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리터러시로 세상을 읽다 - 조병영,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 쌤엔파커스, 2021

        이주영(Jooyoung Lee )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1

        피츠버그 대학에서 15년간 읽기와 리터러시를 연구하며 EBS 프로그램 <당신의 문해력>을 기획해 이끈 저자는 최근 저서 『읽는 인간 리터러시를 경험하라』에서 이제는문해력을 넘어 맥락을 읽고 세상을 디자인하는 리터러시를 말해야 하는 시대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리터러시를 한 문장으로 정의하는 것은 어렵지만 파울로 프레이리가리터러시를 정의할 때 늘 ‘단어 읽기와 세상 읽기’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입장을 견지하며, 리터러시는 정확한 낱글자 읽기가 복잡다단한 세상 읽기로 전환되는 과정에기여하는 매우 정밀하고 섬세한 지적·정서적·사회적 의미의 구성 과정과 실천의 스펙트럼을 포괄하는 의미임을 시사한다. ‘배움의 도구’이자 사회적 개념인 ‘역사적 도구’로, 리터러시는 글자 읽기에서 출발하여 앎을 성찰하는 세상 읽기로 발전한다. 책은 모두가 좋은 리터러시를 갖추고 실천할 수 있도록 사회가 어떻게 도와주고 있는지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며 리터러시의현황과 과제, 전망과 대한 다각적인 질문들을 던지고 유효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인도한다. 텍스트를 매개로 세상을 읽고 쓰는 리터러시를 실천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삶의 자세를 가져야 할까. 저자는 삶의 경험을 근거로 의미를 디자인하는 과정이 필요함을논한다. 읽기와 쓰기는 소통하고 연대하는 사회를 디자인하는, 우리 사회를 바꾸는도구이므로 읽기와 쓰기로 세상을 바꾸는 리터러시 실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리터러시의 의미는 다층적이고 복합적이며 포괄적으로 계속 확장될 것이기 때문에 저자의 통찰력 있는 후속 논의가 기대된다. 리터러시는 나로 살아가고 있다는증명이 될 수 있다. 리터러시가 공동체를 만든다는 입장을 견지하는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The author, who planned and led the EBS program <Your Literacy> by studying reading and literacy at the University of Pittsburgh for 15 years, stresses in his recent book <Experience Reading Human Literacy> that it is time to talk about literacy that goes beyond literacy and designs the world.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fine literacy in one sentence, the author maintains that Paulo Frey always used the expression “word reading and world reading” when defining literacy, suggesting that literacy encompasses a very precise, delicate spectrum of intellectual, emotional, and social meanings. It is a ‘historical tool’ that is a ‘tool of learning’ and a social concept, and literacy starts from letter reading and develops into a world where you reflect on your knowledge. The book asks various questions about the current status, tasks, prospects and prospects of literacy, saying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society is helping everyone to have and practice good literacy. What attitude of life should we have to practice literacy that reads and writes the world through text? The author discusses the need for a process of designing meaning based on life experiences. Reading and writing are tools that change our society, designing a society that communicates and solidifies, so it is possible to practice literacy that changes the world through reading and writing. In the future, the meaning of literacy will continue to expand in multi-layered, complex, and comprehensive ways, so the author's insightful follow-up discussion is expected. Literacy can prove that I am living as myself. We recommend reading books to readers who maintain the position that literacy creates a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차별이라는 수수께끼, 그 답을 찾아서

        이민정(Lee Min Jung)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리터러시 연구 Vol.13 No.2

        『파친코』는 현재 세계에서 베스트셀러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작품이다. 애플TV+에서 『파친코』를 드라마로 제작하면서 더욱 주목받기 시작했다. 『파친코』는 4대에 걸친 재일교포 가족소설이다. 그러나 역사소설이기도 하다. 1900년대 초부터 1989년까지 한국과 일본의 역사를 누구보다 객관적으로, 담담하고 정직하게 서술하고 있다. ‘선자’라는 한국 여인의 4대에 걸친 가족, 사랑, 이별, 운명, 극복이 담긴 서사. 이러한 한국적 정서와 한국의 역사가 세계인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에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작가 이민진은 ‘한’으로 점철된 한국인의 정서를 담백한 문체로 서술하고, 한국 이민자의 역사를 간결하게 담아냈다. 작가는 2권의 장편소설이라 자칫 지루하고 늘어질 수 있는 작품을 여러 장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장마다 새로운 에피소드를 담아내고 있다. ‘소설은 재미있어야 한다’는 작가의 신념에 맞게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게 하는 흡입력을 갖추고 있는 작품이다. 이민진 작가는 역사를 재미있는 소설 속에 담아내고 있다. 『파친코』는 인간의 본성과 정직한 역사에 대한 담백한 서술이고, 현 시대의 다문화를 애달프게 반영하고 있는 소설이다. 그래서 많은 세계인들이 그의 작품에 공감하고 호응할 수 있는 듯하다. 『파친코』는, 이제는 차별과 혐오의 역사를 끝내고 정직한 역사를 이끌어가야 한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그리고 다문화 시대에 소수자로 살고 있는 이민자들이 차별이라는 수수께끼를 어떻게 풀어내고 극복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소설이라 할 수 있겠다. 『Pachinko』 is a work that is currently creating a craze for bestsellers in the world. It began to attract more attention when it was made into a drama on Apple TV+. 『Pachinko』 is a novel of a Korean-Japanese family spanning four generations. But it is also a historical novel. It describes the history of Korea and Japan from the early 1900s to 1989 more objectively, calmly and honestly than anyone else. A narrative of a Korean woman named ‘Sunja’ that spans four generations of family, love, parting, fate, and overcoming. I can t help but be surprised that these Korean sentiments and Korean history arouse sympathy from people around the world. Writer Lee Min-jin describes the sentiments of Koreans dotted with ‘Han’ in a plain style and concisely captures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nts. Since the author is a two-volume novel, he divides the work that can be boring and lengthy into several chapters. And each chapter contains a new episode. In line with the author s belief that ‘novels should be interesting’, this work has a suction power that makes it impossible to let go of the book. Writer Lee Min-jin puts history into an interesting novel. 『Pachinko』 is a simple narrative about human nature and honest history, and it is a novel that sadly reflects the multiculturalism of the present age. Therefore, it seems that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can sympathize and respond to his work. 『Pachinko』 is sending a message that we must now end the history of discrimination and hate and lead an honest history.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novel that suggests how immigrants living as minorities in the multicultural era must solve and overcome the riddle of discrimination.

      • KCI등재

        대학 내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글쓰기 개선방안

        김남미(Kim Nam-Mee)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4

        이 논문의 목적은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은 학술적 글쓰기 자체의 특성, 대학 교육의 특성, 학습자 특성 때문에 몇 가지 한계 상황에 직면한다. 첫째는 전공별 장르별 접근의 한계이다. 대학 교육 현장의 자체의 전공별, 과목별 글쓰기 담화 공동체의 유형화 작업을 진행되지 못하였다. 전공이나 교양과목을 담당한 교강사의 학술적 글쓰기 자체에 대한 관심도나 중요도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글쓰기에 관여하는 사고 영역을 점검하기 위한 기반 작업도 여전히 부족하다. 두 번째 한계 상황은 대학 내 학문 목적 글쓰기 교육에 관여하는 주체의 문제에서 기인한다. 외국인 학습자의 학술적 글쓰기 결과물이나 과정에 대한 평가자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담당자가 아니다. 또 평가자인 전공 담당 교강사는 외국인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자가 아니다. 외국인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자가 평가자가 되는 강좌가 일부 존재하지만 외국인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교육은 부담이 되는 상황이다. 세 번째 한계 상황은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습자의 특성이 다층적이라는 점이다. 어떤 학습자는 한국어 능력으로 부족으로 인해 대학 수업에 적응하지 못하는가 하면, 또 다른 학습자는 모어를 사용하는 학습자보다 뛰어난 글쓰기 능력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다면성을 가진 학습자 특성을 무시하고 획일적으로 접근하는 방법도, 학습자 개별 상황에 맞추어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글쓰기센터와 같은 기관이 관련 주체들을 연계하는 역할, 다양한 자료들을 모아내고 이를 연구하고 공유하는 역할, 구성원들을 개별적으로 만나 글쓰기 교육의 제반 상황을 운영하고 연구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way of systematizing ‘Writing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It discusses the possible ways to improve academic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ies. When it comes to the discussion of academic purpose Korean Education, the denotation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and “academic Writing” is not the same. The main reason for the difference stems from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tself which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cademic writing itself, university education, and students.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the education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faces a few challenges. First, there is the limit of access to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and genres. We are now in a situation where the classification process of writing discourse community according to different disciplines and majors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tself has not been proceeded. The second challenge comes from the matter of subject involved in the writ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within universities; evaluators for the result of foreign students’ academic writing and process is not the specialist for Korean education for foreigner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Korean universities are multi-layered.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institutions such as writing center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relevant subjects, collecting and sharing various data, and meeting related constituents individually to organize and research the situation of writi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