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정당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성찰

        김용호(Yong-Ho Kim) 한국정당학회 2008 한국정당학회보 Vol.7 No.2

        미국 사회과학이 유럽으로부터 독립된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한 과정이 우리들에게 주는 교훈을 중심으로 한국정당 연구가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였다. 첫째, 연구 주제의 적실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한국정당의 기원을 우리의 역사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 주제의 편협성을 극복해야 한다. 예컨대 중앙당과 정당지도자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풀뿌리정당조직과 당원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처방 위주의 연구보다 경험적 연구를 축적하고, 신생민주주의국가의 정당정치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새로운 정당이론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서구이론으로 한국정당정치를 설명하려는 노력에 못지않게 참여관찰 등을 통해 한국정당의 현실로부터 이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최근 정보통신혁명으로 인한 새로운 정당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나아가 정당을 대체하는 국가-시민사회 간의 새로운 매개체에 대해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비판과 토론을 기피하는 학문풍토를 개선해 나가야 한국정당연구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valuate the discipline of Korean party studies for building up their academic identity. First, the scholars of Korean party politic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relevance of their studies. For example, the origin of Korean political parties should be explored in the country’s political history including the factional politics of the Chosun dynasty. Secondly, the scholars need to conduct some empirical studies in the unexplored subjects such as grassroots party organizations, activists and members. Thirdly, the Korean scholars need to expand their academic concerns beyond their national boundaries for constructing new theories of party politics in new democracies. In addition, the scholars need to closely investigate new party phenomena brought by rec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volution. Lastly, the Korean scholars need to abandon their bad habit of refraining themselves from making some criticisms on their colleagues’ studies of Korean party politics.

      • KCI등재

        한국 정당연구의 비판적 검토

        이동윤(Dong-Yoon Lee) 한국정당학회 2010 한국정당학회보 Vol.9 No.1

        이 논문은 한국의 정당연구를 통해 표출된 정당조직 차원의 주요 논쟁들을 비판적 시각에서 재검토하고, 정당연구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한국의 정당연구는 1987년 민주화와 더불어 정치발전을 위한 정당정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서구 민주국가들의 정치발전과 정당정치에 관한 개념적 인식 및 이론적 모델의 적용을 통해 다양한 논의들이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정당연구는 정당조직 차원에서 아직도 정당정치의 위기를 상정한 정당 유형의 변화나 정당정치의 제도화 문제를 둘러싼 다양한 논쟁과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한국 정당연구의 건설적 발전을 위해서는 정당연구의 한국적 정체성이 확립되고, 정당의 본원적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심층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그동안 선거연구나 정책연구에 경도되었던 정당연구의 확충이 필요하고, 한국과 제3세계 후발민주국가들의 정당정치에 대한 비교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olemic arguments on party organization, which were recently revealed through the party studie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ways toward new research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party studies. Since the 1987 democratization, party studies in Korea was vitalized for political development and democratic reform, which is centering around the conceptual application and diverse theories of party politics in Western democracies. However, in the dimension of party organization, Korea’s party studies is pointed out of various critics and problems around the change of party organization type and institutionalization of party politics in confront with crisis of party politics. Conclusionally, for the constructive development of party studies in Korea, there need to establish Korean identity of party studies, to perform the deepening research be faithful to fundamental functions and roles of political party,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 and scope of party studies which was biased toward policy and electoral studies, and to vitalize comparative studies on party politics of Korea and the third world’s new democracies.

      • KCI등재

        한국 정당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강원택(Won-Taek Kang) 한국정당학회 2009 한국정당학회보 Vol.8 No.2

        이 글은 간부정당, 대중정당, 포괄정당, 카르텔정당 등 기존의 한국 정치에 대한 연구에서 자주 거론되어 온‘서구적’정당 조직 유형을 한국에 적용해 온 기존의 연구 경향을 비판적인 시각에서 검토한 것이다. 이 글에서 강조한 것은 외형적으로 서구 정당과 유사한 조직적 특성을 보인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정당의 대응을 초래한 외부적 환경 요인이 상이하기 때문에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은 보다 조심스러워야 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서구의 연구 성과를 한국에 적용할 때 그 역사적ㆍ맥락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그동안 정당 연구에서 시도된 바처럼 서구적 틀 속에서 한국 정당 정치의 보편성을 찾아내려는 기존의 연구 성과는 나름대로 적지 않은 의미를 갖지만, 한국 정당 정치의 혼재적 속성을 고려할 때 그러한 수준을 넘어서는 새로운 학문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특히 서구와의 비교가능성, 보편적 발전 과정에 대한 주목이 너무 경직된 해석으로 이어졌거나 지나치게 일반론적인 논의로 흐르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런 경향을 극복하고 보다 유연하고 다원적인 개념의 정립, 그리고 새로운 개념적 틀을 만들어 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existing literature on South Korea’s party politics. A major problem in existing studies is that the development of party structure in Western democracies is not well suited to South Korea’s experiences. Many local studies tends to adopt ‘a path’ of party transformation from cadre party to mass party, from mass party to catch-all party, and from catchall party to cartel party. However, South Korea’s parties have taken a different path and, as a consequence, have diffe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despite a seemingly similar look. To better understand South Korea’s political parti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ome idiosyncratic experiences, even though comparability between South Korea and other democracies still matters.

      • KCI등재

        한국 정당모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박경미(Kyungmee Park) 한국정당학회 2012 한국정당학회보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선거경쟁의 특성을 중심으로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모델을 탐색하는 것이다. 현재 한국은 어떤 정당모델로 보아야 할 것인지, 그리고 서구 중심주의적 특성을 갖는 정당모델론을 신생민주주의국가 중 하나인 한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식과 기준으로 보는 것이 적절한 것인가? 특히, 정당의 특성이 부각되는 선거경쟁에서 한국의 정당모델은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는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는 민주화 이후 총선의 선거경쟁을 중심으로 정당모델의 특성을 탐색한다. 주요 분석대상은 첫째, 선거경쟁에 영향을 미친 정치관계법의제ㆍ개정, 둘째, 주요 정당이 공천한 후보의 특성, 셋째, 선거운동 방식에 대한 사례 분석이다. 분석결과, 민주화 이후의 한국 정당모델은 카르텔정당모델에서 선거전문가정당모델의 내재화로 변화하였으며, 정치관계법 개정이 대폭적으로 이루어진 제17대 총선이 기점이었다. 원내당원과 전문경력자들이 후보 공천에 주축을 차지하는 가운데, 주요 정당들의 공천에 원내당원과 일반당원보다는 전문경력자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토대는 정치관계법이 조직지배적 동원보다 기술지배적 동원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한 데에 있었다. 점차 기술지배적 동원이 두드러지는 경향과 함께 동원 대상도 당원 주변의 유권자로부터 유권자여론층을 동원하는 선거전문가정당모델로 변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party models in South Korea around electoral competitions of general elections. Which party models do Korean parties belong to? How do we apply party models thesis to South Korean as new democracies? What kinds of changes do Korean parties experience in electoral competitions? This study analyzed political relations law, the relations between candidates and their parties, and characteristics of electoral campaign. As results, Korean parties have changed from cartel party model to electoral-professional party model in the 17th general election for which was turned off. Among candidates, incumbents and careerists were more than half, and party affiliations were not considered seriously. Electoral appeals have changed to lay more emphasis on opinion electorates and electoral campaigns have enhanced to utilize technique-dominated mobilization than organization-dominated mobilization.

      • KCI등재

        정책정당의 부침과 한국 민주주의 30년: 정책정당발전의 역사적, 이론적 제약과 한국정당의 변동

        장훈 한국정당학회 2018 한국정당학회보 Vol.17 No.3

        Party theorists have shared a normative attitude toward the notion of policy-based parties(pbp) for the last 30 years of Korean democracy. Yet such a normative view has not attained a substantive progress toward a policy-base parties due to two main reasons, historical legacy and problem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This article focuses on, first, the historical legacies since the authoritarian era on the underdevelopment of pbp, in particular, the lasting impact of strong state-weak parties tradition in Korea. Specifically, Korean parties have had characteristics of personal leadership over party organization, fragile linkage to civil society, and inferior status against the omnipotent state since the authoritarian era. Second, theoretical efforts have not provided substantial ground for the development of pbp. The so-called ‘strong-party perspective’ borrowe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f Western European parties which represented solid linkage between civil society and government focusing on class conflict structure. Such notion has turned out to be quite irrelevant in Korean realities of weak parties tradition. The concept of “intra-parliament parties” trie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strong-party perspective”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strengths and weakness of Korean parties after democratization. Yet even with enhanced relevance to Korean realities, “intra-parliament parties” has not been successful in producing meaningful research agenda. Recently, researches have flourished focusing on policy based voting behavior among the electorate. It means that political parties is strengthening its role of policy based electoral mobilization, only in very moderate and volatile senses. All this is calling for our efforts to revisit the notion of pbp, in the context of shrinking role of parties for democratic representation and legitimation. 민주화 30년의 기간 동안 정책정당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한국 민주주의가 당연히 지향해야 할 규범적 목표로 널리 이해되어왔다. 하지만 정책정당이라는 목표는 한국정당의 역사적 배경과 정당이론의 문제들로 인해 30년간 큰 진전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이 논문은 먼저 정책정당의 발전이 지체된 역사적 배경으로, 권위주의 시대부터 이어져 온 강한 국가-약한 정당의 지속적인 영향력에 주목한다. 민주화 이전부터 자리잡은 개인화된 정당 리더쉽, 시민사회와의 허약한 연결고리, 압도적인 국가에 대한 정당의 주변화 등은 민주화 이후에 정책정당의 발전을 크게 제약하였다. 또한 이론적 접근들 역시 정책정당을 뿌리내리게 하는 데에 충분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서구의 경험에 기초한 강한 정당론은 차용된 규범성으로 인하여 한국 정당현실과의 적실성이라는 문제에 부딪쳤다. 한편 원내정당론은 한국 정당현실과의 적합성이 높았지만, 정책정당과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질문을 충분히 생산해내지는 못하였다. 이어서 최근 활발해진 정책선거에 관한 분석들은 정당정치의 중심이 정책정당보다는 정책선거로 기우는 흐름을 포착하고 있다. 결국 정당이 시민사회와 정부를 연결하는 중심고리라는 정책정당의 관념은 변화해야만 한다. 정당은 여러 경쟁적인 대표기제들과 경쟁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서 정당이 기여하는 민주적 책임성과 반응성 역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론적 변화를 이끌어 갈 구체적인 연구질문들의 생산이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정당의 이합집산과 정당체계의 불안정성

        곽진영(Jin-Young Kwak) 한국정당학회 2009 한국정당학회보 Vol.8 No.1

        본 논문은 대통령 선거를 전후하여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정당의 이합집산과 그로 인한 정당체계의 불안정성을 유도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우선 다당제하에서 5년 단임제 대통령제가 갖는 취약한 대표성과 책임성, 그리고 대통령화와 당내 통제력이 동시에 발생되는 불안정성의 소지가 정당체계의 가변성을 촉진시킨다. 둘째, 한국 정당은 선거전문가정당적인 성격을 띠며, 따라서 예측되는 선거 결과가 강한 이합집산의 동인을 제공해 왔다. 셋째, 정당 내 파벌이 태생적으로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이들 간의 수직적 통합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정당의 지속성이 유지되기 어려웠다는 점과 여당의 경우 대통령의 당내 리더십이 임기 말에 급격히 약화된다는 점 등이 작용하여 정당의 분열이 더욱 촉진되었다. 이러한 한국 정당의 이합집산에 의한 정당체계의 불안정성은 정책적인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닌 선거에서의 승리만을 위한 원심적인 경쟁의 양상을 보여준 것이었다는 점에서 소모적이며, 무엇보다 정치체계 전반의 안정성과 통치력을 약화시켜 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factors to induce repeated splits and mergers of Korean parties and instability of party system. The five-year single term presidency with multi-partism usually has vulnerable accountability and weak representativeness. Under this presidential system, the simultaneously strengthening “presidentialized government” and “partified government” also have accelerated instability of party system. The strong property of vote-seeking of Korean parties offered party members strong incentives to split or merge parties. Finally, the inherited factional party politics of Korea and weak vertical integration among party members may have accelerated the splits of parties, along with weakening presidential leadership in party at the end of the term. These repeated splits and mergers of Korean parties have important meaning as they have resulted in vulnerability of political system and weak governability.

      • KCI등재

        한국 정당의 재원구조 변화와 민주주의

        임성학(Sunghack Lim) 한국정당학회 2018 한국정당학회보 Vol.17 No.2

        한국 정치자금제도나 정당 재원구조는 민주주의의 발전과 함께 정상화하는 단계를 거쳤다. 후견적 간부정당과 외부자금의존적 엘리트정당에서 카르텔정당체제로 변모해가면서 민주화와 더불어 정치자금제도가 정착하기 시작했다. 특히 2004년 정치자금법 개정으로 한국 정치자금 제도는 저비용의 민주주의에 맞게 기능해 주었고 보다 투명하고 양성적인 정치활동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2004년 정치자금법은 정치자금의 수요를 줄이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한계가 있다. 이제 민주주의의 심화라는 기준에 맞는 정치자금제도를 정착시킬 시기에 도달했다. 한국 정치제도는 보다 자유로운 정치, 선거, 정당 활동의 보장, 풀뿌리 민주주의의 확대로 나아갈 것이고 결국 정당의 정치자금 수요는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정당 재원구조의 다원화, 정치기부의 활성화 등이 필요해 보인다. The Korean political finance system has been normalized since democratization in 1987. Political parties succeed to adopt to social change and new political environments. The clientelistic cadre party and the externally financed elite party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cartel party. The revision of the 2004 Political Fund Act allowed the Korean political funds system to function in accordance with low-cost democracy and enabled more transparent and positive political activities. However, this new regulation need to be re-revised in order to deepening democracy. Freer election, more active party activities and invigoration of grassroots democracy eventually demand more political funds for the par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structure of party financial resources and revitalize political donations.

      • KCI등재

        한국 정당연구에서 거시 역사접근의 재구성

        장훈(Hoon Jaung) 한국정당학회 2014 한국정당학회보 Vol.13 No.2

        최근 들어 정당연구자들 사이에서 주체적인 연구질문과 연구방법을 통해서 한국정당 정치의 고유한 역사와 전개양상에 대한 연구를 심화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 글에서 우리는 기존의 접근법들 가운데 정당의 역사적 인과구조를 강조한 거시접근의 연구 질문과 연구방법의 비판적 재구성을 시도함으로써 연구의 주체성과 역사연구, 사회과학 이론의 균형점을 모색한다. 지금까지 거시접근의 연구질문은 주로 한국에서 대중정당이 부재한 현실과 이에 대한 역사적 설명을 시도하는 데에 집중해왔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거대질문은 여러 개의 다양한 중범위 수준의 연구질문으로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테면 권위주의 국가의 선제적 발전 속에서 주변적 위치에 머물던 한국의 정당들은 시민사회와 어떤 방식으로 연계되면서 동원과 정당화의 제한적 역할을 해왔는가? 또한 민주화 이후에 한국정당들은 어떤 방식으로 민주화된 국가와 새로운 관계를 설정했으며, 이 과정에서 전통적인 종속적 위치는 점차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 등의 질문을 통해서 우리는 연구주체성과 역사연구의 간격을 좁힐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거시접근의 연구방법은 서유럽 대중정당의 역사적 경로에 대한 비교를 통해서, 우리정당의 역사를 분석해왔는데, 이러한 비교역사방법은 좀 더 적실성이 높은 후발민주화 국가와의 비교 사례분석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남미의 주요 민주화 국가들은 국가의 선제적 발전과 정당정치의 주변화라는 공통의 역사적 경로를 걸어왔으며, 후발산업화와 민주화를 성취한 점에서 우리 정당정치와 공통의 경험을 갖고 있다. 이들 사례와의 비교역사 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연구의 주체성, 역사연구, 사회과학 이론의 엄밀성 사이의 균형을 추구할 수 있다. Several studies have recently emphasized a historic turn in Korean party studies toward a more self-referential party study. This article attempts to contribute to a historic turn by revisiting the macro-historical approach to Korean parties by focusing on research agenda and methodological issues. Thus far, macrohistorical approach has interpreted history of Korean parties by comparing it with Western European experiences of mass based parties. In contrast, this article argues that such research agenda should be expanded by comprising various dimensions like the impact of preemptive growth of the state and its impact upon the underdevelopment of political parties. It also should be closely examined how the underdeveloped parties have struggled to mobilize electorates support and to legitimize electoral politics to a limited extent. By addressing these issues, the historic turn would help to bridge the gap between self-referential study and historical approach. Also the methodological tenet of macro-historical perspective should be revised. The extant macro-historical perspective has mainly engaged in comparing Korean experiences with those of Western European history which resulted in focusing only on the failure of the rise of mass based parties in Korea. This article suggests that comparing Korean historical trajectory with those of Latin American democracies would yield more relevant and meaningful analysis. As Korean and Latin American democracies share several key elements in the evolution of political parties, such comparative research strategy would contribute to theorizing new democracies’ party politics as well as to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our own party histories.

      • KCI등재

        지역주의 정치와 한국정당체제의 재편?

        강명세(Myoungsei Kang) 한국정당학회 2005 한국정당학회보 Vol.4 No.2

        이 글은 두 가지 목적을 추구한다. 첫째 목적은 한국 정당체제의 ‘망국적’ 문제로 지적되어온 지역정당체제의 구축과정과 그 정치적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17대 총선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지난 총선이 15년 이상 동안 존재해 온 지역정당체제를 전국적 정당체제로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으며 재편선거(critical elections)의 가능성 여부에 주목했다. 이러한 주목의 이유는 오늘날의 정치적 불확실성을 가져온 것은 구조적으로는 지역주의에 기반한 정당정치체제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개혁의 대상으로 지탄받는 지역주의와 정치적으로는 지역 정당과 지역정당체제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한편 이 글은 17대 총선이 향후 정당체제의 변화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와 관련해서 역사적이고 이론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현재의 한국의 정치개혁이 마스터 변수로 보는 지역정당체제로부터의 전환 또는 탈지역정당체제의 구축을 보다 역사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결론으로서 정치개혁이 추구하는 탈지역화 즉 전국화가 가능하려면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를 살펴본다. Party system in Korea has been regional since 1987. The top priority in political agenda has been to nationalize party politics away from regionally segmented system. The 17th parliamentary election in 2004 was hoped to become a first step toward building nation-wide party system.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in parliament generated a political crisis. During the crisis, many voted for a new governing party which was believed to eradicate the deep-rooted regionalism that has dogged the country for decades. Unlike wishful thinking of many, the party system remains regional. This article aims to show that regional party system has been consolidated and remained strong by developing nationalization index of parties and party system. In addition, I will suggest institutional conditions that will contribute to weakening regional strength of party system.

      • KCI등재

        한국노총 선거 전략 변화 요인

        정진웅(Jinwung Jung),진영재(Youngjae Jin) 한국정당학회 2011 한국정당학회보 Vol.10 No.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노총의 선거 전략이 어떤 요인에 의해 변화하였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1995년 이후 한국노총 선거 전략은 크게 세 가지로 진행되었다. 초기에는 김대중 후보와의 정책 연대와 기존 정당 공천으로 조직원 원내 진출을 시도하는 등 정당과의 연합전략이 선택되었다. 17대 총선을 전후해서는 독자 정당인 녹색사민당을 결성해 선거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선거에서 참패 후 당은 해산하였고, 직전 선거에서는 다시 보수 정당과의 정책 연대 전략을 선택하였다. 민주노총과의 경쟁이 진행되면서 각각의 시기에 따라 한국노총의 입장에서는 이익 개념이 변화하고 있었다. 그리고 합리적 선택을 하는 한국노총으로서는 매 시기 최대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결국 이익 개념의 변화가 선거 전략의 변화에 일관되게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what is the most coherent factor that has driven the changes in the electoral strategies of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FKTU). In the elections from 1996 to 2000, FKTU strategically joined the conservative coalition. FKTU eventually formed its own party, the Green Social Democratic Party (GSDP), and participated in the 17th general election campaigning to take the initiatives in a labor movement after the reform of the electoral law in 2002. However, GSDP had turned out to be uncompetitive in the electoral market where DLP had already dominated the ‘progressive’ votes and had to return to the old strategy of political coalition with the conservative party. We argue that the conceptual changes of ‘interest’ make the dramatic changes of electoral strategies of FKT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