반된 수면장애" (38.4%)와 "정신과적 장애가 동반된 수면장애" (33.1%)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DSM-IV와 ICSD의 비교에서, DSM-IV에서 신체적 질환이나 정신과적 질환과 무관한 수면장애로 진단된 환자군은 대부분 ICSD와 일치하였고, 이들 중 DSM-IV의 "일차적 불면증"은 ICSD의 "정신생리적 불면증"과 "부적수면위생"으로 구분되었다. DSM-IV에서 신체적 질환이나 정신과적 질환에 의한 수면장애를 가진 269명 중 62명(23%)이 ICSD와 불일치하였고 이들 중 대부분이 ICSD에서 신체적 질환이나 정신과적 질환과 무관한 수면장애인 "부적수면위생", "환경성 수면장애", "적응성 수면장애" 그리고 "수면결핍장애" 등이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DSM-IV와 ICSD의 진단 체계가 많은 부분 일치하였으나, 간과할 수 없는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차이는 수면장애에 대한 임상의의 태도를 반영한다. 즉, 수면장애에 대한 개념화와 원인에 대한 임상의의 이해 정도에 따라, 수면장애를 진단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DSM-IV와 ICSD에 대한 임상의의 이해 정도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를 보이는 불면증 환자에서 일반적 불안에 비해 불면증 관련 자극으로 인한 뇌활성에 관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김남범,이재준,조서은,강승걸 대한수면의학회 2020 수면·정신생리 Vol.27 No.1

        Objectives: Subjective-objective discrepancy of sleep (SODS) is a common symptom and one of the major phenotypes of insomnia. A distorted perception of sleep deficit might be related to abnormal brain reactivity to insomnia-related stimuli. We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brain activation to insomnia-related stimuli vs. general anxiety-inducing stimuli among insomnia patients with SODS, insomnia patients without SODS, and healthy controls (HCs). Methods: Al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r subjective sleep status using a sleep diary and questionnaires; occult sleep disorders and objective sleep status were assessed using polysomnography and actigraphy. Task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during insomnia-related stimuli (Ins) and general anxiety-inducing stimuli (Gen). Brain reactivity to Ins versus Gen was compared among insomnia with SODS, insomnia without SODS, and HC groups, and a combined insomnia disorder group (ID, insomnia with and without SODS) was also compared with HCs. Results: In the insomnia with SODS group compared to the insomnia without SODS group, the right precuneus and right supplementary motor area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BOLD signals in response to Ins versus Gen. In the ID group compared to the HC group, the left anterior cingulate cortex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BOLD signals in response to Ins versus Gen. Conclusion: The insomnia with SODS and ID groups showed higher brain activity in response to Ins versus Gen, while this was not observed in the insomnia without SODS and HC group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somnia patients with sleep misperception are more sensitive to sleep-related threats than general anxiety-inducing threats. 목 적: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의 차이는 불면증의 흔한 증상이자 주요한 유형이다. 본 연구는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있는 불면증군,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군, 건강대조군을 대상으로 전반적 불안- 유발 자극에 대비하여 불면-관련 자극에 대한 뇌활성의 군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모든 피험자들은 수면일기와 임상척도로 주관적수면상태를,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로 객관적 수면상태와 불면증 외의 수면장애를 확인하였다. 기능적 뇌영상촬영동안 불면증-관련 문장 자극과 일반 불안-유발 문장자극을 피험자들에게 주어 유발되는 뇌활성의 세 군간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뇌활성은 전체 불면증군(주관적- 객관적 수면시간의 차이 여부에 상관없이)과 건강대조군두 군간에도 비교되었다. 결 과: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 군에 비해 차이가 있는 불면증 군에서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대비 불면-관련 자극에 대해 우측 설전부와 보조운동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BOLD) 신호를 보였다. 또한, 같은 자극에 대해 통합 불면증군이 대조군 보다 좌측 앞 대상회 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BOLD 신호를 보였다. 결 론:본 연구의 결과는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를 가지는 불면증이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불면증에 비해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보다 불면-관련 자극에 대해 더 선택적인 집중과 불안을 가지고 증가된 뇌활성을 보인다는 결과로 수면상태 오지각이 증가된 불면증 자극에 선택적인 불안을 보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수면무호흡증 예측을 위한 선별검사 개발

        이성훈,이희상,이정권,김경수,Lee, Sung-Hoon,Lee, Hee-Sang,Lee, Jeung-Gweon,Kim, Kyung-Soo 대한수면의학회 1995 수면·정신생리 Vol.2 No.1

        연구목적 :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한데,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를 검사의뢰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저자들은 수면다원검사와 치료가 필요한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선별할 수 있는 간단한 검사 방법을 찾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코골기와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수면 다원검사가 의뢰된 1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루 밤 동안 1회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였다.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은 18개의 문항으로 된 설문지로 평가하였고, 우울증은 Zung's 척도, 졸리움증은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불면증은 이성훈 등(14)이 개발한 불면증척도 등을 이용하였다. 그외 혈압, 키, 체중, 목둘레 등을 측정하였고, 코골기의 가족력, 얼마나 오랫동안 코골기가 있었는지, 술, 담배를 어느 정도 하는지를 조사하였으며, digit symbol test, trail making B test 등의 인지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이 변수들과 호흡장애지수 간의 상관관계를 SPSS-PC 의 Pearson's correlation 으로 조사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변수들을 가지고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호흡장애지수에 대한 이 변수들의 판별계 수를 구하고, 그것으로 판별식을 만들었다. 또한 판별분석상 호흡장애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변수들에 대해 각각 기준점을 정하고, 호흡장애지수 20을 기준으로 하여 선별검사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판별분석결과 호흡장애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6가지 변수 즉, 목둘레, 수면전 수축기혈압, 음주정도, 자다가 숨을 멈추는 정도, 잠잘 때 입안이 마르는 정도, 수면무호흡 설문지 점수를 가지고 판별식을 만들어 보았을 때, 호홉장애지수 20이상인 환자를 92.8%의 민감도로 찾아낼 수 있었다. 또한, 목둘레 40cm이상, 수축기 혈압 125mmHg 이상, 잦은 음주, 수면중 잦은 숨멈춤, 수면중 잦은 구갈증, 코골기 및 수면무호흡증 설문지 총점수 35점 이상 중 3개 이상 해당시 호홉장애지수 20이상인 환자를 87.6%의 민감도로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목둘레 40cm이상, 수축기 혈압 125mmHg이상, 잦은 음주, 체중 80kg이상 중 2가지 이상 해당 시 호흡장애지수 20 이상인 환자를 83.5%의 민감도로 찾을 수 있었다. 결론 : 외래에서 간단히 시행할 수 있는 설문지조사와 이학적검사를 이용한 위의 방법으로 호흡장애 지수 20이상인 환자를 높은 민감도로 구별해 낼 수 있었다. Objective : Patients with sleep apnea should be diagnosed with polysomnography(PSG). However, it is not easy to recommend PSG for all patients suspected with sleep apnea in practice. Therefore, we tried to develop the screening test for referral of PSG. Method : 140 patients with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were studied by the PSG. Sleep apnea questionnaire. Zung's scale for depression.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insomnia scale and neuropsychological test were administered. Also, blood pressure, height, weight and neck circumference were measured and some histories were taken. Correlations between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RDI) and various parameters mentioned above and discriminant coefficients of the parameters to RDI were computed. And, we investigated sensitivities of screening tests for selection of the patients with RDI above 20. Results : Using six parameters(neck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before sleep, degree of alcohol drinking, frequency of breath-holding during sleep, degree of dry mouth during sleep, sleep apnea score), the patients with RDI above 20 could be discriminated in 92.8% sensitivity. In case of more than two among six parameters(neck circumference of above 40cm, systolic blood pressure of above 125mmHg, frequent alcohol drinking, frequent breath-holding during sleep, frequent dry mouth during sleep, sleep apnea score of above 35), same patients could be discriminated in 87.6% sensitivity. And, in case of more than one among four parameters(neck circumference of above 40cm. systolic blood pressure of above 125mmHg, frequent alcohol drinking, body weight of above 80kg), discrimination sensitivity was 83.5%. Conclusions : Patients with RDI above 20 could be discriminated by above parameters with high sensitivity. Therefore, the screening test using above parameters can be applied in selection of the patients with sleep apnea for PSG in practice.

      • KCI등재

        수면 클리닉을 내원한 환자에서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선별을 위한 베를린 설문의 유용성

        강현희,강지영,이상학,문화식,Kang, Hyeon-Hui,Kang, Ji-Young,Lee, Sang-Haak,Moon, Hwa-Sik 대한수면의학회 2011 수면·정신생리 Vol.18 No.2

        목 적 : 베를린 설문은 시행이 간편하고 비용이 들지 않아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선별 검사 중 하나이다. 최근까지 다양한 문헌을 통해 베를린 설문의 유용성에 대한 결과가 보고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 클리닉을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폐쇄성수면무호흡을 선별하는 도구로서 베를린 설문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방 법 : 코골이 및 수면 중 무호흡 등의 증상으로 수면 클리닉을 내원한 121명을 대상으로 베를린 설문 및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전체 분석 대상자를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중증도에 따라 인구학적 특성 및 수면다원검사상 수면 변인 및 호흡 변인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또한 선별검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중증도에 따라 베를린 결과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 등을 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체 연구 대상을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중증도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정상 25명(20.6%), 경도 30명(25%), 중등도 26명(21.4%), 중증 40명(33%)의 분포를 보였다. 베를린 설문 결과상 고위험군은 84명(69.4%), 저위험군은 37명(30.6%)으로 나타났다.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진단에 있어 베를린 설문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AHI 5를 기준으로 71.9%, 40%, AHI 15를 기준으로 75.8%, 38.2%, AHI 30을 기준으로 77.5%, 34.6%였으며 정확도는 65.3%였다. 결 론 : 베를린 설문은 수면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폐쇄성수면무호흡의 선별 도구로서의 유용성은 높지 않았다. Objectives: The Berlin Questionnaire (BQ) has been used to help identify patients at high risk of having sleep apnea in primary care. But it has not been validated in a sleep clinic for Korean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BQ as a screening tool for obstructive sleep apnea (OSA) for Korean patients in a sleep clinic. Methods: The BQ was prospectively applied to 121 subjects with OSA suspicion who visited to our sleep clinic. All subjects performed overnight polysomnography. OSA was defined as an apnea-hypopnea index (AHI) ${\geq}5$. We investigat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the BQ according to severity by AHI. Results: In 121 subjects, 73.6% were males, with a mean age of $48.8{\pm}13.0$ years. Twenty-five (20.6%) patients did not have OSA (AHI<5), 30 (25%) patients had mild OSA ($AHI{\geq}5$ and <15), 26 (21.4%) had moderate ($AHI{\geq}15$ and <30), and 40 (33%) had severe OSA ($AHI{\geq}30$). The BQ identified 69.4% of the patients as being at high risk for having OSA.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BQ were 71.9% and 40%, for $AHI{\geq}5$, 75.8% and 38.2% for $AHI{\geq}15$, 77.5% and 34.6% for $AHI{\geq}30$, respectively.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the BQ were 82.1% and 27.0% for $AHI{\geq}5$, respectively. Positive and negative likelihood ratios were 1.2 and 0.7, and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of the BQ was 65.3%, using an AHI cut-off of 5. Conclusion: Due to modest sensitivity and low specificity, the BQ does not seem to be an appropriate tool for identifying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in a sleep clinic population.

      • KCI등재

        수면이득이 있는 파킨슨병 환자의 임상특징 및 수면다원검사에 대한 연구

        천동렬,양창국,김재우,유승윤,한홍무,Chun, Dong-Yeol,Yang, Chang-Kook,Kim, Jae-Woo,Yoo, Seung-Yoon,Hahn, Hong-Moo 대한수면의학회 2000 수면·정신생리 Vol.7 No.2

        목 적 : 파킨슨병 환자의 상당수에서 아침에 일어났을 때 수면이득으로 알려진 운동성 기능의 일시적인 호전을 보고 한다. 파킨슨병 환자에서의 수면이득이 수면과 관련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수면다원검사 등의 객관적인 방법을 이용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 군과 없는 환자 군의 임상특징 및 수면다원검사 소견을 비교하는데 있다. 방 법 : 33명의 일차성 파킨슨병 환자(남 14, 여 19)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수면이득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담을 하였고, 의무 기록지를 통하여 임상적 자료를 얻었고, 수면검사실에서 하룻 밤의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가 16명(48.5%), 없는 환자가 17명(51.5%)이었다. 수면이득이 있는 환자들이 없는 환자들에 비하여 더 젊었고(p<0.02), 수면효율이 더 좋았고 (p<0.05), 그리고 수면잠복기가 더 짧았다(p<0.02). 그러나 수면이득은 유병기간, 레보도파 일일 복용 용량, 운동기능의 장애 등과 관련되지 않았고, 특정 수면단계와도 관련되지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렘수면행동장애 등의 수면장애의 빈도가 높았으나 일차성 코골이를 제외하고는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수면이득이 젊은 나이, 좋은 수면효율, 짧은 수면잠복기와 관련됨을 시사한다. Objectives: Parkinson's disease (PD) patients may experience fluent mobility upon awakening from a night's sleep, which is called sleep benefit (SB). Although SB is a phenomenon closely associated with sleep, sleep features of PD are not well characteriz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first, to investigate if there are any clinical characteristic features between patients with SB and without SB (NSB), and second, to examine if SB patients are associated with any specific sleep variables compared with NSB patients. Methods: Thirty-three PD patients (14 men and 19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interviewed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y had SB and overnight polysomnography was performed at the sleep center. Various clinical variables were collected through medical record review. Results: The 331 PD patients were divided into 16 SB group (48.5%) and 17 NSB group (51.5%). SB patients were younger (p<0.02), had higher sleep efficiency (p<0.05), and showed shortened sleep latency (p<0.02) as compared with NSB patient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B and NSB with respect to gender, duration or stage of PD, antiparkinsonian medications prescribed, and predominant motor symptoms. SB did not clearly relate to a specific sleep stage and other sleep variables except sleep efficiency and sleep latency. Although primary snoring was more prevalent in SB patients (p<0.05), other sleep disorders were seen with equal frequency in SB and NSB group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good sleep efficiency, shortened sleep latency, and age may have an effect on morning motor function (i.e., SB) in Parkinson's disease.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일주기 리듬 특성에 따른 주간 졸음과 우울감의 차이

        김성호,주은정,이규영,구영진,김의중,Kim, Seong Ho,Joo, Eun-Jeong,Lee, Kyu Young,Koo, Young Jin,Kim, Eui-Joong 대한수면의학회 2012 수면·정신생리 Vol.19 No.2

        Objectives: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a correlation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 and depression. In attempt to verify the suggestion that eveningness is related to depression, we examined the effect of morningness-eveningness on their depressive mood in patinets with OSA. Methods: The examination was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and polysomnography reports of 211 OSA patients. Information was gathered from the patients who filled out the H$\ddot{o}$rne and Ostberg questionnaire (HOQ), profile of mood states-Korean version (K-POMS),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We compared mean values of K-POMS total, subscales of K-POMS, ESS, and OSA severity variables among the 3 morningness-eveningness groups (morningness, eveningness, and neither group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variables and ANCOVA was performed among the 3 groups after adjustment with age and weigh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HOQ and the followings : K-POMS total, POMS-T (tension-anxiety), POMS-D (depression-dejection), POMS-A (anger-hostility), POMS-F (fatigue-inertia), POMS-C (confusion-bewilderment), spontaneous arousal index, average O2 saturation.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OQ and the followings : POMS-V (vigor-activity), apnea-hypopnea index, respiratory arousal index, snore time.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POMS-D and the followings : HOQ, POMS-V, stage 1 sleep (%), AHI, TAI (total arousal index), oxygen desaturation index, respiratory arousal index, neck circumference, average O2 desaturation, snore time (%).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OMS-D and K-POMS total, POMS-T, POMS-A, POMS-F, POMS-C, sleep latency, stage 2 sleep (%), heart rate, spontaneous arousal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POMS total, POMS-T, POMS-D, POMS-F, POMS-C, spontaneous arousal index among the three HOQ groups in ANCOVA. Conclusion: The depressive correlates of OSA patients might be affected, not by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or OSA severity indexes, but by eveningness circadian characteristics. It would be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e morningness-eveningness tendency when we manage the depressive mood of OSA patients. 목 적: 저녁형일수록 우울해지기 쉽다는 경향성이 일반 인구집단이 아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들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상황별 졸음 평가지 등을 통해 얻은 자료 중 저녁형일수록 증가되는 항목과 우울할수록 증가되는 항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1월 1일부터 2011년 2월 18일까지 을지병원 수면장애 클리닉에 내원한 환자들 중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OSA로 진단받은 환자 211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자료와 신체 계측 자료를 얻었으며, 상황별 졸음 평가지(ESS). 아침형-저녁형 설문지(HOQ), 한국판 기분상태척도(K-POMS),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이후 연령과 체중을 보정하여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들간의 편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령과 체중을 보정한 공분산분석을 통해 아침형군과 저녁형군, 중간형군 별로 각각의 인구학적 자료 및 신체계측자료, 수면다원검사 자료에 대한 평균값 비교를 시행하였다. 결 과: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편상관분석에서 HOQ점수에 따라 저녁형일수록 K-POMS, POMS-T, POMS-D, POMS-A, POMS-F, POMS-C 점수가 상승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대로 아침형일수록 POMS-V, AHI, respiratory arousal index, snore time(%)이 증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우울할수록 POMS 총점과 POMS-T, POMS-A, POMS-F, POMS-C, sleep latency, stage 2 sleep(%)가 증가되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우울할수록 HOQ점수가 낮아지므로 저녁형이며, 우울할수록 stage 1 sleep(%), AHI, TAI, respiratory arousal index, 목 둘레가 감소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분산 분석을 통해 나이와 체중을 보정한 뒤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K-POMS, POMS-T, POMS-D, POMS-F, POMS-C, spontaneous arousal index이다. 결 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도 일반인구집단에서처럼 저녁형일수록 우울한 경향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성은 주간 졸음 등과는 무관하며, 무호흡의 심각도와도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평가할 때 무호흡의 심각도를 평가하는 것과는 별도로 아침형-저녁형의 일주기리듬을 확인하고 저녁형인 경우 환자의 우울감에 대한 추가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지역 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오의선,박경미,안석균,남궁기,심다혜,이은 대한수면의학회 2018 수면·정신생리 Vol.25 No.2

        Objectives: Insomnia i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he elderly population.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for insomnia is the rst line treatment option,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cluding time and cost burdens and the requirement for suf cient cog- nitive resources to obtain a proper treatment effect. The Brief intervention for insomnia (BII) is a treatment that focuses on be- havioral aspects of insomnia in primary care pract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BII in communi- 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A total of 47 older adults with insomnia were enrolled from community centers between May 2016 and January 2018. They participated in the BII program for three weeks. We gathered sleep-related participant information with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Sleep hygiene index, and a sleep diary. Clinical ef cacy was evaluated by comparing total sleep time (TST), sleep latency (SL), waking after sleep onset (WASO), and sleep ef ciency (S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Results: There was signi cant improvement in sleep-related features after BII. Global score and sleep quality from the PSQI, freshness, and WASO from the sleep diary showed statistically signi cant improvement. Conclusion: We found BII showed positive clinical ef cacy in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WASO. This nding implies that BII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the managment of elderly in- somnia patients in a community setting. 목 적:한국 사회의 고령화와 동반되어 노인 인구의 불 면증은 증가되는 추세이나 이로 인해 초래되는 개인 및 사 회경제적손실에비해적절한치료를받는환자의수는많 지 않다. 불면증 인지행동치료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차적인 치료로서 추천되고 있으나, 시간 및 경제적 제약, 인지적인 자원이 필요한 부담으로 인해 치료에 대한 접근성 이 제한된 실정이다.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이러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 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 법:2016년 5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서울 소재 3개의 노인 종합복지관을 방문한 65세 이상의 불면증을 호소하는 노인들 47명을 대상으로 3주에 걸쳐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 그램을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전, 후의 수면의 질을 측정하 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수면 위생 척도, 정서 관련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치료 기간 중 매일 수면 일지를 작성하도록 지시하였다. 임상적 효 과는 치료 전후의 총 수면 시간, 수면 잠재기, 수면 후 각성 시간 및 수면 효율로 평가하였다. 치료 전, 후의 변화를 비교 하기 위해 비모수검정 방법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Wil- coxon’s signed-ranks test)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불면증단기치료프로그램을시행한뒤,치료전 보다 대상자들의 PSQI 총점이 감소하였으며 PSQI 로 측정 한 주관적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치료 전후에 시행한 수면 일지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개운함 및 수면 후 각성 시간에 대해서 유의한 수준의 호전을 보였다. 결 론:개발된 불면증 단기 치료 프로그램은 지역 사회 노인의 불면증에 대해 긍정적인 치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에 비해 시간적, 인지 적자원부담이적음을고려하였을때불면증단기치료프 로그램은 지역 사회 내에서 노인 불면증 치료에 대한 접근 성을 확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수면 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관련성

        이혁주,이정석,김태,윤인영,Lee, Hyuk Joo,Lee, Jung Suk,Kim, Tae,Yoon, In-Young 대한수면의학회 2014 수면·정신생리 Vol.21 No.1

        목 적: 노인성 우울증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동반은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사회에 살고 있는 노인 우울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장애가 인지기능 저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 법: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치매 등의 인지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수면 및 기분,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정신과 약물을 복용하고 있지 않은 282명의 65세 이상 노인으로 하였다. 우울증의 평가를 위해 노인성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를 평가하였으며 GDS 점수에 따라 10점 미만을 대조군으로 하였고 10점 이상 17점 미만을 경도 우울증군, 17점 이상을 중증도 우울증군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1회의 야간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객관적인 수면지표를 얻었고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를 평가하여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평가하였으며 CERAD-K 신경심리검사를 통하여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결 과: 연구 대상자들의 평균연령, 성별, 내과적 질환 여부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 연한은 대조군에 비해 중증도 우울증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15). 수면다원검사와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를 통하여 얻어진 수면지표들 중 REM수면시간, 무호흡-저호흡 지수, 산소 탈포화 지수, PSQI 점수는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모든 p<0.05). 신경인지기능검사 결과에서는 단어목록재인검사, 스트룹 색깔 및 단어검사, 벤톤 시각 기억 검사-A, 길 만들기 검사-B에서 세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모든 p<0.05). 우울증군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 간에 상호 인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 결과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 간에 상호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나타나는 수면무호흡증을 제외한 수면장애는 인지기능 저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령화에 따른 수면장애 및 수면구조의 변화와 연령, 교육 수준 등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인 인구에서의 수면장애의 높은 유병률과 잠재적으로 인지기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고려할 때 후속 연구를 통한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의 수면장애와 인지기능 저하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Objectives: Depression, sleep complaints and cognitive impairments are commonly observed in the elderly. Elderly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have been found to show both poor cognitive performances and sleep disturbance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complaints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elderly depression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s and cognitive decline in late-life depression. Methods: A total of 282 elderly people who underwent nocturnal polysomnography in a sleep laboratory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y developed by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was applied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 Depressive symptoms were assessed with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nd subjective sleep quality was measured using th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Results: The control group ($GDS{\leq}9$) when compared with mild ($10{\leq}GDS{\leq}16$) and severe ($17{\leq}GDS$) depression group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scores in the Trail making test part B (TMT-B), Benton visual retention test part A (BVRT-A), and Stroop color and word test (SCWT)(all tests p<0.05). The PSQI score, REM sleep duration, apnea-hypopnea index and oxygen desaturation ind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the three groups (all indices, p<0.05).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educational level, age and GDS score were predictive for both TMT-B time (adjusted $R^2$=35.6%, p<0.001) and BVRT-A score (adjusted $R^2$=28.3%, p<0.001). SCWT score was predicted by educational level, age, apnea-hypopnea index (AHI) and GDS score (adjusted $R^2$=20.6%, p<0.001). Poor sleep quality and sleep structure alterations observed in depress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deterioration. Conclusion: Older adults with depressive symptoms showed mild sleep alterations and poor cognitive performances. However, we found no association between sleep disturbances (except sleep apnea) and cognitive difficulties in elderly subjects with depressive symptoms. It is possible that the impact of sleep disruptions on cognitive abilities was hindered by the confounding effect of age, educ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