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구성민,김진숙,임덕환,이정학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6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2 No.1
청각학(audiology)에 대한 기원은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나 미국에서는 세계 2차 대전 중 전쟁 무기의 고소음의 피폭에 의해 난청과 이명 등으로 고통받는 청각손실자들에게 보청기 처방, 독순법, 청능재활, 언어치료 및 상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미군 청각재활센터에서 Hearing science, 이과학(otology), 언어병리학(speech pathology)등의 접목으로 탄생하였다.6)7)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청각학(audiology)을 Mendel은“정상과 비정상의 청능을 과학적인 분야와 임상적인 분야에서 모두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보고하였다.8) 이러한 청각학(audiology)의 어원을 살펴보면 audio(듣다)와 -logy(학문, 론)의 합성어로 1939년에 audiology, audiologist, audiological이란 단어가 처 음 생성되었고, 1940년에 뉴스에서 쓰이기 시작했으며, 1945년 이후에 대중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Audiology라는 신생어가 누구에 의해서 만들어졌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현재는 청각 및 청력손실, 평형기능과 관련된 전문분야를 대표하는 대중적인 용어이다. 세계 제2차 대전 중 청각손실자들은 미군 재활센터에서의 청력손실에 대한 재활서비스에 만족하였고 청각학의 효과는 상당히 성공적이었다. 그러한 결과가 전쟁 후에는 시민들을 위한 유사한 청각재활센터를 발생하게 하였고 이후 미국 내에서는 청각학이 기존의 hearing science나 이과학 외에도 언어병리학, 소아과학, 노년학, 정신과학, 신경과학, 특수교육학, 심리학, 음향학, 전자공학 등 여러 학문 분야의 복합성을 발판으로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학문으로 발전하였다.1)7)9) 본 논문에서는 미국청각학회(American Academy of Audiology, AAA)의 탄생, 국가공인의 청각전문가 자격인증제, 청각학관련 최신 연구동향을 소개함으로써 미국의 청각학이 독특하고 타학문과 유기적이며 인류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유용한 학문이고 전망이 있는 전문인을 배양하는 산실이 되기까지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박성혜,이동진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5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 No.1
인공와우를 착용한 아동의 청능재활은 언어습득후와 습득전 청력손실을 고려하여야 한다. 언어습득후 청력 손실 아동은 언어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언어발달에 있어 좀 더 신속한 발전을 나타낸다. 따라서 청능훈련 기간이 습득전 청력손실 아동보다 짧다.4) 아동의 언어 발달은 양적으로든 질 적으로든 완전한 언어 체계에 얼마나 오래동안 많이 노출되느냐에 많이 의존한다.5) 초기에 적절한 언어 자극은 발음 획득뿐 아니라, 수용, 표현 언어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인공와우 아동의 청각 재활의 목적은 구어 사용을 통해 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다음 사례들은 인공와우 수술 후 약 5개월간 청각 재활을 통해 아동의 청각 인지 능력이 얼마나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임덕환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8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4 No.1
디지털 신호처리와 관련 산업은 최근 하드웨어의 발전과 더불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거의 모든 주변 분야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영역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청각학의 경우에도 예외가 아니다. 디지털 신 호처리는 청능재활과 청능평가 분야에서 특히 청각검사기나 보청기, 인공와우 등 재활 도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 고 있다.3) 이러한 상황은 당분간 상당 부분 지속될 것으로 예견되며 관련 분야의 전문인들은 해당 기본 원리를 잘 이해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의 근본을 이루고 있는 기본 원리들을 정리 하였다. 우 선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들여서 디지털 신호화 하는 샘플링 부분과 디지털화된 신호에 필요한 처리하는 부분이 포 함된 전체적인 신호처리 과정을 청각학과 연관된 신호처리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1)
서영란,임덕환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7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3 No.2
과학기술의 발달은 보청기나 교육용 기자재 및 교육공학의 발달을 가져옴으로써 청각장애아동의 청각을 통한 음성 언어의 학습인 청각학습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고심도의 난청아동 가운데 최첨단의 고출력 보청기의 적합(fitting)을 통해서도 청각활용이 어려운 아동은 수화언어로 의사소통하기도 하지만, 청각활용을 통한 의사소통을 원할 경우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받게 된다. 인공와우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개별특성은 다양하지만 수술 후에 청능, 구어와 언어 그리고 의사소통 등의 발달에 대해 긍정적인 보고가 있다.10) 수술 후 성공적인 재활치료를 위해서는 언어재활에 앞서 인공와우 이식기에 대한 청능사와 아동이 각 개인의 듣기 프로그램에 맞게 이식기를 조절하는 과정(mapping)
심상익,이정학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5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 No.1
청각손실자에게 적절한 증폭을 통해 의사소통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보청기가 개발된 이래, 지금까지도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는 논제중의 하나는 보청기를 통해 신호 대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개선하는 것이다. 이는 소음상황, 즉 신호대잡음비가 낮은 곳에서 청각장애가 없는 사람에 비해, 청각 장애인은 보청기를 착용 했음에도 불구하고 어음인지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소음속에서 어음 인지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증폭뿐만 아니라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신호대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는 1990년대 후반부에 디지털기술이 보청기에도 적용되면서 다채널 혹은 소음감소기능 등의 여러 가지 기술들이 보청기에 접목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청각보조기구(assistive listening devices, ALDs)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신호대잡음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 중에서 비교적 쉽고 효율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 방향송화기를 들 수 있다. 방송화기는 1960년대 후반에 한 개의 송화기 몸체에 2개의 음구를 설치한 방식이 처음으로 보청기에 도입되었으며, 1970년대부터 미국에서 상품화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방향송화기를 장 착한 보청기는 1980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귓속형(in-the-ear, ITE)보청기의 개발과 선호도가 상승하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에 방향송화기의 기능과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서 보청기 제조사와 청각전문가에게
청각장애 아동의 청각기억 향상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이영미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17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3 No.1
Purpose: As technological progress of the smartphones has been accelerating, the needs of applications (apps)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HI) have been also increasing now in auditory habilitationists and their parents.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mobile apps for improving auditory memory skills of children with HI. Methods: The contents of the apps were developed based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s by the auditory habilitationists. The design model for developing the apps was proposed by the experts of the auditory habilitation and computer sciences. The usability testing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apps’ functions. Results: Six mobile apps were developed through the app-development process including planning, design, and programming.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 showed that the apps were suitable and efficient to improve auditory memory skills for children with HI. Conclusion: The mobile app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improving auditory skills of children with HI in the clinical and home-based setting. This paper provides the process, knowledge, and experiences on developing the mobile app for auditory 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HI.
Scala Tympanic 전극배열 인공와우 시스템에 사용되는 언어처리방식
임덕환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5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 No.1
내이의 유모세포나 그 주위 청신경 경로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기능상의 문제가 있을 경우에 기존의 보청기(hearingaid)로는 청력재활이 사실상 불가능한 경우들이 많다. 이러한 환자의 청력재활에 인공와우(Cochlear Implant) 시스템이 도움을 줄 수가 있다.1). 인공와우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전기자극을 통하여 청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청력재활을 시도하는 방법이다.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음압이 전기신호인 활동전위(action potential)로 변환되어 대뇌로 전달된다는 사실이 이 방법이 가능한 이론적 근거이다.7) 이 인공와우 시스템에서 전기자극에 의한 청각 재활이 가능한 원리 및 그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본 언어처리방식(coding strategy)을 분석하였다.
청각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청각장애 및 청각장애학생과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김찬미,이재희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19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5 No.2
Purpose: Regular students’ lack of knowledge about hearing and hearing loss can adversely impact their attitudes toward hearing loss, hearing care, and inclusion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bout hearing loss on regular students’ awareness of hearing loss and inclusive education with hearing-impaired students. Methods: In total, data of 142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 90-minute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bout hearing loss was implemented one time. The program included both understanding-based and activity-based educations. For the understanding-based education, information about the normal hearing mechanism, the causes and risks of hearing loss, and the prevention of hearing loss were given. Also, some famous deaf people who overcame their hearing loss were introduced, and group discussion and presentation were conducted. For the activity-based education, the activities of simulated listening with hearing loss and of wearing hearing aids were given. Results: The regular students’ awareness of hearing loss and hearing care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one-time educational session, regardless of the grad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regular students report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with hearing-impaired students and agreed that the regular students would promote the communication and listening skills of hearing-impaired students. Among various activities, the activities of group discussion and presentation were the most favored. Conclusion: A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bout hearing loss enhanced the awareness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risks and prevention of hearing loss, the importance of hearing health and care. The disability-awareness program also appeared to be positive on the regular students’ accepting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with hearing-impaired students. It indicates a need for more systematic and structured disability-awareness programs on hearing loss and hearing care in the future.
송욱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6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2 No.1
청각학을 간단하게 정의하자면 난청으로부터 발생되는 청각 장애를 학문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청각 기능의 평가, 증폭기기 그리고 청각재활을 임상을 통해서 제공하는 학문이다. 청각학의 태동은 역사적 배경과 주변 학문과의 연관성에 따라서 각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발전해 왔다. 여타의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청각학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며, 청각학을 전공한 audiologist가 무엇을 하는 전문가인지 생소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 각 나라마다 청각학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소 학위 수준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audiologist의 업무나 직능 범위에 있어서도 나라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청각학을 이수할 수 있는 학부와 대학원 그리고 박사 과정이 있기는 하지만 보다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학문적, 제도적 그리고 업무 시스템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있다. 이 글에서는 청각학 분야에서 상당한 연구와 성과를 보이고 있는 호주와 지리적으로 미국과 근접해 있지만 학문적, 임상적으로 조금 성향이 다른 캐나다 그리고 개발도상국이 많이 속해있는 남미와 중미에 대해서 각 나라 대학의 청각학 프로그램과 어떠한 양상으로 청각학이 태동하고 발전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배진애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7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3 No.1
청각장애인은 정상적인 신경학 체계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청부모의 선택에 의해 언어적 사고 능력을 습득하지 못한 체 성인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건청인이 자연스럽게 모국어를 습득하는 것과는 달리, 청각장애인의 경우에는 대부분 부모와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부모의 말을 모방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부모의 선택에 따라 언어의 입력 환경이 달라질 수 있다. 가정은 아동이 언어를 습득하 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청각장애인의 경우 특히 부모와의 언어 상호작용은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간주된다. 부모의 지나친 욕심으로 청각장애인의 상황을 무시한 채 언어 습득을 압박함으로서 청각장애인에게 위축감, 의사소통에 대한 불안감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그 결과 대화를 회피하고, 열등감과 고립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청각장애인은 언어습득시 정상인보다 교육적 환경의 영향을 더 받는다. 그래서 구화지도를 위해서는 조기교육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청각장애인은 대부분 조음장애를 보이므로 구화에 대한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