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륙문답」속 용궁과 육지의 의미 연구

        강지영 한민족어문학회 2023 韓民族語文學 Vol.- No.100

        This paper aimed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the underwater palace of the Dragon King and the land,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Suryukmundap described the underwater palace of the Dragon King in detail through conversation between a rabbit and a terrapin. To this end, concepts of utopia, anti-utopia, and dystopia, which were conceptualized by adding meaning to Topia, were applied. It could be seen that the land described by a rabbit was limited to the mountain. The mountain was not a complete utopia as it became a place where rabbits hid in because he was not accepted on land regardless of his ability. This led a mountain to the place of anti-utopia, just like a terrapin described. Utopia and anti-utopia also overlapped in underwater palace of the Dragon King. While the splendidly decorated dragon palace became a utopia as an ideal place for a rabbit to reach, it could also be described as an anti-utopian place without competent officials to send up to get medicine for the dragon king. Utopia and anti-utopia were overlapped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gon palace and land. As the rabbit was in danger only because his liver was needed for the dragon king's life, destructive dystopia could be read in underwater palace of the Dragon King according to the story that the dragon king tried to kill the rabbit only for his life. The ideal space of underwater palace of the Dragon King was transformed into a life-threatening place, erasing hope and adding despair. It could be also read in the contemporary versions of Tokkijeon. <수륙문답>은 토끼와 주부의 대화로 용궁과 육지를 묘사한다. 토끼와 주부의입을 통해 육지와 바다의 모습이 기술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수륙문답>에나타나는 육지와 바다의 공간성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장소에 의미를 더해 개념화한 유토피아와 반유토피아, 디스토피아 개념을 적용해 보았다. 토끼가 묘사하는 육지의 유토피아는 산중에 한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산은토끼가 육지에서 인재로 채택 받지 못해 숨어 들어온 곳이 되어 온전한 유토피아의 모습을 보이지는 못하였다. 이는 주부가 묘사하는 위험이 도사리는 곳으로서의 산으로 이어져 유토피아가 결여된 곳으로의 반유토피아적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용궁에도 유토피아적 모습과 반유토피아적 모습이 겹쳐 나타났다. 화려하게 장식된 용궁은 토끼가 이르고자 하는 이상적인 곳으로써의 유토피아가 되어 놓인 반면에 용궁의 약을 구하러 올려보낼 만한 인재는 없는 유토피아적 엄정한 질서가 부재한다는 점에서 반유토피아적 장소로 배치되어 있었다. 용궁과 육지에 관한 묘사에서는 유토피아와 반유토피아가 겹쳐 새로운 공간성을 빚어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면 토끼가 용궁으로 들어가서 용궁을 탈출하는서사에서는 이상적 공간이 목숨을 위협하는 곳으로 변모하여 희망을 지우고절망이 깃들게 하는 파괴적 디스토피아를 읽어내었다. 이후 이 연구 내용을 발전시켜 <토끼전>의 최근 이본까지 적용, 장소에 대한 시각이 어떻게 변화하고있으며 통시적 측면에서 어떻게 여기에서 공간성을 읽어낼 수 있는지를 살펴볼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칸트의 경험적 직관에서 개념의 역할: 감성적 종합에서 범주의 역할을 중심으로

        강지영 철학연구회 2024 哲學硏究 Vol.- No.144

        “내용없는 사고들은 공허하고, 개념들이 없는 직관은 맹목적이다.”(KrV A51=B75)라는 테제로 잘 알려진 것처럼, 대상을 인식하려면 직관과 개념이 모두 필요하다는 것이 칸트의 인식론적 견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몇몇 연구자들은 칸트의 인식론에서도 “개념없는 직관(Anschauung ohne Begriffe)” 즉 지성의 활동과 개념을 수반하지 않는 직관이 가능하다고 여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경험적 직관에서 개념의 역할, 특히 감성적 종합에서 범주의 역할을 명료히 함으로써 칸트에서 개념 없는 직관이 가능한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험적 직관을 시공간 상에서 배경과 구별되는 개별자에 대한 표상으로 규정하고, B판 연역을 중심으로 경험적 직관에서 개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핀다. 원전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개별자를 지각하는 것에는 시공간이라는 감성의 형식만으로도 충분하다는 한나(Robert Hanna)와 앨레이스(Lucy Allais)의 해석의 문제점을 밝혀, 칸트의 인식론에 따르면 범주라는 대상 일반의 개념이 동반되어야만 통일된 시공간 표상과 개별자 표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해명한다. 그 결과 칸트의 인식론에서는 개념없는 직관의 가능성이 뒷받침될 수 없다. Kant’s epistemological view is thought to be that both intuition and concepts are necessary to recognize objects, as is well known from the thesis “Thoughts without content are empty, intuition without concepts is blind” (KrV A51=B75). However, some researchers believe that Kant’s epistemology also allows for “intuition without concepts or blind intuition” (Anschauung ohne Begriffe oder blinde Anschauung), i.e., intuition that does not involve intellectual activity and concept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aims to show whether an intuition without concepts is indeed possible in Kant’s epistemology. To do so, I define empirical intuition as a representation of an individual in space and time with a form that is distinct from its background, and examine the role of concepts in empirical intuition, focusing on the B version of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original texts, the problem with Hannah and Aliais’s interpretation that the intuitive form of space-time is sufficient to perceive individuals is revealed, and it is shown that, according to Kant’s epistemology, a unified representation of space-time and an individual representation is possible only when accompanied by the concept of an object-general called a category. In conclusion, Kant’s epistemology cannot support the possibility of the intuition without concepts.

      • KCI등재

        『순수이성비판』 B판의 초월적 연역에서 통각의 주관적 통일과 통각의 객관적 통일의 관계

        강지영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9 No.-

        본 논문의 목표는 『순수이성비판』 B판에서 “통각의 주관적 통일subjektive Einheit der Apperzeption”과 “통각의 객관적 통일objektive Einheit der Apperzeption”의 관계를 해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통각의 주관적 통일과 객관적 통일이 주제화되는 B판의 “범주의 초월적 연역transzendentale Deduktion der Kategorien”에서 §17부터 §19까지를 해설하여 통각의 주관적 통일과 객관적 통일이 무엇인지 규정하였다. 통각의 객관적 통일은 표상들을 객관의 개념 하에서 종합하는 활동을, 통각의 주관적 통일은 내감에 의해 제공된 주관의 상태 표상들을 종합하는 활동이다. 칸트에 따르면 “통각의 주관적 통일이 주어진 구체적 조건하에서 객관적 통일로부터 파생된(abgeleitet sein)” 것인데, 본 논문은 이 때의 ‘파생된’이라는 표현은 (논리적인 파생관계가 아니라) 가능조건의 의미로 해석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즉 통각의 객관적 통일은 통각의 주관적 통일이 가능하기 위한 조건이다. 내감의 표상들을 종합하는 일(즉 통각의 주관적 통일)은 통일된 시공간 표상이 없으면 불가능한데, 통각의 객관적 통일에 의해 통일된 시공간 표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unity of apperception (subjektive Einheit der Apperception)" and the "objective unity of apperception (objective Einheit der Apperception)" in the B edition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To this end, I define what subjective unity and objective unity of apperception are by explaining from §17 to §19 of the B edition of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Categories,” where the subjective unity and objective unity of apperception are thematized. I then clarified what Kant meant by his explanation that the subjective unity of apperception is "derived from the objective unity under given conditions in concreto" by critically examining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e task of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Categories" is to show how a perception constituted by the subject's perceptual faculties can be a valid perception of an object. In the B version of the Deduction, this was done by showing that the activity of understanding is both the capacity to synthesize and the capacity to judge, and thus the activity of the understanding is necessary for the knowledge of objects. Since the subjective unity of apperception and the objective unity of apperception are concepts that emerge in the context of explaining this capacity of the understand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clarifying the aim and argumentation structure of the B version of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Categories.

      • KCI등재

        자본주의모델과 불안정노동: 생애일자리 관점에서 본 미국, 독일, 한국의 비교

        강지영,함선유,윤하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복지연구 Vol.53 No.4

        본 연구는 자본주의 체제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궤적유형을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불안정 노동자의 규모 및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독일, 미국, 한국의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30-35세 이상 샘플의 18년 간 노동시장경험 궤적을 추적하였다. 이를 위해 고용지위와 숙련도, 사회보장의 여러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세 국가에서 전문직⋅전일제형, 숙련노동안정형, 비경제활동형의 세 가지 유형이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반면, 국가별로 상이한 생애 노동시장경험 궤적의 특성도 발견되어, 불안정노동자의 경험과 특성도 자본주의 모델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불안정노동자의 규모는 국가주도 시장경제모델인 한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한국의 경우 불안정노동자 집단은 사회보장에서 소외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미국 불안정노동자집단의 경우 고용지위 혹은 노동시장에서의 취약성이 곧 사회보장으로 연결되지 않았다. 또한, 자본주의 체제 유형에 따라 노동시장 분절성과 성별간의 관계가 상이하게 나타난다. 독일과 한국은 노동시장 분절성이 성별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있으나 미국의 경우 여성이 독일과 한국에 비해 저숙련불안정노동형과 노동시장이탈형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지 않고, 반대로 안정적 노동궤적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차별화된다. 본 연구는 노동시장 불안정성을 근속연수, 일자리의 이동으로 이해하기보다 생애 전반에 걸친 노동궤적으로 본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구별된다. 한국 사회에 적합한 사회보장을 탐색하는 데 일조하여 한국 노동시장과 복지국가에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인 문법의 문법 교육적 함의

        강지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역량 교육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교육적 흐름 속에서, 문법 교육이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포용성’이라는 인간상과 ‘인성 및 감성’ 역량, 그리고 OECD 교육 2030의 세 가지 변혁적 역량들에서 공통적으로 요청되는 본질적인 속성으로 ‘대인성’에 주목하였다. ‘언어’가 본질적으로 수행하는 의미기능 중 하나가 또한 ‘대인성’이므로, 이 지점에서 역량의 본질적인 속성과 접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때, ‘대인성’은 ‘태도 및 가치’와 같은 정의적인 요소이자 ‘기능’과 같은 수행적인 요소, ‘지식’과 같은 인지적인 요소일 수 있다. 본고는 정의적이고 수행적인 요소로서의 대인성을 실현하도록 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 언어적인 ‘지식’을 동원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이 국어교육, 특히 문법 교육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 ‘대인 문법’의 개념을 문법 교육에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대인 문법’의 도입이 문법 교육에 가져다 줄 수 있는 함의를 언급하였다. 본고는 시론적인 성격의 연구로, 대인 문법, 대인 문법 교육의 구체적인 상을 보이지 못하고 ‘대인 문법’의 개념이 문법 교육에 도입되어야 할 이유를 논하는 것에 집중하며 ‘대인 문법’을 다소 성글게 개념화한 것에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대인 문법’의 문법 교육적 수용을 위해서는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대인 문법’을 보다 섬세하게 개념화하는 연구, 구어와 문어를 폭넓게 고려하여 ‘대인 문법’을 규명하는 연구, 언어 주체의 대인 문법 선택을 역동적으로 살피어 그 선택의 체계를 규명하는 연구 등이 요청된다. This study explored how grammar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current educational flow where competency education is constantly emphasized. To this e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human image of “inclusion” and “personality and emotion” competency which are expected to be se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thre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of OECD Education 2030, “interpersonal” property is considered an essential attribute. Since one of the semantic functions performed by “language” is “interpersonal metafunction”, it is believed that at this point,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essential property of competencies. This study considered it possible to mobilize linguistic “knowledge” to realize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as an attitude and skills, which can be don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grammar education. Hence, it was proposed that the concept of “interpersonal grammar” be introduced to education, its reconception, and the implications of which are then adduced. This study has certain limitations in that it is abstract and does not show a specific image of interpersonal grammar or interpersonal grammar education.

      • KCI우수등재

        아동수당도입이 아동가구의 소득과 빈곤에 미친 영향 연구

        강지영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1

        본 연구는 2018년에 도입된 아동수당제도가 아동이 속한 가구의 소득안정성과 빈곤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8-2019년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구주 연령이 25-45세인 아동가구를 대상으로 아동수당 도입이 가구의 소득과 빈곤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차이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아동수당은 가구소득을 증가시키고 빈곤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총소득과 가처분 소득 기준 중위소득 60%이상의 상대빈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수당 도입 초기 시점에서 아동수당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수당 효과의 인과성을 분석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아동정책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대안과 정책적 함의를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출산율 제고에 초점을 두었던기존 아동수당 논의들에서 벗어나, 아동수당이 아동가구의 경제적인 측면에 미치는 효과성을 분석하여 아동 권리 측면으로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universal child benefit introduced in 2018 on income and poverty among families with children. This study used Korea Household income data from year 2018 to year 2019.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households with a head aged 25 to 45 and with a child. The difference-in-differences(DiD) method was applied in a regression estimating the effect of universal child benefit on equalized household income and poverty among families with children. The results indicate that universal child benefit increased household disposable income and gross income, and decreased poverty among families with childre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urrent literature by expanding the scope of analysis to the effectiveness of child benefit on economic status among families with children from the focus on its fertility rate boosting effects, and shed the light on the discussion of children’s right.

      • KCI등재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 성적자기주장의 매개효과

        강지영,김성봉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1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gender-role stereotypes on their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Also, this study would reveal if sexual assertiveness that includes the refusal of unwanted sexual behavior, the understanding of sexual behavior,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xual desir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53 college students. Correlations were analyzed, and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the gender role stereotypes, the higher the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became, and gender role stereotyp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xual assertiveness. It was found that sexual assertiveness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gender role stereotypes on dating violence acceptability. Of the sub-factors of sexual assertiveness,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refusal of unwanted sexual behavior and the understanding of sexual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at of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xual desire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was concerned with both women and men and has significance that it attempted an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sexual assertiveness. This study would also present the necessity of a sexual assertiveness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dating violence.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서 원치 않는 성행동 거부, 성행동 인식, 성욕구 인정·표현을 포함하는 성적자기주장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5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성역할 고정관념이 높을수록 데이트폭력 허용도가 높고, 성역할 고정관념이 성적자기주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성적자기주장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자기주장의 하위 요인 중 원치 않는 성행동 거부, 성행동 인식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나, 성욕구 인정·표현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성적자기주장은 데이트폭력을 줄일 수 있는 중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과 남성을 모두 포함하였고, 성적자기주장의 하위 요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데이트폭력 예방을 위해 성적자기결정권을 실천할 수 있도록 성적자기주장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강지영,유리향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rucial Cs Program 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lass-cohe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10 sessions: 1st~3rd sessions were for introducing programs and ‘Connect’ of the Crucial Cs, 4th~6th sessions were for ‘Capable’ of the Crucial Cs, 7th~8th sessions were for ‘Count’ of the Crucial Cs, 9th~10th sessions were for ‘Courage’ of the Crucial Cs and closing the program. For each session, picture books that fit the purpose of the activity were selected and used. Subjects were 41 students who were the third grader students at D elementary school in G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21) and a control group(N=20).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Self-esteem scale(Choi & Jeon, 1993), Self-efficacy scale(Han, 2002) and the Class-cohesion scale(Kang, 2000).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take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NC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dlerian Crucial Cs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steem and Class-cohesion but didn’t show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fficacy. The study confirmed that Adlerian Crucial Cs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and Class-cohe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ggesting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Crucial Cs in the educational field for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이며, 1~3회기는 프로그램 소개 및 Crucial Cs의 관계, 4~6회기는 Crucial Cs의 능력, 7~8회기는 Crucial Cs의 중요, 9~10회기는 Crucial Cs의 용기 및 종결하기이다. 회기마다 활동 목적에 부합한 그림책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G시 소재 D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41명이며, 한 학급 21명은 실험집단에, 또 다른 학급 20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척도(최보가, 전귀연, 1993), 자아효능감 척도(한혜진, 2002), 학급 응집력 척도(강신석, 2000)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 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과 학급 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효능감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는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급 응집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밝힘으로써, 학생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위해 교육 현장에서 Crucial Cs를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