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 아동문화의 태동기 일본인 활동에 관한 연구 - 쇼쿄쿠사이 덴카쓰 이치자의 조선 아동연극공연을 중심으로 -

        김성연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8 국제어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8 No.1

        한국에서 최초로 한글로 활자화 된 아동극의 대본은 『어린이』 창간호(1923년 3월20일)에 소개된 「동화국 노래주머니」이다. 한국의 아동문학, 아동문화의 본격적인 출발은 천도교 소년회를 주도하던 방정환이 중심이 되어 1923년에 설립된 색동회의 활동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런데 『어린이』가 창간되기 무려 10여 년 전부터 경성일보사가 주최한 구연동화회가 빈번하게 열리고 있었으며, 일본에서 이와야 사자나미(巖谷小波)나 구루시마 다케히코(久留島武?)와 같은 아동문학가들이 초빙되어 조선 각지를 순회하며 구연동화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또한 1916년부터 경성일보에는 어린이를 위한 칼럼이 만들어져서 동화가 연재되었다. 한국 아동문학, 아동문화의 성립 배경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일본인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식민지 조선에서 행해진 일본인들에 의한 아동문학이나 아동문화에 관한 선행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오타케 기요미(大竹聖美, 2002)에 의해 몇몇 아동문학가들의 조선 방문이 소개된 후, 김성연(金成?, 2008)에 의해 일본인들의 조선 구연동화 활동 연표가 작성되는 등 구연동화 활동의 전체적인 흐름은 밝혀 졌지만, 구연동화 이외의 아동문화 활동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찾아 불 수 없기 때문이다. 필자는 지금까지 구연동화에 초점을 맞춰서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행해진 일본인 문학가들의 활동에 대해 연구해 왔지만, 최근 경성일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일본 최초의 여자맘술사인 쇼쿄쿠사이 덴카쓰(松旭?天勝)가 경성에서 아동연극공연을 한 자료를 발견하였다. 1901년부터 5년간 미국 순회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일본에 돌아와 최초로 미국식마술 쇼를 상연하여 큰 인기를 끈 덴카쓰는 메이지 시대의 국민적인 마돈나였다. 1915년 9월부터 51일간 경복궁에서는 일본의 조선 통치 5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조선 물산 공진회가 개최되었는데 같은 기간 경성일보사는 가정박람회를 열어 관객몰이에 주력했다. 덴카쓰의 공연도, 가정박람회에 보다 많은 관람객을 유치하기 위해 경성일보사가 기획한 것이었다. 연일 무대 공연뿐만 아니라 유니크한 이벤트에 덴카쓰를 등장시켜 끊임없이 화제몰이를 하였다. 10월 10일부터 19일까지 예정됐던 덴카쓰의 공연은 매일 관객들로 가득 찼고 인기에 힘업어 매번 연장되더니 결국 11월 6일까지 공연을 했다. 순종의 만찬회에도 불려가 공연을 하고 많은 하사품을 받기까지 했다. 명실상부 당대 최고의 마술사 덴카쓰가 경성에서의 마지막 공연에 올린 작품이 이와야 사자나미 원작의 아동연극이었다. 본고에서는 구연동화와 아동연극으로 대표되는 근대 일본 아동문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만나지는 덴카쓰의 조선 공연의 전체 내용을 소개하는 동시에 이 자료를 앞으로의 연구의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4차 산업 시대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독서교육의 모색

        김성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3

        The appearance of new educational platforms such as 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s) and universities without campuses such as ‘Minerva School’ make strong implications for directions of change for higher education. MOOC, which is being evaluated as being ‘the future of college’, can be accessed by anyone, anywhere, at any time and because of this, it has changed the paradigm of education. If we recall that ‘the media is the message’, while universities focused on ‘the transfer of branched knowledge’, a new knowledge distribution media form that can replace universities appeared. While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not completely be predicted, it is clear that environments have been created in which ‘learners’ can learn without ‘teachers’ as defined by their traditional meaning’. Our higher education should also break away from its traditional perceptions as an ‘ivory tower’ and be more sensitive to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learners. Also, with the appearance of all sorts of personal media and various content forms,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he fact that literacy environments are rapidly changing. Distinctions between personal spaces and public spaces are vague in newly appearing media, causing conflict or confusion because thoughts on the limitations of distributable information are different. New media bears new structures and inevitably causes conflict. This kind of conflict now transcends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and inevitably spreads to communication and conflict between individuals and machines and among machines. Therefore, education and training are needed for the resolution of conflict throug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long with the creation of ideas. For this, there should be a series of processes that look into secondary education and design higher education. This thesis not only focused on the cultivation of interdisciplinary knowledge but on reading education that can improve changing literacy capacities.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which the life span of knowledge has shortened and lifelong learning has begun, for reading education conducted to gain empathic abilities and for conflict resolu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 to be effectively and gradually implemented,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should be distinct from each other but connected.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와 같은 새로운 교육 플랫폼, ‘미네르바 스쿨’과 같은 캠퍼스 없는 대학의 등장은 고등교육의 변화방향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대학의 미래’라고까지 평가받는 MOOC는 누구나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닿을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 ‘미디어가 곧 메시지’임을 상기하면, 대학이 ‘분과지식의 전달’이라는 내용에 열중한 사이 대학이라는 미디어를 대체할 새로운 지식 유통 미디어가 등장한 것이다. 4차 산업 시대의 문제를 완전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학습자’가 전통적 의미의 ‘교수자’ 없이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는 것만은 분명하다. 우리의 고등교육도 ‘상아탑’이라는 전통적 인식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특성 변화와 요구 변화에 보다 민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종 1인 미디어가 등장하고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쏟아져 나오는 등 리터러시 환경이 급속히 변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새로 등장한 미디어는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 구별이 모호하여 갈등을 일으키거나, 유통 가능한 정보의 한계에 대한 생각이 저마다 달라 혼란을 초래하기도 한다. 새로운 미디어가 새로운 구조를 낳고 필연적으로 갈등을 불러온 것이다. 이러한 갈등은 이제 개인과 개인의 관계를 넘어 개인과 기계, 기계와 기계의 소통과 갈등으로 확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지식의 학습 보다는 협력과 소통을 통한 갈등의 해결, 아이디어 생성을 위한 교육․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논문은 학제적 지식의 함양뿐만 아니라 변화하는 리터러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교육에 주목하였다. 지식의 생존주기가 짧아져 평생학습이 시작되는 4차 산업시대, 경험의 축적을 통한 갈등조정과 공감 능력을 얻기 위한 방편으로 독서교육은 적절할 뿐 아니라 꼭 필요하다. 그리고 리터러시 역량의 단계적, 효과적 실행을 위해, 중등독서교육과 고등독서교육은 구별되면서도 연결된 교육이 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대 총선에서 정책 투표의 영향:안보와 복지 이슈를 중심으로

        김성연 한국정당학회 2017 한국정당학회보 Vol.16 No.3

        Despite the importance of issue voting in the working of representative democracy, little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issue voting in Korean elections. Using survey data, this paper systemat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nation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issues on party evaluation and vote choice in the 2016 Korean legislative election. The results show that voters’ preference on national security and social welfare policy significantly and independently influenced their party evaluation and their vote choice in both the district election and nation-wide party-list election, and that the effect of national security policy was relatively stronger than social welfare policy. Moreover, the these effects of issue voting turend out to be better captured by directional model rather than proximity model. Specifically, while the effect of national security issue was similar for both models, in many instances the effect of welfare iss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direction model was employed but insignificant when proximity model was employed. It implies that Korean voters’ issue voting may be better explained by direction model compared to proximity model. 대의 민주주의에서 정책 투표(issue voting)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선거에서 정책 투표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지난 2016년 20대 총선에서 안보/국 방과 복지/사회 정책을 중심으로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가 미친 영향을 경험적인 데이터를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난 20대 총선에서 안보/국방과 복지/사회 정책에 대한 유권자들의 선호는 이들의 선택과 판단에 독립적이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두 정책에 대한 유권자들과 각 정당의 선호 차이가 커질수록 해당 정당을 지지할 확률과 정당 호오도가 하락했으며, 이러한 영향은 유권자들의 이념 성향, 경제 인식, 나이, 소득, 교육 수준, 출신 지역 등과 독립적이었다. 둘째, 지난 선거에서 안보/국방 정책의 영향은 복지/사회 정책의 영향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안보/국방 정책에 대한 선호는 지역구 후보 선택과 비례 대표 정당 선택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나 복지/사회 정책에 대한 선호는 지역구 후보 선택에만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권자들의 정책 선호의 영향은 근접성 모형보다 방향성 모형에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정책 선호의 영향이 근접성 모형을 적용했을 때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방향성 모형을 적용했을 때는 분명하게 나타난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20대 총선에서 나타난 한국 유권자들의 정책 투표 행태가 방향성 모형에 의해 상대적으로 더 잘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한국인 성인성장호르몬 결핍증 등록사업

        김성연,김성운,남수연,정윤석,정재훈,정인경,함종렬,송민호,문성대,김동선,이성근,윤현구,김두만,김상우,박혜경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1

        Background: Adult growth hormone (GH) deficiency is related with decreased lean body mass, increased body fat, and poor quality of life. In western countries, adult GH deficiency treatment registriesy provide a database of the effects and safety of GH deficiency treatment. The Korean Adult Growth Hormone Study Group of the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register adult GH deficiency since 1996. Methods: Subjects were aged over 15 years, had organic hypothalamo-pituitary disease, and GH deficiency as documented by GH stimulation test or serum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level. The underlying etiology for GH deficiency, serum IGF-I level, starting and maintenance dose, and adult GH deficiency assessment (AGHDA) score were investigated. Results: From January 1996 to May 2001. 115 patients were enrolled. Mean age was 43.7±13.8 years and 60% were female. Thirteen medical institutions were involved in the registry. The most common underlying diseases were Sheehan's syndrome and pituitary adenomas. GH starting dose was from 0.4 to 1.0 units. Maintenance dose was between 0.5 and 1.2 units. Serum IGF-I levels were increased after GH treatment (0-week, 93.7±69.7 ng/mL; 2-weeks, 184.9±89.0 ng/mL; 6-weeks, 188.4±94.8 ng/mL; 10-weeks, 207.6±111.1 ng/mL; 6 months, 281.9±95.5 ng/mL). AGHDA scores slightly improved from 10.25±6.70 to 8.58±5.47 after 6 months of GH deficiency treatment. Conclusion: The GH Treatment Registry will be beneficial in monitoring the effects of GH deficiency treatment on Korean adult GH deficient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