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원예치료 관련 연구논문 추이와 제언

        오대민(Dae-Min Oh),장유진(Eu-Jean Jang),소인섭(In-Sup So),이영현(Young-Hyun Lee),허무룡(Moo-Ryong Huh),최영애(Young-Ae Choi),허북구(Buk-Gu Heo)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1

        국내 실정에 맞는 한국형 원예치료의 개발과 정착에 방향성을 설정해 주는 계기 마련을 위해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간 발표된 원예치료 관련 연구논문의 학회지별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식물ㆍ인간ㆍ환경학회와 한국원예치료연구회에 게재된 논문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원예치료 관련 기초논문과 응용연구논문은 6년간의 전체 비율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나, 2000년 이후부터 기초연구논문이 감소하고 응용연구 논문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응용연구의 대부분이 치료공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대상자는 치매, 정신분열, 우울증 등으로 시도되어 왔으며 예방공간에서도 아동, 청소년,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치료 및 재활공간에 편중된 경향을 나타내며, 그 중에서 정신지체와 정신분열, 치매에 중점적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예치료와 관련된 연구의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원예치료의 앞으로의 발전 방향 모색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blished papers on horticultural therapy for 6 years from 1998 to 2003 was analysed to suggest a direction in which Korean-style horticultural therapies w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Most of the articles were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Plants, People and Environment and the Korean Horticultural Therapy Association. The proportion of theoretical papers was similar to that of applied ones for the six year period, but the proportion of the former has decreased while that of the latter has increased since 2000. A majority of applied studies dealt with space of treatment; the participants were those who suffered from senile dementia, schizophrenia or melancholia; and the therapy was applied to children, teenagers, adults or the aged for preventive purpose. However, it tends to emphasize too much on place of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nd deal mainly with participants of mental retardation, schizophrenia or senile dementia.

      • KCI등재후보

        국내 논문에 있어 원예치료 대상자별 프로그램 분석연구

        오대민(Dae-Min Oh),장유진(Eu-Jean Jang),소인섭(In-Sup So),이영현(Young-Hyun Lee),허무룡(Moo-Ryong Huh),최영애(Young-Ae Choi),허북구(Buk-Gu Heo)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1

        국내에서 진행되는 원예치료의 치료 성과 연구를 보다 심화ㆍ발전시키며 다각적인 효과성 입증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간 원예 관련 학회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원예활동은 대부분의 대상자별 프로그램에서 아트와 크래프트, 실외에서 식물 가꾸기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진행 횟수는 11~15회, 진행 간격은 주 1회, 대상인원은 10명 미만,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식물 옮겨심기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원예치료가 수행된 대상자별 원예활동의 범주 및 프로그램 진행 횟수와 간격, 참여 인원, 상위빈도로 사용된 활동의 형태의 경향이 비슷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대상자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치료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의 여부를 검증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여겨진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search outcomes of horticultural therapy through the papers published of academic journals in horticulture for 6 years in Korea and demonstrate its multilateral effects. The most frequent forms of horticultural activity were in most cases art and craft (type Ⅲ) and outdoor plant growing (type Ⅱ); the number of times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done ranged from 11 to 15 (37.7%), the frequency was once a week (81%),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less than ten (47.8%), and the most frequent form of horticultural therapy was transplanting (72 times). Therefore, the kind of horticultural activity, the number of times and frequency of them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tend to be similar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e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programs of horticultural activity need to be designed and implemented.

      • KCI등재

        유아의 채소편식 감소와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컬러푸드 원예활동

        손효정(Hyo-Jung Son),송종은(Jong-Eun Song),손기철(Ki-Cheol Son)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5

        본 연구는 컬러푸드 채소류를 활용한 원예활동과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채소편식을 감소시키고 정서지능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은 유치원 7차 교육과정의 건강생활영역을 기초로 하여 영양교육의 요소들을 적용하였고, 유아의 지속적인 식습관의 개선과 효과를 위해 가정과 연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합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4세반 유아들로 총 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은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과 영양교육을 실시하였고, 영양교육군은 영양교육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원예활동과 영양교육 모두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기간은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유아용 영양지식검사 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영양지식은 향상되었으며, 특히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에서 더욱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편식행동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채소선호도에서도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은 채소류의 선호도 증가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정서지능에서는 하위항목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에서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에서는 대조군,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자기조절에서 대조군에 비해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점수가 높았지만,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타인조절에서는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이 영양교육군 보다 매우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영양교육만을 실시한 유아들 보다 원예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이 채소와 과일의 색에 자연스럽게 반응하고 즐거워하는 정서적 감성과 컬러푸드채소를 직접 키워보는 원예활동을 통해 자발적인 섭취를 하게 되어 채소편식이 감소되는 결과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연구의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은 채소 편식으로 인한유아의 건강의 불균형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focuses on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to reduce diets unbalanced in vegetables and to increase emotional intelligence.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vegetables were based on ʻHealth in Daily Lifeʼ in the ʻ7th Kindergarten Curriculumʼ; to improve the dietary habits of the young children, the program was also linked with a parentsʼ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70 children from classes for four-year-olds in thre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based upon nutrition education included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vegetables and nutrition education. For the nutrition education group, only nutrition education was provided, while neither horticultural activities nor nutrition education were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1. A total of twelve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According to the result,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with colorful food vegetable were conducted, both the nutrition education group and horticultural activity & nutrition education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ʻNutrition Knowledgeʼ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garding ʻUnbalanced Diet Behaviorsʼ,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 nutrition education group showed meaningful decreas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oreover for preference of fruits and vegetables,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 nutrition education group revealed meaningful improvements. In conclusion, colorful food vegetable horticultural activity could be an effective approach to resolve the imbalance of health caused by unbalanced diets as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colorful food vegetable horticultural activities continued to respond spontaneously to the colors of vegetables and fruits and showed joy and kept voluntarily eating them.

      • KCI등재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윤숙영(Suk-Young Yun),김홍열(Hong-Yul Kim)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4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hand function of demented elders, the present study applied horticultural therapy to demented elders who were able to use both of their hand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TP) included various works in need of delicate hand motions for strengthening the demented elders’ hand function. Hand function was evaluated in terms of pinch and grip. The pinch of the right hand was changed from 2.90 ㎏ pre-HTP to 3.97 ㎏ post-HTP (p<0.05), and that of the left hand was changed from 3.06 ㎏ to 3.99 ㎏ (p<0.05). This shows that pinch was strengthened significantly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The grip of the right hand was changed from 6.02 ㎏ pre-HTP to 7.40 ㎏ post-HTP, and that of the left hand was changed from 5.32 ㎏ to 6.85 ㎏. This shows that grip was strengthened little by little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but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f demented elders continue to have various types of hand works moderate to them, such works will be effective not only in maintaining their hand function but also in strengthening it further. 원예치료가 치매노인의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양손 사용이 가능한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치매노인의 손 기능 강화를 위해 섬세한 손동작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작업을 실시하였다. 손 기능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힘(pinch)과 손으로 움켜쥘 수 있는 힘(grip)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힘의 변화를 보면 오른손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하기 전 처음은 2.90㎏이었으나 마지막 측정값은 3.97㎏으로(p<0.05), 왼손은 3.06㎏에서 3.99㎏으로(p<0.05) 원예치료 실시하고 난 뒤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는 힘이 유의하게 강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손으로 움켜 쥘수 있는 힘은 오른손의 경우 원예치료 실시하기 전 처음은 6.02㎏이었으나 원예치료를 모두 마치고 난 뒤는 7.40㎏으로, 왼손은 5.32㎏에서 6.85㎏으로 원예치료 실시 후 손으로 움켜쥐는 힘이 조금씩 강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매 회기마다 원예치료 실시하기 직전과 직후에 악력을 측정한 결과는 양손 모두 원예치료 실시 후에는 손으로 움켜 쥐는 힘이 유의하게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치매노인들에게 직접적으로 손 기능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원예 프로그램들만으로 설계하여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손으로 활동할 수 있는 원예활동을 실시한다면 손의 기능 강화와 유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Effects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Hemiplegia after Stroke

        Mi Young Kim(김미영),Gui Soon Kim(김귀순),Neil S. Mattson,Wan Soon Kim(김완순)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5

        반신마비 뇌졸중 환자의 심리적 · 정서적 재활에 대한 원예작업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40명의 반신마비 뇌졸중환자 가운데 20명을 대상으로 원예치료와 작업치료를 시행하였다(치료군). 나머지 20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만을 실시하였다(대조군).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다양한 실내원예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1주일을 기본으로 4주 단위로 3단계 즉 3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선정된 원예작업은 동기유발, 적응, 사회성, 관계와 소통의 4개의 단위로 구성되었다. 원예작업치료의 효과분석을 위해 손기능척도(GPT), 노인우울척도(GDS), 일상생활동작검사(FIM)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과 달리 원예작업치료를 받은 처리군에서 재활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GPT, GDS, FIM 모두 통계적으로 고도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원예작업치료를 통해 환자들의 재활치료에 대한 동기부여는 물론 FIM의 하부요소인 의사소통, 사회인지도, 자기보호항목도 크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원예작업치료가 반신마비 뇌졸중 환자에 대한 작업치료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 가능하였다.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occupational therapy (HOT)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with paralysis on one side of the body, a horticultural therapy (HT) program was implemented along with occupational therapy (OT) in 20 patients with hemiplegia after stroke (treatment group). In the control group, another 20 patients with hemiplegia after stroke received OT but no HT. The HOT program consisted of various indoor horticultural activities that proceeded stepwise on a weekly basis over the course of four weeks. The selected horticultural occupations were organized into four-phases: motivation, adaptation, socia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The grooved pegboard test (GPT),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nd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FIM) were tested to the patients in this study. Unlik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PT, GDS, and FIM (p<0.001). In addition, communication, social cognition, and self-care scores as FIM subordinate factor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by HOT program which motivated patients to engage in rehabilitation therapy. This finding suggests that HOT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OT program for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 KCI등재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가 중년여성의 삶의 목적과 자아정체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영애(Young-Ae Lee),황현정(Hyun-Jung Hwang),송종은(Jong-Eun Song ),손기철(Ki-Cheol Son)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3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에게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를 실시한 경우와 기존의 압화 원예치료를 실시한 경우 중년여성의 삶의 목적의식과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시 생활개선회원 중 40-59세인 중년여성이며, 대조군 15명과 실험군 Ⅰ 12명, 실험군 Ⅱ 13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기간은 2006년 5월 23일부터 8월 10일까지였으며, 실험군Ⅰ에는 압화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험군 Ⅱ에는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프로그램을 매주 1회씩 각 12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평가도구로 삶의 목적(PIL) 검사와 자아정체감 척도(ego identity scale),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사전ㆍ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ㆍ후 그룹별 변화 비교 시, 대조군에서는 삶의 목적, 자아정체감, 자아존중감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실험군 Ⅰ은 삶의 목적 전체 값과 자아정체감의 전체 값 그리고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실험군 Ⅱ에서도 삶의 목적 전체 값, 자아정체감 전체 값 그리고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군 Ⅰ과 Ⅱ의 삶의 목적과 자아정체감 하위영역의 변화를 비교해보면, 삶의 목적은 목표달성과 자아충족 영역에서 실험군 Ⅱ가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정체감은 자기수용 영역에서는 실험군 Ⅰ이, 목표지향성 영역에서는 실험군 Ⅱ가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 그룹 간 원예치료 실시 전ㆍ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삶의 목적 하위요인 중 인생목적과 미래열망, 자아충족도 및 전체 삶의 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조군에 비해 인생의 목적은 실험군 ⅠㆍⅡ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미래열망, 자아충족과 전체 삶의 목적은 실험군 Ⅱ가 실험군 Ⅰ보다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자아정체감의 전ㆍ후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두 실험군 모두 자기수용, 자기존재의식, 전체 자아정제감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자아존중감은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두 실험군 모두 대조군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압화 원예치료와 의미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모두 삶의 목적 증진과 자아정제감,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삶의 목적 증진에는 의미요법을 도입한 압화 원예치료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Both the practice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based upon logotherapy and the practice of conventional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were compar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n the improvement of the purpose in life, ego-identity, and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low-income, middle-aged women whose ages ranged from 40 to 59 resident in 00 city. The control group, treatment group Ⅰ, and treatment group Ⅱ consisted of 15, 12, and 13 people, respectively. Study was performed from May 23<SUP>rt</SUP> 2006 to August 10<SUP>th</SUP> 2006. In treatment group Ⅰ conventional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was applied while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based upon logotherapy was applied in treatment group Ⅱ once a week and 12 times programs in total. A purpose in life (PIL) test, ego-identity scale, and self-esteem scale were used as tools of this study and pre- and post assessments were made. When changes after horticultural therapy were compared with pre-therapy status in each test group, no differences in PIL, ego identity and self-esteem were made in the control group. In both treatment group Ⅰ and Ⅱ,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made in overall PIL and ego identity, self-esteem. However, as the changes of sub-categories of PIL and ego identity were compared between treatment group Ⅰ and Ⅱ, treatment group Ⅱ show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goal achievement and self sufficiency among PIL items, than those of treatment group Ⅰ. Among ego identity, the improvement of goal orientation was more effective in group Ⅰ whereas that of self-acceptance was more effective in group Ⅱ. Through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 horticultural therapy in each thre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goal, future aspiration, and self-sufficiency belonged to the sub-categories of PIL and overall PIL. Notable improvement was made in the life goal in treatment groups Ⅰ and Ⅱ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reatment group Ⅱ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overall PIL as well as future aspiration and self-sufficiency than those in treatment group Ⅰ.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ego identity between pre and post horticultural therapy, overall ego-identity as well as self-acceptance and awareness of self-exstence in both treatment groups were improved as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self-estee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neces between treatment group Ⅰ and Ⅱ but both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average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conventional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and the one based upon logotherapy ha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PIL, ego identity, and self-esteem and that the latter is profoundly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P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