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식품 재료로부터 유래한 향기 성분의 항산화능 연구

        장혜원,이광근 동국대학교 2005 大學院硏究論集-東國大學校 大學院 Vol.35 No.-

        Plants commonly used for Korean foods such as Oenanthe javanica (dropwort), Chrysanthemum coronarium (crown daisy), Capsicum annuum (green pepper), Sesamum indicum (sesame), Allium fistulosum (welsh onion), Allium cepa (onion), and Allium scorodoprasm (garlic) have their own aroma. Aroma compounds of plants were isolated by steam distillationunder reduced pressure (DRP) and liquid-liquid continuous extraction (LLE). The aroma extracts of plant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ajor aroma compounds of the extract from dropwort were β-pinene, gamma-terpinene, and germacrene D and the major ones in the extract of crown daisy were diethyl phtalate, 1-octadecane, and, dibutylphtalate. N-methyl acetamide, 2-acetylpyrrole, and 4-ethylguaiacol were detected as major aroma compounds in green pepper and 2, 5-dimethylpyrazine, sesamol, and 4-ethyl-2-methoxyphenol were identified in sesame. The main aroma constituents in welsh onion were dipropyl disufide, farnasol, and dodecenyl succinic anhydrid and the major ones in onion were 2,6-dihydroxy benzoic acid, dipropyl disulfide, and dibutyl phtalate. Garlic has methyl all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2-vinyl-(4H)-1,3-dithiin as the major aroma compounds. Antioxidant activity of aroma extracts isolated from plants was evaluated in two different assays. The aroma extracts isolated from dropwort, crown daisy, green pepper, sesame, welsh onion, onion, and garlic inhibited the oxidation of hexanal by 25%, 95%, 51%, 99%, 95%, 96%, and 98% respectively, for one month at the 500 μg/ml level. They inhibited malonaldehyde formation from cod liver oil by 48%, 58%, 49%, 29%, 58%, 62%, and 58% respectively, at the 500 g/ml level.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natural antioxidants, a-tocopherol.

      • KCI등재

        황반변성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송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반주연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3

        목적: 항산화능을 가진 소재는 안질환들 중에서 나이연관 황반변성 질환의 예방과 증상 완화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안구건조, 당뇨, 고혈압, 혈액순환 등에 많은 효능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는 송담에 대하여 황반변성의 예방 및 치료 가능성을 보기 위하여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방법: 송담의 항산화 효과를 보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송담의 항산화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여러 농도에서의 세포에 독성을 보이지 않는 최적의 농도를 평가하였고, 여러 항산화 효소들의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지질과산화물과 활성산소종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송담의효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송담 추출물 농도(10, 50, 100, 500 µg/ml)에서의 항산화 활성도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농도에서 세포에 대한 독성을 보기 위하여 세포 생존력을 평가하였고, 항산화 효소(SOD, GSH-Px, CAT)들의 농도를 상대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역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효소의 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증가된 지질과산화물과 활성산소종 농도를 송담 추출물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송담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황반변성을 예방하고 치료 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 가능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Antioxidants are frequently involved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ye diseases, including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Based on several studies, Parthenocissus tricuspidata, a common plant is known for its numerous effects on various diseases such as dry eye disease,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and blood circulation. Methods: To examine the antioxidant effect of P. tricuspidata, we first measured its antioxidant activity. Optimal nontoxic concentrations for cellular activity were determined and the activities of various antioxidant enzymes were evaluated. Additionally, the efficacy of P. tricuspidata was comprehensively evaluat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s of lipid peroxides (MDA)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Results: We obser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ntioxidant activit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 tricuspidata extract (10, 50, 100, and 500 µg/mL). Cellular viability assessment at each concentration confirmed no cytotoxicity, along with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in the activity of antioxidant enzymes. Notably, the P. tricuspidata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MDA concentration and ROS leve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hich causes cell death.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 tricuspidata extract possesses antioxidant properties, suggesting its potential use as a functional material for preventing and treating eye diseases, including AMD.

      • KCI등재

        신체활동과 활성산소

        이호성(Lee, Ho-Seong),박우영(Park, Woo-Young) 대한운동학회 2007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9 No.2

        이 연구는 신체활동과 활성산소의 관계, 신체활동과 항산화 능력, 고령자의 신체활동, 및 항산화 보충과 항산화능력에 대해 밝히고자 연구되었다. 활성산소는 안정 시에도 발생하며, 신체활동 시에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활동에 따른 활성산소의 증가는 운동 강도나 소요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일상적인 신체활동량과 항산화 능력의 관계는 복잡하며, 지구성 트레이닝은 항산화 능력을 향상 시켜준다. 노화에 의한 활성산소 발생의 증가와 항산화 능력의 저하가 산화 스트레스의 증가를 초래하며, 고령자의 지구성 트레이닝이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일치한 견해를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 항산화 보충은 운동후 산화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며, 항산화 능력을 저하시킨다. 신체활동은 항산화 능력을 향상시킬 가능성은 있지만, 고령자의 지구성 트레이닝은 항산화 능력 향상에 영향이 없다고 생각된다. 활성산소 종류의 상호작용이나 단백질의 기능 조절 등 향후 연구 결과가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summar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hysical activity and the reactive oxygen, and the physical activity and the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effects of the physical activity, the antioxidation supplement, and the antioxidation ability in the elderly humans were investigated. It was well established that the reactive oxygens produce at rest, and increase at the physical activity. Especially, the increase of reactive oxygen by the physical activity was influenced at exercise intensity and du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daily amount of the physical activity and the antioxidation ability were complex, and endurance training improves the antioxidation ability. Increase of reactive oxygen production by aging and the decrease in the antioxidation ability results in an increased production of oxidation stress, and there was no consensus with regard to the antioxidation ability effects of endurance training in the elderly humans. Growing evidence indicates that the antioxidation supplement reduced oxidation stress after exercise, and the decrease in estrogen secretion by menopause results in an decreases the antioxid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review may suggest that the physical activity increase the antioxidation ability but not the effect of endurance training on the antioxidation ability in the elderly human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ffects on intera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function adjustment of protein, etc.

      • KCI등재

        탈진적 운동과 항산화제섭취가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효소의 활성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왕록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4

        이왕록. 탈진적 운동과 항산화제섭취가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효소의 활성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4호, 679-692,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 운동이 쥐 심장근 및 골격근의 산화적 손상정도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장기간의 복합 항산화제 섭취(비타민 E, C, B6, β-carotene, Selenium)가 최대 운동 시 쥐 심장근 및 골격근의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동물은 태어난 지 4주가 된 Sprague-Dawley계 수컷 40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무작위로 비항산화 섭취군(Non-antioxidants Group;CON, NAE)과 항산화 섭취군(Antioxidants Group; AC, AE)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항산화 섭취군(n=20)은 16주 동안 일반 쥐 사료를 섭취하였으며 항산화섭취군(n=2)은 일반쥐 사료와 함께 비타민E(200 IU/kg/day), 비타민 C(50 mg/rat/day), 비타민 B6(250 ug/kg/day), 베타카로틴(300 mg/kg/day)과 셀레니움(0.1 mg/kg/day)을 혼합한 사료를 같은 기간 섭취하였다. 식이 처치가 끝난 16주 뒤 운동군(n=20, NAE & AE)은 쥐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최대운동(25 m/min, 경사도 15%, ∼50±10 min)을 실시하였다. 심장근과 골격근에서 산화적 손상정도로써는 MDA(Melondialdehyde) 생성량을 항산화 효소로써는 SOD(Superoxide dismutase), GPx(Glutathione Peroxidase) 및 GR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항산화 유전자 발현량에 있어서는 Cu/Zn-SOD mRNA와 Mn-SOD mRNA의 발현량을 RT-PCR(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iton)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탈진적 운동은 비항산화제 섭취근의 심장근 MDA 생성을 40%정도 증가시켰으며 장기간의 복합 항산화제 섭취는 심장근의 MDA 생성을 30%정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측 비복근의 GPx및 GR 활성도 항산화제 섭취 시 활성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란다(P< 0.05). Cu/Zn-SOD mRNA 발현량도 항산하제를 섭취하거나 탈진적 운동을 실시하었을 경우, 일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W.L. Effects of Exhaustive Exorcise and antioxidants suppiementation on Oxidative damage, Antioxidants Enzyme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in Rats. Exercise Science, 12(4): 679-692, 2003.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long-tern antioxidants supplementation on oxidative damage of heart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skeletal muscle immediately after exhaustive exorcise In rats. Forty male Sprague-Dawley rats(4 weeks old) were used as subj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such as, CON(control group), NAE(non antioxidants exercise group), Acantioxidants control group) of AE(antioxidants exorcise group). Antioxidants group(AC & AE) fed the general food and the mixed antioxidants which were consist of vitamin E(200IU/kg/day), vitamin C(50mg/rat/day), vitamin B6(250ug/kg/day). β-carotene(300mg/kg/day)and selenomethionine (0.1mg/mg/day). After the diet experiment for 16 weeks, exorcise groups(NAE & AE) completed acute treadmill running(speed increased gradually to 25m/min, 15% uphill grade, ~50±10min) until exhaustion. Immediately alter exhaustive treadmill exercise, all the rats were sacrificed then, MDA of heart, SOD of soleus, GPx of gastrocnemius and GR of gastrocnemius were assayed. for the gene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 Cu/Zn-SOD mRNA and Mn-SOD mRNA were assayed by RT-PCR In heart, lung, liver and soleus. As a rusult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exhaustive exercise increased MDA product by 40%, but a long-term antioxidants suppiement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MDA product by 30% in the heart. Further, antioxidants suppienment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GPx and GR activity of gastrocnemius muscle after exhaustive exorcise(p<0.05). On the result of antioxidant enzyme gene expression, it seemed that Cu/Zn-SOD mRNA was Increased by bothe exhaustive exorcise and antioxidants supplementation

      • KCI등재

        단기간과 장기간 지구성운동 시 쥐의 골격근 내 항산화 효소와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발현양상

        김상현 ( Sang Hyun Kim ),안나영 ( Na Young Ahn ),홍창배 ( Chang Bae Hong ),김기진 ( Ki Jin Kim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김상현, 안나영, 홍창배, 김기진. 단기간과 장기간 지구성운동시 쥐의 골격근 내 항산화 효소와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발현양상.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359-366, 2011. 증가된 골격근 내 미토콘드리아 호흡은 운동으로 인해 생성되는 대부분의 산화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운동강도가 높고, 운동시간이 길수록 산화스트레스 조절을 위한 항산화 효소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운동기간에 따른 항산화효소의 단백질 발현 변화를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성운동 기간에 따른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4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각각 6마리씩 4그룹(sedentary, 1 day exercise, 3 day exercise, 3 weeks exercise)으로 분류한 다음 수영을 실시하였다. TBARS 측정을 위한 혈액은 마지막 운동훈련이 끝난 직후 채취하고, 항산화 효소와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 효소의 발현 분석을 위한 골격근은 마지막 운동훈련 18시간 후 적출하였다. 그 결과 1일 운동 후 증가된 TBARS는 3일과 3주 운동후에는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세포질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다양한 항산화 효소의 단백질 발현은 1일 운동 후에는 차이가 없거나(catalase, SOD2) 감소(SOD1, GPx-1)하였으나, 3일 운동 후에는 증가(SOD1, catalase, SOD2) 되었다. 그리고 3주 운동 후에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모든 항산화 효소가 대조군과 비교해 차이가 없었으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SOD2는 증가되었다. 마지막으로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 효소의 단백질 발현은 1일, 3일 그리고 3주 운동 모두 증가하였으며, 3주 운동 후에는 1일 운동에 비해 증가하였다. 그리고 미토콘드리아 Krebs 회로 효소인 citrate synthase 발현은 3주 운동 후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영과 같은 지구성 운동 시 에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항산화 효소에 의한 방어체계의 경우 단기간 운동 시 에는 증가하지만, 운동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안정 시 수준으로 회귀하였다. 그러나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항산화 효소에 의한 방어체계의 경우 3일부터 3주까지 증가상태를 유지하였다. Kim, S. H., Ahn, N. Y., Hong, C. H., Kim, K. J. The effect of acute and prolonged endurance swim exercise on antioxidant and mitochondrial enzymes in rat skeletal muscle. Exercise Science, 20(4): 359-366, 2011. The majority of the oxidants produced in muscles are due to an elevated rate of mitochondrial respiration. In general,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for protection of oxidative stress were increased in both high intensity and long duration exercise.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reported regarding the effect of acute and prolonged endurance exercise on antioxidant enzymes expression. This study measured antioxidant enzymes to evaluate the total antioxidant defense capacity in rat skeletal muscles subjected to acute and prolonged endurance exercise. Twenty-four ra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4 groups (sedentary, 1 day exercise, 3 day exercise, 3 weeks exercise). Exercise groups were trained by using a 6 h/day swimming program. Blood samples for TBARS were drawn immediately after the exercise session. Muscles samples for antioxidant and mitochondrial enzymes were harvested 18 hours after the last bout of exercise. Endurance exercise training increased serum TBARS levels in 1 day exercise group, but that of 3 day and 3 weeks exercise groups were not changed compare to sedentary group. The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were not changed (catalase, SOD2) or decreased (SOD1, GPx-1) in the muscles` of 1 day exercise group, but SOD1, catalase and SOD2 expression were increased in the 3 day exercise group. Cytoplasmic antioxidant enzymes (SOD1, catalase, GPx-1) were not changed from the sedentary group, but the mitochondrial antioxidant enzyme SOD2 was increased in the muscles` of 3 week exercise group. NADH-UO and COX1 expression were increased in all exercised groups (1 day, 3 day, 3 weeks). Mitochondrial electron transport chain enzymes expression were higher in 3 week group compare to 1 day exercise group. Krebs cycle enzyme citrate synthase only increased after 3 weeks exerci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ioxidant defense capacity by cytoplasmic antioxidant enzymes in muscles` of endurance trained rat were only increased in short term exercise. However, an increase in antioxidant defense capacity by mitochondrial antioxidant enzyme, SOD 2, was increased after prolonged endurance exercise training.

      • KCI등재

        전통 식재료의 항산화 효과

        이재혁,박정숙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10 kinds of medicinal plants and vegetable extracts and total extracts. The cytotoxicity was measured by MTS assay,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iboflavin-derived superoxide inhibitory activity (SQA). As a result, cytotoxicity was safe for all 10 medicinal plants, vegetable extracts and total extract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observed in Cinnamomum cassia Blume, Eugenia caryophyllata Thunb. Arctium lappa, Total extract was excellent, and Riboflavin-derived superoxide inhibitory activity (SQA) was found in Cinnamomum cassia Blume, Arctium lappa, Prunus mume Sieb. et Zucc., Excellent, but total extract showed the best antioxidant effec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ntioxidant effects of medicinal plants and vegetables using traditional ingredient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increased when used as a mixture than when used alone.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used as an antioxidant functional material, and it is expected to be of value when developing antioxidant material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전통 식재료로 많이 사용되는 10종의 약용식물 및 채소류 추출물과 10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디자인되었다. 세포 생존률은 MTS assay로, 항산화효과는 DPPH free radical 소거능, Riboflavin 유래 Superoxide 억제활성(SQA)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포생존률은 10종 약용식물 및 채소류 추출물과 10종 혼합추출물 모두 0.5mg/mL에서 대조군과 유사한 생존율을 보였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Cinnamomum cassia Blume, Eugenia caryophyllata Thunb. Arctium lappa, Total extract가 우수하였고, Riboflavin 유래 Superoxide 억제활성(SQA)은 Cinnamomum cassia Blume, Arctium lappa, Prunus mume Sieb. et Zucc., 우수하였으나, Total extract가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전통식재료로 사용되는 약용식물 및 채소 추출물과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한 결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물로 사용시 항산화능이 증가되었다. 이는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항산화 소재 개발 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갈릭산이 적용된 하이드로겔콘택트렌즈의 항산화기능

        김혜림,김호중,전진 대한시과학회 2020 대한시과학회지 Vol.22 No.2

        Purpose : To produce a hydrogel contact lens (Hy) having an antioxidant functionality, a method of applying gallic acid (GA) into Hy without phase separation is studied, and the effec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lens applied with gallic acid are investigated. Methods : The Hy were produced by a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 in a lab. Chitosan (Cs)used for bonding with GA was used in two types with molecular weights of 100~300 kDa(CL),600~800 kDa(CH), and was added to Hy by an 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method. The optical transmittance was measured in a wavelength range of 300 to 800 nm,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by a gravimetric method. The binding of GA was confirmed by an amide bond formation using FT-IR, and the amount of the GA was quantified by the UV absorbance measured at 298 nm.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lens were assessed using DPPH(2,2-diphenyl- 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ssay. Results : The optical transmittance was 95% in Hy, 91% in Hy-CL-GA and Hy-CH-GA. The water content is 50.5±1.2%, 52.4±0.7% and 55.6±0.6% in Hy, Hy-CL-GA and Hy-CH-GA, respectively. The amount of GA bound to lens was 0.30 mmol/cm2 in Hy-CL-GA and 0.37 mmol/cm2 in Hy-CH-GA. The antioxidant effect was 48.23% in Hy-CL-GA and 58.32% in Hy-CH-GA, which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both lenses with GA. Conclusion : The functional hydrogel contact lenses with high optical transmittance, water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produced using Cs and GA. As the amount of GA bound to the lens increased, the water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By suggesting the method employing polysaccharides and polyphenols to the contact len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multifunctional contact lenses with protein inhibition, improved wet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목적 :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Hy)를 제조하기 위해 갈릭산(Gallic acid: GA)을 Hy에 상 분리 없이 도입시키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 갈릭산이 첨가된 렌즈의 물리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실험실에서 열중합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갈릭산과의 결합을 위해 사용된 Chitosan(Cs)은 100~300 kDa(CL), 600~800 kDa(CH) 분자량을 가진 두 종류를 사용하였으며, Hy에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방법으로 첨가하였다. 광 투과율은 300~800 nm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였으며, 함수율은 중량법으로 측정하였다. 키토산과 갈릭산 간의 amide bonding은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첨가된 갈릭산의 양은 298 nm에서 측정한 UV 흡광도 값으로 정량하였다. 렌즈의 항산화 효과는 DPPH radical 소거능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광 투과율은 Hy에서 95%, Hy-CL-GA와 Hy-CH-GA에서 91%를 보였다. 함수율은 Hy에서 50.5±1.2%, Hy-CL-GA에서 52.4±0.7%, Hy-CH-GA에서 55.6±0.6%로 나타났다. 렌즈에 결합된 갈릭산의 양은 Hy-CLGA와 Hy-CH-GA에서 0.30, 0.37 mmol/cm2로 각각 나타났으며, 항산화 효과는 Hy-CL-GA에서 48.23%, Hy-CH-GA에서는 58.32%로 나타나 갈릭산을 첨가한 두 렌즈에서 매우 높은 항산화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키토산과 갈릭산을 활용하여 광 투과율과 함수율이 높고 항산화 효과를 가진 기능성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렌즈에 결합된 갈릭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과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였다. 콘택트렌즈에 다당류와 폴리페놀류의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단백질 억제, 습윤성 향상, 항산화 기능 등을 함유한 다 기능성 렌즈 제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진동혁(Dong Hyeok Jin),오다영(Da Young Oh),김한수(Han Soo Kim)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1

        치자 껍질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70% methanol, distilled water (DW) 및 ethylacetate (EA)의 3가지 용매를 사용한 추출물의 용매 별 flavonoid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금속 chelating 능력 측정을 통하여 치자 껍질의 기능성 식품 재료로서의 가치를 검토한 결과, 치자 껍질의 proanthocyanidin 함량은 48.165±0.811 mg CE/g DW로 나타났으며, 추출 수율은 70% methanol (36.26%), DW (39.87%), EA (2.88%) 로 나타났다. 추출 용매 별 항산화 활성은 농도(0.2, 0.4, 0.6 mg/mL)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ontrol로 사용된 ascorbic acid, BHA, EDTA 보다는 낮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Flavonoid 함량(mg QE/g)은 70% methanol (0.416), DW (0.225), EA (0.212)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른 항산화 분석 및 금속 chelating 능력 실험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어 모든 분석에서 70%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활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치자 껍질의 용매 별 flavonoid 함량에 따라 항산화능, 금속 chelating 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EA 추출물을 제외한 다른 추출물에서의 수율과 항산화 활성은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치자의 껍질은 proanthocyanidin과 flavonoid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높은 항산화 활성과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어 기능성 식품 및 천연항산화제로서의 가치가 매우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bio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el from Gardenia jasminoides Ellis fructus (GJE). GJE have been known to contain functional materials such as crocin, crocetin, geniposide, gardenosid, geniposidic acid, iridoid glycosides etc. We were separated into GJE peel. After that, we determined proanthocyanidin. GJE peel were extracted by 70% methanol, ethyl acetate (EA) and distilled water (DW) of three solvents. To investigate by the solvent extract of flavonoid content and value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of GJE peel through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like abil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ous ion-chelating capacity) were performed. Solvent extract antioxidant activity of increasing concentrations (0.2, 0.4, 0.6 mg/m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GJE peel extracts showed lower activity than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BHA, EDTA). These results, by a solvent of peel were foun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increase of flavonoid content increased physiological activit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the other except for the EA extract on peel was observed at a high level. The results suggest that GJE peel can be used as nutraceutical foods and natural antioxidant.

      • KCI등재

        아카시아꽃잎 발효액의 미백 및 항산화활성

        김유근,디엡느구팜,이영훈,조지중,최은영,이용현,김성배,김창준 한국청정기술학회 2017 청정기술 Vol.25 No.4

        This paper describes a shake-flask fermentation of Acacia flower producing whitening- and antioxidant- agents. Tyrosinase activity was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traditional and flask-fermentation broths whereas no inhibitory effect of flower extract was observed. Tyrosinase inhibition was 40% in the presence of solution containing 10% of extract from fermentation broth and it increased by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it. Arbutin (20 mg mL-1) and kojic acid (80 μg mL-1) gave 90% and 58% inhibition,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s that whitening activity of 40% extract solution was comparable to that of kojic acid (80 μg mL-1). The comparable antioxidant activity was observed for 60% extract and 10-mg mL-1 vitamin solution. No noticeable toxicity was observed with extract. The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fermentation supernatant was observed at room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 The result clearly shows that shake-flask fermentation of Acacia flower produced whitening agent for functional cosmetics. 본 연구에서 아카시아꽃잎을 기질로 미백효과와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천연물질을 생산하는 플라스크 발효법을 개발하였다. 아카시아꽃잎 추출액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지 않은 반면, 2년 전통발효액과 2년 전통발효액을 접종한 아카시아꽃잎 플라스크 발효액은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였다. 아카시아꽃잎 플라스크 발효농축액 10% 포함된 용액의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40%였고 농축액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해율도 증가하였다. 양성대조군인 알부틴(20 mg mL-1)과 코직산(80 μg mL-1)의 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각각 90%와 58%였다. 이는 플라스크 발효농축액 40%가 포함된 용액의 미백성능이 코직산(80 μg mL-1)의 성능과 비슷함을 보여준다. 농축액이 20% 포함된 용액의 항산화활성은 56%였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용액의 항산화활성도 점차 증가하여 농축액이 60% 포함된 용액의 항산화활성은 98%였다. 이는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비타민 C 수용액(10 mg mL-1)과 동일한 항산화능력이다. 모든 농도의 발효농축용액에서 95%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어 발효액은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온에 보관된 아카시아꽃잎 발효상등액은 pH와 당도 변화가 없었고 분리, 변색, 및 변취 등의 관능적 성상의 변화가 없는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본 결과는 아카시아꽃잎 플라스크 발효액이 안전하고 미백및 항산화효과가 뛰어나 미백화장품 원료로 사용가능함을 보여준다. 이는 본 연구를 통하여 아카시아꽃잎 발효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킨 배양방법이 개발되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화분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항산화 활성

        김춘순(Kim, Choon-Soon),김희기(Kim, Hee-Kee) 한국외식경영학회 2016 외식경영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꿀벌의 단백질원으로 이용되며 항균, 항산화능, 면역증강 등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진 화분을 첨가한 막걸리의 일반적인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 였다. 일반 특성으로 pH와 색도, 총산 함량을 확인하였는데 화분 첨가량에 따라 막걸리의 pH와 총산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색도는 화분 첨가량이 높을수록 막걸리의 색이 어두워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 는데 이는 화분의 수용성 색소가 발효과정 중 용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였다. 식품의 페놀성 물질은 그들의 항산화 활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어 항산화 활성의 간접적인 지표로 활용되는데 화분의 총페놀 함량은 일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토마토, 사과에 비해 10배 이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첨가한 막걸리도 화분 미첨가군에 비해 총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화분 막걸리의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활성도 화분 미첨가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화분을 첨가함에 따라 막걸리의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 였다. 현재 화분이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도가 높지 않은 것을 고려할 때 화분의 활용 방안 중 대안을 제시한 연구로 생각된다. 또한 막걸리 시장의 축소에 따라 전통 주가 점차적으로 퇴화할 수 있는 현재의 시장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 으로서 화분 막걸리를 항산화 활성이 높은 기능성 막걸리 제품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kgeolli added with different levels (0%, 5%, 10%, 15%, 20%) of pollen. The pH, total acidity, color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measured. The antioxidant activity were based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ur result showed that pH slightly increased depending on the pollen amoun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otal acidity depending on the addition of pollen.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Makgeolli added with pollen was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DPPH radical scavengind activity of Makgeolli added with 5%, 10%, 15%, 20% pollen significantly increased to 38.9%, 44.2%, 44.9%, 65.4%, compared with control(12.6%). Howcve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only when added to 15%, 20% pollen, respectively. Therefore, our result demonstration that antioxidant activity of Makgeolli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pollen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us, pollen Makgeolli could be dffecrively as a functional food based on antioxdant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