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女子 中·高等大學 運動選手의 性格特性

        이명희,김문회,이옥하 이화여자대학교 체육대학 1969 梨花體育學會誌 Vol.- No.3

        1) 사회성; 중·고·대가 거의 다 사회적 접촉을 하려는 사회성이 많은 편이다. 2) 사고성; 중·고·대가 모두 중간정도이다. 3) 우울성; 고등학생은 중간정도이고 중·대는 중간정도보다 조금 높다. 고등학생보다는 중·대학생이 비교적 더 명량하고 낙천적이다. 4) 회귀성; 고·대는 중간정도이고 중학생은 중간이 넘는다. 고·대학생은 정서적으로 안정하여 기분이 고르고 동요가 적은 편이다. 5) 태평성; 모두가 다 중간보다 높다. 선수들은 모두 다 마음이 유하고 활동을 좋아하는 경향이다. 6) 활동성; 중·대는 중간이고 고는 높은 편이다. 고등학생이 활동성이 큰 편이다. 7) 지도성; 중·고는 중간이 넘고 대는 중간정도이다. 대학생은 지도성자체를 Control하는 것으로 보인다. 8) 남자성; 중·고는 아주 높고 대학생은 중간정도이다. 중·고학생은 심한 training결과 성격이 남자다워진데 반하여 대학생은 오랜 선수생활을 통하여 자신의 교양으로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9) 자신성; 중학생은 중간이고 고·대는 중간이 넘는다. 10) 침착성; 중·고·대 모두가 다 중간이 넘는다. 연습과 시합으로 인해 그들은 침착하게 된 것 같다. 11) 객관성; 중학생은 중간이 못되고 고·대는 중간이 넘는다. 나이를 먹을수록 사물을 객관적으로 냉정하게 판단하는 경향인 것 같다. 12) 친절성; 중학생은 중간에서 좀 아래이고 고등학생은 중간이며 대학생은 중간이 넘는다. Sports경험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친절성이 높아지는 경향이다. 13) 협동성; 중·고는 중간아래이고 대학생은 중간이 넘는다. 시합과 연습으로 인해 고학년일 수록 이성을 가지고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잘 어울릴 수 있는 모양이다.

      • 日本語學習者の東京語アクセント聞き取り能カの變化 : ソウル地方の場合 Seoul Dialect Speakers

        李明姬,西沼行博,三枝優子 新羅大學校 1997 論文集 Vol.44 No.2

        本 硏究는 日本語 韻律 敎育敎材 및 敎授法 開發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目的으로 서울 出身의 日本語 學習者를 對象으로 「東京語액센트 聽取 테스트」를 實施하였다. 調査方法은 日本語를 專攻으로 하는 1, 2, 3學年의 大學生 54명을 對象으로 日本語 學習者가 東京語액센트의 피치 下降을 어떻게 知覺하고 있는가를 1년간의 日本語學習後와 比較하면서 縱斷 硏究를 실시하였다. 聽取 테스트는 3部로 이루어져 있고, 各各의 테스트는 3·4·5拍語의 서로 다른 액센트型으로 24항목씩 構成되어 있다. 聽取테스트는 學年別, 成績群別, 테스트別, 刺激語의 拍數別, 액센트 型別, 個人別 變化로 分析한 結果, 個人差에 의한 習得度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具體的으로는 다음과 같은 事項을 알 수 있다. 1) 變化의 傾向으로서 테스트2가 正答率이 높은 다른 테스트에 비해 增加率이 높으며, 액센트 型別로는 1型의 增加가 가장 두드러진다. 2) 테스트 項目 중, 테스트1의 正答率이 가장 높으며, 拍數別로는 拍數가 적은 쪽의 成績이 가장 좋다. 3) 學年別 또는 高學年(95年度의 3學年)은 경우와 正答率이 낮았던 4拍語와 5拍語의 增加가 두드러진다. 4) 個人別인 경우, 上位그룹에서 正答率의 變化가 크게 나타난다. 이상에서와 같이 학년별의 差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고 하는 結果는 예비조사(李, 1995)에서도 관찰되었지만, 이번 硏究에서도 그러한 傾向이 분명히 觀察되었다. 지금까지의 日本語敎育에서 音聲敎育, 특히 韻律敎育이 제대로 實施되어 오지 않았던 탓으로 여겨진다. 또한, 調査對象者를 成績群別로 나누어 보면, 成績群 사이의 差가 크게 나타난다. 이는 學年에 關係없이 學習者마다 聽取能力의 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韓國語에 있어서도 다른 方言(釜山·光州)話者를 對象으로 東京語 액센트 聽取能力의 變化를 調査해서 方言力에 따른 結果를 比較해 볼 예정이다.

      • KCI등재

        수량과 기름 함량이 증가된 종실들깨 ‘들샘’ 육성

        이명희,김정인,김성업,배석복,황정동,송득영,오기원,오은영,하태정,이병규,정찬식,백인열 한국육종학회 2018 한국육종학회지 Vol.50 No.2

        Perilla cultivar ‘Deulsaem’ was developed for perilla oil and powder. ‘YPL139’ and ‘Daesildeulkkae’ crossed in 2003 and selected from F3 to F5 by pedigree method. The selected pedigree is ‘YPS142-B-28-1-3-2-2’ and named as Miryang No. 57. The regional yield trial (RYT) in five regions was conducted from 2011 to 2013. In RYT, ‘Deulsaem’ was a high yield and quality. ‘Deulsaem’ is determinate, white flower and brown spherical seed. Maturity date was Oct. 8, similar to ‘Saeyeopsildeulkkae’(standard cultivar). However, ‘Deulsaem’ has higher number of flower cluster and ear per cluster than ‘Saeyeopsildeulkkae’. The yield of oil content and linolenic acid of ‘Deulsaem’ was 39.4% and 61.0%, respectively. The yield in adaptable regions was 1.42 ton/ha (5% increase compared to ‘Saeyeopsildeulkkae’) and ‘Deulsaem’ is expected to be cultivated and used widely for good quality perilla oil. (Registration No. 6246)

      • 우리나라 식생활 형태의 변화 추이

        이명희 培材大學校 1985 論文集 Vol.7 No.-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hanges and improvements in the Korean daily food life and in their nutritional status. Korean have had the characteristic food habits in which the cereal has been a main dish and the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vegetables have made a side dish. These food habits, the main dish and side dish were strictly separated, resulted in many nutritional problems such as followings. The most serious problem is the unbalance of energ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1970's, the ratio of carbohydrate to total calorie intake decreased gradually. And the gradual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fat was a desirable dietary changes, but it was still too low. Also cereal consumption was very high compared with other developed countries, resulting in imbalance of other essential nutrients. Next problem lies in the food consumption. Even though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the intake of animal food in the 1980's as compared with the 1970's, the intake of animal food occupied only 14.2% of total food intake in 1984. Because the major food sources of riboflavin and calcium were animal food, the deficiencies of these nutrients were frequent in Korean.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od consumption and nutritional status among areas and individuals. To improve our food life and to cope with the food shortages,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nationwid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nd the efficient nutrition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