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8 No.2
In the first issue of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Baer, Wolf, and Risley (1968) presented generality as one of the 7 dimension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According to them, a behavior change may be said to have generality if it proves durable over time (that is, maintenance), if it appears in a wide variety of possible environments (that is, stimulus generalization), or if it spreads to a wide variety of related behaviors (that is, response generalization). Since th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has been a main concern in the field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applied behavior analysis. To do this, first, generaliz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stimulus generalization and response generalization), which were used interchangeably with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and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ectively in this study. Next, maintena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based on the review performed in this study. Lastly, the two types of generalization and the three kinds of maintenance were set up as five aspects of generality (‘stimulus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response generalization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an acquired behavior’, ‘maintenance of stimulus-generalized behaviors’, ‘maintenance of response-generalized behaviors’) and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was proposed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의 창간호에서 Baer, Wolf와 Risley(1968)는 응용행동분석의 7개 차원 중 하나로 일반성(generality)을 제시하면서 행동변화가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거나(즉, 유지),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거나(즉, 자극일반화), 또는 다양한 관련행동으로 확산된다면(즉, 반응일반화) 그 행동변화는 일반성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후 유지와 일반화는 응용행동분석 분야에서 주요 관심사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응용행동분석에서의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에 대한 모델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이승희(2021)의 연구를 근거로 일반화를 자극일반화와 반응일반화라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극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를 그리고 반응일반화와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를 각각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의 고찰을 근거로 유지를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라는 세 가지 종류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일반화의 두 가지 유형과 유지의 세 가지 종류를 일반성의 5개 측면(습득된 행동의 자극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반응일반화, 습득된 행동의 유지, 자극일반화된 행동의 유지, 반응일반화된 행동의 유지)으로 설정하고 유지와 일반화의 관계 모델을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제안하였다.
압전세라믹의 두께 진동모드를 이용한 다중모드 필터의 설계와 제작
이승희,정이봉,노용래 한국음향학회 1998 韓國音響學會誌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압전 세라믹인 PZT를 이용하여 두께 진동모드의 다중모드 필터를 설계, 제작하였다. 다중모드 세라믹필터의 등가회로를 설계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설계변수 인 물성변수와 형상변수에 따른 필터전달특성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0.7MHz의 중심주파수를 가지는 세라믹필터를 제작하였고, 설계변수 중에서 압전세라믹 기 판과 전극형상의 변화에 따른 필터의 전달특성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경향분석결과는 다양한 진동모드와 다양한 주파수대를 가지는 다중모드 필터를 설계하 는데 있어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