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원 정책의 발전 방안 연구: 유사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민수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
이 연구는 국어기본법과 유사 제도의 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국어기본법의 한국어교원 관련 규정이 개선해야 할 점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원 정책을 ‘한국어 교육에 관련된 국가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한국어교원을 양성하여 임용하 고, 그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신장하도록 지원하는 정책’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선 행 연구 등을 토대로 한국어교원 정책을 1) 임용 전의 양성 정책, 2) 임용을 위한 자격 인증과 임용 인원 조절, 3) 임용 이후의 재교육 및 처우 정책으로 나누었다. 한국어 교육은 사회 여러 계층에 한국어 교육 학습자들이 분포하고, 적용 대상이 외국 인이라는 특성도 지니고 있다. 또한 향후 다문화 사회의 진전에 따라 국민교육의 영역 과 겹치는 부분이 더 늘어날 여지도 있다. 한국어 교육의 대상이 광범위하다는 것은 그 정책의 대상이 넓고 여러 법과 연관된다는 뜻이다. 대학 부설 어학당의 경우 고등교육 법과 관련이 되고, 학령기 다문화 가정 자녀들을 가르치는 교원은 초,중등교육법과 무관 하지 않다.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어 과정 강사나, 다문화 가정 대상 한국어 방문지도사 등은 일정 부분 평생교육사와 유사한 성격도 지닌다. 이 점에 유의하여,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교육법, 고등교육법, 평생교육법에서 교원 정책의 세 범주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 는지 검토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유사 제도의 교원 정책에 비하여 국어기본법에는 교원의 자격 인증 이후 임용 정책과 임용 이후의 후속 정책이 다소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 대로 이 연구에서는 주로 자격을 갖춘 한국어교원의 임용과 이후의 처우에 대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한국어교원들은 미시적으로는 학생을 가르치는 교육자이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그 위 치가 차지하는 정책적 의의가 적지 않다. 한국어교원은 그 소속 기관과 분야에 따라 다 문화사회로 돌입한 한국의 사회 통합과 안정화에 기여하고, 유학생의 유학생활을 성공 을 이끌 수 있는 집단이다. 한국어교원의 처우 개선과 전문성 향상, 그로 인한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 등은 한국의 이주민 정책과 유학생 정책의 성공으로 이어질 것이다.
정명숙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2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여성결혼이민자나 외국인 근로자, 새터민 등의 이주 외국인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새로운 한국어 학습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어 교육의 개념도 기존의 ‘재외동포 및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에서 벗어나 새롭게 변모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은 한국어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지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고,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에게 고민을 던져 주고 있는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다문화가정 구성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시대가 요구하는 ‘한국어교육’의 정의가 무엇이며, 향후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방향과 한국어교육 연구자들의 당면 과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As Korean society evolve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previously extrinsic elements such as migrant workers, migrant spouse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ven North Korean defectors becoming new Korean learners within the nation's borders, so has evolved the concep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previously had existed as just teaching Korean language to overseas Koreans and foreign students. In this process, Korean language researchers can't help but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a fundamental question like ‘what i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ries to search for an answer. In order to look for the answer, this paper looks into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ducted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and how Korean education study is going on fo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Based on this, this paper tries to suggest a defin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d for this multicultural context, as well as a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and tasks required of Korean education researchers within this multicultural context.
최종숙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3 한국어교육연구 Vol.- No.20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 문화를 활용하여 단기 체류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 문화 체험을 중심으로 이에 필요한 한국어를 교육하는 단기 한국어교육 과정을 설계하는 것이다. 이는 COVID 19 이후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의 수가 이전의 유학을 목적으로 하는 수요보다 단기로 한국을 즐기고 싶어하는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을 반영하여 이들에게 맞는 한국어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외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단기 한국어교육 과정의 내용과 시간에 대한 의견과 학습 주제와 체험 활동에 대한 의견, 원하는 기대 효과, 그리고 방문하고 싶은 지역과 이유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동 지역의 전통과 생활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단기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문화 체험 현장과 상황에 중점을 두고 활용 가능한 한국어 수업을 설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를 활용한 단기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함으로써 지역 문화 체험 중심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short-term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t teaches the Korean language necessary for short-term foreigners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using local culture. This is to design a Korean language program suitable for them, reflecting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visiting Korea after COVID-19 and the demand to enjoy Korea in the short term than the previous demand for studying abroa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oreigners residing abroad. The survey investigated the content and time of the short-term Korean language curriculum, opinions on the subject of learning and experience activities, desired expected effects, and the region and reason you want to visi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 short-term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traditions and living culture of Andong was presented. This education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designed Korean language classes that can be used with an emphasis on the cultural experience field and situation, and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centered on local cultural experiences by designing a short-term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using local culture
이임라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에서 광고를 어떻게 이용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광고 중에서 웹사이트 광고를 한국어교육과 한국문화교육 통합 수업에 활용하여 바람직한 수업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본고의 목적이 있다. 웹사이트 광고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기 쉽고 자료에 접근하기 쉬우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매체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실제 수업 모형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학습 목표와 학습 효과에 부합하는 광고를 선정해야 하고,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목표 어휘 및 문법을 선별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의 문화적 배경에 대해서 미리 알아두어 학습자의 문화에 대한 배려를 해야 성공적인 한국어문화교육이 가능하다. This study is about one of teaching methods which utilize internet website advertisement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t aims to seek an instructional model for an integrated clas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ternet advertisement is one of the most accessible media where two-way communication is possible, and it also helps arouse interest of the learners. However, it is critical to select advertisements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aims of the lesson and learning effect, and select suitable target vocabularies and grammers based on learners' levels when designing an actual class. Moreover, teachers must be aware of the background of learners so that they can be more considerate of different cultures, and then successful Korean cultural education is possible.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의 한국문학 교수 방안 - 헝가리 엘테대학교를 중심으로
유홍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1
Discussion abou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nimated. Though, lots of researchers active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literature education, using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attach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various. Generally, those are mainly how to use literature for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e education. Most discussions about those are focused on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Korean language at the language institute in Korea. Now, the students who wants to learn Korean language are gradually increasing. Specially the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the Korean department at oversea's universitie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spread Koreanology in the future. Therefore, there is a enough reason to include the discussion about oversea's Korean department 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hope to active discussion about various literature teaching method of oversea's Korean department, this article try to show the course of Korean literature, which the writer did at ELTE University of Hungary.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문학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문학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 동의하는 편이지만, 문학교육을 한국어교육과 연관지어 활용하는 방법론에 대해서는 더욱 진전된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지금까지는 대체적으로 문학작품을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을 위해서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이러한 논의들은 대부분 국내의 언어연수기관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는 한국어를 배우려는 학생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미래의 한국학 전파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 이루어지는 교육도 한국어교육의 범위 안으로 적극 포함해서 논의를 진행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헝가리 엘테대학교의 한국어학과에서 필자가 담당했던 한국문학 강의의 실제를 보임으로써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학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으면 한다.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과에서는 현지의 실정에 맞추어 문학 강의를 영어로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본고는 이러한 경우도 강의 언어보다는 강의 내용 전달에 중심을 두어 광의의 한국어교육에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해외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문학 강의의 의의를 문화교육과 문학을 위한 문학교육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찾아보았다.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 연구
이준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KS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troduce examples of teacher education for those who teach Korean to KSL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f ‘A Universit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the ca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rograms in the non-curricular course, and the cases of the KSL Korean education-related teacher training programs.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KS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concept, type, and operation cases of a ‘Korean class’, and mainly talks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Korean teachers. This is to inform the need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bility of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ho take charge of Korean classes. This paper introduces the educational cases discussed as part of the intention to contemplate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for teachers at a time when Korean language class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KSL 교육의 현황과 필요성을 논하고 KSL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을 위한 교사 교육의 사례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 교육대학교’의 학부와 대학원에서의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한국어교육강좌의 운영 현황 및 비교과과정에서의 한국어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 사례, 그리고KSL 한국어교육 관련 연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집중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KSL 한국어교육의 현황의 경우, 본고에서는 ‘한국어 학급’의 개념과 유형, 운영 사례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러한 ‘한국어 학급’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의 운영방법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였는데, 이는 학교에 파견되어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어 강사 외에도 현직 초중등고등학교의 교사가 한국어 학급을 맡아 학급을 운영하고한국어를 가르치게 되는 사례가 늘면서, 현직 교사의 한국어교육 능력 개발이 필요해지고 있음을 알리기 위함입니다. 본고는 한국어 학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현직 교사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해 보고자 하는 의도의일환으로 본고에 논한 교육 사례를 소개하게 되었다.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4년제 대학의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허세립,이인순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7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have been established between China and Korea, many Korean enterprises enter China. And the ‘hallyu(Korean wave)’ is very popular in China recently. In terms of these, there has been a remarkable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of China. To the author's knowledge, about 252 universities of China have Korean major. Lots of studies have discussed about the Korean education. As the time went by,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not able to reflect the status quo of Korean education accurately because of the limited information. This paper is about researching the issues in Korean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of China. The first part is about the distribution of Korean major and the prospects of the expansion of Korean major in the universities of China. The second part present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design, the problems of curriculum design and its solutions. The last part discusses the distribution of Korean studies research institutes and their present study trend. There are some problems caused by unconventional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 in China. However, some significant progresses have been made in this area in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void holding simple views of problems and approving the achievement had been made. Also building up a positive attitude to solve the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is important. 중한 수교와 한국기업의 대거 중국 진출, 한류 열풍 등의 영향으로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규모는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해왔다. 필자의 통계에 의하면 현재 중국 내 252개 대학에 4년제 혹은 3년제의 한국어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적지 않은 연구논문들이 중국대학의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해 논의해 왔지만 기존에 발표된 통계수치들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한국어교육의 상황을 정확히 반영하는 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와 필자의 통계를 바탕으로, 첫째, 현재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 분포 현황과 한국어학과의 양적 확장에 대한 소견. 둘째, 현재 중국대학 한국어학과의 교과과정 현황과 교과목 배정에 존재하는 문제점. 셋째, 중국대학의 한국학 관련 연구기관의 분포 현황과 연구 동향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중국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그간의 ‘과속’ 성장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양과 질적인 측면에서 거둔 성과 또한 충분히 인정해야 할 부분이기에 긍정적인 안목과 자세로 현존하는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 : 교육과정,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창구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2 한국어문화교육 Vol.6 No.2
이글에서는 일본 대학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교육과정과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미래를 전망한다. 주지하듯, 이른바 ‘한류붐’과 2002년 한일월드컵을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해왔다. 일본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10여년전인 2005년 国際文化フォーラム을 통해 대대적으로 실시된 바가 있으나, 최근에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번 조사의 결과, <전공한국어> 과정은 현재 약 23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양한국어> 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대학도 전체 대학의 50% 이상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담당교원은 모어별로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교원이 일본어 모어화자 교원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공별로는 일본어 및 일본문학 관련 전공자가, 임용 형태별로는 전임강사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십년 전의 그것과 다를 바 없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목적도 ‘여행’이나 ‘단위 취득’을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교육과정도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교원의 수도 부족하며, 학습자의 학습 동기도 높지 않다. 따라서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이론에 기반한 실천 연구를 통해 그 성과들을 축적하고, 그것을 한국어교육 현장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교육의 실제와 접목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to look into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s universities, focusing on curriculum, teachers and students, and to prospect to it’s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Thanks for 2002 FIFA Worldcup Korea/Japan’s success, Korean language in Japan brought to remarkable growth. Since the large-scale survey on the conditio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Japan had carried out in 2005 by THE JAPAN FORUM, no survey has conducted. According to this time’s survey, ‘Korean as major course’ has been set up in 23 universities, ‘Korean as general course’ in over the 50% of universities. As for ‘Korean teachers’, more than half was occupied by the native teachers. As for ‘Major’ concerned, the teachers who majored in Japanese language or Japan studies occupied more than the ones majored Korean studies(inclu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students’ motivation, they had extremely low motivation to learning Korean, along with the results of 10 years before. Here, I concluded that the curriculum is not established systematically yet, is insufficient in teachers who majored KFL, and the students’ motivation to language learning is too low. SO I suggested here that more Korean researchers have to do a classroom-based research extensively, thoroughly, based on theory, and have to accumulate the results, and then to apply them to the field.
전한성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2
Purpose: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and to redefine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on a realistic level.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First, how to set up the concept and category of overseas Koreans who are subject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based on the set category, the current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is whether it is reasonable or not. Based on these problems, we explored the direction of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Results: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conclusion is that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overlooked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and the special nature of overseas Koreans as it only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national identity. Conclusion: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Through th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we should restore the bond between family and minority communities and have an integrated eye to become the main agent of creative mixed culture production. 목적:이 연구는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 차원에서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재정립하는 데 있다. 방법:이를 위해 두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한국어교육의 학습 대상인 재외동포의 개념과 범주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이다. 둘째, 설정된 범주를 근거로 할 때 현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타당한가이다.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결과:현재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은 민족정체성 형성과 유지에 중점을 둔 나머지 한국사회의 현실과 재외동포의 특수성을 간과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본고에서는 재외동포 한국어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재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하나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계승어로서 한국어교육의 실천을 통해 가족 및 소수공동체의 유대감을 회복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사회의 분단 및 다문화 현실과 재외동포의 민족적 시각을 아울러 이해하고 나아가 거주국의 사회구성원으로서 창의적인 혼종문화 생산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 안목을 갖추는 것이다.
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김지혜,심상민,윤경원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22 한국어문화교육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의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봉사단원들의 요구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KOICA는 연간 200명 이상의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개발도상국으로 파견하여 국외에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보급하고 있다. 봉사단원의 자격이기는 하나, 한국어 교사로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봉사단원은 국내에서의 한국어교육 경험이 부족하고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활동 종료 후 경력을 잘 이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봉사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자로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과 봉사단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32명의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을 대상으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및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이카 한국어교육 봉사단원이 전문성을 제고하여 경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첫째, 시대적 변화에 맞는 온라인 환경에서의 한국어 교수 역량을 강화하고, 둘째,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익히고, 셋째, 현지 학습자의요구와 상황에따라 유연하게 교육과정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어야 하며, 넷째,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고용허가제 한국어능력시험(EPS-TOPIK) 등에 대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수업 운영 능력이 있어야 함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로서 자신의 향후 진로에 대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