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지역 대형 조경수 서울 이식에 따른 탄소 배출 연구

        최유,안동만,이재원,Choi, Yoo,Ahn, Tong-Mahn,Lee, Jae-Won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4

        국내 건설시장은 경쟁사보다 더 나은 조경 환경을 제공하여 소비자를 유치하려 하고, 그래서 대형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이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 주로 행해지는 이식 사례로 수령 30년, 흉고직경 35cm인 강원지역 소나무를 223km 떨어진 서울로 이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해당 사례 이식 과정 탄소배출량과 수목을 생산지에 그대로 둘 경우 일생 탄소저장량(50년 가정)을 추산하고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30년생 강원지역 소나무 1그루를 이식하지 않을 경우, 50년을 살면서 저장할 탄소량은 약 90kgC/그루였다. 둘째, 이식 과정 장비 및 인력 탄소배출량은 약 113.69kgC/그루로, 여생 동안 탄소저장량보다 약 1.26배 많게 나타났다. 댐이나 도로 건설현장 같은 곳 대형목을 인근으로 이식하는 경우는 불가피하다 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대형목 이식은 환경을 저해할 수 있다.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대형목 이식을 금하는 정책과 규제가 필요하다. 조경 전문가는 긴 안목으로 작은 조경수를 심어 키우는 '시간의 조경'을 주도하고, 소비자 인식을 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야 하겠다. Korean housing developers are in a very competitive market and their way of attracting buyers is landscaping better than competing firms do. Thus, transplanting larger pine trees(Pinus densiflora S. et. Z.) is in vogue. A typical case is a pine tree about 30-year old, 35 diameters at breast height, transplanted 223 km afar from the Gangwon Province to Seoul. We estimated and compared carbon emissions during the whole transplanting works, and carbon intake by the tree if it survives 50 more years on site. Findings are; first, a large tree will take up and sequestrate approximately 90 kgC if it survives 50 more years. Second, transplanting works emit approximately 113.69 kgC, which is about 1.26 times of its possible future intake of carbon. Landscaping is a legal requirement for the purposes not only of aesthetics but also of environmental quality. Transplanting larger trees that came from a dam or a road building site may be inevitable and acceptable. However, transplanting larger trees long distance was evaluated to be harmful to the environment.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prohibit transplanting large trees. Landscape professionals need to guide clients to have desirable consumer attitude.

      • KCI등재후보

        제주예멘난민 이후 「난민법」 개정안의 입법동향에 관한 연구

        최유 한국이민정책학회 2022 한국이민정책학회보 Vol.5 No.1

        2018년 제주예멘난민은 우연히 일어난 사건이지만 우리 난민제도와 「난민법」 개선을 고려해 볼 수 있는 계기 가 되었다. 그러나 2018년 이후 난민의 유입과 심사제도가 오히려 강화되면서 한국으로의 난민유입은 더 적어 졌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면 한국의 난민제도는 사실상 난민유입을 위한 절차라기보다는 난민유입을 통제하 려는 제도로서 기능한다. 2018년 제주예멘난민 당시에 국회에 10건의 법률안이 제출되었다. 일부 법률안은 난 민제도를 폐지하는 내용이었으며, 여러 법률안은 출입국항에서의 난민불회부 결정을 강화하려는 내용을 담고 있 었다. 이러한 입법경향은 난민제도에 대한 민주주의적 논의가 오히려 부정적인 담론에 영향을 받는 모습을 보여 준다. 이에 반대지점에 있는 인도주의적 관점에 따른 법률안도 있었지만, 국회에서의 논의는 난민제도 개선을 위 하여 어떠한 결론도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즉, 그 당시 국회는 「난민법」 개정안을 통한 난민담론의 조성과 국민 적 합의를 만들어내지 못하였다. 이후 법무부 개정안을 통하여 「난민법」 개정안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제도개선 안이 제안되었지만, 이러한 법률안도 실제 개정안으로 이어지지는 못하였다. 제주예멘난민은 한국이 국제사회의 난민레짐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고려해 볼 기회를 제공하였지만, 성숙한 제도적 논의와 결론을 내지 못한 채, 일 회성 사건으로 잊혀 가고 있다. 국제사회에서의 한국의 역할 및 난민제도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In 2018, Jeju Yemen refugees happened accidentally, but it was an opportunity to consider improving our refugee system and refugee law. However, as the refugee screening system has been strengthened since 2018, the inflow of refugees into Korea has decreased. Korea's refugee system actually functions as a system to control the influx of refugees rather than as a procedure for the influx of refugees. In 2018, 10 bills were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during the Jeju Yemeni refugee period. Some bills included abolishing the refugee system, and several bills aimed at strengthening the decision to boycott refugees at immigration ports. This legislative trend shows that democratic discussions on the refugee system are rather affected by negative discourse. There was also a humanitarian bill against this, but the National Assembly failed to draw conclusions on improving the refugee system. In other words, discourse and public consensus were not creat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Refugee Act in the National Assembly. Later, a more reasonable system improvement plan for the refugee law revision was propos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Ministry of Justice, but such a bill did not lead to an actual revision. Jeju Yemen refugees have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sider what role Korea will play in international refugee camps, but are being forgotten without reaching a mature institutional conclusion. More research is needed on Korea's rol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refugee system.

      • KCI등재

        입장권재판매 규제법제의 현황과 입법정책적 검토

        최유,권채리,석호영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gulatory measures for the ticket resale, which has recently become the social issue, through the analyzation of the legal systems and the amendments in Korea and the comparative legal review. Recently, the issue of the ticket touting that is the action of selling the ticket such as performances, sports tickets, etc. higher than its regular price is frequently reported in the media.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the recent ticket transactions online,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public to purchase the tickets due to the fact that the large size of purchases are often made online using the macro program. However, the online ticket resale, in fact, is on the blind spot of the law because the crackdown is only possible on the spot under the Misdemeanor Punishment Act in the current legal system. Thus, under the recognition of such issue, the revisions to the acts such as the Public Performance Act, the Misdemeanor Punishment Act,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t and the Electronic Commerce Act, which regulate the ticket resale using the macro program, are actively proposed, but those are still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In advance of regulating the online ticket sales,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the legal basis including a definition of the macro program and to define the range of illegality of the macro program, but, in consideration of the proposed amendments so far, this matter does not seem to be fully reflected in the amendments. The recent trend regarding the ticket resale in the U.S., Canada, England, and France shows that the purchase or resale by using an indirect method like the macro program is regulated as illegal actions, and those countries regulate the ticket touting after preparing the related regulations under the related individual acts. At the same time, the examples in the U.S. show that it is also important to have not only the authority to dispose but also the authority to crackdown in order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the related regulations. Accordingly, if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ticket sales are established in the Public Performance Act and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such problems are expected to arise.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ticket resale is likely to happen often in the business of public performance, it is also true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establish the regulation related to the ticket resale in the Public Performance Act because it does not only happen in the business of public performance. Thus, it seems to be more appropriate and effective to regulate the online ticket resale being done in the various field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by the offline regulations under the Misdemeanor Punishment Act and the online regulations unde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Act.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 문제로까지 대두한 입장권 재판매와 관련하여 국내의 법체계 및 개정안을 분석하고 비교법적 검토를 통해 규제입법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공연을 비롯하여 스포츠 관람 입장권의 정가에 웃돈을 얹어서 판매하는 이른바 암표거래의 문제성은 언론에 자주 보도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에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량의 입장권 구매가 이루어져서 일반인이 정상적인 접근으로는 입장권을 구매하기 매우 어려운 거래구조를 만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권 재판매와 관련한 현행 법체계는 경범죄처벌법에 따른 현장단속만 가능하기 때문에 온라인에서의 입장권 재판매는 사실상 법의 사각지대에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매크로를 이용한 입장권 재판매를 규제하려는 공연법, 경범죄처벌법, 정보통신망법, 전자상거래법 등 개정안이 국회에서 활발하게 발의되고 있지만 아직 법률로 제정되지 못한 상태이다. 그런데 온라인에서의 암표를 규제하기 위해서는 매크로에 대한 정의규정을 포함하여 그 법적근거를 명확하게 하여야 할 것인데, 현재 계류 중인 입법안에서의 규제들이 과연 온라인 암표규제를 잘 수행할 수 있을지에 관해서는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매크로 프로그램의 정의와 불법적 사용형태에 대한 입법적 내용을 보다 정밀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국회의 여러 개정안들을 보면 이에 대한 검토가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미국, 캐나다 및 프랑스에서는 온라인에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등의 우회적인 방법을 통한 입장권 구매와 재판매를 위법행위로 규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체로 이들 국가에서는 매크로 프로그램 규제법을 두는 것이 아니고 공연관련 개별법에 관련 규정을 두어 암표거래를 규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개별법이 효과적으로 온라인 암표를 금지시키지는 못하는 실정을 보이고 있다. 즉, 온라인 암표단속을 위해서는 단순히 규제 및 처분권한을 갖는 것 외에 단속권한 또한 주어져야만 그 실효성이 담보될 수 있음이 미국 등의 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우리 공연법과 국민체육진흥법에 암표거래 규제에 관한 규정만을 신설하고 단속권한을 규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동일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암표거래의 비중이 공연산업에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나기는 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공연법 등에서 규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도 의문이다. 결론적으로는 오프라인 규제는 경범죄 처벌법으로 하고, 온라인 거래는 정보통신망법으로 이원화 하여 규율하는 것이 현행 법 체계 내에서 다양한 분야의 온라인 암표매매를 규제하는데 가장 현실적이면서 효율적이고, 적절할 것으로 입법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개념에 관한 소고(小考)

        최유 中央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文集 Vol.38 No.3

        Increasing trend of the past few years has been reduced, the number of North Korean withdrawal residents who arrived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exceeded 27,000. North Korea withdrawal residents, have been placed in the de facto double specific position you have all of the North Korea and South Korea nationality. North Korea withdrawal residents Act, because it is extremely limited define the legal concept of the North Korean withdrawal residents, have a problem with what the human rights protection of North Korean withdrawal residents have occurred. In this short report for such problems, from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is an attempt to re-design and include the children of North Korea withdrawal residents not receive on the protection and other countries of nationality acquirer to the legal concept of the North Korean withdrawal residents.

      • KCI등재

        자치입법에 대한 입법평가와 개선과제

        최유 한국입법학회 2016 입법학연구 Vol.13 No.1

        법령에 대한 입법평가가 제도화되어 있지 못한 한국에서 최근 경기도, 광주광역 시, 부산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등에서 조례에 대한 입법평가를 위한 입법평가조 례를 제정하였다. 향후 입법평가조례는 다른 지역에서도 제정될 것으로 보인다. 입 법평가조례에 대하여 상위법인 헌법과 법률에는 법적인 근거가 없다. 이는 지방자 치시대에 걸맞는 제도화의 실험이라고 볼 수 있다. 입법평가조례의 역할과 기능에 관해서 심도 있는 논의들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 은 사항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전입법평가의 경우에는 지방의회의 조례안에 대해서 자치단체의 장이 사전입 법평가를 하는 것은 지방의회의 입법권한에 대한 침해가 될 수 있다. 다만 자치단 체가 제출하는 입법안에 대한 평가를 스스로 하는 것은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 다. 사후입법평가의 경우에는 권력분립적 관점에서 보면 지방의회가 사후입법평가 를 할 경우에는 내재적 한계를 갖게 되며, 자치단체가 입법평가를 할 경우에는 의 회와의 대립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전문성의 관점에서도 의회는 입법에 전문기관 이며, 시는 집행에 대한 전문기관이라는 점에서 다른 특성을 갖는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서는 집행의 전문기관이 자치단체가 사후입법평가를 한 후, 지방의회가 이 를 확인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한다. 입법평가의 대상에 대해서 현재 모든 조례로 규정하고 있지만, 전문인력과 예산 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는 입법평가의 대상선정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의 심사기준과 평가방식은 매우 추상적이라는 점에서 구체적인 평가척도를 마 련해야 하며, 사후입법평가를 위해서 주기적인 설문조사, 행정자료 또는 지표나 지 수를 계발할 필요가 있다. 조례입법평가가 도입된 단계를 넘어서서 앞으로 조례에 대한 입법평가가 본격 적으로 시행되는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 제도화 단계에서 세심하게 설계된 것은 아 니지만 앞으로 조례에 대한 입법평가를 실시하면서 세부적인 심사항목만의 설정과 함께 세부심사기준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부항목에 대해서는 어떤 자료와 정보를 갖고 심사할지를 고민해 보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기적으로 주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및 국민들 의 조례에 관한 애로사항 및 조례위반사항 등을 수집하여 통계적 자료를 만들어 낼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례에 있어서도 경제적 비용효과분석 등 다양한 사회과학 적 방법을 사용하여 조례입법평가가 기존의 조례 등에 대한 법제정비사업과 차별 성을 갖추도록 제도적 설계를 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입법평가조례를 통한 조례입법평가의 성공은 향후 법률단계에서의 입법평가를 제도화시키는데 중요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ome legislative evaluation of ordinances. In South Korea, the constitution and laws do not have a system to evaluate legislation. But recently, some provinces have enacted legislative evaluation of municipal ordinances. As such Ordinances there is “ordinances on legislative evaluation of municipal ordinances” of Gyeonggi-do Provincial Government, Gwangju Metropolitan Government, Busan Metropolitan Government,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ial Governmen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imilar ordinances. In these ordinances pre-evaluation of legislation shall be conducted by the local council. If the local government to conduct pre-evaluation of legislation, it may be a violation of legislative power with the local council. In the case of post-evaluation of legislation, I think it desirable system, that the local government conducts a post-evaluation of legislation and the local council confirms it. The current assessment items are very abstract, the council must further refine the assessment items. In the future, they should be using social science methods of statistics, surveys, cost-benefit analysis to evaluate legislation. The success of some legislative evaluation ordinances will be an important legislative practices to institutionalize evaluation of legislation in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