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불면증에 대한 인식조사

        소민아 대한수면의학회 2019 수면·정신생리 Vol.26 No.1

        Objectives: Insomnia is not only the most common sleep-related disorder, but als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of the comorbidities of insomnia is essential for proper treatment including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ethods to prevent disease chronificatio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sleep clinic patients’ knowledge of insomnia.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44 patients (24 males and 20 females; mean age 54.11 ± 16.30 years) from the sleep clinic at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All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report questionnaire about their reasons for visiting a sleep clinic and about their knowledge of treatment and comorbidities of insomnia. Results: The reasons for visiting the sleep clinic were insomnia symptoms of daytime sleepiness, irregular sleeping time, nightmares, snoring, and sleep apnea, in that order. Of the responders, 72.7% had a comorbidity of insomnia, and 22.7% showed high-risk alcohol use. In addition, 70.5% of responders chos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insomnia as the first option and reported collection of information about treatment of insomnia mainly from the internet and medical staff. More than half (52.3%)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never heard about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of insomnia such as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CBT-I) or light therapy. The response rate about comorbidities of varied, with 75% of responders reporting knowledge of the 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depression, but only 38.6% stating awareness of the relation between insomnia and alcohol use disorder. Of the total responders, 68.2% were worried about hypnotics for insomnia treatment, and 70% were concerned about drug dependence.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atients at a sleep clinic had limited knowledge about insomn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insomnia treatment guidelines and educational handbooks for those suffering from insomnia. In addition, evaluat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s essential in the initial assessment of sleep disorders.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장애로 수면클리닉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하게 된 이유, 찾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을 찾게 되는 가장 흔한 증상이자독립질환인 불면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향후 수면장애의 치료와 환자교육에 도움이 되고자하였다. 방 법 : 2018년 4월부터 10월 사이 6개월 간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외래환자들 중 만 19세 이상의 초진환자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때, 지적장애, 치매 등 심한 인지기능을 동반한 환자등을배제하였고, 총 44명(남성 24명, 여성 20명)이 연구에 참석하였다. 설문지는 자체개발한 설문지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한이유, 수면클리닉을 알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 방문 이전 수면질환의 치료력, 불면증의 인식에 대한 질문, 불면증의 치료에 대한 인식, 불면증의 동반질환(comorbodity)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결 과 :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총 44명으로 평균 연령은 54.11 ± 16.3세로 남성은 24명(54.5%), 여성은 20명(45.5%)였으며,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전체의 77.3%를 차지했고, 81.8%(36명)가 고졸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있었다. 환자들의 72.7%(32명)가 공존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22.7% 에서 고위험음주를 보였다. 수면클리닉에 내원한 이유는 잠들기 힘들고 중간에 자주 깸, 낮에 피곤하고 졸림, 불규칙한수면시간, 악몽을 자주 꿈, 코골이와 수면 중 숨막힘 등의순서였고, 93.2%에서 불면증을 인식하고 있었고, 가족 친지,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본인이 불면증에 대한 지식을얻게 되었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에 대해서는 70.5%가약물치료를 떠올렸고, 이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과 의료진을통해 주로 얻고 있었으며 불면증의 비약물학적인 치료방법에 대해 52.3%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45.5%가 특별한 선호도 없이 의사의 권유대로 따르겠다고 하였고, 불면증의 공존질환 중 우울증, 신체질환, 알코올사용장애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각각 75%, 50%, 38.6%의 응답률을 보였다. 수면제 복용 시 의사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75%에서 알고 있었지만, 전체 응답자의 68.2%가 수면제 처방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었고 이들 중 70%가 약물의존에대해 걱정된다고 하였다. 결 론 : 내원자의 56.8%가 내원전 타의료기관에서 수면장애로 치료를 받고 왔음에도 불구하고, 불면증의 치료, 특히 비약물학적인 치료에 대한 잘 알고 있지 못했으며, 본인의 수면제 복용여부와 상관없이 수면제에 대해서는 약물의존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불면증과공존질환으로서의 알코올 사용문제에 대해서는 간과하고있었다. 향후 일선 일차의료담당자의 불면증치료에 대한 이해증진 및 표준화된 불면증치료안의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생각된다. 또한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가초기 면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보호관찰대상자 정신건강문제의 이해와 효과적 개입 -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모델을 중심으로 -

        소민아 한국보호관찰학회 2018 보호관찰 Vol.18 No.1

        본 논문에서 소개할 국립정신건강센터의 보호관찰대상자의 정신건강증진사업은 2013년 6월 시작 이후 5년차에 접어들었다. 이 사업은 보호관찰대상자에게 제공되던 여타의 프로그램에 비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모델의 바탕에 의학적 서비스가 결합된 사업으로 일선 보호관찰관에게 현실적인 도움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범법자들의 경우 재범에 쉽게 노출되며 적절한 의학적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재범을 막고 보호관찰제도의 ‘치료와 사회복귀’라는 본래의 목적에도 부합한다는데 착안하여 시작된 모델이다.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성인 및 소년보호관찰대상자의 알코올사용문제에 대한 접근을 시작으로 정신질환 유병률 조사, 서울소년원에 왕진서비스 제공, 보호관찰대상자의 정신건강전반에 대한 선별검사, 고위험군에 대한 찾아가는 개인면담서비스 및 의료기관과 연계를 진행했으며, 저소득층을 위한 의료비지원사업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왔다. 2017년에는 이러한 사업의 확산, 보급하기 위해 ‘정신건강사업안내서’를 제작·발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실행 중이다. 이 사업모델은 일선 보호관찰관들에게 보호관찰대상자들이 갖고 있는 정신건강문제를 집단교육 및 개별 사례설명 등을 통해 이해시키는데 일조했으며, 지역사회에 산재한 정신건강관련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했고, 대상자의 임박한 자타해의 위협, 급성 알코올중독 및 정신병적 상태 등 정신과적 초응급상태에서 전문가가 개입하여 의료기관에 연계하는 전 과정이 가능하게 했다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체 의료기관의 90%가 민간의료기관인 우리나라의 의료현실에서 이 모델이 전체 보호관찰시스템 내 확산되기 위해서는 소요되는 예산 및 재원마련이 가장 큰 장애물이며, 사업의 실행과정 중에 다루게 되는 대상자의 민감 개인정보의 처리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사업의 확산 및 보급을 위해서 프로그램이 대상자 개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및 나아가 재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I will introduce the community based mental health service model for probationers implemented by the outreach service team of the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This model combines medical services with the community based mental health service model.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at criminals are vulnerable groups of mental health. A survey conducted at the Seoul probation office by Kim(2014) et al. reported that the point prevalences of overall mental illness of adult and adolescent probationers were 45.6% and 45%. Compared with the high prevalence rate of these groups, the rate of treatments is extremely low (about 8%). Prejudice against psychiatric disorders and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probationers were found to be the main causes of this phenomenon. Our program provides information about mental health, large-scale screening, individual counselling, links with hospitals or clinics, medical expenses for low-income groups, matching services with community resources, and solutions to psychiatric emergency situations. It also includes face-to-face sessions with a psychiatrist every week. This program is considered to help the frontline probation officers who perform tasks dealing with cases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order to spread the program, issues of funding and protecting sensitive personal data including criminal records should be solved.

      • Ceria-Zirconia Nanoparticles as an Enhanced Multi-Antioxidant for Sepsis Treatment

        소민,현택환 한국공업화학회 2018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8 No.0

        The two oxidation states of ceria nanoparticles, Ce<sup>3+</sup> and Ce<sup>4+</sup>, play a pivotal role in scaveng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particular, Ce<sup>3+</sup> is greatly responsible for eliminating O<sub>2</sub> <sup>-</sup> and ㆍOH that are associated with inflammatory response and cell death. Here, we report the synthesis of 2 nm ceria-zirconia nanoparticles (CZ NPs) possessing a higher ratio of Ce<sup>3+</sup>-to-Ce<sup>4+</sup> and faster shifting from Ce<sup>4+</sup> to Ce<sup>3+</sup> than those exhibited by ceria nanoparticles. The obtained Ce<sub>0.7</sub>Zr<sub>0.3</sub>O<sub>2</sub> (7CZ) NPs markedly enhance their ROS scavenging performance, thus regulating inflammatory cells in a very low dose which is not possible with ceria nanoparticles. Furthermore, 7CZ NPs are demonstrated to be powerful for reducing mortality and systemic inflammation in two sepsis mode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7CZ NPs have the potential as a therapeutic nanomedicine for treating ROS-related 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Fluoxetine Reduces Vasopressin Immunoreactivity in the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of Schedule-Induccd Polydipsia Rats

        Lee, Hee-Jae,Soh, Minah,Jung, Hong-Kyung,Lee, Gi-Cheol,Chung, Joo-Ho,Kim, Jong-Woo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목 적 : Schedule-induced polydipsia(SIP) 흰쥐 모델은 강박장애 연구를 위한 중요한 동물 모델 중의 하나로 제안되어 왔다. 이전 연구에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인 fluoxetine이 SIP 흰쥐 모델에서 음수량을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최근에는 vasopressin이 강박장애의 병인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IP 흰쥐 모델을 이용하여 강박장애의 치료시 사용되는 fluoxetine이 vasopressin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SIP 흰쥐 모델은 동일한 배에서 출생한 수컷 Spraque-Dawley 흰쥐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사육상자에는 1정당 90mg 무게인 사료(pellet)를 자동급이장치(automatic dispenser)에서 60초당 1정씩 공급되게끔 고정된 시간 간격(fixed time 60 seconds ; 이하 FT-60s)으로 하루 150분간 씩 총 4주 간에 걸쳐서 먹이를 공급하였다. 4주 후에 SIP 모델 흰쥐에게 fluoxetine(5mg/kg)을 3주간 복강내 주사하였다. 결 과 : Fluoxetine을 처치한 SIP 흰쥐군이 생리식염수를 처치한 SIP 흰쥐군에 비햐여 음수량과 사상하부의 실방핵 부위에서 vasopressin의 면역반응성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들은 SIP 흰쥐 모델에서 floxetine의 음수량 감소 효과의 기전으로 vasopressin 발현에 대한 작용과 관련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수면무호흡 정도, 수면 및 기분관련 척도, 수면중 활동도 간의 연관성

        한규희,소민아,하지현,유승호,유재학,박두흠,Han, Kyu-Hee,Soh, Min-Ah,Ha, Jee-Hyun,Ryu, Seung-Ho,Yu, Jae-Hak,Park, Doo-Heum 대한수면의학회 2011 수면·정신생리 Vol.18 No.2

        목 적 : 본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수면무호흡지수, 수면관련 척도, 기분관련 척도, 그리고 수면중 신체활동도 간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을 보이는 122명(평균연령 $43{\pm}11$세)의 남자환자를 선정하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진단은 수면무호흡지수>5인 경우로 하였고, 수면무호흡지수의 평균은 $39.6{\pm}26.0$이였다. 수면관련척도로 Stan-ford Sleepiness Scale(SSS), Epworth Sleepiness Scale(E-SS),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 Morningness-Ev-eningness Scale(MES)이 사용되었고, 기분관련척도로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eck Anxiety Inventory(B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I, II, Profile of Mood States(POMS)가 사용되었다. 수면중 활동도를 측정하기 위해 양측 손목에 손목 액티그라프(wrist actigraphy, WATG)를 착용한 채 1일밤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를 시행하였다. WATG에서 산출된 지수는 총활동도(total activity score), 평균활동도(mean activity score) 및 분절지수(fragmentation index)였다. 수면무호흡지수, 수면 및 기분관련척도, 수면중 활동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ESS는 PSQI, BDI, BAI, STAI I, II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SSS는 PSQI, BAI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p<0.01). BAI는 총활동도, 평균활동도 및 분절지수(fragmentation index)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p<0.01, p<0.05). 수면중 총활동도는 ESS, BAI와 각각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수면 분절지수는 ESS, PSQI, BAI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p<0.01, p<0.05). 수면무호흡지수는 수면 및 기분관련 척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주간 졸리움을 호소하는 정도가 수면무호흡증의 심한 정도와 연관이 있기 보다는 오히려 야간수면 만족도, 우울 및 불안의 정도, 수면중 활동도와 더 연관성이 있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sleep apnea, sleep and mood related scales, and activity during sleep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patients. Methods: 176 drug-free male patients confirmed as OSAS (average age=$43{\pm}11$ years) were selected through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OSAS was diagnosed with apnea-hypopnea index (AHI) >5, mean AHI was $39.6{\pm}26.0$. Sleep related scales were Stanford Sleepiness Scale (SSS),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Morningness-Eveningness Scale (MES). Mood related scales wer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Anxiety Inventory (B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I, II and Profile of Mood States (POMS). NPSG was performed overnight with both wrist actigraphy (WATG). Parameters produced from WATG were total activity score, mean activity score and fragmentation index.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cale, AHI scored from NPSG and activity score analyzed from WATG. Results: ES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QI, BDI, BAI and STAI I, II, respectively (p<0.01). SS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QI and BAI (p<0.05, p<0.01). BAI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activity score, mean activity score and fragmentation index (p<0.05, p<0.01, p<0.05).Total activity scor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SS and BAI, respectively (p<0.05). Fragmentation index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SS, PSQI and BAI (p<0.05, p<0.01, p<0.05). AHI, indicator of sleep apnea is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sleep and mood related scale. Conclusion: The degree of daytime sleepiness tends to be associated with night sleep satisfaction,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 activity during sleep rather than the severity of sleep apnea.

      • KCI등재후보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Schizophrenic Patients Using Antipsychotics

        고유경,소민아,강시현,이종일 대한정신약물학회 2013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Vol.11 No.2

        Objective: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isk factors in a large group of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Sociodemographic and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of 1,103 inpatients and outpatients treated for schizophrenia at Seoul National Hospital in Seoul, Korea.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blood testing were conducted for collection of physical and biochemical data and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Data for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were compared by sex, age, metabolic syndrome markers present, treatment of markers, and types of antipsychotics and individual drug agents used. Results: Mean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all subjects was 43.9% and 40.1% according to adapted Adult Treatment Panel III (ATP-IIIa) and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criteria,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valence according to ATP-IIIa criteria between men (42.6%) and woman (45.9%). A trend toward higher prevalence with age was observed for both sexes until 50 years, followed by a continued increase for women but a decrease for men. Use of a combination of atypical antipsychotics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st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and use of aripiprazole with the lowest. High percentages of subjects with hypertension and dyslipidemia were not being treated for these conditions. Conclusion: Despite their higher prevalence in schizophrenic patients, metabolic syndrome and its markers are not being adequately managed in these patients. Treatment of schizophrenic patients requires attention to not only their psychiatric conditions but also associated medical conditions by individual health care practitioners and hospitals as well as the public health care sector as a whole.

      • Schedule-Induced Polydipsia 흰쥐의 시상하부 실방핵에서 Fluoxetine에 의한 Vasopressin 면역반응의 저하에 관한 연구

        이희제,소민아,정홍경,이기철,정주호,김종우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목적 : Schedule induced polydipsia(SIP) 흰쥐 모델은 강박장애 연구를 위한 중요한 동물 모델중의 하나로 제안되어 왔다. 이전 연구에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인 fluoxetine이 SIP 흰쥐 모델에서 음수량을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최근에는 vasopressin이 강박장애의 병인과 관련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IP 흰쥐 모델을 이용하여 강박장애의 치료시 사용되는 fluoxetine이 vasopressin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 SIP 흰쥐 모델은 동일한 배에서 출생한 수컷 Spraque-Dawley 흰쥐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사육상자에는 1정당 90mg 무게인 사료(pellet)를 자동급이장치(automatic dispenser)에서 60초당 1정씩 공급되게끔 고정된 시간 간격(fixed time 60 seconds; 이하 FT-60s)으로 하루 150분간씩 총4주간에 걸쳐서 먹이를 공급하였다. 4주후에 SIP 모델 흰쥐에게 fluoxetine(5 mg/kg)을 3주간 복강내 주사하였다.결과 : Fluoxetine을 처치한 SIP 흰쥐군이 생리식염수를 처치한 SIP 흰쥐군에 비하여 음수량과 시상하부의 실방핵 부위에서 vasopressin의 면역반응성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fluoxetine affects vasopressin expression in SIP rats. Methods : To obtain SIP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exposed to a fixed-time feeding schedule; the pellet dispenser automatically dispensed one pellet (90 mg) at each fixed-time 60 s, for 150 min training sessions conducted daily for 4 weeks. After the 4-week training session, SIP rats were treated with fluoxetine (5 mg/kg) for 3 weeks. Immunohistochemistr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alteration of vasopressin expression. Results : SIP rats treated with fluoxetine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volume of water intake and in vasopressin immunoreactivity in the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compared to SIP rats with saline treatmen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uoxetine may affect SIP by altering the expression of vasopressin.

      • KCI등재후보

        성인 인터넷 중독과 일주기 리듬의 연관성

        강도원,소민아,이태경,Kang, Do Won,Soh, Minah,Lee, Tae Kyeong 대한수면의학회 2015 수면·정신생리 Vol.22 No.2

        목 적 : 그동안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연구는 청소년과 초기 성인기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 연령에서의 인터넷 중독의 위험성을 확인하고, 인터넷 중독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 우리나라 성인인구를 대표할 수 있도록 인구비례 추출을 통해 508명의 대상을 선정하였고,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Korea (Audit-K),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최근 1년간의 약물 사용, 자살시도를 확인하여 325명을 최종 대상으로 연령, 성별, 거주지 등의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함께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IAS)와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MEQ), 주중과 주말의 입면시각, 기상시각 그리고 카페인 음료 섭취 여부 등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하였다. 결 과 : 인터넷 중독 고위험 군은 총 325명 중 136명(41.8%), 정상사용 군은 189명(58.2%)이었다. 인터넷 중독 고위험 군은 정상사용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남성이 많고, 나이가 어릴수록 인터넷 중독 고위험 군에 속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인터넷 중독 고위험 군은 정상사용 군에 비해 저녁형의 비율이 높았으며,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카페인 음료를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성인에서도 인터넷 중독의 고위험 군이 많고, 청소년과 초기 성인기와 유사하게 성인에서도 인터넷 중독과 수면 사이에 의미 있는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향후 인터넷 중독과 아침형-저녁형 간의 인과 관계를 밝히기 위한 종단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Objectives: Internet addiction is an increasing problem in Korea. The previous studies in this area have targeted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isk of internet addiction in Korean adults and the effect of internet addiction on circadian rhythm. Materials and Methods: For this study, 508 subjects were chosen through population proportional sampling to represent the adult population in Korea, 325 of whom were included based on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Korea (Audit-K), Zung's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drug use in the past year, and suicide attempts. In these subjects, sociodemographic factors including age, gender, and residential area were analyzed, and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IAS), Morningness-Eveningness Questionnaire (MEQ), and an online survey examining sleep onset time on weekdays and weekends, wake-up time, and caffeinated drink intake were executed. Results: Of the 325 subjects, 136 (41.8%) belonged to a high-risk internet addiction group ($IAS{\geq}40$), and 189 (58.2%) belonged to a normal group (IAS < 40).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male subjects (p = 0.03) in the high-risk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younger subjects (p = 0.055) in the high-risk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re was a high proportion of the evening type ($MEQ{\leq}41$) in the high-risk group (p = 0.024), who also showed a high proportion of caffeinated drink intake (p < 0.001). Also, the high-risk group was found to go to bed and wake up lat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norma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any adults have a high-risk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leep in adult, as has been found in adolescents and early adults. In the future, a longitudinal study will be need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morningness-eveningness.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우울증상 정도에 따른 수면 양상

        원창연,이승희,소민아,이진성,정도언,Won, Chang-Yeon,Lee, Seung-Hee,So, Min-Ah,Lee, Jin-Su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7 수면·정신생리 Vol.14 No.2

        목 적: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흔한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우울증상이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폐쇄성 무호흡증의 진단에는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일차적으로 사용하나 현실적인 제한점으로 인하여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의 보조적인 이용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남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 및 활동기록기를 이용하여 얻은 수면 변인들을 비교하고, 여러 수면변인과 우울 증상 간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방 법:수면 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수면의학센터에 의뢰된 264명을 일차 대상군으로 하였다. 이들에게 한국판 엡워스 졸림증 척도(Epworth sleepiness scale-Korean version, 이하 ESS-K)와 벡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이하 BDI)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야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이중에서, 다른 내외과적 질환 및 수면 장애가 없으며, 호흡장애지수가 5 이상인 남성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를 최종 대상군으로 하여, 총수면시간, 수면 효율, 입면 잠복기, 호흡장애지수 등의 수면 변인을 BDI로 산출한 우울증상 정도와 비교하였다. 결 과: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46.1{\pm}13.1$세였으며, ESS-K 점수는 평균 $10.9{\pm}4.7$, BDI 점수는 평균 $12.8{\pm}8.1$로 나타났다.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로 얻어진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 입면잠복시간 등의 수면 변수들은 야간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정도를 나타내는 호흡장애지수와 BDI간에 상관관계는 없었다. 주관적인 우울증 정도가 높은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총 수면시간과 수면효율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관적인 우울증 정도가 높은 군에서 주간 졸림증 정도와 호흡장애지수간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이 연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우울증상과 수면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울 증상과 수면 무호흡증상 간의 상관관계는 관찰하지 못하였으나, 우울감이 심한 군에서 총 수면시간과 수면 효율이 낮아 수면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울감이 심한 군에서만 주간 졸림증 정도와 호흡장애지수와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어, 주간 졸림증 등의 임상 증상을 평가하는 데 있어 우울증상의 검토가 필요하다.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is the most common form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nd often presents with comorbid depressive symptom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 parameters as measured by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and simultaneous wrist actigraphy. Methods: Two hundred sixty-four subjects with clinically suspected cases of OSAS underwent one-night polysomnography, while simultaneously wearing a wrist actigraphy device. They also completed two questionnaires;the Epworth Sleepiness Scale-Korean version (ESS-K)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Of the cases studied, 105 subjects were proven by NSPG to have OSAS without other sleep disorders. NPSG and wrist actigraphy data from the subjects were analyzed. Pearson correlation and paired t-test were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parameters. Results: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6.1{\pm}13.1$ years. Means of the ESS-K score and BDI scores were $10.9{\pm}4.7$ and $12.8{\pm}8.1$, respectively. NPSG sleep parameters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ose of wrist actigraphy. There was no correlation found between subjects'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 and BDI scores. When directly comparing sleep parameters between subjects who were more depressed versus subjects who were less depressed, both total sleep time and sleep efficiency were decreased in the more depressed. A correlation between RDI and ESS-K scores was also found in the more depressed group. Conclusions: Although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RDI and depressive symptoms, there are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leep parameters between subjects who are more depressed versus those without depression. We recommend that patients with depression should also be evaluated for clinical symptoms of OS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