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세계 주요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이선경,최지은,신명경,김찬종,이선경,임진영,변호승,이창진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주요 자연사 박물관에서 제공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미국(AMNH, FM, SM), 영국(NHM), 호주(AU), 캐나다(RIH)의 자연사 박물관의 웹사이트에 소개되어 있는 교육 프로그램, 박물관 간행 책자, 홍보자료, 연간 보고서를 수집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사 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크게 열 가지 유형-이동식 박물관, 워크샵, 강좌/강연, 페스티발/(특별)이벤트, 탐구활동, 과학적 활동/연구 프로젝트, 필드트립, 청소년 학예원/인턴 과정, 대여 자료, 캠프/투어-로 나누고, 각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의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개별 프로그램을 교육적 측면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특징인 주제, 참여 수준, 전시와의 연관성, 학교교육과의 연계, 활동 수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과학교사, 박물관 교육담당자 및 학예원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교육 프로그램 유형과 내용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유용하며, (2) 교육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지침으로 이용될 수 있고, (3) 일반 대중에게 다양한 과학적 측면과 소장품을 소개하거나 학교 교육과정과 연관한 과학 교수 학습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describ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in major natural history museums of the worl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ebsites, annual reports, and written material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at London, Australian Museum at Sydney,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at Chicago, Smithsonian Museum at Washington D.C, Royal Tyrrell Museum at Canada and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at New York.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presented ten types of educational programs, which were moveable museums, workshops, lecture/courses, festival/events, discovery activities, scientific exploration/research projects, field trips, youth curators/internship, loan materials and camp/tours. We also described the examples equivalent to each program type.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by museums as informal learning setting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themes, participation levels, connection with exhibition, relation to curriculum, and learning activity levels. Information in this paper will assist science teachers, museum educators and curators: (1) to design and implement various types and contents of educational programs; (2) to us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rograms to assess and develop them; (3) to make important contributions to science education that involves the introduction of various scientific aspects and collections to the public, and the use of programs for science learning and teaching coherent to existing curricula.
백서(帛書)『주역(周易)』 「무화(繆和)」「소력(昭力)」편 고찰 -정치철학 및 역리적 해석-
이선경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7 No.-
이 글은 帛書『周易』「繆和」「昭力」편에 담긴 정치사상의 내용과 그 易理的근거를 고찰한 것이다. 「무화」「소력」편은 帛書易傳의 여러 편 가운데 정치사상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역의 괘효사를 재해석함으로써 그 근거를 제시한다. 이 글에서 필자가 다룬 쟁점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그동안 학계에서 제기되어온 「무화」「소력」편이 유가의 사상인가, 황로의 사상인가의 문제에 대하여 필자의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며, 둘째, 「무화」「소력」편을 통하여 백서역전의 괘효사 해석의 특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전자의 문제에 대하여, 필자는 「무화」「소력」편이 黃老의 사상이 아니라, 孟子的왕도정치의 이상과 荀子的後王사상이 혼재된 유가의 정치사상이 자체적으로 정립되는 과정 속에 있는 것으로 보았다. 君權을 강조하고, 刑法을 긍정하며, 謙道를 숭상하는 것은 일견 황로학의 내용으로 보이나, 이 두 문편의 중심내용인 통치자의 덕성의 내면화, 군·신·민의 소통 및 교화, 더 나아가 `함께 다스림[參治]`의 개념 등은 황로학과는 거리가 멀다. 이는 유가정치사상의 핵심개념이며, 다만 이 두 문편에서 보이는 임금의 위상은 순자가 그리는 聖王의 모습과 닮아있다. 맹자를 정통으로 하면서 순자적 문제의식을 공유한 것이 후대 유가정치사상의 흐름이라 할 때, 백서역전「무화」「소력」편에서는 이미 그러한 긴장관계가 나타난 것으로 본다. 후자의 문제에 있어서, 「무화」「소력」편은 이미 經文의 맥락과는 전혀 다른 각도에서 인문적 해석을 전개하고 있다. 백서역전의 해석은 통행본 역전의 해석과 일맥상통하는 경우와 독자적 해석을 지니는 경우가 공존한다. 백서역전과 통행본 역전은 그 거리가 먼 것이 아니며, 모두 역이 역전을 통하여 의리역으로 전화되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這篇論文要考察帛書『周易』「繆和」「昭力」篇所含的政治思想及其易理根 據. 帛書易傳幾篇中這兩篇積極地提出政治思想方面而且再度全釋易之卦爻辭來其政治思想之根據. 這篇論文裏筆者提出的論点如下. 第一, 關於「繆和 」「昭力」篇是屬於黃老思想或儒家思想的問題, 發表筆者的見解. 第二, 通過「繆和」「昭力」篇來指明帛書易傳全釋卦爻辭的特性. 關於前者, 筆者認爲「繆和」「昭力」篇不屬於黃老思想而屬於儒家思想. 竝且其裏面在混在著孟子王道思想及荀子後王思想. 「繆和」「昭力」篇强調君權, 肯定刑法, 還有崇尙謙道, 此些特色可以說黃老學的內容. 但是, 成爲這 兩篇中心內容的確是儒家政治思想. 這兩篇强調治者德性之內在化, 還有君 臣民之互通及敎化, 竝且進一步提出`共治[參治]`的槪念. 只是這兩篇提出 的君王的地位흔像荀子所尙的聖王之面貌. 關於後者, 「繆和」「昭力」篇已展開著和經文全然不同的全釋. 帛書易傳的 全釋和通行本易傳的全釋有的一致, 有的不一致. 但是, 兩者的距離竝不遠, 都顯示易學通過易傳轉變爲義理易的過程.
3 부위 분리절개 (Three separate Incision) 를 통한 근치적 외음부절제술 및 양측 서혜대퇴임파절제술로 치료한 외음암 2 예
이선경,김승보,이재현,허주엽,김상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4
저자들은 본원 산부인과에서 2예의 여성에서 발생한 외음부 편평상피암을 3부위 분리절개를 통한 근치적 외음부절제술 및 양측 서혜부대퇴임파절제술로 치료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urrently therapeutic concepts in the management of vulvar cancer are replacing the uniform use of classical radical vulvectomy with en bloc bilateral inguinal lymph node dissections. New surgical trends include less extensive vulvar surgery, separate groin incisions with preservation of the skin bridge, and less radical inuinal nodal surgery. This approach lead to improved anatomic and functional preservation and the operation results are not inferior. We experienced two case of vulvar cancer managed by radical vulvectomy and bilateral inguino-femoral lymph node dissection through three separate incisions. Here we report thses cases with the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사회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평가 : 한·중·일 환경교육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based on TEEN database
이선경,이재영,김인호 淸州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3 科學과 數學敎育論文集 Vol.24 No.-
The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very accessible and the impact and possibility to roll it out the public is great. Furthermore,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can supplement the areas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is difficult to provide such as field learning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s how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is conducted in Korea based on the 1st phase of TEEN(Tripartite Environmental Education Network) database project among China, Japan and Korea. 10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each organization's objective, contact point, organizational structure, financial resources,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regular, other), publications, cooperative body and organization, future 5 year plan and internal evalu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of the Korean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summarized, which includes empirical environmental education, differentiation of programs along with the mission of each organization, partnerships among various agencies, schools and organizations, and training environmental educators.
儒家의 근본적 사고와 전통적 여성상의 재조명 ? 易의 乾坤陰陽論과 ??女四書??에 내함된 의미해석
이선경 한국유교학회 200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6 No.-
이 논문은 儒家思想의 원리적 바탕이라 할 易의 乾坤陰陽論의 본래적 의미를 전통적 여성상에 조명함으로써 그 시대성과 보편성을 확인하고 그 현재적 의미를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방법적으로 전통시대 여성저자들에 의해 집필된 교훈서 女四書를 채택하여 당시사회에서 요청되었던 여성상을 살펴보고, 그러한 여성상이 갖는 사상적 의미를 易의 乾坤陰陽論을 통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역사적으로 易의 陰陽論과 乾坤論이 ‘男尊女卑’와 ‘抑陰尊陽’의 이데올로기로 확대 재생산되어 온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유가의 본래적 사유에서 볼 때 하늘과 땅으로 유비되는 男과 女의 관계를 단지 지배와 종속이라는 단선적 논리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다시 성찰하여야할 문제들이 있다. 음양론은 對待와 消長, 그리고 相涵이라는 상호작용을 기본으로 하며, 乾坤論에서도 乾은 乾답고 坤은 坤다움으로써 상호 감응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반적 고찰에 그치기 쉬운 抑陰尊陽論과 坤卦의 乾에 대한 順承論을 긍정과 부정의 양면에서 재해석하고, 坤卦에 유가가 지향하는 時中의 이념이 내재해 있음을 밝혔다. 그리하여 女四書에 나타난 여성의 삶을 피동적이고, 피해자적인 관점이 아니라 일정한 역사적 조건 속에서 능동적으로 그 사회의 성공자가 되고자 노력하였던 주체적 삶의 기록으로 보았으며, 근본유가사상이 그러하듯이 이들의 삶의 원리였던 공경과 겸손은 현대사회의 부드러운 리더쉽의 한 형태로 재창조할 수 있다고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