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최초 푸른바다거북 인공증식 성공 사례 분석 및 부화 유체 사육 관리

        조은빛,한동진,김일훈,이기영,문대연,임지언 한국양서ㆍ파충류학회 2022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7

        바다거북 7종은 모두 CITES의 부속서 1급에 등재되어있으며, IUCN 멸종위기(멸종위기종, 심각한 위기종 및 취약종)혹은 정보부족으로 지정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우 리나라에서는 국내 연안에 출현하는 푸른바다거북, 붉은바다거북, 올리브바다거북, 장수거북, 매부리바다거북 5종이 해양보호생물로 지정되어 보호·관리받고 있다. 아쿠아플라넷 여수(이 하 여수 AQ)에서는 바다거북 종 보전을 위하여 푸른바다거북과 매부리바다거북의 인공증식 에 성공하여 실내사육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여수 AQ에서 국내 최초 바다 거북 번식 성공한 사례를 바탕으로 바다거북의 산란 특성과 부화한 유체의 사육 특성을 분석 하였다. 여수AQ는 번식에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영양 관리를 위해 개체의 컨디션을 유지하였고, 바다거북의 생물학적 특성과 번식 주기에 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매월 혈액을 채취 하였다. 또, 정기적으로 초음파 검사를 진행하여 암컷의 난황 발달을 확인하였고, 번식 가능 성이 있는 개체를 합사하여 교미 유도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2017년 푸른바다거북은 10차례 에 걸쳐 594개의 알을 산란하였고, 최종적으로 121마리의 새끼가 부화하였다. 푸른바다거북은 야생에서 약 100개씩 2~3회를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에 비해 여수 AQ에서 번식한 푸른바다거북은 야생 개체에 비해 3~4배로 많은 수치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안정적인 실내 환경이나, 지속적인 먹이 활동 등 개체의 건강성 등이 원인일 수 있으 며, 야생에서는 실내 사육하는 바다거북보다 여러 번 번식하였지만 측정되지 않았을 가능성 이 있다. 10차에 걸친 산란 중 1차란은 대부분 미수정란이였고, 점차 부화율이 높아져 5차란 은 60%으로 가장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하지만, 후반 차수로 갈수록 알의 건강도가 좋지 않 았으며, 미수정률이 높아 부화율이 낮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바다거북의 교미 특성상 암컷은 여러 수컷과 교미를 하는데 번식 시기인 개체의 부족으로 암, 수 1:1 교미를 진행하였기 때문 에 후반 차수로 갈수록 수정이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산란한 알들은 인공부화기로 옮겨져 약 50~60일 사이에 부화하였고, 부화 후에는 개별 사육 수조에서 단독 사육을 진행하였다. 바다거북 전용 영양제와 함께 크릴과 전갱이를 다져 2회/일 체중의 15%까지 제공하였다. 또한, 부화한 개체의 충분한 안정기를 거친 후 건 강상태가 양호한 개체를 대상으로 부화 9일차부터 성장도를 측정하였다. 부화 9일 차의 어린 개체의 평균 등갑직선길이는 44.5mm, 등갑직선너비는 36.6mm이었고, 몸무게는 22.4g으로 측정되었다. 이후 계속해서 1회/월의 주기로 성장도 측정을 진행하였고, 현재 5년생의 푸른바다 거북의 평균 등갑직선길이는 53cm, 등갑직선너비는 44.1cm, 몸무게는 21.7kg이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여수AQ의 푸른바다거북의 번식은 처음 시도한 인공증식임에 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번식하였다. 다만 초기 산란한 알과 후반 차수의 알이 미수정란이 많았던 것으로 보아 추후 암컷이 많은 수컷과 충분한 교미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태어나서 모래사장을 벗어날 때 성장도를 측정하여 야생개체와 비교하는 것도 바다거북 유체의 생태 연구에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추후 인공증식 시 부화 직후의 크기를 측정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서식지외보전기관 지원사업' 및 국 립해양생물자원관 연구사업(2022E00300)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의 취약성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조은빛,이정렬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어린이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통학버스 이용 중에 발생한 인명피해 사고는 사회적 관심이 더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문제발생의 원인파악과 해결의 시급성이 강조된다. 더욱이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를 야기하는 요인이 차량자체의 안전시설미비로 인한 경우와 운전자의 주의의무위반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고, 적절한 조치를 통해 충분히 사전 예방할 수 있는 것임을 고려했을 때, 사망사고 발생을 전무하게 만들 수 있는 제도적, 기술적 접근과 해결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를 유형별로 분류, 사고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취약성평가와 위험도 FTA(Fault Tree Analysis)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ⅰ)통학차량 내 안전시설을 구비함으로써 차량자체에 의한 안전사고를 없애고 ⅱ)운전자에게 주의의무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는 방법으로 대응전략을 세움으로써 어린이 통학버스 사고안전을 제고하고,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최초 푸른바다거북(Chelonia mydas)의 실내 인공 번식 및 어린 개체의 초기 성장 특성

        조은빛,김일훈,한동진,임지언,조인영,이기영,문대연 한국수산과학회 202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5 No.6

        The green turtle Chelonia mydas has been design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globally due to its reduced population. Although C. mydas is not known to reproduce on the shores of the Korean peninsula, it has been listed as a protected marine species in South Korea. This study describes the first successful captive breeding of C. mydas in a commercial aquarium in South Korea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arly growth patterns of C. mydas hatched and reared in indoor facilities. C. mydas YS-B003 laid a total of 594 eggs in ten nesting events in the period December 2016–June 2017. Of these, 115 fertilized eggs from six events hatched successfully. The size of the newly hatched turtl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nesting events. The hatchlings from the 8th and 9th nesting events were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from the 3rd and 5th events. The rate of growth initially varied across the different events, but from the 1,000th day, the inter-group variation disappeared. The present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captive breeding of sea turtles in indoor facilities,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these endangered sea turtle species.

      • Vitamin $B_{12}$/Folate 검사 시 빛의 영향에 대한 고찰

        조은빛,백송란,김외정,김성호,유선희,Cho, Eun Bit,Pack, Song Ran,Kim, Whe Jung,Kim, Seong Ho,Yoo, Seon Hee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12 핵의학 기술 Vol.16 No.2

        Vitamin $B_{12}$, Folate는 아미노산과 핵산의 합성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DNA 복제에 관여하는 효소이다. 체내에서는 신체의 성장에 활발하게 관여하여 세포분열과 증식을 하는 조혈조직에 대한 영향이 커 빈혈의 감별진단 검사의 하나로서 측정된다. 이런 Vitamin $B_{12}$, Folate는 빛에 민감한 검사로 알려져 있어 검사 매뉴얼 또한 검사 시 실험 시, 보관 시 모두 빛의 노출을 피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원의 검사실에서는 Vitamin $B_{12}$, Folate 검사시 빛의 노출을 최소한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검체 분리 보관 지연 및 검사 시 다른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해 빛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따라서 Vitamin $B_{12}$, Folate 검사 시 빛의 영향 정도와 빛 차단이 필수적인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실험 시 빛의 영향 정도와 실험 전 보관 시 빛의 영향 정도로 나누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2012년 3월, 본원에 의뢰된 다양한 농도의 환자 검체 10개를 대상으로 실험시 빛의 영향과 검체 보관 시 빛의 영향 정도를 확인하는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는 Vitamin $B_{12}$, Folate 실험시 반응 단계에서 빛을 차단한 결과와 빛에 노출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번째는 Vitamin $B_{12}$, Folate 실험 전 검체 보관 시 1, 2, 7일 동안 빛을 차단하여 보관한 결과와 빛에 노출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첫 번째, 실험 시 빛 차단의 여부에 따른 검사 결과 Vitamin $B_{12}$의 경우 영향이 없고 Folate의 경우 큰 영향은 없지만 유의확률이 0.033(상관식 y=1.02x-0.86)으로 실험 시 빛을 차단하는 것을 권장한다. 두 번째, 보관시 빛 차단의 여부에 따른 검사 결과 1일, 7일에서는 영향이 없고 2일에서는 Vitamin $B_{12}$ 유의확률이 0.033, Folate 유의확률이 0.037로 영향이 있었다. 이는 복잡한 검사 방법으로 인한 기술적 오류가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1, 2, 7일 모두 보관 시 빛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1일차에 비해 7일차 유의확률 p-value가 감소함에 따라 장기간 보관 시 빛을 차단할 것을 권장한다. Purpose : Vitamin $B_{12}$ and Folate are for anemia work-up which is well known for its sensitivity of light; the screening manual also specifies to be careful with light conditions. According to this, our laboratory minimized the exposure of light when inspecting the Vitamin $B_{12}$ and Folate, but the exposure cannot be wholly blocked due to other various factors such as when conducting specimen segregation. Thus, this inspection is to identify to what extent light can influence and whether the exclusion of light is mandatory during the Vitamin $B_{12}$/Folate test. Materials and Methods : We have conducted two experiments of identifying the extent of light's influence when conducting the Vitamin $B_{12}$/Folate test and also when specimens are under preservation. These experiments were progress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atients' specimens which were requested to our hospital in March 2012. The first experiment is to verify the results on Vitamin $B_{12}$/Folate dependent on light exposure during the experiment. In the process, we have compared the results of light exposure/exclusion during the incubation process after the reagent division. The second experiment is about the impact of light exposure on the results on Vitamin $B_{12}$/Folate during the preservation. For 1, 2, 7 days the light on the specimen were wholly blocked and were preserved under $-15^{\circ}C$ temperature refrigeration. Then, we compared the results of light-excluded specimen and the exposed one. Results : When conducting first experiment, there were no noticeable changes in the Standard and specimen's cpm, but for Vitamin $B_{12}$, the average result of specimen exposed to light increased 7.8% compare to that of excluded one's. Furthermore, in the significant level 0.05,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r the p-value was 0.251 which means it has no impact. For Folate, the result being exposed to light decreased 5.4%,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was 0.033 which means it has little impact. For the second preservation, the result was dependent on the light exposure. The first day of preservation of Vitamin $B_{12}$, the clinical material exposed to light was 11.6%, second day clinical material exposed to light was 10.8%, seventh day clinical material exposed to light increased 3.8%,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the $1^{st}$, $2^{nd}$, $7^{th}$ day is 0.372, 0.033, 0.144 respectively, and which indicates that the $1^{st}$ and $7^{th}$ day seems to have no impact. For Folate's case, the clinical material exposed to light has increased 1.4% but hardly had impact, $2^{nd}$ day clinical material being exposed to light was 6.1%, $7^{Th}$ day clinical material being exposed to light decreased 5.2%.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of Folate on the $1^{st}$, $2^{nd}$, $7^{th}$ day is 0.378, 0.037, 0.217 respectively, and the $1^{st}$ day and the $7^{th}$ day seems to have no impact. Conclusion : After scrutinizing the impact of light exposure/exclusion, Vitamin $B_{12}$ has no impact, while Folate seems to have no noticeable influence but light exclusion is recommended due to its significance probability of 0.033 when conducting experiment. During the preservation, the $2^{nd}$ day result depend on the light exclusion seems to have impact or influence. However, to consider the complication of the experimental process, the experiment including technical errors is predictable. Hence, it is likely to have no impact of light. Nevertheless, it is recommendable to exclude the light during the long preservation as per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p-value) of $1^{st}$ and $7^{th}$ day has been diminished.

      • KCI등재

        우리나라 영유아의 발성발달 연구

        김진숙,조은빛,마선미,박연경,윤지은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15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1 ∼ 18 months old pre-linguistic vocal development with production pattern, the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systematical structured rehabilitation program to induce normal vocal development for Korean hearing impaired infants. Thirty normal hearing infants participated in study. At first, this study analyzed early vocal development of 1 ~ 18 months infants to analyze normal hearing normal Korean infants' voc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AEVD-R. They were divided into six age groups, 1 ∼ 2, 3 ∼ 5, 6 ∼ 8, 9 ∼ 12, 13 ∼ 15, 16 ∼ 18 months. The results showed that early vocal development of 1 ~ 18 month infants with normal hearing produced plenty of the lower level vocal productions, such as vegetative sound, crying, quasi-resonant nuclei decreased. But the higher level vocal productions, such as vowels, consonants, and monosyllables increased as they grow. Infants started to produce vowels, /a/(/ㅏ/), /w/(/ㅡ/), /e/(/ㅔ/), from 3 month, /ʌ/(/ㅓ/), /o/(/ㅗ/), /ɛ/(/ㅐ/), /i/(/ㅣ/), /u/(/ㅜ/) at 4 ∼ 5 months, and /wi/(/ㅟ/), /ɸ/(/ㅚ/), /ju/(/ㅠ/), /wʌ/(/ㅝ/), /jo/(/ㅛ/) diphthongs at 16∼18 months. When the consonant produc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lace of articulation, the bilabial sounds, such as /m/(/ㅁ/) and /b/(/ㅂ/) appeared first followed by velar sounds, such as /g/(/ ㄱ/), /m/(/ㅁ/) and labiodental sounds, such as /n/(/ㄴ/) and /d/(/ㄷ/).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early vocal development pattern for normal Korean infants can be sorted. This study and other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SAEVD-R is inadequate to assess and analyze Korean infants' vocal development accurately because it is focused on English mother tongue babys' early vocal development. And it showed slight difference on the order and amount of production for early vocalization. Further, the Korean assessment tool for early vocal development for Korean infants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