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담배소비세 세율 변동시 재고담배에 대한 과세방안

        허등용 한국지방세학회 2018 지방세논집 Vol.5 No.1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raised tobacco tax rate on January 1, 2015. In the process of change in tax rates, tobacco manufacturers, distributors, importers and exporters have gained additional profit due to increase in the tax rates through strategic stockpiling of tobacco. Considering the low level of tobacco prices compared to other developed countries and the policy of public health promotion, further increases in overall tax rates of tobacco, including local tobacco excise tax rate, will be inevitable. In Korea, however, there is no systematic mechanism to reduce incentives for strategic stockpiling of tobacco yet. Therefore we will experience the same side-effect without the incentive reduction mechanism when tobacco tax rates increase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local floor stocks tax on tobacco as a device that fundamentally reduces the incentive for strategic stockpiling of tobacco in the process of change in tax rates. The necessity of the taxation is examined in terms of government revenues, market distortions, and horizontal tax equity. This study specifically presents taxation requirements of the local floor stocks tax considering overseas cases and current local tobacco excise tax system in Korea. 최근 우리나라는 2015년도에 담뱃세를 대폭 인상하였다. 감사원의 감사결과에 따르면 담뱃세 인상의 과정 속에서 담배 제조업자, 유통업자, 수입판매업자 등은 전략적 재고담배 비축행위를 통해 세율변동으로 발생하는 시세차익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국민건강증진 정책 및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하여 낮은 담배가격 등을 고려하였을 때 향후 담배소비세를 포함한 담뱃세의 추가적인 인상은 불가피할 것이라 판단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세율인상시 발생하는 전략적 재고비축의 인센티브를 감소시키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으므로, 향후 담뱃세 인상시 과거와 동일한 사회적 부작용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세율인상시 발생하는 전략적 재고비축 인센티브를 근본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치로 재고담배에 대한 담배소비세(담배소비세 재고분) 과세방안을 선제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과세의 필요성은 정부세입, 시장왜곡, 수평적 조세 형평성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해외 사례 및 현행 담배소비 체계를 고려하여 담배소비세 재고분의 과세요건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담배 세율체계 개편방안 연구 :종량세 세율체계 인식제고를 중심으로

        김홍환 한국지방재정학회 2023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보다 명확한 종량세 담배 세율체계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우리나라 현행 담배 세율체계는 종량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담배에 대한 과세는 근대에서는 재정수입 확대를 위한 과세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에 이르러서는 금연 유도를 위한 정책목적 과세로 운영된다. 금연 유도라는 정책목적을 위해서는 종량세 방식 과세체계가 필요하며 이에 우리나라도 종량세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현행 담배 세율체계는 종량세 방식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신종담배가 등장할 때마다 적정 세율에 관한 불필요한 논란이 벌어진다. 우리나라 담배 세율체계는 담배 종류별 단위를 기준으로 각기 다른 세율로 나타내고 있다. 이는 종량세 방식을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일본의 사례와 같이 모든 담배 종류에 동일한 세율을 적용하되 단위를 다르게 표현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종량세 체계의 세율체계를 명확히 한 것이다. 다만, 종량세 방식에서는 고가담배에 대해 가격 대비 낮은 세액이 부과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고가담배에 대해 종량세와 병행하여 운영되는 종가세 방식 세율체계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learer specific tax rate system on tobacco. Korea’s current tobacco tax rate system is operated as a specific tax. Taxation on tobacco had the purpose of increasing fiscal revenue in modern times. However, currently, it is operated as a policy taxation to decrease smoking rates. For the policy purpose of decresing the smoking rate, a specific tax system is necessary, and thus Korea also operates under a volume-tax system. However, the current cigarette tax rate system in Korea does not clearly reveal the specific tax. Therefore, whenever a new type of cigarette appears, unnecessary controversy arises regarding the appropriate tax rate. Korea’s tobacco tax rate system expresses different tax rates based on units for each type of tobacco. This makes it difficult to clearly recognize that the tobacco tax rate is a specific tax.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applying the same tax rate to each type of tobacco but expressing the units differently, as in the case of Japan.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pecific tax that imposes a low tax rate on high-priced cigarettes. To prevent these problems, an ad valorem tax rate system was proposed for high-priced tobacco, operated in parallel with a specific tax.

      • KCI등재

        담배관련 제세공과금제도에서 지방세 비중 강화를 위한 담배소비세의 개편과제

        이재원 한국지방재정학회 2014 한국지방재정논집 Vol.19 No.3

        Tobacco Consumption Tax was expected to become one of the major Korean local taxes in the era of preparing the local autonomy revival, 1990s. The position in local tax system, however, has been undermined because of failing to adapt with fiscal environment. There are several complicated issues in tobacco taxation such as government revenue resource, tax and non-tax revenue, anti-smoking, specific tax, ad volorem tax, and intergovernmental relationship. In Korean tax system, because the tobacco taxation started from local tax system, the view of local finance should be positioned with first condition for reforming the taxation system.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find the policy agenda for Tobacco Consumption Tax enhancing functionality as a major local tax. 지방자치 부활을 준비하던 90년대 중반에 담배소비에서 발생하는 세수는 모두 지방세로 이전되었으며 담배소비세는 지방재정 확충을 위한 대표적인 지방세였다. 하지만 이후 재정여건과 담배가격정책의 변화들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면서 지방재정에서 담배과세의 위상이 계속 약화되었다. 최근 담뱃값 인상 정책에서도 지방세로서 담배소비세에 대한 관심은 크지 않았다. 담배과세에서는 세율체계 합리화와 국민건강 증진 이상의 다양한 쟁점들이 있으며 관련 제도 개편과정에는 복합적인 요소들을 균형있게 고려해야 한다. 담배과세는 지방세에서 출발하였던 만큼 관련 제세공과금 제도 개편 논의에서 지방재정의 관점과 비중이 명확하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담배관련 제세공과금을 둘러싼 쟁점들을 중앙재정과 구분하여 “지방재정”의 관점에서 정리하면서지방세에서 담배소비세의 위상과 역할이 강화될 수 있는 제도개편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지방세법상 미납세반출시 납세의무 성립과 확정시기에 관한 연구: 대법원 2023. 7. 13. 선고 2020두52375 판결에 대한 평석

        권형기 ( Kwon Hyungki ),박훈 ( Park Hun ) 한국지방세학회 2023 지방세논집 Vol.10 No.3

        담배소비세를 비롯한 개별소비세법, 주세법 등에서는 미납세반출 규정을 통하여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징수를 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만, 미납세반출 제도의 법적 성격이 무엇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논의가 없다. 대법원 역시 일시적인 과세유보라고 표현하고 있을 뿐이며, 국내 학계에서는 이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논의된 바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대법원은 미납세반출한 담배의 담배소비세 납세의무의 성립시점에 대하여 판시하였으며, 동 판결에서는 담배를 미납세반출한 때가 아니라 그 담배를 반입장소에서 다시 반출하는 때에 납세의무가 성립하는 것이라고 판시하였다. 이는 미납세반출의 법적 성격에 따라 미납세반출시 납세의무의 성립시점과 확정시점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세율의 변동이나 소멸시효 등에 있어서, 다른 법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판결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대상 판결의 결론에 대하여 동의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미납세반출 제도가 납세의무의 성립시기를 변경시키는 성격인지, 징수유예 또는 이와 유사한 성격인지, 납세의무의 성립시기는 그대로이나 확정시기를 늦추는 성격인지 여부에 대하여 학설을 구분하여 상정한 후, 개별 학설에 따른 제도의 해석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는지를 각 학설별로 검토해본다. 그 결과 미납세반출이 적용되더라도 최초 반출시점에 납세의무가 성립한다는 점은 그대로이며, 단지 납세의무의 확정시점이 이연된다고 해석하는 경우만 제반 법규의 해석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따라서 최근 대법원 판결의 결론과 달리 납세의무 성립시점이 이연된다는 결론에 이를 수 없음을 확인한다. Consumption Tax Laws, including tobacco consumption tax, stipulate that tax collection is exempt if certain requirements are met. However, there is no clear discussion with regards to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carrying out without paying tax regulations. The Supreme Court only expresses it as a temporary tax suspension, and there is no intensive discussion among domestic scholars. However, the Supreme Court recently expressed the timing of the establishment of tobacco consumption tax obligation of the tobaccos carried-out without paying taxes and decided that the tax obligation is established when the tobaccos are carried-out again from the place of bringing-in, not when the tobaccos are carried-out without paying taxes. The Supreme Court decision can be seen as an important ruling because depending on the legal characteristics, when the carrying out without paying tax occurs, the time of establishment and the time of confirmation of the tax obligations can be different, which can have different legal effects in terms of changes in the tax rates or statute of limitation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conclusion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 In this paper, it preliminary distinguished that whether the carrying out without paying tax scheme is a characteristic that changes the timing of tax obligation establishment, is a postponement of collection or has a similar characteristic, is a characteristic that delays timing of tax obligation confirmation while the timing of tax obligation establishment remains same. Then individual theories are reviewed on what problems occur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chem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even if carrying out without paying tax is applied, the fact that tax obligation is established at the time of first carrying out remains same and that there is no problem in the interpretation of relevant regulations only when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nfirmation timing of the tax obligation is deferred.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contrary to the conclusion of the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no conclusion can be reached that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tax liability is delayed.

      • KCI등재

        담배소비세제의 개편과 물가연동제 도입방안

        장기용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와 회계저널 Vol.13 No.1

        Most advanced countrie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tobacco price by taxation to reduce smoking since long decades ago so the smoking prevalence rate of them is noting more than half that of Korea. Nonetheless, in Korea, there are still hot debate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obacco price policy. And the tobacco consumption tax in Korea has an important role in local governments as a main source of local tax revenue. Tobacco related excise duties is regarded as Pigouvian taxes in economic sense which endogenize negative externalities from consumption. To achieve socially desirable equilibria, the tax amounts should be equated with the marginal social cost of consuming the goods. Since the nominal values of social costs tend to increase along with inflation in general, the desired tax rates should also increase as much as price changes(or above inflation rates). A tax reform is necessary to restore its initial policy purposes to discourage tobacco consumption,to correct tobacco's externality and to ensure stable revenue source for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examines 3 alternatives, ‘simple inflation indexation method(alternative 1)', ‘australia's method for inflation indexation(alternative 2)', ‘Myung Jae Sung(2008)'s method(alternative 3)'. Alternative 3 with correction device for external effect of them is found to comply with basic direction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for current smokers to increase current tobacco price to motivate to quit smoking. For this purpose, on the basis of this study and a recent survey results, current tobacco price should be increased to ₩3,900. 본 연구에서는 담배소비세 실효세부담률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세수의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제고하며, 점증적이고도 자동적인 세율인상을 통하여 불필요한 조세저항과 소모적인 논쟁을 불식시킴과 아울러 담배의 외부성을 합리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안 제시에 앞서 본 연구의 세 가지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담배소비세에 부가하여과세되고 있는 지방교육세는 이를 본세에 통합하여 운용하고, 폐기물부담금은 폐지하도록 하며, 국민건강증진부담금은 국가담배세로 흡수 통합하여 담배소비 억제를 위한 국가의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둘째, 담배소비세 인상과 그로 인한 담배가격 상승을 통한 담배소비 억제정책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고세율.고가격 정책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재량적 세율조정을 통한 담배가격 인상은 한계가 있으므로 교정세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고 조세의 중립성 훼손을줄일 수 있는 대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기본방향을 기초로 지방담배세와 국가담배세 모두에 물가연동제를 적용하는방식으로 세 가지의 대안을 제시하였으며, 그 중 대안3(.        )이 본 연구의 기본방향에 가장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대안3을 적용하는 경우 현행과 마찬가지로 세부담의역진성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담배와 같은 비권장재에 대한 과세에 있어서는 형평성 제고를 통한 사회적 후생 제고보다는 소비 억제를 통한 사회적 후생증진 효과, 즉 과세의 효율성이훨씬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오히려 물가연동을 통하여 담배세를 인상하는 것은 Down trading 을 제한함으로써 경제력이 약한 저소득층과 청소년층에 대하여 긍정적인 금연 효과를 기대할 수있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대안3을 적용한 결과와 최근의 설문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금연의향가격을 기초로 할 때,현재 1갑당 2,500원인 담뱃값은 3,900원 정도로 인상하고, 이를 추후 물가연동제 도입시 당해 담배가격의 기초가액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행의 담배소비세와 관련한 제문제점을 개선하고 보다 합리적인 개선방안을강구하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F-92 Changes in smoking habits of Korean adult men due to the price increase of tobacco in 2015

        고보건,김태희,김유일,김아나,김민석,김태옥,임정환,김영철,임성철,오인재,권용수,신홍준,박철규,장진선,박하영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0

        Purpose: As part of implementation of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financial penalty for the purpose of smoking rate reduction, government began to raise the tax of tobacco from January 1, 2015. In Korea, most smoker is men, and smoking rate is very high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So, in this article, we try to analyze change in smoking habits of adult in Korea after increasing tax rate of tobacco. Method: for the study, we had use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6 th. The subject is current smoking male over the age of 19. Smoker is defined as current smoker who smoke over 100 cigarettes in a whole life. In this group, smoking rate, reason for quitting smoking, association between smoking cessation and increasing tax rate of tobacco and smoking habit change after increasing tax rate of tobacco were analyzed. Result: when comparing the smoking rate before and after increasing of tobacco tax rate, adult male smoking rate was decreased 39.3% (407 out of 2154) in 2014 to 34.4% (413 out of 2352) in 2015. People who had tried to stop smoking(2008), they said reason for quitting smoking is ‘concern about health’ (763, 38%), ‘problem of health (470, 23.4%) and ‘expensiveness of tobacco’ (131 6.5%). Conclusion: after tax rate increase, male smoking rate is decreased, and there is some effect of increase price of tobacco to quitting smoking, especially in low income level. Therefore, not only non-price policy, but price policy of tobacco should be also considered for successful national smoking cessation strategy

      • KCI등재

        WHO FCTC 제6조와 전자담배 과세의 쟁점

        김민배(Kim, Min-Bae) 한국토지공법학회 2018 土地公法硏究 Vol.83 No.-

        WHO FCTC 제6조는 ‘담배 수요를 감소시키기 위한 가격・과세 대책’을 규정하고 있다. WHO는 담배 사용이 사회 전체에 큰 경제적 손해를 끼치고 있으며, 담배 관련 질환에 의한 직접 의료비 및 담배 관련 질환이 가져올 조기사망과 생산성 감소에 의한 간접적 경제 손실을 지적하고 있다. 그런데 담배에 대한 효과적인 과세는 담배 사용율과 사용량의 감소를 가져오며, 담배 사용에 의한 건강관리 비용 부담을 감소시켜 사회적 손해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담배에 대한 과세가 담배수요를 줄이고 담배 사용을 통제하는 성공적인 전략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전자담배가 담배의 개념에 포함되는가에 대해서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전자담배가 담배 제품으로 간주되어야하는지 여부가 초점이다. 최근 미국에서는 전자담배가 담배 제품으로서 명확성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전자담배에 대해 과세를 실시하였다. 과연 전자담배에 대해 과세해야 하는가. 세금을 부과하는 논거는 무엇인가. 세율은 얼마이며, 전자담배의 과세 목표는 무엇인가. 만약 전자담배가 기존의 담배와 달리 일종의 금연도구라고 보는 경우 과세논리는 성립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전자담배를 일종의 금연 도구로 보는 입장과 기존 담배와 동일한 것으로 보아 전자담배를 규제해야한다는 상반된 주장이 있다. 하지만 담배든 전자담배이든 과세가 국민건강과 공중보건이라는 공적 가치를 창출하는 재원수단이라면 전자담배에 대한 과세는 정당성을 갖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전자담배에 대한 과세 여부를 둘러싼 논의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새로운 세원이 필요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전자담배에 대한 과세는 불가피해 보인다. 전자담배는 재래식 담배에 대한 재정적 대안으로 매력적인 대상이기 때문이다. 다만 어떤 명분으로 과세를 할 것인가 하는 점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전자담배의 유해성여부나 기존담배의 대체성을 둘러싼 과세논쟁은 계속될 것이다. 분명한 것은 전자담배는 기존의 담배와 다른 형태와 기능을 보완할 것이고 그 때마다 담배세 논쟁 역시 재연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WTO의 FCTC 제 6조에 대해 검토하고, 최근 미국에서 주장되고 있는 전자담배 규제, 전자담배에 대한 과세율과 입법동향 그리고 그를 둘러싼 과세 쟁점들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전자담배에 대한 과세 정책과 국민건강의 보호라는 차원에서 우리나라가 전자담배에 대한 과세를 실시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Chapter 6 in FCTC, tobacco tax raising should be done for reducing smoking rate, rather than increasing tax revenues. But tobacco use is a serious addiction and remains the leading cause of preventable death and disease in America, killing more than 480,000 Americans each year. WHO and FDA is focused on proven policies that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can enact to reduce tobacco use rates, especially in priority populations that continue to have high tobacco use rates, and therefore higher rates of tobacco-related disease and death. Also known as electronic cigarettes, vapor products have grown steadily in popularity since their market debut in 2007. According to WHO, though the vapor market is currently much smaller than the traditional cigarette market, it grew by 23 percent in 2014. Over the past few years, the sale of e-cigarettes and related products has expanded exponentially. Some reports have emphasized the potential for electronic cigarettes to cause damage to the lungs. Policy makers and citizens have also expressed concern that electronic cigarettes may serve as a gateway to traditional tobacco products, particularly among minors. But research demonstrates that vapor products are significantly less harmful than traditional cigarettes, and have potential to serve as a means of tobacco harm reduction. A number of studies suggest that vapor product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harm reduction by reducing consumption of traditional cigarettes. In recent years, many state and local governments have wrestled with determining the most effective way to regulate e-cigarettes and the evolving market of related devices. As of January 1, 2016, four states, the District of Columbia, and three local jurisdictions have enacted taxes on electronic cigarettes, but their methods and levels of taxation vary dramatically. In 2015, at least an additional 23 states considered excise taxes on vapor products. In this study, the WTO s FCTC Article 6 is reviewed.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recent issue of electronic cigarette regulations, taxation and legislative trends on electronic cigarettes, and the taxation issues etc. In the future, what kind of taxation policy should Korea choose for electronic cigarettes. In this study, the taxation issue for electronic cigarettes was reviewed, and I will present the strategy an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담배 판매량 구조변화 추정을 통한 금연정책 효과성 분석

        유슬기,홍우형 한국재정정책학회 2022 財政政策論集 Vol.24 No.3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effect of tobacco control policies by estimating structural breaks in the tobacco market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1 using Nielsen tobacco sales data. We divide the tobacco market into conventional cigarettes and Heated Tobacco Products (HTPs) markets and estimate the structural breaks of each market using Bai and Perron (1998, 2003) and Ditzen et al. (2021) method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ax-induced price increase in 2015 leads to the main structural break in the conventional cigarette market.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HTPs and COVID-19 epidemic affect the trend of conventional cigarette consumption. The structure breaks in HTP market are observed du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dangers of e-cigarettes and COVID-19, but the increased tax for HTPs enacted in 2018 has no effect on the sales trend. It means that only dramatic price hike is valid to reduce cigarette consumption, and moderate price increase or other non-price policies, such as warning pictures on cigarette packs and smoke-free legislation do not permanently decrease cigarette consumption. 본 연구는 닐슨 담배판매량 자료를 사용하여 2013년 1월부터 2021년 12월동안담배시장의 구조변화를 추정하여 금연정책이 담배소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이때, 담배를 일반궐련과 궐련형 전자담배로 구분하여 각 자료에서 나타난 구조변화를 추정하였다. 추정방법은 월단위 시계열자료에 대해 Bai and Perron (1998, 2003)을, 시도 패널자료에서는 Ditzen et al.(2021)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일반궐련은 개별소비세가 도입된 2015년 1월을 전후로 구조전환점이 발생하였으며, 이후에도 궐련형 전자담배 도입 및 COVID-19 감염병 사태 등의 영향으로 구조변화가 발생하였다. 이는 분석기간에 정부에서시행한 담뱃갑 경고그림 표기, 금연구역 확대 등의 다른 비가격정책이 담배 소비에 구조적 변화를 야기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궐련형 전자담배 또한 전자담배위해성 논란 및 COVID-19 감염병 사태로 인한 구조적 변화만 관측되었으며, 2018년 궐련형 전자담배 가격인상이나 다른 비가격정책은 담배 소비에 구조적인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결과는 금연정책 중급격한 가격인상만이 담배 소비를 영구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미미한 가격 인상이나 다른 비가격정책은 담배 소비에 구조적 변화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는 근거를 제시한다.

      • KCI등재

        담배소비세와 지방소비세의 비교분석- 신 세제 도입과 충분성․형평성 및 책임성의 비교 -

        복문수 한국거버넌스학회 2013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0 No.3

        In recent years,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policies about reducing the tax revenueand expanding welfare services. These policies made local governments worse in localgovernment fiscal situation. The government has tried to reduce local government fiscal deficitsin various way of changing local tax system and introducing new local taxes: TobaccoConsumption Tax(TCT) in 1989 and Local Consumption Tax(LCT) in 2010. I have made a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local taxes on sufficiency, equity and responsibility aspects. With the analysis, I'd suggest some alternatives: 1) Increasing LCT sharing from 5% to 10% ofVAT on improving sufficiency and vertical equity, 2) raising TCT in the long term aspects onstable sufficiency, 3) increasing the portion of 'Do Provinces' in regional distribution rate of LCTwhich is now estimated to be 1:2:3(Near Seoul Districts: Metros outside Seoul: Do Provinces), and4)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making decisions for more local revenues in order to meetsocial-welfare services. 정부의 각종 감세정책으로 인한 지방세입악화와 함께 지방재정현실의 변화는 다양한방식으로 지방재정확충을 모색하게 되었다. 소비세적 성격의 담배소비세와 지방소비세역시 이런 측면이 고려된 새로운 세목의 도입으로 이에 대하여 충분성․형평성 그리고책임성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방소비세 도입은 담배소비세에서 구현한 지방재정의 충분성 확보에 미흡하였고, 담배소비세는 수평적 형평성에역행하였으며, 세출책임성에서 서로 상반된 효과를 가져왔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충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지방소비세 배분비율을 인상하여야 할 것을 제안하며, 지방재원의 안정적 확보란 측면에서 장기적 관점에서의 담배소비세액 인상을 제안한다. 책임성확보를 위해 담배소비세 및 지방소비세 세원규모확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아울러최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충분한 준비와 협력이 미흡한 상태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도입되는 것은 지방재정의 부족과 압박을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담배소비세의 납세의무 성립시기에 관한 일고찰 ― 미납세반출의 경우를 중심으로 ―

        김석환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1

        This paper is to review some issues about the timing of tobacco consumption taxation(“TCT”) under the Korean Local Taxation Act, inter alia, especially focusing on the tax-suspension removal. To sum-up the review is as follows: The meaning of the “removal from the factory” stipulated as the timing of TCT should be interpreted in a manner of normatively evaluating the taxpayer’s unnecessary and abnormal actions in pursuit of the windfall of the inventory profit exploiting the scheduled increase of the TCT rate. The meaning of the “does not levy” in case of the tax-suspension removal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suspension of both the assessment and the collection by the revenue authorities instead of the suspension of the collection only. This interpretation is reasonable and in line with the legislative intention in light of the return, payment and assessment procedures, the period of exclusion from imposition, the treatment of taxation for the discarded product in the bonded area, etc. In addition, it harmonizes with the attitude of the legislations of the leading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United Kingdom. It is also possible and reasonable that the “removal from the factory” in the applicability clause of the Addenda has the same meaning of the timing of the TCT because it otherwise renders unlawful and unconstitutional in breach of the well-established anti-retroactive taxation rule. 이 글은 2014년 말 지방세법상 담배소비세 세율인상을 계기로 발생한 제조업자들의 재고차익을 회수하기 위한 전제로서 담배소비세의 납세의무 성립시기와 관련한 몇 가지 쟁점을 살펴보았다. 논의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담배소비세의 납세의무 성립시기로 정한 ‘제조장으로부터 반출’의 의미는 그 물리적・사실적 태양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간접세이자 물품세로서의 담배소비세의 과세체계와 재고차익을 노린 비정상적 행위에 대한 규범적 평가를 반영하는 방법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담배소비세 미납세반출 시 법문상 “징수하지 아니한다”의 의미는 부과권과 구별되는 협의의 징수권만을 유예하는 것이 아니라 부과권과 징수권을 포함하는 조세채권 전부의 행사를 유예하는 뜻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미납세반출 규정은 물론 신고・납부 및 부과・결정 규정, 가산세 관련 규정, 부과제척기간, 시행규칙상의 신고서식, 보세창고 보관 중 멸실・폐기 시 납세의무 소멸 여부, 법령의 연혁 등을 종합적・체계적으로 살펴볼 때 이와 같은 해석은 합리적이면서 입법자의 의도에도 부합한다. 비교법적으로도 대부분의 국가들이 이와 같은 입법 및 해석태도를 취하고 있으며 유사한 제도를 운용하는 우리나라의 다른 법률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2014년 말 지방세법 개정 시 적용례를 정한 쟁점 부칙규정의 ‘제조장으로부터 반출’의 의미는 납세의무 성립시기와 같은 뜻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 않다면 소급과세 금지원칙과 헌법상 신뢰보호 원칙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납세의무자가 보세창고로부터 (납세)반출 시 납세의무가 성립하는 것을 전제로 신고의무를 이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쟁점판결의 사안에서 제조장으로부터 (미납세)반출 시 납세의무가 성립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신의칙 위반에 해당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이러한 납세의무자의 주장을 수긍하는 경우 지방세법 제60조의 신고의무 불이행에 따른 가산세 부과가 가능하다고 보아야 한다. 동일한 상황에서 본세의 목적상 납세의무가 제조장으로부터 (미납세)반출 시 성립하면서 동시에 가산세 목적상 납세의무가 보세창고로부터 (납세)반출 시 성립한다는 주장은 양립하기 어렵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