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산화제 처치와 단기간의 지구성 운동이 골격근의 인슐린 유발 포도당 이동률에 미치는 영향

        정수련 ( S. R. Ju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3

        최근,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되게 항산화제 섭취가 신체활동에 의한 건강증진 효과를 저해시킨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항산화제 처치가 인슐린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항산화제가 운동 유발 골격근의 인슐린 자극 포도당 이동률과 GLUT4 단백질의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8주령의 수컷 Wistar rat 24마리를 구입하여 1주간의 환경 적응 기간을 거친 후 각 6마리씩 4집단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sedentary; Sed, Antioxidant treat group; AO, Exercise group; Ex, Exercise+ Antioxidant treat group; Ex-AO). 항산화제 처치군은 1주일간 vitamin C와 vitamin E를, 나머지 집단은 vehicle을 경구 투여하였다. 1주일간의 항산화제 처치 후 운동 처치군은 3일간 수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3일간의 수영은 비교군 보다 GLUT4 단백질 양과 인슐린 반응성을 각각 76%, 123% 증가시켰고(p<.05), 미토콘드리아 생합성 표지 인자 중 하나인 COX IV 단백질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05). 그러나 10일간의 항산화제 처치는 운동과 비운동 집단 모두에서 골격근의 GLUT4 단백질 양과 인슐린 유발 포도당 이동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COX IV 수준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항산화제 처치는 단기간의 운동유발 인슐린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whether antioxidants treatment decrease training induced insulin-stimulated glucose transport activity and block GLUT4 biogenesis in muscle. 24 male Wistar ra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4 groups(Sedentary, Sedentary/Antioxidant, Exercise, Exercise/Antioxidant treat group). Antioxidants were given orally for a week, and for the control groups, same volume of vehicle was orally provided. After a week with or without antioxidants treatment, the two exercise-groups were trained by using 6h/day, 3-day-long swimming program. Swimming training increased GLUT4 protein concentration and insulin responsiveness by 76% and 123%, respectively, relative to sedentary groups(p<0.05). However, antioxidants treatment did not change GLUT4 protein contents or the insulin stimulated-glucose transport activities on either exercise group or sedentary group. The COX IV prote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3d-swimming exercise, but antioxidants treatment did not change COX IV protein contents. We concluded that antioxidants treatment do not prevent endurance training induced increase in skeletal muscle insulin responsiveness.

      • KCI등재

        돈육 패티에 첨가한 파프리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정강진,양한술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3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7 No.5

        기존의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천연물질 유래 항산화제인 파프리카 추출물을 돈육 패티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제를첨가하지 않은 돈육 패티(C), 합성 항산화제인 아질산염을 첨가한 돈육 패티(NC), 파프리카 추출물을 5 mg 첨가한 돈육 패티(T1), 파프리카추출물을 10 mg 첨가한 돈육 패티(T2)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돈육 패티는 7 ℃ 냉장 온도에서 0일 및 7일간 저장하였으며, pH, 육색,가열 감량, 지방산패도, 및 카르보닐함량을 비교하였다. C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낮은 pH와 가열 감량을 보였다(p < 0.05). 처리구에서 낮은명도와 높은 적색도 값을 나타냈다. 또한 합성 항산화제인 아질산염 첨가구보다 파프리카 추출물 첨가한 돈육 패티에서 높은 적색도를 나타냈다(p< 0.05).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카르보닐함량과 지방산패도는 증가하며, 저장 7일째 처리구에서 낮은 카르보닐함량과 지방산패도를 보였다(p < 0.05). 특히 저장 7일째, 합성 항산화제인 아질산염을 첨가한 돈육 패티에서 가장 낮은 지방산패도를 보였다. 파프리카 추출물또한 지방산패도를 낮추며, 파프리카 추출물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크게 지질산화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돈육 패티에서 파프리카 추출물을 첨가하면돈육 패티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파프리카 추출물의 첨가량을 조절함으로써 아질산염과 유사한 항산화능을 지님을 확인하여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paprika extract (PE) compared to sodium nitrite in pork patties duringrefrigerated storage. Pork patties were prepared with added no antioxidant (C), sodium nitrite (NC), 5 mg of PE (T1), and 10 mg ofPE (T2). These pork patties were stored at a temperature of 7 °C for 7 days, and the degree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xidationwere compared. The incorporation of NC and PE led to a significant (p < 0.05) reduction of pH, cooking loss, and lightness valuesand an increase in the redness color values. For carbonyl contents and thiobarbituric acid-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s, the treatedsample showed a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compared to the C at 7 days storage time. The NC decreased lipid oxidation ascompared to PE (p < 0.05). Also, 10 mg PE (T2) was more effective in delaying lipid oxidation compared to the other added 5 mgPE (T1). Our results suggest that fresh pork patties with paprika extract can enhance quality characteristics, as acceptable quality foundthat pork patties added with PE had better color. Therefore, the addition of PE to pork patties can lead to lower lipid oxidation andprotein degradation, and a natural antioxidant in replacing sodium nitrite which is a synthetic antioxidant.

      • KCI등재

        탈진적 운동과 항산화제섭취가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효소의 활성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왕록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4

        이왕록. 탈진적 운동과 항산화제섭취가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효소의 활성 및 항산화효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4호, 679-692,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 운동이 쥐 심장근 및 골격근의 산화적 손상정도와 항산화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장기간의 복합 항산화제 섭취(비타민 E, C, B6, β-carotene, Selenium)가 최대 운동 시 쥐 심장근 및 골격근의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동물은 태어난 지 4주가 된 Sprague-Dawley계 수컷 40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동물은 무작위로 비항산화 섭취군(Non-antioxidants Group;CON, NAE)과 항산화 섭취군(Antioxidants Group; AC, AE)으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비항산화 섭취군(n=20)은 16주 동안 일반 쥐 사료를 섭취하였으며 항산화섭취군(n=2)은 일반쥐 사료와 함께 비타민E(200 IU/kg/day), 비타민 C(50 mg/rat/day), 비타민 B6(250 ug/kg/day), 베타카로틴(300 mg/kg/day)과 셀레니움(0.1 mg/kg/day)을 혼합한 사료를 같은 기간 섭취하였다. 식이 처치가 끝난 16주 뒤 운동군(n=20, NAE & AE)은 쥐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최대운동(25 m/min, 경사도 15%, ∼50±10 min)을 실시하였다. 심장근과 골격근에서 산화적 손상정도로써는 MDA(Melondialdehyde) 생성량을 항산화 효소로써는 SOD(Superoxide dismutase), GPx(Glutathione Peroxidase) 및 GR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을 측정하였고 항산화 유전자 발현량에 있어서는 Cu/Zn-SOD mRNA와 Mn-SOD mRNA의 발현량을 RT-PCR(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iton)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탈진적 운동은 비항산화제 섭취근의 심장근 MDA 생성을 40%정도 증가시켰으며 장기간의 복합 항산화제 섭취는 심장근의 MDA 생성을 30%정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측 비복근의 GPx및 GR 활성도 항산화제 섭취 시 활성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란다(P< 0.05). Cu/Zn-SOD mRNA 발현량도 항산하제를 섭취하거나 탈진적 운동을 실시하었을 경우, 일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W.L. Effects of Exhaustive Exorcise and antioxidants suppiementation on Oxidative damage, Antioxidants Enzyme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in Rats. Exercise Science, 12(4): 679-692, 2003.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long-tern antioxidants supplementation on oxidative damage of heart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skeletal muscle immediately after exhaustive exorcise In rats. Forty male Sprague-Dawley rats(4 weeks old) were used as subjec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such as, CON(control group), NAE(non antioxidants exercise group), Acantioxidants control group) of AE(antioxidants exorcise group). Antioxidants group(AC & AE) fed the general food and the mixed antioxidants which were consist of vitamin E(200IU/kg/day), vitamin C(50mg/rat/day), vitamin B6(250ug/kg/day). β-carotene(300mg/kg/day)and selenomethionine (0.1mg/mg/day). After the diet experiment for 16 weeks, exorcise groups(NAE & AE) completed acute treadmill running(speed increased gradually to 25m/min, 15% uphill grade, ~50±10min) until exhaustion. Immediately alter exhaustive treadmill exercise, all the rats were sacrificed then, MDA of heart, SOD of soleus, GPx of gastrocnemius and GR of gastrocnemius were assayed. for the gene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 Cu/Zn-SOD mRNA and Mn-SOD mRNA were assayed by RT-PCR In heart, lung, liver and soleus. As a rusult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exhaustive exercise increased MDA product by 40%, but a long-term antioxidants suppiement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MDA product by 30% in the heart. Further, antioxidants suppienment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GPx and GR activity of gastrocnemius muscle after exhaustive exorcise(p<0.05). On the result of antioxidant enzyme gene expression, it seemed that Cu/Zn-SOD mRNA was Increased by bothe exhaustive exorcise and antioxidants supplementation

      • 칡소 동결정액 제조 시 항산화제 첨가가 정자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유대중,최영선,김상욱,김기수,구민정,이기호,박상국,성환후,김성우,김동교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16 한국수정란이식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0

        본 연구는 칡소의 동결정액 생산 시 항산화제 첨가가 정자 생존성 및 운동성 등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축의 사양관리는 한우사양관리(국립축산과학원, 2007) 기준에 준하여 사육하였다. 공시축은 정액채취를 위해 승가훈련이 완료된 칡소 5두 를 공시하였고 정액채취 빈도는 주 1회로 하였다. 정액 채취는 암소 보정 후 공시축의 승가를 유도한 다음 인공질에 음경을 삽입하여 채 정 후 원정액 정자가 80∼90% 생존율을 나타내는 것을 동결정액 생산에 활용하였다. 동 결보존 희석액의 기본조성은 Tris(hydroxymethyl)amino-methane 250mM, Citric-acid monohydrate 80mM, Fructose 60mM, Penicillin G Streptomycin 1%, Egg-Yolk 20%, Glycerol 7%에 항산화제인 Ascorbic-acid를 무처리, 0.5mM, 1.0mM, 2.0mM로 농도로 하 여 본 실험에 공시하였다. 동결정액의 생산은 처리군별로 원정액을 1차 희석한 다음 저온 실로 이동하여 2차 희석 및 Glycerol 평형을 유도한 다음 0.5ml Straw에 충진시켜 액체 질소를 활용한 동결을 실시하였다. 융해 후 정자 특성분석은 위상차 현미경과 컴퓨터정자 분석기(Computer Assisted Sperm Analysis)를 활용하여 생존율, 운동성, 선형성, 직진도 등을 검사한 결과 생존율은 2.0mM, 무처리, 1.0mM, 0.5mM(83.3%, 81.6%, 65%, 60%)였 고 운동성은 무처리, 2.0mM, 1.0mM, 0.5mM(97%, 96.5%, 94.4%, 91.3%)순이였고, 선형성 은 2.0mM, 무처리, 1.0mM, 0.5mM(29%, 29.7%, 32.9%, 36.4%)순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 다. 직진도는 2.0mM, 무처리, 1.0mM, 0.5mM(65.6%, 62.5%, 62.2%, 60.4%)순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동결보존 희석액에 항산화제인 Ascorbic-acid 첨가함으로써 정자의 대사 과정에 따라 생성되는 활성산소의 발생 억제 등으로 인하여 동결융해 후 생존율에 영향 을 미치는 것을 감안하여 분석한다면 항산화제의 농도별로 각각 상이한 결과를 나타낸 것은 Ascorbic-acid의 첨가가 정자의 동결 융해 후 생존율 및 운동성 등에 영향을 미쳤 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칡소 동결정액 생산 시 생존율 극대화를 위해 적정 항산화제 및 첨가 농도를 확립하고 이를 활용한다면 가축유전자원 보존·증식 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뇌질환과 연관된 지방세포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제의 억제효과

        이옥환 ( Ok Hwan Lee ),서호판 ( Ho Chan Se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0 뇌교육연구 Vol.6 No.-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제에 의한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 및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억제 효과를 구명하고자, 지방세포의 주요대사 5탄당 대사경로(pentose phosphate pathway, PPP)와 연관된 항산화 관련 효소 반응들의 작용기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Oil red O 염색법 및 NBT(nitroblue tetrazolium) assay를 이용하여 지방세포 내 지방축적 및 ROS의 생성을 측정하였고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주요 전사인자 및 NOX4(NADPH oxidase 4)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G6PDH(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SOD(superoxide dismutase) 및 CAT(catalase) 등의 주요 효소들의 변화를 조사하여 항산화제(NAC)의 ROS 저감효과에 대한 메커니즘 구명하고자 하였다. 항산화제 처리에 의한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량, ROS 생성량 및 G6PDH 효소 활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주요 전사인자인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및 aP2(adipocyte protein 2)의 유전자 발현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ROS를 생성하는 주요 효소인 NOX4의 발현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OD 및 CAT와 같은 항산화 관련 효소들의 활성은 항산화제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지방세포에서 생성된 활성산소들을 유의적으로 소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요약해 볼 때, NAC(N-acetyl cysteine)와 같은 항산화제는 지방세포 분화과정의 주요한 대사경로 중에 하나인 PPP를 비롯하여 항산화 관련 효소들을 조절하여 지방세포에서 발생하는 ROS를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소거하여 이로부터 야기되는 oxidative stress와 관련된 뇌질환 및 대사성 증후군들을 예방,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Oxidative stress will induce various changes in human metabolism.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accumula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from adipocytes leads to elevated systemic oxidative stress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brain-linked diseases.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inhibitory effect of N-acetyl cysteine(NAC), one of the antioxidants, on brain diseases related ROS in 3T3-L1 cells, a preadipocyte cell line that undergoes differentiation into mature adipocytes. The changes in lipid accumulation, ROS production,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aP2(adipocyte protein 2), NOX4 (NADPH oxidase 4),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during the course of differentiation were evaluated. Treatment of NAC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as well as expression of PPARγ, aP2 and NOX4 mRNAs. The inhibition of G6PDH activities by NAC likely prevented ROS production required for NADPH generation that is coupled to AER via PPP, leading to inhibition of adipogenesis. NAC markedly increased SOD and CAT activities, resulting in reduced ROS level during adipogene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ioxidant can inhibit ROS production, which may protect against oxidative stress that is linked to brain diseases.

      • KCI등재

        임신성 고혈압 임신부에서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제 활성도

        이종섭 ( Jong Seob Lee ),한도규 ( Do Gyu Han ),정우연 ( Woo Youn Jung ),이영기 ( Young Gi Lee ),이두진 ( Doo Jin Lee ),이승호 ( Sung Ho Lee ),박윤기 ( Yoon Ki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02 Perinatology Vol.13 No.1

        연구목적:임신 제3삼분기에서 임신성 고혈압의 병인론으로 제기되는 산화제와 항산화제의 활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정상 임신 및 임신성 고혈압 임신부의 혈액에서 산화계는 유리기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정도로 malondialdehyde, 유리기의 제거에 관여하는 항산화계는 항산화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와 총 항산화제의 활성을 측정,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21명의 건강한 정상 임신부를 대조군으로, 22명의 건강한 비 임신부와 18명의 임신성고혈압 임신부를 대상군으로 하여 임신 제 3 삼분기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산화계는 지질과산화산물인 malondialdehyde, 항산화계는 superoxide dismutase와 총 항산화제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고혈압이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임신부의 malondialdehyde 농도와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Malondialdehyde는 임신성 고혈압군에서 정상 임신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Superoxide dismutase는 임신성 고혈압군에서 정상 임신군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총 항산화제는 양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신부에서 혈중 malondialdehyde와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사이에서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475, r=0.546, p<0.05). 결론:임신성 고혈압에서 지질과산화의 최종산물인 malondialdehyde 증가와 항산화효소 특히 superoxide dismutase의 감소가 임신성 고혈압의 병태생리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Objective:To assess maternal circulating levels of lipid peroxides, superoxide dismutase and total antioxidants of women with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Methods:Cross-sectional study consisting of 18 preeclamptic, 21 uncomplicated pregnant and 22 healthy non-pregnant women. Fasting venou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the 3rd trimester of antepartum period and maternal circulating levels of malondialdehyde as a lipid peroxidation product,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nd total antioxidants were measured. Results:In the preeclamptic group, lipid peroxid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therwise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the erythrocyt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normal pregnant women. The value of serum total antioxidants was similar in both groups. Strong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malondialdehyde and blood pressure in the pregnant women. Conclusion:Preeclampsia is associated with decrease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y while lipid peroxidation was increased during the 3rd trimester of pregnancy. Therefore, a significant elevated lipid peroxidation and reduce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may contribute to pathophysiology and pathogenesis of preeclampsia via vascular endothelial cell damage.

      • KCI등재후보

        항산화제 투여 후 총 항산화지수 및 사이토카인 변화와 스텐트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

        윤형근 ( Hyung Geun Yoon ),방덕원 ( Duk Won Bang ),박승훈 ( Seung Hoon Park ),안지훈 ( Ji Hoon Ahn ),서존 ( John Seo ),윤여준 ( Yeo Joon Yoon ),현민수 ( Min Su Hyon ),김성구 ( Sung Koo Kim ),권영주 ( Young Joo Kwon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2

        목적: 관상동맥질 환자에서 항산화 비타민 C와 E, 항산화제 probucol 병합요법이 스텐트 시술 후 혈중 P-selectin, chemokine, 사이토카인의 농도변화와 스텐트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방법: 관상동맥 질환으로 일반 스텐트 시술을 시행한 총 90명의 환자를 항산화제를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타민 C와 E, Probucol을 병합 투여한 군으로 나누었으며 이 중 6개월 후 추적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 71명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항산화제 치료 전과 6개월 후 혈장내 전체 항산화지수, P-selectin, MCP-1, IL-6과 IL-10을 측정 비교하였고, 6개월 후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재협착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스텐트 시술 전 임상적 소견, 위험인자, 생화학지표 등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 항산화지수, P-selectin, MCP-I, IL-6, IL-10도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개월 후 추적검사에서 전체 항산화 지수 P-selectin, MCP-I, IL-6 및 IL-10 역시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재협착 발생률도 양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관상동맥 질환에서 일반 스텐트 시술 직후 비타민 C와 E, Probucol 병용투여는 혈장내 항산화 상태와 심혈 관의 죽상경화 진행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화학물질의 농도와 스텐트내 재협착 예방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Background: Oxidative stress might be a role in atherosclerosis and increased intake of antioxidant appear to be protective and modify neointimal formation. An antioxidant and probucol prevents endothelial dysfunction and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and also inhibits the secretion of cytokine by macrophages. We aimed 1) to study the effects of antioxidant (Vitamin C, E and probucol) supplementation on serum level of antioxidant status (TAS), P-selectin, MCP-1, IL-6 and IL-10 and 2)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tioxidant intake on in-stent restenosis. Methods: Total 90 patients were assigned to control or antioxidant group (probucol; 500 mg, vitamin C; 1,000 mg, vitamin E; 400 mg). We performed follow up coronary angiography in 35 patients of antioxidant group and 36 patients of control group after 6 months of coronary bare metal stent implantation. We counted the stenotic lesions more than 50% of implanted stent lumen as a restenosis by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The serum levels of total antioxidant status, P-selectin, MCP-1, IL-6 and IL-10 were measured. Results: The serum levels of total antioxidant status was not elevated in antioxidant group. Antioxidant supplementation did not change the serum levels of P-selectin, MCP-1, IL-6 and IL-10. The 6-month angiographic in-stent restenosis rate was 27% versus 30% (p=NS) with an associated late loss of 0.76±1.01 mm versus 0.91±1.00 mm (p=NS) for antioxida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serum levels of total antioxidant status did not correlate with the restenosis or late loss after stent implantation. Conclusions: Vitamin C, E and probucol did not elevate the serum level of antioxidant status and could not prevent in-stent restenosis after bare metal stent implantation.(Korean J Med 71:158-165, 2006)

      • 항산화제 DA-9601에 의한 백서 간섬유화 억제 효과

        정재연,오태영,이기명,김도현,안병옥,김원배,김영배,유병무,함기백,김진홍,조성원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산화적 스트레스와 이에 따른 지질 과산화는 간섬유화의 중요한 기전이며, 항산화제는 이를 억제함으로써 간섬유화를 예방할 수 있다. DA- 9601은 쑥의 일종인 Artemisia asiatica의 추출물에서 합성한 약물로 항산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항산화제인 DA-9601이 dime- thylnitrosamine (DMN)에 의한 간섬유화를 억 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숫 Sprague-Dawley계 백서를 10마리씩 4군으로 분류 하여 2군, 3군, 4군에는 DMN 10 mg/kg을 1주일에 - 445 - 3번씩 2주간 복강내로 주사하였고, 1군은 생리 식염수를 같은 방법으로 주사하였다. DMN 주사 1주전부터 DMN 주사기간 동안, 3군은 DA-9601 30 mg/kg, 4군은 DA-9601 100 mg/kg을 동시에 투여 하였다. 적출된 간조직의 파라핀 블록에서 H-E염색 과 collagen, α-smooth muscle actin (α-SMA), fibrone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고, collagen 및 malondialdehyde (MDA)를 정량하였고, 간기능검사의 변화를 살펴 간섬유화에 대한 항산화제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간성상세포 (hepatic stellate cell, HSC)를 분리하여, in vitro상 에서 HSC 활성화에 대한 DA-9601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1) DA-9601은 DMN 주사에 의한 백서의 체중감소를 둔화시켰고(2군:245.5±7.5 g, 4 군:266.8±4.1 g, p<0.05), 간섬유화에 의한 간무게감소를 줄였으며(1군:15.2±1.8 g, 2군:7.7±1.9 g, 3 군:12.6±2.0 g, 4군:14.1±2.2 g, p<0.05), 간효소치 상승을 감소시켰다(ALT 2군 177.2±40.3 IU/L, 4군 96.0±21.6 IU/L, p<0.05; AST 2군 236.5±33.7 IU/L, 4군 108.8±23.2 IU/L, p<0.05). 2) DMN 주사에 의해 간문맥계의 섬유화, 간세포 염증괴사, 산화에 의한 심한 간세포 손상을 보였으나, DA-9601 투여는 DMN 주사에 의한 간섬유화, collagen의 증 가, 간 MDA의 증가를 감소시켰다. 3) DA-9601 투 여군에서 collagen I형과 III형, α-SMA, fibronectin 이 감소하였고, 간세포 염증이 약물 용량에 비례하여 감소하였으며, HSC에 대한 in vitro 실험에서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결론: DA-9601은 DMN에 의한 간섬유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항 산화제는 간섬유화 및 간세포 염증반응을 줄일 수 있는 치료제로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 Oxidative stress is one of the important underlying mechanisms of hepatic fibrosis. DA-9601, the 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asiatica,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strong antioxidative and cytoprotective actions. We tried to evaluate whether antioxidant can ameliorate dimethylnitrosamine (DMN)-induced hepatic fibrosis. Methods: Rat hepatic fibrosis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s of 10 mg DMN six times. Additionally, rats of one group were started daily with DA-9601 30 mg/kg containing diets and another group was fed a pellet diet containing DA-9601 100 mg/kg. The immunohistochemical studies for collagen, α-smooth muscle actin (α-SMA), and fibronectin, the measurements of hepatic malondialdehyde (MDA) and collagens, and the changes of liver function profiles were performed. Hepatic stellate cells (HSC) were isolated and in vitro effects of DA-9601 on HSC activations were measured. Results: DA-9601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loss of body weights (p<0.05), the reduction of liver wet weights (p<0.05), and the elevation of liver enzymes provoked by DMN administrations. DMN injections caused the severe fibrosis of portal tract, hepatic inflammation, and significant oxidative damages, but DA-9601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mean scores of hepatic fibrosis, the amounts of hepatic collagens, and hepatic MDA levels. The prominent decreases in the expressions of collagens type I & III, α-SMA, and fibronectin or hepatic inflammations were observed in DA-9601-treated groups dose-dependently and similar efficacy was also proven in in vitro HSC experiment. Conclusions: DA-9601 effectively protected rat liver tissues against the DMN-induced hepatic fibrosis. Antioxidant could be considered as a supplementary therapeutic for alleviating the hepatic fibrosis.(Korean J Hepatol 2002;8:436-447)

      • KCI등재

        培養 脊髓 運動神經細胞에서 메틸수은에 對한 Vitamin E의 影響에 關한 硏究

        李建穆,趙廷九,金仁淑,朴承澤,洪起年,螢根寧,李廷憲,徐銀俄,石勝瀚,趙光皓,崔珉圭,李昊燮,田炳薰,禹元洪,李康昌 대한동의병리학회 2000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14 No.1

        메틸수은의 신경독성을 조사하기 의하여 생쥐의 배양 척수 운동신경세포를 여러 농도의 메틸수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MTT 분석법과 신경세사효소면역분석법으로 세독성을 분석하였으며, 또한 메틸수은에 신경세포에 대한 항산화제인 vitamin E의 방어효과를 조사하였다. 메틸수은은 처리한 농도와 시간에 비례하여 척수 운동세포의 생존율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항산화제의 방어효과에 있어서는 vitamin E가 메틸수은에 의해서 유도된 신경독성을 방어하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메틸수은은 생쥐의 배양 척수 운동신경세포에 신경독성을 나타냈으며 vitamin E와 같은 선택적인 항산화제가 메틸수은의 독성을 방어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In order to evaluate the neurotoxic effect of methylmercuric chloride(MMC) on cultured mouse spinal motor neurons. cytotoxic effect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neurofilament enzymeimmunoassay(EIA) after cultured mouse spinal motor neurons were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MMC for 24 hours.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 E against MMC-mediated nurotoxicity was also examined in these cultures. MMC decreased cell viability of cultured mouse spinal motor neurons remarkably in a dose-and time-dependent manners. In 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 vitamin E was remarkably effective in blocking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MMC in MTT assay and neurofilament enzymeimmunoassay. From these results, it is regarded that MMC induce neurotoxicity, and the selective antioxidant such as vitamin E is very effective in blocking MMC-mediated neurotoxicity on cultured mouse spinal motor neurons

      • KCI등재후보

        증례 : 신장 ; 항산화제 및 혈액관류 병합요법으로 생존한 Paraquat 중독 치험 3예

        전경홍 ( Kyung Hong Jun ),강명수 ( Myung Soo Kang ),최원석 ( Won Seok Choi ),김향 ( Hyang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5S

        Paraquat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급성 신부전이 일어나기 전에 위장 정화 및 항산화제와 혈액관류치료를 적극적으로 하여 혈중 paraquat의 농도를 낮추는 것이다. 적극적인 항산화제의 주입으로 산소라디칼에 의한 신장의 손상을 막고, 또한 신장은 paraquat의 최대의 배설구이므로 수액과 이뇨제 등을 통하여 paraquat의 배설을 촉진시키는 것이 paraquat 치료에 중심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저자들은 내원 당시 비교적 높은 paraquat 혈중농도를 보인 환자들에 대하여 치료 프로토콜을 통한 혈액관류를 통한 빠른 체외 배설과 다양한 항산화제를 적극 투여하여 폐손상을 동반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치료된 임상 3예를 보고 하는 바이다. 향후 paraquat 중독 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치료 프로토콜이 더욱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araquat is a very potent herbicide and has produced many fatalities through indiscriminate use and suicide. Death is usually caused by pulmonary fibrosis with the ingestion of more than one mouthful of 20% paraquat. We experienced three cases of paraquat poisoning treated without pulmonary injury. Patients swallowed one to two mouthfuls of 20% commercial paraquat. Hemoperfusion was performed within a few hours after ingestion, and then combination therapy with several antioxidants, steroid, and diuretics was performed. The patients recovered completely without pulmonary injury. (Korean J Med 77:S1268-S1273, 20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