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진강하구에서 부유물질의 분포와 거동 - 풍수기와 평수기의 비교 -

        김석윤,이병관 한국물환경학회 2009 한국물환경학회지 Vol.25 No.6

        During period of the rainy season of spring tide Aug. 2005, the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rate from Seomjin River increased ten times as high as neap tide of low river discharge. During ebb tide of high terrestrial input, the grain size of suspended particles of both surface and bottom layer of the water column, showed a uni-modal distribution with a dominant peak at coarse fraction, which suggests a characteristic development of floc-sized particles of low mean effective density. On the contrary, the particles supplied toward upstream of Seomjin river from Gwangyang Bay during flood tide showed a bi-modal distribution with a secondary peak at finer fraction, possibly due to the resuspension and the deflocculation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shear velocity at near bottom. Break-up of large flocs is also suggested by the increased mean effective density. However, settling velocity was lower during flood tide because of smaller grain size. Thus, net deposition of suspended sediment is expected at within Gwangyang Bay instead of upstream of Seomjin River, even though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rate at near bottom water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at surface water during flood tide.

      • KCI등재후보

        장소기억의 재현을 통한 지역문화콘텐츠 형성 구조 연구-제주지역 조천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김석윤,김은정 제주학회 2020 濟州島硏究 Vol.54 No.-

        Recently, there has been a trend around the world to restore spaces that are permeated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o public lands and call places of memory to form cultural contents. By actively attracting and reproducing memories of places, the tendency to create cultural contents is being strengthen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using cultural resources in Jeju should contain the spiritual world that local people have enjoyed for a long time. As the members of the village community change greatly, the perception of the village's uniqueness and history is also changing. Therefore, the use of village resources should be able to share the cultural orientation of the newly relocated villagers based on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Jocheon-ri, Jocheon-eup, is the hom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until the Joseon Dynasty, it has distributed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s a main gateway to and from the mainland. The Jocheon-ri area was one of Jeju's two largest state-owned ports until the Joseon Dynasty. These social conditions have traditionally been a factor that people from Jocheon-ri are more receptive to foreign culture and actively enter the foreign region. In this study, we seek ways to reinterpret and reconstruct the place of events and memories that affect the lives of the villagers and transform the village resources into cultural contents. For this purpose, village resources were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The investigated resources were re-classified and the core theme was set. Since then, the storyline has been constructed by adjusting and integrating auxiliary themes around core themes. Through this, the method called storytelling was appli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identity of the residents and convert them into cultural contents. By presenting the formation and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of the Li unit village, we aim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place memory to be used as a major resource.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역사문화자원이 스며있는 공간들을 공공의 땅으로 회복하고 기억의 장소로 전환, 장소의 기억을 적극적으로 재현하고 문화콘텐츠를 생성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제주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은 지역민들이 오랜 시간동안 향유했던 정신세계가 담겨 있어야 한다. 오늘날 마을공동체 구성원이 크게 바뀌면서 마을의 고유성과 역사에 대한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때문에 마을자원 활용은 공동체의 역사를 바탕으로 새롭게 이주한 마을 주민들의 문화적 지향도 함께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조천읍 조천리는 3․1만세운동의 고장이다. 조선시대까지는 육지부와 왕래하는 주요 관문으로서 2대 관영포구 가운데 하나였다. 이러한 사회적 조건은 조천리 출신 인사들이 전통적으로 외래문화에 대한 수용성이 높고, 외부지역으로 진출이 활발하게 발생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역사문화자원이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주민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과 기억의 장소를 재해석하고 재구성하여 마을자원의 지역문화 콘텐츠 형성 구조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마을자원을 조사하여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조사된 자원은 재분류의 과정을 거쳐 핵심테마를 설정하였다. 이후 핵심테마를 중심으로 보조테마를 조정하고 통합시켜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마을의 다양한 역사, 민속, 생활 등의 장소기억의 재현을 통한 지역문화콘텐츠 형성구조를 탐색하는 연구이다. 마을 공간 내에 분포하는 다양한 자원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처럼 마을 단위에서 문화콘텐츠 형성과 구조를 분석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장소기억이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