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울시의 신설 돔구장 정책 커뮤니케이션 노력과 시민 지지
김혜림,류성옥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mmunication efforts for sport facility policies are related to policy literacy and government trust as well as citizen support for the policies regarding the new domed stadium plann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sing a sample of KBO league spectators residing in Seoul, this study revealed that government communication efforts for sport facility policie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itizen trust. This result suggests that citizen trust in polici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 new domed stadium can be improved by accommodating a two-way communication strategy away from unilateral information delivery through a variety of media channels that are now widely used. Study results also indicate that citizen trust can be enhanced when policies are implemented in an effective manner. In addition to several traditional media platforms such as television and newspapers, social media platforms including Facebook and Instagram can be an adequate op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efforts for some policies associated with sport facilities. Based on study results, a variety of strategies are discussed to successfully implement different policies for constructing a new domed stadium with a strong support from Seoul metropolitan citizens. 본 연구는 서울시의 신설 돔구장 건립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 노력이 시민의 정책 리터러시 및 신뢰 형성과 해당 정책에 대한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데 목적을 뒀다. KBO리그 경기를 관람한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민들과 소통하려는 서울시의 노력이 기관 신뢰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가 일방적인 정보 전달 방식에서 벗어나 최근 활용 빈도가 잦아진 여러 미디어 채널을 통해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한다면 돔구장 건립과 관련된 정책에 대한 신뢰가 높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 본 연구는 공공기관이 정책을 효과적으로 집행하고 있다는 인식이 시민들 사이에 형성돼야 기관에 대한 신뢰가 높아진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즉, 서울시가 신설 돔구장과 관련된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는 과정을 통해서만 해당 정책에 대한 시민의 지지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가 시민의 지지를 받으며 신설 돔구장 건립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방안을 제시했다.
김혜림,김호중,전진 대한시과학회 2020 대한시과학회지 Vol.22 No.2
Purpose : To produce a hydrogel contact lens (Hy) having an antioxidant functionality, a method of applying gallic acid (GA) into Hy without phase separation is studied, and the effects on the phys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lens applied with gallic acid are investigated. Methods : The Hy were produced by a thermal polymerization method in a lab. Chitosan (Cs)used for bonding with GA was used in two types with molecular weights of 100~300 kDa(CL),600~800 kDa(CH), and was added to Hy by an IP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method. The optical transmittance was measured in a wavelength range of 300 to 800 nm, and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by a gravimetric method. The binding of GA was confirmed by an amide bond formation using FT-IR, and the amount of the GA was quantified by the UV absorbance measured at 298 nm.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lens were assessed using DPPH(2,2-diphenyl- 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ssay. Results : The optical transmittance was 95% in Hy, 91% in Hy-CL-GA and Hy-CH-GA. The water content is 50.5±1.2%, 52.4±0.7% and 55.6±0.6% in Hy, Hy-CL-GA and Hy-CH-GA, respectively. The amount of GA bound to lens was 0.30 mmol/cm2 in Hy-CL-GA and 0.37 mmol/cm2 in Hy-CH-GA. The antioxidant effect was 48.23% in Hy-CL-GA and 58.32% in Hy-CH-GA, which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both lenses with GA. Conclusion : The functional hydrogel contact lenses with high optical transmittance, water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were produced using Cs and GA. As the amount of GA bound to the lens increased, the water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creased. By suggesting the method employing polysaccharides and polyphenols to the contact len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multifunctional contact lenses with protein inhibition, improved wett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목적 :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Hy)를 제조하기 위해 갈릭산(Gallic acid: GA)을 Hy에 상 분리 없이 도입시키는 방법에 관해 연구하고, 갈릭산이 첨가된 렌즈의 물리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실험실에서 열중합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갈릭산과의 결합을 위해 사용된 Chitosan(Cs)은 100~300 kDa(CL), 600~800 kDa(CH) 분자량을 가진 두 종류를 사용하였으며, Hy에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방법으로 첨가하였다. 광 투과율은 300~800 nm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였으며, 함수율은 중량법으로 측정하였다. 키토산과 갈릭산 간의 amide bonding은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첨가된 갈릭산의 양은 298 nm에서 측정한 UV 흡광도 값으로 정량하였다. 렌즈의 항산화 효과는 DPPH radical 소거능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광 투과율은 Hy에서 95%, Hy-CL-GA와 Hy-CH-GA에서 91%를 보였다. 함수율은 Hy에서 50.5±1.2%, Hy-CL-GA에서 52.4±0.7%, Hy-CH-GA에서 55.6±0.6%로 나타났다. 렌즈에 결합된 갈릭산의 양은 Hy-CLGA와 Hy-CH-GA에서 0.30, 0.37 mmol/cm2로 각각 나타났으며, 항산화 효과는 Hy-CL-GA에서 48.23%, Hy-CH-GA에서는 58.32%로 나타나 갈릭산을 첨가한 두 렌즈에서 매우 높은 항산화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키토산과 갈릭산을 활용하여 광 투과율과 함수율이 높고 항산화 효과를 가진 기능성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였다. 렌즈에 결합된 갈릭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함수율과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였다. 콘택트렌즈에 다당류와 폴리페놀류의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단백질 억제, 습윤성 향상, 항산화 기능 등을 함유한 다 기능성 렌즈 제조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스포츠폭력을 경험한 은퇴 운동선수의 사회적응 과정 탐색
김혜림,홍미화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ositive social adaptation process to post-retirement athletes who have experienced sports violence by analyzing and identifying cases of sports violence and the post-retirement social adaptation proc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8 participants, who were selected as they had experienced sports violence, had more than 10 years of athletic experience, and were currently retired and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To collect the data, an in-depth-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carried out. A qualitative investigation was also carried out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in a more in-depth manner. the social adaptation process of retired athletes who have experienced sports violence should strive to become a positive social adaptation by working with people around them, and that this process should not be seen as an individual effort. If these retired athletes visit a counseling center to overcome trauma, recover, find direction in their lives through personal networking, and develop themselves, they can find an opportunity to fully express themselves and achieve overcome the challenges in their life as an athlete due to sports violenc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or athletes who have experienced involuntary retirement and are suffering from trauma, and that the research related to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이 연구는 스포츠폭력 경험이 있는 은퇴선수들을 대상으로 스포츠폭력 사례와 은퇴 후 사회적응 과정에 대해 분석하고 규명함으로써 은퇴 후 운동선수들에게 긍정적인 사회적응 과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 참여자는 스포츠폭력 경험이 있는 운동선수 중 선수경력이 10년 이상이면서 현재 은퇴를 하고 사회활동을 하고 있는 자 들로 총 8명을 선정하였다. 질적연구 중 문화기술지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스포츠폭력을 경험한 은퇴선수의 사회적응과정은 선수 개인의 노력이 아닌 주변인들과 힘을 합쳐 긍정적인 사회적응이 될 수 있게끔 노력해야한다. 트라우마 극복을 위해 상담센터를 방문하여 회복을 하고 인적 네트워킹을 통해 삶의 방향성을 찾으며 이 안에서의 자기계발을 행한다면 스포츠폭력으로 인해 선수생활 당시 하지 못했던 본인의 자아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비자발적 은퇴를 경험하고 트라우마로부터 고통 받고 있는 선수들을 위해 구체적인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스포츠폭력 경험이 있는 선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김혜림 한국통역번역학회 2012 통역과 번역 Vol.14 No.1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food names are translated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the major strategies that are applied, describing patterns of translation in both language directions, from Chinese to Korean and from Korean to Chinese. Based on the linguistic-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language, the patterns of translation in both directions were compared and the norms for translation of food nam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were identified. Korea and China both belong to the cultural sphere that uses Chinese characters but have very different writing systems. The Chinese writing system is an ideographic system where the characters are symbols representative of a particular meaning, whereas the Korean writing system, Hangeul, is a phonetic system. The linguistic-cultural characteristics of each writing system lead to unique patterns in the translation of food names. This paper hence compares the patterns of translation of food names in Korean to Chinese and Chinese to Korean to g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phonographic translation is the strategy used for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of food names, but in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the strategy used is semantic translation based on the linguistic-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with the original pronunciation written down in English. Second, the two major norms of translation identified were the translator’s use of subjectivity and domestication using native elements in the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중한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가이드라인에 관한 예비연구: 포스트에디팅 교육을 위한 가이드라인
김혜림 한국중국언어학회 2022 중국언어연구 Vol.- No.99
This study aims to suggest basic Chinese-to-Korean post-editing guidelines for use in the classroom. To this end, various post-editing guidelines a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is analysis a English-to-Korean post-editing guideline is chosen, and applied to a Chinese-to-Korean translation practice of undergraduate students. Students carry out post-editing assignments by referring to the suggested guidelines, and their post-editing assignments are analyzed to see whether the guidelines is applicable for Chinese-to-Korean post-editing.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tailors the guidelines to suit post-editing training needs, and suggests Chinese-to-Korean post-editing guidelines with pragmatic exampl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a first Chinese-to-Korean post-editing guidelines for use in the classroom based on an empirical method.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 활용할 수 있는 중국어-한국어 포스트에디팅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예비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 포스트에디팅 교육 관련 선행연구의 포스트에디팅 가이드라인 현황을 살펴보고, 국내외 다양한 포스트에디팅 가이드라인 연구를 종합 분석한 후 이 중 국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영어-한국어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가이드라인을 선정하여 실제 중국어-한국어 학부생 번역 수업에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제시된 포스트에디팅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중국어-한국어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학생들이 제출한 포스트에디팅 결과물을 토대로 중국어-한국어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수행 시 기존 가이드라인에서 수정 보완이 필요한 사항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대다수가 실무 차원 포스트에디팅 가이드라인을 다룬 상황에서 교육을 위한 포스트에디팅 가이드라인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중국어-한국어 언어 쌍에서 처음 시도된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포스트 팬데믹 사회, 외로운 늑대 테러리즘 요인으로서의 SNS 활용
김혜림,주용휘 대전대학교 안보군사연구원 2022 안보군사학연구 Vol.- No.21
This study is shows that distrust of those who are controlled for daily autonomy for quarantine rather than for these factors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and hatred of those who do not follow quarantine rules are expressed as anger against third parties, and existing factors have expanded to the entire group. As COVID-19, not discrimination by a specific class through someone, increases the time spent at home, accumulates personal and social stress, and uses SNS and OTT services to relieve it, and naturally learns violence and brutality as they find more stimulating things in the process. In other words, the anger of "everyone" explodes not through ideological and ideological anger through violence learned based on SNS and OTT, but through terrorism against others such as simple stress-relieving murder and violence. In this Pendemic society, we would like to find out about the use of SNS as a lonely wolf terrorism factor that can be caused by anger assimilation while ordinary people suffer from COVID-19. Chapter 2 presents the theory of assimilation of self-sustaining terrorism as the basis, examines the definition of lone wolf and radicalization, and investigates the use of SNS and OTT. Chapter 3 analyzes the current surge of violence caused by COVID-19 along with the lonely wolf terrorist incident based on SNS, and through this, Chapter 4 presents SNS keyword analysis through the mitigation of suppression and psychological prevention system as a countermeasure, and Chapter 5 suggests conclusions and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는 현재,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이러한 요인보다는 방역을 위해 일상의 자율성을 통제당한 사람들의 불신과 방역수칙을 지키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혐오가 제3자에 대한 분노로 표출되며 기존 발생요인이 전체 집단으로 확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누군가를 통한 특정계층의 차별이 아닌 코로나19로 인해 밖에서 지내는 시간보다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가정, 개인, 사회적 스트레스가 누적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SNS와 OTT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이 길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더 자극적인 것을 찾게 되면서 자연스레 폭력성과 잔혹성에 대해 학습된다. 다시 말해 ‘누구나’의 분노가 SNS와 OTT를 기반으로 학습된 폭력성을 통해 사상적, 이념적 분노가 아닌 단순 스트레스 해소성 살인과 폭력 등 타인을 향한 테러로 폭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펜데믹 사회에서 평범한 사람이 코로나 레드를 겪으면서 분노에 동화되어 발생할 수 있는, 외로운 늑대 테러리즘 요인으로 SNS 활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예측 치안 시스템을 통한 사전 예방방안을 제언하였으며 억제방역 완화 및 심리방역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김혜림 한국통역번역학회 2017 통역과 번역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features of Korean-Chinese translation of cultural terms in The Encyclopedia of Korean Folk Culture.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s the features of translation strategies applied to Korean-Chinese translation of cultural terms from the above encyclopedia in terms of acceptability and adequacy by comparing them with the preceding analysis results of Korean-Chinese translation of cultural terms. After investigating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230 entries in The Encyclopedia of Korean Folk Culture, this study compare them with the preceding results of analyses on Korean-Chinese translation of cultural terms.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 use of graphological translation increased; second, replacing with a correspondence decreased in frequency; third, transliteration was seen. Consequently, this study identifies that emphasis is put on adequacy in The Encyclopedia of Korean Folk Culture on the ground of its genre compared with the other translations of cultural terms.
유아STEAM교육을 위한 아쿠아포닉스 설계와 적용에 대한 실행연구
김혜림,배지현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8
본 연구는 유아STEAM교육을 위한 아쿠아포닉스 설계 실천 과정과 의미를 제시하여 관련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5세 유아 12명, 6세 유아 12명, 교사 2명이 참여하여 수행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쿠아포닉스 설계 과정의 실행과정은 ‘문제점 인식 및 주제 제시: 유아가 공감하는 공동의 문제’, ‘1차 실행: 공생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생태연못 조성하기’, ‘2차 실행: 공학 부품을 활용한 아쿠아포닉스 설계 및 구현하기’, ‘3차 실행: 아쿠아포닉스의 실패원인 찾아보고 재도전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주도 아쿠아포닉스 설계 실행의 의미는 ‘유아주도의 융복합적 사고과정 경험’, ‘소통과 협력에 기반한 창의적 설계와 성공의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유아수준으로 한정지었던 환경교육의 방법과 범위가 STEAM교육을 중심으로 보다 확장된 과학, 예술, 수학, 환경공학, 미래 기술 등의 통합까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 교사계획 중심의 과학 활동에서 벗어나 문제해결을 위한 유아들의 장기간의 실패와 방안 모색, 재도전의 과정적 의미를 제시한 것이다. 유능한 유아들의 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장기간의 시간과 공간을 제공하고 탐색과 실험적인 도전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