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인 조현병 환자에서의 지연성 운동이상증과 TNF (Tumor Necrosis Factor)-α 유전자 다형성과의 연관성

        소수정,강승걸,윤호경,박영민,이헌정,김린 대한조현병학회 2013 대한조현병학회지 Vol.16 No.1

        Objectives : There are emerging evidence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tardive dyskinesia (TD) is related to the oxidative stress, excitotoxicity, and immune acti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f tumor necrosis factor (TNF)-α genes are associated with the susceptibility of TD and schizophrenia. Methods : We investigated two hundred and eighty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The schizophrenic participants consisted of patients with (n=105) and without (n=175) TD who were matched for antipsychotic drug exposure and other relevant variables. The TNF-α gene -308G/A SNPs were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based methods. Results : The frequencies of genotype (χ2=0.33, p=0.848) of the TNF-α gene -308 G/A SNP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chizophrenic patients with and without TD. The difference of allele frequencies (χ2=0.28, p=0.594) of the TNF-α gene between the schizophrenic patients with and without TD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NF-α gene -308 G/A SNPs are not associated with TD and schizophrenia in a Korean population. Further association studies of TD with other candidate genes for cytokines would help us understand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TD. 지연성 운동이상증은 항정신병 약물을 장기간 복용하는 조현병 환자에서 발생하는 비가역적인 부작용으로, 여러 새로운항정신병 약물이 개발된 현재에도 가장 심각한 부작용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 중 지연성 운동이상증의 발생에 감수성을 가지는 환자를 예측할 수 있다면 그 예방과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한국인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TNF-α 유전자의 유전자 다형성과 지연성 운동이상증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으나, 지연성 운동이상증의 발생에 있어 TNF-α 유전자 다형성이 유전적 감수성의 원인이 됨을 밝히지는 못 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지연성 운동이상증과 TNF-α 유전자 다형성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극히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TNF-α 뿐 아니라 나아가 시토카인과 지연성 운동이상증의 발생에 대한 향후의 연구들에 있어 일말의 단서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겠다. 추후 보다 다양한 임상적 변인을 포함하여 TNF-α 유전자 다형성과 지연성 운동이상증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연성 운동이상증과 시토카인에 대한다른 후보유전자와의 연관 연구가 지연성 운동이상증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RORA 유전자 다형성과 기분 및 행동의 계절성 변동의 연관성

        김해인,소수정,양희정,송현미,문정호,윤호경,강승걸,박영민,이승환,김린,이헌정,Kim, Hae-In,So, Soo-Jung,Yang, Hee Jung,Song, Hyun Mi,Moon, Joung Ho,Yoon, Ho-Kyoung,Kang, Seung-Gul,Park, Young-Min,Lee, Seung-Hwan,Kim, Leen,Lee, Heon-Jeon 대한수면의학회 2013 수면·정신생리 Vol.20 No.2

        목 적 : 일주기 유전자 다형성이 계절성 기분 장애의 발병 기전과 연관이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RORA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유전자의 다형성과 계절성 변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신문 광고를 통해 모집한 507명의 지역사회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은 Seasonality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SPAQ)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RORA rs11071547 SNP는 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하였다. 여름형은 교란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어, 29명의 여름형은 제외한 총 478명의 대상자를 분석하였다. 계절성군과 비계절성군의 유전자형 분포의 비교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전반적 계절성 점수(Global seasonality score, GSS)와 RORA rs11071547의 연관성은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 참여자 507명 중 12.1%(겨울형 9.3%, 여름형 2.8%)가 SAD에 해당하였다. 계절성군과 비계절성군간의 RORA rs11071547의 유전자형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반적 계절성 점수(GSS)와 세부 항목인 수면시간, 사회활동, 기분, 에너지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세부 항목 중 체중과 식욕에서는 C 대립유전자 동형접함체군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26, p=0.034). 결 론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에서 RORA 유전자 다형성이 체중과 식욕의 계절성 변화에 주요한 역할을 하며, 계절성 기분 장애의 감수성과도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Several evidence has been suggested that the circadian gene variants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olymorphism in RORA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 gene in relation to seasonal variations among healthy young adults in Seoul, Korea. Methods: A total of 507 young healthy adult subjects were recruited by advertisement. Seasonal variations were assessed by the Seasonality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RORA rs11071547 gene was genotyped by PCR in 507 individuals. Considering summer type as confounding factor, we conducted analysis 478 subjects except 29 subjects of summer type.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seasonals and non-seasonals. Association between genotypes and Global Seasonality Score (GSS) were tested using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In this sample, the prevalence of SAD was 12.1% (winter type 9.3%, summer type 2.8%).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otyping distribution of RORA rs11071547 between groups of seasonals and non-seasonals. Global seasonality score (GSS) and scores of all subscales except body weight and appeti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with C allele homozygote and the group with T allele homozygote and heterozygote (p-value 0.138). Scores of body weight and appeti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with C allele homozygot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RA gene polymorphism play a role in seasonal variations in appetite and body weight and i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seasonal affective disorder in some degree in the population studied.

      • KCI등재

        생체 외 및 생체 내 실험조건에서 나노화 벌 화분의 안전성 규명

        편해인(Hae-In Pyeon),소수정(Soojeong So),박지아(Jia Bak),이승현(Seunghyun Lee),이승민(Seungmin Lee),서화진(Hwa-Jin Suh),임제오(Je-Oh Lim),김정우(Jung-Woo Kim),김선연(Sun Youn Kim),이세라(Se Ra Lee),이용현(Yong Hyun Lee),정일경(Il Kyung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5

        벌 화분은 영양보조제와 전통의약품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벌 화분은 두터운 외피를 갖고 있어 산이나 알칼리는 물론 위장관의 소화효소와 기계적 압력에 의해서도 잘 파괴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벌 화분을 경구로 섭취할 때 생체이용률은 10-15%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진은 이전의 연구에서 습식나노분쇄 기술을 소개하였고 이를 통해 활성성분의 추출률이 약 11배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나노분쇄를 통해 제조한 나노화 벌 화분의 안전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흰쥐와 비글견에서 단회 투여 독성 시험을 진행하였다. 나노화 벌 화분의 투여 용량은 흰쥐는 5, 10 또는 20 g/kg, 비글견은 1.5, 3 또는 6 g/kg으로 설정하였다. 흰쥐에서는, 10 g/kg 또는 그 이상의 용량을 투여한 동물에서 색변이 관찰되었다. 비글견에서는 6 g/kg 투여군에서 나노화 벌 화분 투여 4시간 후에 설사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흰쥐와 비글견 모두에서 뚜렷한 임상증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안락사 후 부검을 진행한 결과에서도 장기의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나노화 벌화분의 유전독성을 복귀돌연변이시험, 염색체이상시험 및 소핵시험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소핵시험에서는 시험에 사용한 최대용량인 2,000 mg/kg에서도 독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염색체이상시험에서는 실험에 사용된 최고 농도에서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하면 나노화 벌 화분은 본 실험에서 설정한 최고 용량인 20 g/kg/day의 용량까지는 매우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결과는 나노화 벌 화분을 기능성 식품 또는 천연물 의약품으로 개발하는 데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Bee pollen has an outer wall which is resistant to both acidic and basic solutions and even the digestive enzym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erefore, the oral bioavailability of bee pollen is only 10-15%. A previous study reported on wet-grinding technology which increased the extraction of active ingredients from bee pollen by 11 tim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wetground bee pollen. First, a single dose of wet-ground bee pollen was tested in both rats and beagle dogs at dosages of 5, 10, and 20 g/kg and 1.5, 3, and 6 g/kg, respectively. In rats, compound-colored stools were found in those administered 10 g/kg or more of wet-ground bee pollen. In beagle dogs, 6 g/kg of wet-ground bee pollen induced diarrhea in one male for four hours. However, no obvious clinical signs were found through the end of the experiment in rats and beagle dogs. In addition, no histological abnormality was found in all animals. The data indicates that a single dose of up to 20 g/kg of wet-ground bee pollen is safe. Next, the genetic toxicity of nano-sized bee pollen was tested. This study employed a bacterial reverse mutation test, a micronucleus assay, and a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In the micronucleus assay, there was no genetic toxicity up to the dosage of 2 g/kg. There was also no genetic toxicity in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test and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This data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in developing nano-sized bee pollen into more advanced functional foods and herbal medicines.

      • KCI등재

        Increased Melanoma-Associated Antigen C2 Expression Affords Resistance to Apoptotic Deathin Suspension-Cultured Tumor Cells

        박도연,한소라,주현정,가혜인,소수정,박지영,양영 한국유방암학회 2021 Journal of breast cancer Vol.24 No.2

        Purpose: Melanoma-associated antigen C2 (MAGEC2) is an oncogene associated with various types of cancers. However, the biological function of MAGEC2 in circulating tumor cells remains unclea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MAGEC2 using adapted suspension cells (ASCs), which were previously developed to study circulating tumor cells (CTCs). Methods: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in adherent cells (ADs) and ASCs was examined using RNA-seq analysis. MAGEC2 expression was assessed using reverse transcription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immunoblotting, and ChIP-seq analysis. Depletion of MAGEC2 expression was performed using siRNA. MAGEC2-depleted ADs and ASCs were us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roliferation rate and cell cycle. Then, the protein levels of 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3 (STAT3), phosphorylated STAT3, and downstream of STAT3 were measured using control and MAGEC2-depleted ADs and ASCs. In ASCs, the direct effect of active STAT3 inhibition with Stattic, a STAT3 inhibitor, was assessed in terms of proliferation and apoptosis. Finally, an Annexin V/7-AAD assa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ercentage of apoptotic cells in the Stattic-treated cells. Results: MAGEC2 was highly expressed in ASCs when compared with ADs. Depletion of MAGEC2 reduced the proliferation rate and viability of ASCs. To elucidate the underlying mechanism, the level of STAT3 was examined owing to its oncogenic properties. Tyrosinephosphorylated active STAT3 was highly expressed in ASCs and decreased in MAGEC2- depleted ASCs. Furthermore, on treating ASCs with Stattic, an active STAT3 inhibitor, the cells were markedly sensitive to intrinsic pathway-mediated apoptosis. Conclusions: High MAGEC2 express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urvival of ASCs by maintaining the expression of activated STAT3 to prevent apoptotic cell death.

      • KCI등재

        새로운 화장품 원료 나노화 벌 화분의 효능

        편해인,박지아,석진이,소수정,서화진,오미경,김세기,양정은,정일경,최윤식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7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5 No.1

        목적: 벌 화분은 일벌이 모은 꽃의 화분이 주성분이며 가장 완벽한 건강식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벌 화분은 단백질(약 40%), 아미노산 그리고 플라보노이드가 매우 풍부하다. 그러나 벌 화분은 exine이라는 외피로 둘러싸여 있고 이로 인해 소화효소, 산 그리고 알칼리에 매우 안정하여 식이나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 나노 분쇄 기술을 이용하여 외피를 파괴하여 나노화 벌 화분을 제조하였고, 나노화 벌 화분의 항산화 효과와 세포보호효과, 그리고 화장품 제형의 임상적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습식 나노 분쇄 공정을 통해 벌 화분을 나노화하였고 라디칼 소거 활성과 세포보호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나노화 벌 화분을 원료로 하는 제형을 제조하여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 나노화 벌 화분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1% 나노화 벌 화분 용액은 피부세포에서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분비를 18.73% 감소시켰다. 임상시험에서도 나노화 벌화분은 피부 결, 피부 수분 함유량, 피부 투명도 그리고 멜라닌 지수를 개선하였고 눈가의 주름을 감소시켰다. 피부자극시험에서도 나노 화분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나노화 벌 화분은 화장품 원료로서의 우수한 가치가 있으며 피부에 다양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Bee pollen is largely composed of pollen gathered by worker bees and is well known as a complete nutritional food. Bee pollens are rich in protein (approximately 40%), free amino acids, and flavonoids. However, bee pollen is covered by an outer wall called exine, which is resistant to digestive enzymes, acids, and bases. Therefore, utilizing bee pollen for nutritional and medical purposes has been limited. In this study, we removed the exine layer with wet-grinding technology and evaluated its anti-oxidant activity, protective effects on skin fibroblasts, and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 as a cosmetic. Methods: We prepared nano-sized bee pollen with wet-grinding technology and examined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ell protective effects. We performed a clinical study after preparing the nano-sized bee pollen. Results: Bee pollen showed good anti-oxidant activity, and 1% bee pollen reduced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18.73% by skin fibroblasts. In addition, the clinical study showed that bee pollen had beneficial effects on skin roughness, hydration, transparency, wrinkles around the eyes, and the melanin index. Furthermore, bee pollen did not induce any adverse effects on the skin. Conclusion: These data indicate that bee pollen is a good cosmetic resource that provides diverse beneficial effects to the skin.

      • KCI등재

        테스토스테론-유도 양성전립선비대증에서 나노화 벌 화분의 효능 연구

        박지아(Jia Bak),편해인(Hae-In Pyeon),소수정(Soojeong So),이승현(Seunghyun Lee),이승민(Seungmin Lee),서화진(Hwa-Jin Suh),강재선(Jae Seon Kang),최윤식(Yun-Sik Choi),정일경(Il Kyung Chung) 한국생명과학회 2018 생명과학회지 Vol.28 No.4

        벌 화분은 오랫동안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어 온 대체요법 중 하나이다. 벌 화분은 항진균 및 항균작용, 항암작용, 면역조절, 그리고 세포의 증식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설치류를 이용하여 벌 화분의 양성전립선비대증의 개선 효과를 밝히기 위해 진행되었다. 벌 화분은 활성 성분의 추출률을 극대화하고, 생체 흡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나노 크기로 분쇄하여 이용하였다. 먼저, 나노 크기의 벌 화분은 만성 testosterone투여에 의한 전립선 크기 증가를 유의하게 완화하였다. 게다가 나노 크기의 벌 화분은 혈중 전립선 특이 항원의 농도를 뚜렷하게 감소시켰다. 흥미롭게도 나노 크기의 벌 화분은 testosterone에 의한 혈중 prostaglandin E₂ 증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나노 크기 벌 화분의 약리 효능은 dutasteride의 효과와 유사하였다. 마지막으로 나노 크기의 벌 화분은 androgen-반응성 인간 전립선 샘암종 세포인 LNCaP 세포의 손상을 유도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나노화 된 벌 화분은 양성전립선비대증의 치료에 대체요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e pollen is one of many types of alternative remedies, and i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hroughout the world. It has numerous health effects, including antifung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immune modulation, enhanced cell proliferation, and even anti-carcinogenic effec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bee pollen o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in rodents. For this experiment, we used nano-sized bee pollen produced through wet-grinding technology, thereby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the active ingredients in the bee pollen was significantly enhanced. First, We found that nano-sized bee pollen significantly reduced the size of prostates enlarged by chronic testosterone administration. In addition, nano-sized bee pollen significantly reduced the plasma concentration of the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Interestingly, nano-sized bee pollen did not reduce the testosterone-induced increase i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prostaglandin E₂ (PGE₂). The beneficial effects of nano-sized bee pollen in reducing both the size of the prostate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of PSA was comparable to that of dutasteride. Finally, nano-sized bee pollen did not cause damage in LNCaP cells which are androgen-sensitive human prostate adenocarcinoma cells.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nano-sized bee pollen may be able to be used as a good alternative remedy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