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의과대학생들의 가정의학에 대한 인식도 및 진로 선택

        강문영,김나연,이장미,홍승완,서영성,김대현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1

        Background: The role of family medicine specializing in primary care is important. This study examined medical students’ perception of family medicine and their career choice, and provides policy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amily medicine. Methods: The study used data collected from the 111 medical students from Keimyung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comprised items pertaining to respondents’ demographic information, career plan, and perceptions about family medicine. Results: The most common mode of learning about family medicine was class or clinical practice (68.5%). Further, 73 students (65.8%) reported an intention to select family medicine as their major. These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be employed (34 persons). Among the 111 students, 3 (2.8%) choose family medicine as their preferred major. Before receiving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the most common reason for not choosing family medicine was “does not fit into the reality in Korea” (32.1%). After clinical practice, “lack of professionalism” (44.6%) was the most commonly cited reason. Conclusion: Medical students’ perception about family medicine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s during class and clinical practice. Students also reported the need to improve professionalism in family medicine. Building public relations could help improve medical students’ awareness about family medicin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family medicine through the support of government such as th family doctor system. 연구배경: 일차의료를 전문하는 가정의학의 역할이 중요하다. 미래의료를 이끌어 나갈 의과대학생들의 가정의학에 대한 인식과 태도,향후 진로 선택에 대하여 알아보고 가정의학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교육과 정책 방향에 참고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17년 계명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의학과 3학년생 83명과 의학과 4학년생 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응답한 111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응답자의 기본정보, 진로 계획, 가정의학에 대한 인식도에 관한 27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결과: 응답한 학생들이 가정의학을 처음 접하게 된 경로로는 수업 또는 실습이 76명(68.5%)으로 가장 많았다. 가정의학을 전공과목으로 선택할 의향이 조금이라도 있는 학생은 73명(65.8%)이었다. 가정의학과를 선택할 의향이 있는 학생의 희망 직업은 봉직의인 경우가가장 많았으며(34명), 가정의학과를 선택할 의향이 없는 학생의 경우 교수가 희망직업인 경우(20명)가 많았다. 가정의학과에 대한 지식및 접근성에 대한 인식은 실습 전에 비해 실습 후에 높았으며, 조정성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111명 중 3명(2.8%)이 전공과목 1지망으로 가정의학과를 선택하였으며, 그 외 108명이 가정의학과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로 실습 전에는 우리나라 현실과 맞지 않아서(32.1%)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나, 실습 후에는 전문성의 결여(44.6%)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결론: 의과대학생들의 가정의학에 대한 인식에 수업 또는 실습이크게 영향을 미친다. 학생들은 가정의학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의과대학생들의 가정의학에 대한 인식을개선하고 나아가 사회적인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가정의학과 수련과정에 보완대체의학 교육 도입 필요성에 대한 가정의학과 지도전문의들의 의견 및 교육경험

        옥선명,김철민,최환석,주상연,신호철,송찬희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12

        Backgrou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use is popular and current trend suggests a demand for CAM education during residency training. Our objective was to assess perception, the need and experience of CAM education for family practice residents by training faculty.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family physicians (n=262) who were registered in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as residency training faculty between February and May 2006. Results: One hundred and seven (40.8%) of 262 faculty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Eighty three (77.6%)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ed of CAM education during residency training and fifty two (46.8%) respondents have already educated some kind of CAM. Thirty nine (36.4%) respondents replied that partial CAM educational contents were given out at conferences. Seventy eight (72.9%)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educating residents on the general outlines of CAM along with education on verified CAM. Sixty six (61.7%)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should host such education. Conclusion: Most family practice training faculty recognized the need for providing CAM education for family practice residents during residency training, but about an half of family practice training faculty did not have experiences of CAM education. 연구배경: 보완대체의학 이용이 늘어나 보편화되어 감에 따라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의학과의 수련과정에서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은 전무하며,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의견조차 수렴 된 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학과 지도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가정의학과 수련 과정에 보완대체의학의 교육도입의 필요성 및 교육 내용에 관한 의견, 교육 경험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06년도 2월∼5월 사이 대한가정의학회에 수련 병원 전공의 지도 전문의로 등록된 262명의 가정의학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우편 및 직접 배포에 의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262명 중 107명(40.8%)의 완성 설문을 얻었다. 가정의학과 지도 전문의들의 77.6% (83명)에서 전공의 수련과정에서의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46.8% (52명)가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교육을 한다고 하였다. 교육 내용은 36.4%에서 일부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내용을 집담회에서 다룬다고 하였다. 72.9% (78명)에서 향후 전반적인 개요와 함께 검증된 보완대체의학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으며, 61.7% (66명)에서 교육 주최가 대한가정의학회가 되야 한다고 답하였다. 결론: 많은 가정의학과 지도 전문의들이 전공의 수련과정에서 보완대체의학 교육 도입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 경험은 이에 비해 적었고 체계적이지 않았다.

      • KCI등재

        가정의학과 전공의의 노인의학 수련 태도와 제안

        손보드리,원장원,김일신,김병성,최현림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9

        Background: With the number of geriatric population on a steep increase, the roles of family physicians broaden to give comprehensive medical care to the elderly. Therefore, geriatrics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for the residents of family medicine. The authors have surveyed and researched on resident’s current attention, actual training conditions, and future needs on geriatrics. Methods: Family medicine residents in 79 hospitals registered to Korean Family Medicine Resident Union were enrolled. By means of electronic and postage mail surveys, informations were gathered; including demographics, the order of importance of nine training curricula, the necessity of training itself, the facility and academic conference of geriatrics training. Results: A total of 173 residents in 45 hospitals replied with return rates of 51.9%. Among the total, 169 (97.7%) of the answered agreed on the necessity of geriatrics training. Of the nine curricula, geriatrics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nd residents considered family medicine outpatient department and inpatient ward to be the most important place for geriatrics training. Furthermore, the residents considered elderly’s diseases or symptoms as more important conference title, but the parameters such as the quality of life, physiology of aging, care in nursing home were considered less important. Conclusion: The geriatrics training program is not up to the standards of residents’ satisfaction. This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absence of a formal training program. To provide a better care for the elderly, it is compulsory to gain broad knowledge of geriatrics and actual experience out in the field. 연구배경: 노인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노인환자에게 지속적, 포괄적 의료를 제공해야 하는 가정의들의 역할과 책임이 커짐에 따라 가정의학과 전공의 수련과정에서 노인의학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현재 가정의학과 전공의의 노인의학 수련에 대한 관심도 및 수련실태, 효과적인 노인의학 수련 커리큘럼에 필요한 요건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 논문을 계획하였다. 방법: 2007년 가정의학과 전공의 협의회에 등록되어 있는 79개의 가정의학과 수련병원의 가정의학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전자메일 설문조사와 우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 노인의학 수련의 필요성 유무, 수련 프로그램 및 수련장소와 컨퍼런스 주제에 대한 중요도 평가로 구성하였다. 결과: 가정의학과 전공의 협의회에 등록되어 있는 79개 병원 중 45개 병원(56.9%)에서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총 184명의 전공의가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180명(97.8%)이 노인의학 수련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노인 환자 진료 시 자신감은 ‘별로 없다’(10.9%), ‘그저 그렇다’(56.5%)로 부정적인 의견이 긍정적인 대답보다 많았다. 또한 노인의학 수련장소로 가정의학과 외래(5점 만점에 3.91점)와 가정의학과 병실(3.66점), 요양병원(3.66점)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으며, 노인의학 컨퍼런스 주제 평가에서는 노인의 질환이나 증상 위주의 주제를 높게 평가하였고 삶의 질, 노화의 생리, 요양원 간병 문제들을 덜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가정의학과 전공의는 노인의학 수련에 대한 필요성은 절감하고 있으나, 노인환자 진료시 자신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전공의의 수련의지와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앞으로 급증하는 노인환자에게 양질의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노인의학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 습득 뿐 아니라, 요양원이나 사회복지시설과 같은 구체적인 수련 장소에서의 경험을 통해 치료에 유용한 실제적인 임상지식과 노인환자에 대한 태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노인의학 수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가정의학과 임상실습교육에 의한 의과대학 3학년 학생의 가정의학과 선호도 향상 효과

        박훈기 대한가정의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4 No.5

        Background: Family medicine clerkship gives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the opportunity to integrate knowledge and skills taught in class. Impression from clerkship experience and preceptor's role model allow medical students to consider family medicine as a career choi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family medicine clerkship on the preference for family medicine as a career choice in third-year medical students. Methods: From July through December of 1995, one hundred third-year medical students attended family medicine clerkship at Hanyang University Medical School (HUMS). They were divided into 20 groups of 4~6 students. Seven half-days of clerkship teaching were provided in a private family medicine clinic and 2 half-days, in an university hospital family medicine clinic. The score of preference for family medicine was measured using the 10 cm visual analogue scale. Results: The subjects' mean age was 24.1 years. Eighty eighty percent of students were males. The mean score of preference for family medicine as a career choice were 3.2 for pre-clerkship, 6.9 for post-clerkship, and 7.0 at the end of third-year semester exam, respectively. The group preference score was different among groups. Sex, age, hometown, parents' occupation, inhabitation type, religion, and lecture exam score were not related to the preference score. Eleven percent of students hoped to specialize in family medicine in the future. The students' main conception of family medicine were 'primary care', and 'comprehensive care', in descending order. Conclusion: Third-year family medicine clinical clerkship improved the students' preference for family medicine as a career choice. A continuous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to render positive effect into the final stage of resident selection. 연구배경: 가정의학 임상교육은 학생들이 가정의학의 진료 특성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학생실습에서 받았던 가정의학과에 대한 인상은 후에 자신의 전공과목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정의학과 임상실습교육이 의과대학 3학년 학생의 장래 전공과목으로서 가정의학과에 대한 선호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1995년 7월부터 동년 12월까지 가정의학 임상실습교육에 참가한 한양대학 의과대학 3학년 학생 100명 전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4~6명이 한 조가 되어 1주 동안 실습이 진행되었으며, 실습프로그램은 개원하고 있는 가정의학과의원 파견이 7반일, 실습강좌 및 본원 실습 2반일로 구성되었다. 가정의학 선호도는 10 cm 시각부호척도를 이용하여 실습 전후, 3학년말 시험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의 평균 연령은 24.1±5.7세였고 남학생이 88%였다. 가정의학과에 대한 선호도 평균치는 실습전 3.2점, 실습 직후 6.9점, 학년말 시험후 7.0점이었다. 가정의학 선호도는 실습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 연령, 출신지, 보호자의 직업, 종교, 거주형태, 임상실습성적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전체의 11% 학생이 제1지망으로 가정의학을 전공과목으로 희망하였다. 학생의 가정의학에 대한 중심 개념은 ‘일차의료’, ‘포괄적 진료’였다. 결론: 의과대학 3학년 가정의학 임상교육은 학생들의 장래전공과목으로서 가정의학과에 대한 선호도를 향상시켰다. 이러한 효과를 최종적인 가정의학 전공선택까지 지속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에 ‘자가의뢰’만을 목적으로 온 초진 환자의 특성

        최현정,박태진,이가영,김준수,정지연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12

        Background: After the referral system had been established, a tendency of patients who prefer to consult themselves to a specialist with 'self requested referral' is increasing in university hospital family medicine clin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which factors of patients who for the fi rst time visited university hospital family medicine clinic to require medical request for 'self requested referral' to a specialist infl uence 'self requested referral' tendency. Methods: Among 905 patients, 647 agreed to the questionnair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divided the patients in two, the 'self requested referral' group and the 'general patients' group that does not. Patients completed a four-ite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Self requested referral' group tended to have no experience in family medicine and tended to be negative about the need for family medicine (P < 0.001) The factors that have effect on 'self requested referral' are age, occupation, education, experience of family medicine, and recognition degree of necessity of family medicine. Patients in 20-39 of age, who were white colored, higher education had higher tendency of 'self requested referral' and pati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family medicine and lower degree of recognition about the necessity of family medicine had higher tendency of 'self-referral'.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i nd ways to increase satisfaction of patients who have factors that have effect on their 'self requested referral' tendency such as age, occupation, education, experience of family medicine, and degree of recognition about the necessity of family medicine. 연구배경: 현행 의료전달체계의 시행 이후 3차 의료기관 가 정의학과 외래에는 환자 스스로 특정과 전문의에게 ‘자가의 뢰’를 하기 위한 환자의 수가 증가하여 진료의 형식화 등의 문 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단순 진료의뢰서를 요구하 며 ‘자가의뢰’를 위해 내원한 초진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의뢰’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단순 의뢰 서 발급을 줄이고 바람직한 가정의학과 진료에 대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2월 25일부터 3월 15일까지 3주간 부산소재 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초진 환자 905명 중 연구 에 동의한 647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행하였다. 단순 진료의뢰 서 발급을 주목적으로 내원한 ‘자가의뢰군’과 그렇지 않은 ‘일 반환자군’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건강 행태와 가정의학에 대한 인식정도, 가정의학과 진료를 받은 경험 유무 등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자가의뢰군 에서 가정의학과 진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P<0.001) 가정의학과의 필요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답을 한 경우가 많았다(P<0.001). 또 ‘자가의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으로는 나이, 직업, 교육수준, 가정의학과 진료 경험 여부, 가정 의학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가 있었고 나이는 20-39세, 사무직 등의 직업이 있는 경우,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자가의 뢰 경향이 높았고 가정의학과 진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가정 의학과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경우 자가의뢰 경향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 결론: 나이, 직업, 교육수준, 가정의학과 진료 경험 여부, 가정 의학과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 등 자가의뢰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을 갖는 환자를 중심으로 가정의학과 진료에 대한 안내, 홍보 등을 통해서 진료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 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가정의학 전문의와 암 전문의의 암성 통증 관리에 관한 지식과 태도

        윤영호,이기헌,허대석,김시영,허봉렬,박상민,손기영,정소연,홍영선 대한가정의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6 No.7

        Knowledge and Attitudes of Family Physician and Oncologist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 in Korea 연구배경: 본 연구는 일차의료를 담당하는 가정의학 전문의와 암 전문의 간의 암성 통증 치료에 관한 지식과 태도 조사를 통해 암성 통증 관리 장애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대한암학회의 회원 중에서, 실제 암환자 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800명과 가정의학회 전문의 2,200명에게 마약성 진통제 처방에 대한 지식(13문항) 및 태도(6문항), 개인적 경험, 교육의 적절성과 장애 요인 등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결과: 설문을 발송한 대한암학회 전문의 800명 중 147명(18.4%)이 응답하였으며 가정의학회 전문의 2,200명 중 388명(17.6%)이 응답하였다. 암성 통증 관리의 지식에 대한 영역에서 응답자들은 특히, 마약성 진통제에 의한 호흡억제의 가능성,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에 대한 내성, 천장효과, 중독의 위험성, 보조 진통제의 사용 등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부족하였다. 다수의 의사들이 통증관리의 중요성, 통증 정도의 평가 주체, 치료에서의 우선 순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중독에 대한 염려, 최대 용량의 초기 투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두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가정의학 전문의가 암 전문의에 비해 지식의 13개 질문 중 9개 질문, 태도의 6개 질문 중 4개 문항에서 부적절한 지식과 태도를 보였다. 인구학적 변수와 암성 통증 환자의 진료 경험 등의 변수들을 보정하였을 때에는 혼돈의 부작용의 내성에 대해서만 암 전문의가 유의하게 높은 지식을 보인 반면, 항우울제의 진통효과에 대해서는 오히려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더 바람직한 지식을 보였다. 또한, 가정의학 전문의가 통증 정도 평가의 주체와 치료에서 암성 통증 관리의 우선 순위에 대해서는 더 바람직한 태도를 보였다. 응답자 대부분이 암성 통증 치료의 의과대학 교육(94.0%), 전공의 수련(82.9%), 연수강좌(80.4%)가 적절치 못하다고 하였다. 암성 통증 관리의 장애요인에 대해서는 통증 관리에 대한 의사들의 불충분한 지식(66.3%), 부적절한 통증 평가(50.5%), 마약성 진통제 처방의 주저(42.7%) 등 의사측 요인과 전문적인 방법에 대한 접근성 부족(54.4%), 진통제에 대한 지나친 규제(44.3%), 다양한 진통제의 부족(39.2%) 등의 구조적인 요인들이 지적되었다. 결론: 다수의 의사들이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해 상당한 지식 부족과 마약처방에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성 통증 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사들에게 지식과 태도에 대한 포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