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구강종양 골절제 환자의 임플란트 수복 시 연조직에 대한 고려사항
이영훈,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Lee, Young-Hoon,Ko, Kyung-Ho,Huh, Yoon-Hyuk,Park, Chan-Jin,Cho, Lee-Ra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4
구강종양을 절제한 경우 악안면 구조의 상실로 인해 발음, 저작, 심미 등 기능장애를 유발하게 되므로 기능회복을 위해 보철 수복이 필요하다. 이때 임플란트를 이용하면 보철물의 효과적인 기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골절제술을 시행한 후, 이식골의 성공률과는 별개로 연조직이 감염에 취약한 형태를 갖기 쉬우며 이식골은 염증에 이환된 경우 빠른 속도로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성공적인 보철치료를 위해서는 보철치료에 앞서 적절한 연조직 처치와 보철수복 후 잦은 정기검진을 통해 임플란트의 예후와 연관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After the resection of oral tumor, defected maxillofacial structure caused functional difficulties including phonetics, mastication and esthetic aspects. In this cases, implant retained prosthesis can contribute to the functional enhancement. Regardless of the success rate in grafted bone, however, the soft tissue usually had a shape which was susceptible to inflammation. Moreover, infected graft bone presented rapid destruction. For success of the prosthetic treatment, adequate soft tissue treatment and frequent recall check are the essential factors to the successful implant prognosis.
일부 지역사회의 정상 체질량지수 여성에서 허리둘레, 허리둘레/신장비와 대사성 위험요인과의 연관성
이영훈 한국모자보건학회 2009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3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risks in women within the normal body mass index (BMI) range. Methods :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507 women with BMI 18.5~24.9 kg/m2, aged 20 to 74 years, who participated in 'Prevalence study of thyroid diseases' in two counties of Jeollanamdo province during July and August of 2004.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WC) were measured by anthropometry, and BMI, waist-to-height ratio (WHtR) were calculated. The definition of abdominal obesity was defined using WC (≥85 cm, and ≥80 cm) and WHtR (≥0.5 cm/cm). Metabolic risks included high blood pressure, high fasting glucose, low HDL cholesterol, high triglycerides, and multiple metabolic risks (MMRs; 2 or more of the above 4 conditions). Results : The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was 11.8% (WC≥85 cm), 36.3% (WC≥80 cm), and 49.5% (WHtR≥0.5), respectively. Odds ratios adjusted by age, BMI,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aO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of WC≥85 cm for high blood pressure (1.94), low HDL cholesterol (2.05), and MMRs (2.24). aO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of WHtR≥0.5 for low HDL cholesterol (2.00), high triglycerides (2.98), and MMRs (2.22). However, aO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of WC≥80 cm for only high triglycerides (2.09). Conclusion : WC and WHtR seems to have a strong association with metabolic risks. Especially, high WC (≥85 cm) and high WHtR (≥0.5) a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obesity-related metabolic disease. This observation confirms that obtaining anthropometric abdominal obesity indices in addition to the BMI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on a women's health risk.
복층터널 중간슬래브 거치용 브래킷의 설계 검증 실험체 제작
이영훈,박범근,조영교,김성민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복층터널의 중간슬래브는 터널 라이닝에 브래킷을 설치하여 그 위에 거치되는 구조이므로, 브래킷의 파손 시 중간슬래브 낙하 및 라이닝 손상에 따른 인적, 물적 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브래킷의 설계는 복층터널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층터널의 중간슬래브 지지를 위한 브래킷의 설계와 이의 적용성 검증을 위한 실험 계획을 수립하였다. 중간슬래브의 브래킷은 총 4 종류로 구분하여 설계하였으며, 이는 일반 구간, 팽창줄눈 구간, 비상대피시설로 계단 구간, 비상대피로 차로 구간이다. 브래킷은 차량 진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법과 줄눈을 설치하여 불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안이 있다. 연속적으로 설치할 경우 구조적으로 더 안정적이지만 브래킷의 유지보수 시 부분적으로 보수를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2m 간격으로 줄눈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설계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실험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림 1과 같이 라이닝의 양단에 브래킷을 설치하여 반력벽 없이 브래킷 설계에 대한 검증 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사비 0.5를 적용한 축소 실험체를 제작하여 파괴 형상까지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체의 제작 과정을 그림 2에서 보여주며, 향후 하중 재하에 따른 거동 분석 실험을 수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