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V-block effect of functional additive with sterilization condition

        Duck-Hyun Kim,A-Young Sung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5 No.05

        Purpose : UV-block effect of soft contact lens polymerized and with 2,4-dihydroxybenzophenone in the basic hydrogel contact lens material was evaluated. and also the influence of sterilization condition on change of optical properties was analyzed. Methods: 2,4-dihydroxybenzophenone as additive with 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the initiator AIBN were used for thermal copolymerization. The mixture was heated at 100 ℃ for 50 mins to produce the hydrogel contact lens. and they are heated at 115 ℃ for 3 hour for sterilization. Results: The optical properties of produced contact lens including 2,4-dihydroxybenzophenone showed that the UV-A transmittance was 28~36% and the UV-B transmittance was 10~18%. and Also, in case of sterilization situ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V-A transmittance was 5~17% and the UV-B transmittance was 4~16%, respectively. Conclusions: After sterilization of produced contact lens, UV-block effect of soft contact lens including benzophenone group was increased.

      • KCI등재

        O2O 시대 안경원 생존전략: 고객들이 인지하는 공감성이 가치, 구전의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재후,유근창,양회창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5 No.05

        목적 : 본 연구는 최근 O2O(online to Offline)시대의 소비자행동 변화에 대해 안경원들이 생 존할 수 있는 전략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의 극대화로 판단하고, 안경원의 서비스에 대해 고객들이 인지하는 공감성 정도가 소비자들의 실용적, 쾌락적 가치와 구전의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화된 인과모형을 수립하여 이들의 인과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을 통해 다양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안경원에 방문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106명 의 유효 응답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및 구조방정식 경로분 석을 통해 구전의도 및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최초 연구모형에 대해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안경원에 대한 공감성 정도는 실용적 가치, 쾌락적 가치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안경원에 대 한 공감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쾌락적 가치는 구전의도, 재방문의도 경로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실용적 가치는 구전의도에만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방문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 편 구전의도는 재방문의도에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모형 에서는 “공감성 → 실용적 가치 → 구전의도”를 통해서 재방문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 였다. 그러나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 이론적 근거와 Jöreskog & Sörbom(1981)이 제안한 수정지수(Modification Index: MI)를 통해 추가경로를 구성해 분석한 결과 쾌락적 가치는 실용적 가치에, 공감성은 구전의도에 유의미하며, 적합도도 χ2 = 8.416, d.f = 1, p = .004, GFI = .970, NFI = .973, RMR = .048로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안경원에서 제품을 확인하고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경우가 심화된 지금의 상황에서 안경 원이 가장 신경써야 할 요인은 안경원이 눈을 지키는 준의료기관으로서의 전문성을 고객들에 게 제안하여야 하며, 고객들의 실용적가치의 원천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해석과 접근을 통해 O2O시대에 안경원들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해 최 근 부각되고 있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은 안경원들이 고객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고객들이 실용적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동인(motif) 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최근까지 가격할인 등의 마케팅 기법들이 고 객들의 실용적 가치를 증진시킬 지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해봐야 할 것이다. 연구 결과에서도 쾌락적 가치가 실용적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점이 이를 지지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 KCI등재

        Effects of Vision Training According to Big5 Personality Trait

        Hee-Jeong Jang,Hyun-Sung Leem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시기능훈련 전, 후의 Big5 성격(외향성, 우호성, 성실성, 신경증, 개방성)의 차이와 시기 능훈련의 향상도를 분석하였다. 방법 : 교정시력 1.0 이상의 20대 성인 남녀 42명을 대상으로 시기능훈련 전, 후의 양안시검사(포롭터CV-5000, TOPCON, JAPAN이용)와 Big5 성격검사(25문항 5점 척도)를 실시하고, 양안시 이상 분류에 따라 개인별 시기능 훈련 도구(Bernell. USA)를 선정하여 시기능훈련을 실시하였다. 결과 : Mogan’s 기준 범위내군과 범위외군의 시기능훈련 전, 후의 Big5 성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범위내군에서 외향성은 폭주근점(p=0.041), 융합용이성(p=0.027), -100그래디언트(p=0.048)으로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 기능훈련 후 외향성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우호성은 원거리사위도(p=0.038),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회복점(p=0.010),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흐린점(p=0.027),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p=0.029), 근거 리사위도(p=0.025), 그래디언트 AC/A비(p=0.019), 융합용이성(p=0.025), 조절랙(p=0.019), 우안조절력(p=0.003), 좌안조절력(p=0.005), 양안조절용이성(p=0.012)으로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기능훈련 후 우호성 점수가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범위외군에서는 외향성은 –100그래디언트(p=0.048)으로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기능훈련 후 외향성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우호성은 폭주근점(p=0.045),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p=0.017),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회복점(p=0.033), -100그래디언트(p=0.046),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흐린점(p=0.022), 음성 상대조절력(p=0.026), 양성상대조절력(p=0.006)으로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기능훈련 후 우호성 점수가 모두 유 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범위내군과 범위외군 모두 시기능훈련 전 보다 시기능훈련 후 우호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ision training according to Big5 personality traits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openness) b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each personality traits before and after the vision training. Methods : Forty-two subjects of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ir twenties, with corrected vision above 1.0, volunteered for binocular vision test and Big5 personality trait test involving 25-questionnaire with 5-point scale before and after the vision training(with a phoroptor CV-5000, TOPCON, JAPAN), where vision training was followed by selecting personalized vision training tool(Bernell. USA)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binocular abnormality of individuals. Results : Based on Mogan's classification, the difference of the Big5 personality traits by before and after the vision training of inner group and outer group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as for the inner group, extraversion is based on Near point of convergence, NPC(p=0.041), Fusional facility(p=0.027), -100 Gradient(p=0.048), all the scores of extraver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vision training than before the training. Agreeableness is based on lateral Phoria(far)(p=0.038), Base-in, BI vergence recovery (far)(p=0.010), Base-out, BO vergence(far) blur(p=0.027), BO vergence(far) break(p=0.029), lateral phoria (Near)(p=0.025), -1.00 Gradient phoria(p=0.019), Fusional facility(p=0.025), fused cross cylinder (p=0.019), Push-up Oculus dexter, OD(p=0.003), Push-up Oculus sinister, OS(p=0.005), Binocular accommodative facility(p=0.012), all the scores of agreeable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vision training than before vision training. As for the outer group, extraversion is based on -100 Gradient (p=0.048). It is the same score with the inner group and the score of extraversion was higher after vision training than before the training. Agreeableness is based on NPC(p=0.045), BI vergence break(ar) (p=0.017), BO vergence recovery(far)(p=0.033), -1.00 Gradient phoria(p=0.046), BI vergence recovery(near) (p=0.022), NRA(p=0.026),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ve, PRA(p=0.006), all the scores of agreeable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after vision training than before the training. Conclusion : It is assured that agreeableness about all of the inner and outer group were higher after vision training than before the training.

      • KCI등재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의 3D TV 시청에 의한 피로도의 평가

        이혜진,정동훈,장만호,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2

        목 적: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의 3D TV로 3D 영상을 시청할 때 발생하는 피로도, 디스플레이 품질 및 안경 착용감을 비교하고자 했다. 방 법: 42명의 대상자에게 시력에 맞게 처방된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의 3D 안경을 착용시키고 40분 길이의 두 편의 3D 영상을 관람시켰다. 영상물을 시청하는 동안 대상자의 눈앞에 놓인 RED 500 고정식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동공 크기와 눈 깜박임을 측정하였고, 시청 전후 피로도 및 시청 후 디스플레이의 품질과 안경 착용감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 과: 설문조사 결과 3D 영상물을 시청한 후 피로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셔터 방식과 편광 방식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3D 안경의 착용감은 편광 방식이 셔터 방식보다 더 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셔터방식과 편광방식의 3D 시청조건을 비교했을 때 셔터방식이 편광방식보다 평균 동공 크기가 더 작았고(3.35±0.65mm vs. 3.60±0.74mm), 눈 깜박임 간격이 더 짧았다(3.36±1.75s vs. 4.50±2.96s). 결 론: 본 연구에서 3D 시청으로 발생하는 주관적인 시각적 피로는 편광 방식이 셔터 방식보다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성이 없었고, 3D 시청으로 인해 발생되는 시각적 피로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정량화된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fatigue, quality of display, and glasses comfort between Shutter Glasses and Film Patterned Retarder 3D TVs. Methods: Forty two subjects watched two 3D movies through Shutter Glasses and Film Patterned Retarder 3D TVs during 40 minutes respectively in two different sessions. Perceived visual and physical fatigu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watching 3D movies, and quality of display and comfort of spectacles were also measured after watching 3D movies. The pupil diameter and the blinking rate were measured by SMI Eye Tracker during watching 3D movies. Results: The survey showed that perceived fatigue was increased after watching 3D movie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erceived fatigue between Shutter Glasses and Film Patterned Retarder 3D TVs. Film Patterned Retarder glasses were more comfortable to wear and less visually intrusive than Shutter Glasses. The eye tracker data showed that the pupil diameter and blinking rate were decreased after watching 3D movies, and the pupil diameter(3.35±0.65mm vs. 3.60±0.74mm) and the interval of blinking(3.36±1.75s vs. 4.50±2.96s) by Shutter Glasses type was shown to be lower than those by Film Patterned Retarder type. Conclusions: Although FPR types afford better viewing comfort than shutter types, but subjective visual fatigue induced by 3D viewing is considered no difference in two viewing methods. There is considered to suggest a quantified method for measuring induced visual fatigue due to 3D viewing contents.

      • KCI등재

        전북 정읍 지역 중학생 비정시안의 굴절상태에 대한 조사

        두하영,심상현 대한시과학회 2004 대한시과학회지 Vol.6 No.1

        본 연구는 전북 정읍지 역 중학생 굴절이상안 196 명 392 안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 적 시력 검사를 시행하여 비정시의 정도 및 굴절이상 상태를 연구하였다. 1. 눈의 형태는 근시는 91.2%, 원시는 0.9% 그리고 정시는 7.9%로 나타났다. 2. 굴절 이 상안은 단순끈시 33.3%, 근시 성 단난시 7.6%, 근시 성 복난시 56.2%, 단순 원시 0.01%, 원시성 단난시 0.01%, 원시성 복난시 0.01%, 흔합난시 0% 이었다. 3. 난시의 축은 직난시 66.2%, 도난시 20%, 사난시 13.9% 이었다. 4. 난시의 굴절력은 0.50D에서 1.0D 가 73%, 1. 0D에서 2.0D 가 25%, 2.0D 이상이 2% 이었다. 5. 근시성 굴절이상안의 등가구면꿀절력은 0.50D 에서 2.0D 이하 43.3%, ~2.0 D 에서 6.00D 이하 55.8%, ~6.00 이상이 1% 이였다. 6. 원시성 굴절이상안의 등가구변굴절력은 2.00D 이하 50%, 2.00D 이상이 50% 이 었다. To investigate the ametropia and refractive error of 392 ametropic eyes of the 196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g Up City, Jeonbuk provicne, the visual acuity test was performed by the object and subject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ye types were 91.2% positive for myopia, 7.9% for emmetropia and 0.9% hyperopia, respectively. 2. The abnormal refraction eyes were 33.3% positive for simple myopia, 7.6% for myopia simple astigmatism, 56.2% for myopia compound astigmatism, and 0.01% for simple hyperopia, 0.01% for hyperopia simple astigmatism, 0.1% for hyperopia compound astigmatism, 0% for mixed astigmatism respectively 3. The axes of astigmatism were 66.2% for astigmatism with-the-rule, 20% for astigmatism against-the-rule, 13.9% for astigmatism oblique, respectively. 4. As for the astigmatic power, the 0.50 < cylinder < 1.00 D was 73%, the 1.00 < cylinder < 2.00 D was 25%, and anything over the 2.00 cylinder D was 2% 5. As for the equivalent spheric power of myopic abnormal refraction eyes, the -0.50 < spheric equivalent < • 2.00 diopter was 43.3%, the -2.00 < spheric equivalent < -6.00 D was 55.8% and anything over the -6.00 D was 1%. 6. The equivalent spheric power of hyperopic abnormal refraction eyes was 50% anything under 2.00 diopter and 50% for anything over the 2.00 diopter.

      • KCI등재

        곡률반경측정계를 사용한 각막굴절력 측정 방법에 대한 고찰

        임승택,한도희,황영민,김진수,서재명,허민영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4 No.05

        목적: 전통적으로 수동 각막곡률반경측정계(keratometer)로 측정할 수 있었던 각막 주변부는 대상자의 각막 중심에서 30도 떨어진 지점으로 대상자가 장비에 달린 지시침을 주시하면 측정 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이에 문제점을 제기하고 곡률반경측정계를 사용한 주변 부 각막굴절력을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모색해 보고 측정 값을 토대로 적용 가능한 영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대 성인 남녀 총 29명(남16명, 여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편심률 측정 방법 으로는 뚜렷한 마이어 상을 대상자에게서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막곡률계 상에 임의의 주시점을 중심에서 4mm 떨어진 위치에 표시를 하고 대상자가 주시하게 하였다. 측정은 우안만 하였으며 중심부 각막굴절력 측정 후 주변부 각막굴절력 측정은 각막 중심을 기준으로 이측, 비측, 상측, 하측 방향을 측정했다. 결과: 대상자의 각막을 중심으로 4mm 떨어진 위치에서 각막의 주변부 각막굴절력을 측정했 다. 비측에서 측정한 수평경선과 수직경선 간 편차는 4.2D로 수직경선의 굴절력이 더 컸으며 이측에서도 3D 수직경선이 더 컸다. 이에 반해 상측에서 측정한 값에서는 수직경선이 0.9D 더 컸으며 하측에서는 수직경선이 1.4D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남녀 성간 비교에서는 네 개 방향 모두에서 여자의 수평경선 평균 값이 남자의 평균 값보다 더 컸다(비측p<0.02, 이측 p<0.000, 하측p<0.02, 상측p<0.02). 결론: 수동 각막곡률계를 사용하여 전통적 주변부 각막굴절력 측정법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했지 만 자체 개발한 방법을 통해 쉽게 측정할 수 있었다. 남여 간에 유의미한 각막굴절력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비측과 이측은 2D이상 큰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야간근시와 조절력, 암소초점 및 동공크기의 상관성

        류동규,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04 대한시과학회지 Vol.6 No.1

        어두운 곳에서 눈의 굴절상태가 근시쪽으로 변화하는 야간근시와 조절력, 암소초점 및 동공크기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안과적 질환이 없는 20-61 세 정상인 21 명 (42 안)을 대상으로 조절력, Mesotest II b를 이용한 야간근시도, 대비감도 및 눈부섬감 도, 적외선 동공측정계를 이용한 일반조명과 암살에서 동공크기 및 근거리겸영법에 의한 암소초점을 측정하였다. 조절력이 높을수록 야간근시가 증가하고 (r = -0.823, p<O.OOO1) 암실에서 동공직경 이 클수록 야간근시 가 증가하였으며 (r = • 0.336, p = 0.029) 암소초점 이 높을수록 야간 근시가 증가하였다 (r = 0.820, p<O.OOO1). 암실 조건에서 측정한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 도는 야간근시 가 높을수록 증가 (CS : r = -0.343, p = 0.026; GS: r = -0.445, p = 0.003) 하 였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소 (CS : r = -0.408, p = 0.007; GS: r = -0.520, p = 0.0004)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절력, 암소초점, 및 야간의 동공직경 등이 야간활동에 불편을 줄 수 야간근시,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나이증가에 안내 매질의 흔탁과 같은 기타 요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night myopia and amplitude of accommodation, dark focus and pupil size, we measured monocular accommodation by minus lens method, night myopia, contrast sensitivity(CS) and glare sensitivity( GS) by Mesotest II b, pupil size in bright light room and dark room by pupillometer, dark focus by dark retinoscopy for 21 persons(42 eyes) ranging from 20 to 67 years of old without any ocular disease. The degree of night myopia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amplitude of accommodation(r = -0.823, 0<0.0001), pupil size in dark room(r = -0.336, p<0.029) and dark focus(r = 0.820, p<O.OOO1).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sensitivity in dark room were increased as night myopia was increased(CS: r = -0.343, p = 0.026; GS : r = -0.445, p = 0.003) and age was younger(CS: r = • 0.408, p = 0.007; GS: r = -0.520, p = 0.0004).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dark focus and, pupil size at scotopic condition can affects night myopia,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sensltlvl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edia opacities in eye according to senile change on the night myopia,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sensitivity at scotopic condition.

      • KCI등재

        한국 안경사의 현황, 문제점들과 해결방안

        서지근,심현석,김상현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Vol.16 No.3

        목 적: 본 연구에서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한국안경사의 현황, 제도적 문제점들 그리고 해결방안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 법: 자료는 대학알리미 사이트, 교육통계사이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자료들과 교육부와 보건복지 부 보도자료와 질의응답 내용을 사용하였다. 결 과: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서 안경광학과의 입학자원이 감소하고 있으며, 많은 대학에서 학생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안경사의 근무 여건도 좋지 않다. 안정적인 직업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안경사의 근무여건이 개선되어야 하고, 직무영역의 확대를 통하여 다양한 취업처 개발이 필요하다. 결 론: 현재 안경광학과의 전체 정원은 공급과잉 상태이다. 그러므로 학제 통일과 함께 전체 정원을 줄 여야 하며, 더불어 안경사의 직무범위를 넓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hav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problems related system and various solutions of Korean Optometry (Optician) according to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Methods: The data from academyinfo site, KRIVET site, Education Statistics site and inquiries, press release from Ministry of Education and of Health & Welfare were analyzed. Results: Accordingly declined school-age population, the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admission resources is decreasing, many universities are struggling to recruit students. Optometrist (Optician) of the working conditions are not good. In order to raise awareness as a stable job, the working condition of Optometrist (Optician) must improve, a variety of workplace is required. Conclusions: A quota of the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is oversupply, therefore the education system is a unified and reduced the total quota. We need to expand the functional areas of optometrist (optician).

      • KCI등재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한국 안경계 미래에 관한 고찰 I: 안경 산업의 예측과 정책 제안

        심현석,김상현,서재명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Vol.17 No.4

        목 적: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안경업계의 미래를 예측하고 그에 따른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 법: 세계의 미래 예측 기관들의 자료와 국내 정부기관의 보고서를 수집하여 국내 안경업계의 상황을 진단했다. 결 과: 안경 산업의 생산성은 전반적으로 증가하지만 고용 인력은 감소하고 있다. 전자동 안경 조제 장비가 개발되고 있으며 안굴절력계가 일반인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결 론: 안경사는 독일의 장인 제도에서 얻을 수 있는 가치 창조를 개발해야 하며 굴절검사를 넘어 시재활 훈련을 할 수 있어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o predict Korean Optometric business environment in future which could be influenced by the scientific technology development and to find out what countermeasure needs to be prepared. Methods: The future of the world reports and the annual reports provided by the domestic government were collected to diagnose Korean Optometric entire business enviornment. Results: The productivity increased while the employees decreased in the area of the optical industry. In addition, the automatic lens dispensing edger and the auto-refractometer have so developed that the consumer could easily reach those items in regard to the practice of Optician. Conclusions: Korean Optician should develop the value creation based on the German master craftsmanship and have to keep policy efforts to deal with the visual rehabilitation beyond the refraction.

      • KCI등재

        안경원 정기 휴무제 시행에 따른 안경사의 감정조절능력 조사연구

        홍경희,장광천,김세진 대한시과학회 2019 대한시과학회지 Vol.21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ptometrist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optical shops’ regular day off. Methods :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establishment of optical shops and their enforcement of regular day off were administered to 478 optometrists working in optical shops located in Chungnam and Gangwon areas, from April to December, 2018. Then, a comparative analysis on differences in their emotional labor and burnout, self-care for coping with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conducted. Results : Emotional labor and burnout of employees were more than those of owners, while self-care for coping with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former were less than those of the latter.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some optical shops which enforced regular day off were more than those in others which did not, while self-care for coping with stress in the former was less than that in the former. Conclusion : The enforcement of regular day off decreased the degree of optometrist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nd increased the degree of their self-care for coping with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study can be usefully used to understand optometrist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s thought to contribute to reducing job stress derived from management of optical shops and job performance of optometrists.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안경원 정기 휴무제 실태를 분석하여 안경사의 감정조절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18년 4월부터 12월까지 충남과 강원지역 안경원에 근무하는 안경사 478명을 대상으로 안경원 개설유무 및 안경원 정기 휴무제 시행을 설문 조사하였다. 이에 따른 안경사의 감정노동,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자기관리,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종사자는 개설자보다 감정노동과 감정소진은 높았고,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자기관리와 심리적 안녕감은 낮게 나타났다. 안경원 정기 휴무제를 시행하지 않는 안경사는 정기 휴무제를 시행하는 안경사보다 감정노동과감정소진이 높았고, 심리적 안녕감과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자기관리는 낮았다. 결론 : 정기 휴무제를 시행하는 안경사는 감정노동, 감정소진이 낮았으며,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자기관리와 심리적 안녕감은 높았다. 본 연구는 안경사의 감정조절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안경원 경영 및 안경사 직무수행 시 발생하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