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원 정책의 발전 방안 연구: 유사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민수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이 연구는 국어기본법과 유사 제도의 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어기본법의 한국어교원 관련 규정이 개선해야 할 점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원 정책을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국가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한국어교원을 양성하여 임용하 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신장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선 행 연구 등을 토대로 한국어교원 정책을 1) 임용 전의 양성 정책, 2) 임용을 위한 자격 인증과 임용 인원 조절, 3) 임용 이후의 재교육 및 처우 정책으로 나누었다. 한국어 교육은 사회 여러 계층에 한국어 교육 학습자들이 분포하고, 적용 대상이 외국 인이라는 특성도 지니고 있다. 또한 향후 다문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국민교육의 영역 과 겹치는 부분이 더 늘어날 여지도 있다. 한국어 교육의 대상이 광범위하다는 것은 그 정책의 대상이 넓고 여러 법과 연관된다는 뜻이다. 대학 부설 어학당의 경우 고등교육 법과 관련이 되고,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가르치는 교원은 초,중등교육법과 무관 하지 않다.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과정 강사나, 다문화 가정 대상 한국어 방문지도사 등은 일정 부분 평생교육사와 유사한 성격도 지닌다. 이 점에 유의하여,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서 교원 정책의 세 범주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 는지 검토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유사 제도의 교원 정책에 비하여 국어기본법에는 교원의 자격 인증 이후 임용 정책과 임용 이후의 후속 정책이 다소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 대로 이 연구에서는 주로 자격을 갖춘 한국어교원의 임용과 이후의 처우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어교원들은 미시적으로는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자이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그 위 치가 차지하는 정책적 의의가 적지 않다. 한국어교원은 그 소속 기관과 분야에 따라 다 문화사회로 돌입한 한국의 사회 통합과 안정화에 기여하고, 유학생의 유학생활을 성공 을 이끌 수 있는 집단이다.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과 전문성 향상, 그로 인한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은 한국의 이주민 정책과 유학생 정책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이다.

      • KCI등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에 관한 일고찰

        전한성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2

        Purpose: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to redefine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on a realistic level.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First, how to set up the concept and category of overseas Koreans who are subjec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set category, the current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is whether it is reasonable or not. Based on these problems, we explored the direction of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Results: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conclusion is that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overlooked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and the special nature of overseas Koreans as it only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national identity. Conclusion: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Through th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we should restore the bond between family and minority communities and have an integrated eye to become the main agent of creative mixed culture production. 목적:이 연구는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 차원에서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재정립하는 데 있다. 방법:이를 위해 두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한국어교육의 학습 대상인 재외동포의 개념과 범주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이다. 둘째, 설정된 범주를 근거로 할 때 현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타당한가이다.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결과:현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민족정체성 형성과 유지에 중점을 둔 나머지 한국사회의 현실과 재외동포의 특수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본고에서는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재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계승어로서 한국어교육의 실천을 통해 가족 및 소수공동체의 유대감을 회복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사회의 분단 및 다문화 현실과 재외동포의 민족적 시각을 아울러 이해하고 나아가 거주국의 사회구성원으로서 창의적인 혼종문화 생산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안목을 갖추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교육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 KCI등재

        외국 대학과 한국 대학의 한국어교육 전공 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김재욱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certified Korean language teachers. Thus, the curriculum may have problem in that it is not fit with the curriculums offered in foreign countries because their goals ar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fered in the foreign colleges and to provide the basis for designing an ide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undergraduate level. For this,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s of foreign colleges are analyzed, 20 of Japan and 29 of China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Kim(2009) which examined 17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while the curriculums of Korea colleges focus on Korean linguistics and pedagogy in order to standardize the fundamental law for the Korean language, the curriculums of Japan focus on linguistic contrast and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and the curriculums of China do Korean linguistics and development of Korean proficiency. This research may be helpful to Korean instructors who plan to teach in Japan and China because it provides them with trends in both countries 한국어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은 국내에서의 한국어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과는 다른 목표로 마련된 해외 한국어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과는 맞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국내 대학의 한국어교육학과와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의 교육과정을 조사ㆍ분석하여 한국어교육학과의 이상적인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토대로 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김재욱(2009)에서의 한국 내 17개 학과의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일본 내 20개, 중국 내 29개의 한국어 전공 학과 교육과정을 수집하여 조사ㆍ분석하였다. 국가별로 그 특성을 비교하여 보면 한국 내의 교육과정이 국어기본법의 기준에 맞춰져 있어서 한국어학 및 한국어교육학에 초점이 놓여 있다면 일본 내에서는 언어학적인 대조 및 한국어 능력 향상에 초점을 놓고 있고, 중국 내에서의 교육과정은 한국어 능력 향상 및 한국어학에 초점을 놓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의 내용은 향후 일본 및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을 하려고 하는 예비 교사에게 그 경향을 알 수 있는 데 도움을 주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각 국가별로 한국어학과에서 어떠한 교과목을 중요시하고 있고, 또 어떠한 교과목이 부족한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한국어교육학과의 표준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 연구

        이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KS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troduc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for those who teach Korean to KSL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the c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rograms in the non-curricular course, and the cases of the KSL Korean education-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type, and operation cases of a ‘Korean class’, and mainly talks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Korean teachers. This is to inform the need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ility of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o take charge of Korean classes. This paper introduces the educational cases discussed as part of the intention to contemplate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for teachers at a time when Korean language class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을 논하고 KSL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 교육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에서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한국어교육강좌의 운영 현황 및 비교과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 사례, 그리고KSL 한국어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KSL 한국어교육의 현황의 경우,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급’의 개념과 유형, 운영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러한 ‘한국어 학급’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운영방법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학교에 파견되어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강사 외에도 현직 초중등고등학교의 교사가 한국어 학급을 맡아 학급을 운영하고한국어를 가르치게 되는 사례가 늘면서, 현직 교사의 한국어교육 능력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음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본고는 한국어 학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현직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의도의일환으로 본고에 논한 교육 사례를 소개하게 되었다.

      • KCI등재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의 한국문학 교수 방안 - 헝가리 엘테대학교를 중심으로

        유홍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1

        Discussion abou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nimated. Though, lots of researchers active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literature education, using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attach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various. Generally, those are mainly how to use literature for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Most discussions about those are focused on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Korean language at the language institute in Korea. Now, the students who wants to learn Korean language are gradually increasing. Specially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the Korean department at oversea's universitie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spread Koreanology in the future. Therefore, there is a enough reason to include the discussion about oversea's Korean department 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hope to active discussion about various literature teaching method of oversea's Korean department, this article try to show the course of Korean literature, which the writer did at ELTE University of Hungary.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학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문학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 동의하는 편이지만, 문학교육을 한국어교육과 연관지어 활용하는 방법론에 대해서는 더욱 진전된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문학작품을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을 위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들은 대부분 국내의 언어연수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미래의 한국학 전파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도 한국어교육의 범위 안으로 적극 포함해서 논의를 진행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헝가리 엘테대학교의 한국어학과에서 필자가 담당했던 한국문학 강의의 실제를 보임으로써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학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으면 한다.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는 현지의 실정에 맞추어 문학 강의를 영어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고는 이러한 경우도 강의 언어보다는 강의 내용 전달에 중심을 두어 광의의 한국어교육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해외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문학 강의의 의의를 문화교육과 문학을 위한 문학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찾아보았다.

      • KCI등재후보

        지역 문화를 활용한 단기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최종숙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20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문화를 활용하여 단기 체류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 체험을 중심으로 이에 필요한 한국어를 교육하는 단기 한국어교육 과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는 COVID 19 이후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의 수가 이전의 유학을 목적으로 하는 수요보다 단기로 한국을 즐기고 싶어하는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을 반영하여 이들에게 맞는 한국어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외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단기 한국어교육 과정의 내용과 시간에 대한 의견과 학습 주제와 체험 활동에 대한 의견, 원하는 기대 효과, 그리고 방문하고 싶은 지역과 이유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동 지역의 전통과 생활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단기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 체험 현장과 상황에 중점을 두고 활용 가능한 한국어 수업을 설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를 활용한 단기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함으로써 지역 문화 체험 중심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short-term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t teaches the Korean language necessary for short-term foreigners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using local culture. This is to design a Korean language program suitable for them, reflecting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visiting Korea after COVID-19 and the demand to enjoy Korea in the short term than the previous demand for studying abroa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oreigners residing abroad. The survey investigated the content and time of the short-term Korean language curriculum, opinions on the subject of learning and experience activities, desired expected effects, and the region and reason you want to visi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 short-term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traditions and living culture of Andong was presented. This education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designed Korean language classes that can be used with an emphasis on the cultural experience field and situation, and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local cultural experiences by designing a short-term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using local culture

      • KCI등재

        한국어교육 연구의 균형화와 전문화를 위하여

        최정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2

        This paper covers a few points to consider teaching methods to fit the conference topics and handles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diagnosi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upon the premis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 part of ‘Education’, it should be focused to consider not only ‘teaching and learning of function’ but ‘educational value’, ‘directing point’ Also Based upon the premise to be used Korean in various situations (daily life, occupation/work, cultural exchange, etc.) It suggests that the discussion about the future of Korean education methodology should be a little more comprehensive, value-oriented direction of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qualitative aspects is also important. So It takes a look at some search and status for the subjects and suggest for solving the deriving problem. Firstly, the overall review is needed for Korean teacher's expertise to complement the curriculum, and for ensuring the coordination of the Korean teacher qualifications and conditions or procedures for the issuance of ratings. Secondly, presents a side effect of Korean education due to examination-oriented curriculum and offers a complementary and normalization of classroom education. Thirdly, suggests the need for balanced, specialized and creative research, saying some of features for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trends. 본고는 학술대회 주제에 맞게 한국어교육에서의 교수법에 대한 몇 가지 생각해 볼 점과 한국어교육 전반의 진단 및 발전을 위한 제언을 다루었다. 한국어교육도 ‘교육’의 한 부분임을 전제로 ‘기능의 교수 및 학습’에만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교육이 가져야 할 가치, 지향점’ 등에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리고 아울러 한국어를 사용하게 되는 다양한 상황(일상 생활, 직업/직장, 문화교류 등)을 전제하면서 미래의 한국어교육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좀 더 포괄적이며 가치지향적인 방향으로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다른 한 편으로는 한국어교육의 양적인 발전을 바라보면서 질적인 측면에서의 발전 또한 중요하므로 이것을 위해 우리가 살펴봐야 할 몇 가지 대상들에 대해 현황을 살피고 진단을 하면서 도출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했다. 첫째는 한국어교원의 전문성을 확보를 위한 교육과정의 조정과 보완,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한국어교원 자격증의 발급 조건이나 절차에서의 보완과 등급의 조정을 위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제언했고, 둘째로는 시험 위주의 교육과정 운영으로 인한 한국어교육 현장의 부작용을 제시하고 보완 및 교실 교육의 정상화를 제안하였다. 셋째로는 한국어교육 연구 경향에 대한 몇 가지 특징을 보이면서 균형 있는 연구, 전문화된 연구, 창의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사례를 통해 본 해외 한국 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 방안 : Focus on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

        김창원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28 No.-

        이 연구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해외 한국학교 국어교육의 지향과 현황을 알아보고.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를 위하여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자료, 평가 자료를 분석하고, 교장과 교사, 학생 및 학부모를 면담하였으며, 정규 초등학교와 토요학교의 국어 및 다른 교과 수업을 관찰하였다.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대사관과 한인회의 관련자와 면담하였으며, 싱가포르 일본인학교 및 호치민과 상해, 자카르타의 한국(국제)학교 자료도 참고하였다. 기초 조사 결과 싱가포르 한국학교는 국적 교육과 현지 적용 교육, 문서로서의 제7차 교육과정과 현지화 한 학교 교육과정, 한국학교 자체의 완결된 교육 시스템과 현지 학교 및 국제 학교와 연결된 교육시스템 사이의 긴장 관계속에서 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긴장은 영어ㆍ중국어 중심의 생활 언어의 압박, 학교의 언어 환경과 학교 밖의 언어 환경의 차이, 중학교를 국내/현지 중 어디로 진학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로 인해 더욱 첨예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국어교육의 방향이나 교수법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국어교육 방법에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방법에 이르기까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접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해외 한국학교의 국어교육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문제로서, 일거에 해결하기보다는 기초 여건을 개선하고 학부모의 인식을 제고하면서 조금씩 해결해나가야 하는 문제다. 이 연구에서는 그와 관련하여 해외 한국학교용 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한국학교 지원센터 설치를 제안했거니와, 그에 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과물들을 이끌어낼 때 의도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학교를 위하여 정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해설본을 만드는 일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한 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좁게는 싱가포르 한국학교의 국어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넓게는 재외 동포를 위한 국어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I, in this article, intended to research the present condition and efficient methods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t overdseas Korean schools through the case of 'Singapore Korean school(SKS)',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s about the topic, I analyzed the curriculum, textbooks, and evaluation data of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and interviewed the principal and teacher, students and parents. I observed the classes of primary school and Saturday Korean school, too. And I tried compare the SKS's case to 'Singapore Japanese School' an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f Shang Hai, Ho Chimin City, and JaKarta. According to the collected informations, I know that Korean language teaching of SKS has some conflicts between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localized education to Singapor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MOE and SKS's Singapore oriented school curriculum, and Singapore's educational system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that SKS based on. Moreover, the problem is getting worse by influences of English and Chinese used in Singapore, difference of language using enviroment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and confusion of the choice to secondary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needs that reform the fundamental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changing of parents' consciousness about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Program for Overseas Korean Schools" and establishing the "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Oversea Korean school". Especially, I emphasiz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 "Adapted Korean Language Texbooks for Overseas Korean School."

      • KCI등재후보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김지혜,심상민,윤경원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2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