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신라의 관등명 ‘迊干(湌)’에 대한 검토

        김희만(Kim, Heui m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19 No.-

        신라의 관등제는 관직제와 골품제를 통해 신라사회를 운영해 나간 주체였다고 할 수 있다. 신라의 17관등은 일찍부터 주목되어 다양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라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 골격이 갖추어졌다. 각각의 관등명에 대한 검토도 그 출처와 운영양상을 중심으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신라관등제에 대한 구성과 성격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하게 되었다. 신라의 17관등 가운데 제3등에 해당하는 ?干(?)은 여러 관등명 가운데 그 의미나 성격을 추출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에 대해서 직간접적으로 그 존재 자체를 중심으로 논의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干(?)은 ‘齊旱支’?‘迎干’?‘?干’?‘??’?‘?判’?‘蘇判’ 등 다양한 명칭으로 기재되어 있어서 그 의미 파악이 결코 쉽지 않은 형편이었다. 이 글에서는 ?干(?)에 대한 논의를 시도한 바, 먼저, 관련 자료의 검토에서는 『삼국사기』신라본기와 직관지에 보이는 ??, 或云?判, 或云蘇判 등의 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양서』 와 『남사』에서는 齊旱支라는 관등이 ?干(?)과 音相似하다는 점을 들어 이후 齊旱支=?干(?)의 등식이 성립하였으며, 『북사』, 『수서』, 『통전』, 『책부원귀』등에 보이는 迎干의 존재 유무를 살펴보았으며, 한원 에 보이는 ?干과 또한 이와 유사한 ?干등의 명칭, 그리고 蘇判에 대한 관련 자료를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干(?)과 연관된 자료로서 齊旱支, 迎干, ?干(?)과 ?干 그리고 蘇判 등 그 용어의 다양성에 주목하였으며, ?干(?)으로 대변되는 제3등은 원래 그 正字가 迎干이었으나 어느 시기에 異體字인 ?干(?)이 대두되면서 齊旱支=?干(?)이라는 인식을 낳게 되어, 이를 통한 역사적 사실은 괴리를 가질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干(?)의 본래적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迎干과 蘇判이라는 용어에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료가 바로 迎鼓와 蘇塗라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迎鼓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또한 國中大會를 열어 연일 음주가무를 하는 행사이며, 蘇塗의 예도 天君과 더불어 그 행사를 확장하여 오월 파종과 10월 추수에 음주가무를 주야 무휴로 하였다. 이와 같은 중요한 행사를 주관하던 迎鼓와 蘇塗의 책임자가 바로 迎干과 蘇判이며, 신라의 3관등인 ?干(?)이 그 대상이었음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신라 17관등 가운데 제3등인 ?干(?)은 원래 명칭은 迎干이었으며, 이러한 명칭이 ?干(?)으로 轉化되어 사용되다가 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蘇判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연원으로 인해 ?干(?)이 신라 17관등에서 고위급인 제3등의 위상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점차 그 역할이 분화되면서 ?干(?)은 관직적 측면에서 관등적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analysis of related materials and character of ‘Jabkhan(chan)’‘(?干(?))’, Official rank name in Silla Dynasty. It can summed as follows. First, I examined the related articles of ‘Jabkhan(chan)’‘(?干(?))’, ‘Jabpan(?判))’, ‘Sopan(蘇判)’ with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史記)』Sillabongi(新羅本紀) and Jigguanji(職官志), and the related articles of ‘Jehanji(齊旱支)’, ‘Youngkhan(迎干)’, Jabkhan(?干) within the 『Liangshu(梁書)』,『 Nanshi(南史)』,『 Peishih(北史)』, 『Suishu(隋書)』, 『Tungtien(通典)』 etc. and the related articles of ‘Jabkhan(chan)’‘(?干(?))’ in others historical books and Stone Monuments.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correct letter of ‘Jabkhan(chan)’‘(?干(?))’ is ‘Youngkhan(迎干)’. Second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rinsic character of ‘Jabkhan(chan)’‘(?干(?))’,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 of Youngkhan(迎干) and Sopan(蘇判). This materials are shown in detail is the fact that just Younggo(迎鼓) and Sodo(蘇塗). These terms are responsible for organizing social important events, such as performed a sacrifice to heaven. As a result, ‘Jabkhan(chan)’‘(?干(?))’, Thirds’ Official rank name in Silla Dynasty is its name was Youngkhan(迎干), this name is used under a different name. And these terms are responsible for organizing social important events, such as performed a sacrifice to heaven, for this reason, there was ‘Jabkhan(chan)’‘(?干(?))’ could rise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ranking.

      • KCI등재

        신라 지증왕의 王名과 그 성격

        김희만(Kim Heui Ma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6

        이 글에서는 신라 지증왕의 王名을 통해 당시 사회의 운영과 변화과정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신라사회에서 지증왕이 차지하는 비중은 마립간에서 왕호로, 상고사회에서 중고사회로 전환하는 시점에 있다는 점에서 일찍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여기서는 지증왕의 王名관련 자료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당시의 사회변화와 그 양상을 추구하여, 지증왕대 전후 王名의 추이와 성격을 규명해 보았다. 그 결과 지증왕의 王名은 이전의 王名과는 달리 유교적, 또는 漢化的표기로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신라사회의 國號와 王號의 변화, 그리고 諡號를 중심으로 불교적 색채와 유교적 정책의 대응 등이 찾아졌다. 이는 기왕의 연구 성과에서 언급된 것과 일면 유사해 보이지만, 그 변화과정을 세밀하게 살펴서 어떠한 시대적 상황이 연출되어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In this thesis, through the Jijeungwang(智證王)’s King Name(王名), it was trying to look at the operation and evolution of society at the time, in Silla Dynasty. Jijeungwang proportion occupied by Silla in society was of interest early on in that at the time of switching from the King’s Official Name(王號), appeal to the community in Maripgan(麻立干) used society. In this article, King Name review the related materials Jijeungwang, and based on this social change and to pursue that aspect of time, I looked identify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Jijeungwang for around King Name. As a result Jijeungwang of King Name unlike previous King Name was changed to Confucianal(儒敎的), or Chinese(漢化的) ever mark, find the favor change National Name(國號) and the King of Silla society in this process, and Buddhist colors counterparts Confucianal policies. This was to investigate the similar to that mentioned in the study of already thesis, but investigate finer the process any change process is implied.

      • KCI등재

        분진 발생 작업장의 분진 발생 실태 및 영향인자에 관한 연구

        김희,김돈균,Kim, Hee-Man,Kim, Don-Kyoun 한국산업보건학회 1993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3 No.2

        The author selected 77 dust emissing processes from 71 types of industries which placed in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Pusan. The level of total dust was measured as areal concentration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by low volume air sampler and personal air sampler, respectively. Collected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chemicals and rubber product, metal product, sawmills and wood, foundries and others). Respirable particulate and total dust of areal and personal exposure were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of the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 and total dust of areal and personal concentration were log-normally distributed. 2. Geometric mean of respirable particulate of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measured $0.55mg/m^3$ in the first group, $0.86mg/m^3$ in the second group, $0.39mg/m^3$ in the third group, $0.81mg/m^3$ in the forth group and $0.52mg/m^3$ in the fifith group. The exceed rates over TLV (thehold limit values) of total dust were 31.3% in the first group, 31.3% in the second group, 70% in the third group, 80% in the forth group and 13.3% in the fifth group. 3. There were sin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real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area. 4. In the case of high ratio of respirable particulate to total dust, pneumoconiosis incidence was high even though the workshop was opened and emissing dust concentration was low.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desirable to measure respirable particulate i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dust emissing workshops.

      • KCI등재

        연구논문 : 신라(新羅) 관명(官名) “대사(大舍)”의 운용(運用)과 그 성격(性格)

        김희만 ( Heui Man Kim ) 동국사학회 2013 동국사학 Vol.54 No.-

        신라의 17관등 중에서 12번째 관등이며, 또한 관직체계로서 令-卿-大舍-舍知-史 중에서 세 번째에 해당하는 官名인 大舍의 운용과 그 성격 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사실 신라사회에서 大舍라는 官名은 大奈麻와 奈麻,大舍와 舍知,大鳥와 小鳥 등의 한 부류로서, 이들 관등과 관직 가운데 그것이 未分化로 인해 그 운영에 있어서 실체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大舍의 運用을 검토하기 위해서 관직으로서의 대사를 규명하고자 『三國史記』職官志에 보이는 각 관부의 관직체계 가운데 그 대표적인 예로 執事省을 중심으로 이 관부에 보이는 令-卿-大舍-舍知-史라는 관직체계 가운데 大舍와 인원과 건치연혁 등의 변동사항 등을 고찰하였으며, 또한 각 관부마다 각기 다른 점도 상호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大舍는 主書 와主事 그리고 主薄 등의 명칭에서 문서(書), 일(事), 장부(薄) 등을 주관하는 업무를 담당하거나, 또는 錄事 곧, 사원성전의 실무 관직으로 소속되어 어떠한 사항을 기록(錄)하는 업무를 담당하였으며, 설치시기는 진평왕 11년이 가장 이르며, 신라 행정 관부에서 실무를 전담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등으로서의 대사는 신라 관등 가운데 대아찬과 대나마는 아찬과 나마가 분화하여 그 접두사로 大자를 관칭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는 반면에, 大舍와 小舍, 大鳥와 小鳥는 그 분화의 성격이 다른데, 이는 대사와 소사는 舍知라는 관명에서 분화하여 대사와 사지는 대사가 먼저 설치되고, 이후 지덕왕 5년 내지 신문왕 5년에 사지가 설치되어 비로소 5등 관직체계가 마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관직에서는 대사→사지로 분화하였다면, 관등에서는 사지→대사로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대사의 성격에서는 법흥왕 때의 色服志에 보이는 大舍와 황룡사찰주 본기에 보이는 대사를 비교하여 赤位에서 靑位, 黃位로 그 격에 변화가 수반되고 있음을 살표보았으며, 관등으로서의 大舍가 어떻게 성립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신라 관등의 말미에 보이는 餐系와 奈麻系 그리고 大舍이하의 知系를 구분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인는 지금까지 餐系와 奈麻系에 대해서는 그 상층의 중요성을 반영하듯이 여러 연구가 있었으나, 知系라 할 수 있는 大舍 이하의 관등과 관직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취급되어 왔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大舍와 舍知, 또는 大舍와 小舍, 그리고 韓舍 등이 각기 기재된 자료뿐만 아니라, 관직으로서의 作韓舍와 관등으로서의 大舍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자료를 소개하면서 그 성격에 주목해보았다. Silla`s official name(官名), Daesa大舍 is one of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s(5 step systems-Ryung(令)-Kyung(卿)-Daesa(大舍)-Saji(舍知)-Sa(史) and also official ranks and posts mixes themselves` name. Therefore this Daesa(大舍) stands for Silla` important office rank(官等) and office post(官職) but this article(particularly contents) not achieved many study better than other topics for a longtime Specially, Daesa(大舍) is in management of official post system(管職體系), 3rd main post systems and roles practical management in the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s(中央行政體系). Daesa(大舍) consists of Jige(知系), Daesa(大舍) and Saji(舍知). Jige(知系). Was distinguished three groups-Change(餐系)-Namage(奈麻系)-Jige(知系). Especilly Jige(知系) is 3rd official system of below Daesa(大舍) and Daesa(大舍) was a medium-administer or a working-level official. Daesa(大舍) calls Hansa(韓舍), that means office rank and office post. This study lasting continued new excavate many materials together.

      • KCI우수등재

        중국 주한공관의 공간성과 한국화교 ― 청말, 중화민국시기를 중심으로 ―

        김희신(Kim Hee-sin) 동양사학회 2021 東洋史學硏究 Vol.157 No.-

        There are not many previous studies on overseas Chinese in Korea, and recently, the research area is gradually diversifying.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have the distinctiveness from other previous studies in that this study analyzes more historically and empirically beyond the context at the current time over the confrontational conflicts between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and the Taipei representative office in Korea (Taiwan government) over the ownership of land and buildings in the center of Seoul. In particular, since the description of overseas Chinese tended to depend on interviews, memoirs, and newspaper reports, it was necessary to objectify subjective claims. And since there is a tendency to describe the issues of multilateral relations from a one-sided persp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m with a more balanced stance. Second, based on these, this study specifically identifie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China"s diplomatic office in Korea and its owned land, and analyzed what meaning or symbolism of the China"s diplomatic office in Korea might have for overseas Chinese. In addition,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issues of dispute and the responding aspects of overseas Chinese society through case analysis of disputes over the sale of land owned by the China"s diplomatic office in Korea,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of overseas Chinese that have existed for a long time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from modern times to the present. Basically, for overseas Chinese living in Korea, the Chinese legation in Korea was the official national institution representing the home government. And it was a space to maintain and reproduce the pride and identity of the Chinese. It was also a place of living and a historical space for overseas Chinese migration. Because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have established their base in the land for a long time, the actual owner has been recognized as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In the background of the issues surrounding the current ownership exercise (use, development, sale, etc.), there is a long-standing conflict inherent in the ‘sale of land owned by the diplomatic office’ between the Taiwan government and the overseas Chinese in Korea.

      • KCI등재

        1926-1935년 重慶의 ‘內的’ㆍ‘人的’ 요소와 도시근대화

        金希信(Kim Hee-Sin) 동양사학회 2009 東洋史學硏究 Vol.109 No.-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history of urban transformation, namely, how urban spaces have reflected and structured historic situations, focused on people living in cities and urban societies. Among the open port cities under the treaty system, the centers (coastal areas) and the surroundings (inland areas) show very remarkable differences from each other. The opening of Chongqing was around 50 years later than Shanghai, and the coastal cities represented by Shanghai had already been substantially modernized. When Shanghai had gradually been positioned at the center of Chinese modernization, Chongqing in the deep inland was very slow in modernization and was merely a region remote from the center owning most of traditions. However, the influence of the centers on the surroundings was much stronger than the shock of ‘port opening.’ The prosperity and development of steamship transportation business on the Chuan River and the high enthusiasm of Chongqing city administrators, managers and supporters provided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influence of the centers (coastal cities) to infiltrate into relatively closed environment. In particular, urban constructors (劉湘, 潘文華, 盧作孚, 劉航琛, 胡光?, 胡仲實, 康心如, 楊燦三, 何北衡 etc.) who tried to connect Chongqing, an enclosed world in the inland, to the outside, the open world, and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global trends had direct impacts o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This meant that Chongqing was faced with the time to accept modern things. The modernization of Chongqing was a process that the influence of ‘the centers’ was continuously exerted on inland Chongqing full of obsolete and premodern things. However, in very ‘diverse’ modern changes (urbanization,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people’s value system or cultural consciousness, change in the existence pattern of pubic areas), the urbanization of Chongqing basically concentrated on ‘construction’ imitating the material aspect of large cities such as Shanghai. In general, the urbanization process included education, police and organization services related to transportation, energy, telecommunication, water supply, education, health, public administration and other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as revealed by the expression ‘downstream people (downstream culture),’ the historical and spatial distance was too large to achieve a cohesive force of unified Chinese culture and this meant the requirement of time and effort as that mu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