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 남성성 회복과 여성 욕망의 금기 — 최정희의 『끝없는 浪漫』을 중심으로

        오태영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論叢 Vol.75 No.1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both men and women were placed in a new field of gender politics in the grammar of the ‘postwar regime’ which promoted the structural change of South Korean society. And at that time, gender politics was largely dominated by the resurgence of masculinity and the taboos of female desires. Choi Jung-hee’s Endless Romance features a man who wants to secure his authority as a patriarch by sponging off the masculinity of the US military, and men who criticize women who love and marry US military men as “foreigners’ whores” while at the same time wishing to recover their lost masculinity through the act of putting themselves as the hero in saving such unfortunate women. These men felt uneasy about the loss of their masculinity after liberation and war and so placed women as objects of sexual exchange value or branded women’s love and desire as being unhealthy. Through this, they tried to regain their masculinity. The cry of patriarchy and male supremacy was nourished by notions of pure blood and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Choi, Jung-hee’s Endless Romance also narrates the destruction of a woman who has come to love and marry a member of the US military. The reason that she came to ruin is because the exceptional situation of war which brought about the loss of masculinity made women into fallen or betrayed beings, making it impossible to express desire itself. At this time, the romantic love of a woman was not meaningful in terms of the woman who was the subject of the emotion. Rather, it had only become meaningful for the male gender of South Korean society who desired to recover masculinity. The degraded and polluted woman, even if she carried out her own ritual of condemnation and purification, was not accepted as a member of the nation. This means that the gender politics of the recovery of masculinity made the self-planning of women impossible. The stronger the desire for the recovery of lost masculinity, the more the female desires were forbidden. This was the workings of the grammar of the postwar regime. 한국전쟁의 발발 이후 남한사회의 구조 변동을 추동한 ‘전후 레짐’ 의 문법 속에서 남성과 여성은 모두 젠더 정치의 새로운 장에 놓였다. 그리고 그때 젠더 정치는 대체로 상실된 남성성 회복과 여성 욕망의금기로 점철되었다. 최정희의 『끝없는 낭만』에는 미군의 남성성에 기대어 몰락한 가부장으로서 자신의 권위를 확보하고자 한 남성과, 미군과 사랑을 나누고 결혼한 여성을 ‘양공주’로 규정하여 비난하는 한편, 불행한 그녀를 구원하는 주체로 자신을 놓는 행위를 통해 상실된 남성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남성이 등장한다. 해방과 전쟁을 거쳐 오면서 자신들의 남성성이 상실되어가는 것에 불안을 느끼고 있었던 그들은 여성을 성적 교환가치의 대상으로 위치시키거나 여성의 사랑과 욕망을 불온한 것으로 낙인찍는 것을 통해 자신들의 남성성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거기에는 순혈주의와 민족주의로부터 자양분을 제공받고있던 가부장제도와 남성우월주의의 시선이 웅크리고 있었다. 한편, 최정희의 『끝없는 낭만』은 미군과의 사랑과 결혼에 이른 여성의 파멸을서사화하고 있다. 그녀가 파멸에 이른 것은 전쟁이라는 예외상태 속 남성성 상실이 욕망하는 여성을 타락한 자나 배반한 자로 규정하여 그러한 욕망의 발현 자체를 불가능하게 했기 때문이었다. 이때 여성의 낭만적 사랑은 그 감정의 주체인 여성에 의해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라, 그대상이 남성성 회복을 욕망하는 남한사회의 남성 젠더들을 대상으로해야만 비로소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그리고 타락하고 오염된 여성은스스로 단죄와 정화의 제의를 수행해도 민족과 국가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는 남성성 회복의 젠더 정치가 여성의 주체적인 자기 기획을 불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남성성 회복의 욕망이 강하면 강할수록 여성의 욕망을 금기시한다는 것, 전후 레짐 하 젠더 정치의 문법은 바로 여기에서 작동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문학의 위상 변화와 문학 연구의 (탈)영토화- 최근 풍속-문화론적 연구의 한 경향에 대한 이의

        오태영 상허학회 2013 상허학보 Vol.37 No.-

        After the 2000s, one of the results that the sense of crisis in respect of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was the rise of a new academic perspective calling existing modern idea toward literature into question and demystifying literature. In such stream, ‘custom-cultural studies’ show activity since the early 2000s.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representative results of studies on Keijo(京城) where both custom-cultural and literary studies targeted as an object of study after 2000s,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udies as well as find a new possibility of literary studies on space and place of Keijo. There is a difference that custom-cultural studies unify·homogenize the space of Keijo as well as consumes by visualizing it as a modern space, whereas literary studie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s of internal difference·segmentalization of the space seizing impossibility of space-forming of Keijo as a colonized city. Thus, a new possibility of literary studies in the studies on Keijo must reveal whether or not the language of literature standardizes·immobilizes spati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boundary toward Keijo, and if not, how the language resists against such uniformity·immobilization and emasculates them. While Keijo’s city planning and alteration of space by the colonial power were to unify·immobilize Keijo, fictitious Keijo that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is showing enables us to have various and different spati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boundary about Keijo by subverting such uniformity·immobilization-typed discussion. Accordingly, in studies on Keijo, the position of literary studies must be found in the spot where subversive imagination toward spati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boundary that are formed by the language of literature is caught. 2000년대 이후 ‘근대문학의 종언’에 대한 위기의 감각이 가져온 결과 중 하나는 문학에 대한 기존의 근대주의적 관념을 문제 삼고 문학을 탈신비화하는 새로운 학문적 관점의 대두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00년대 초반 이래 ‘풍속-문화론적 연구’가 활황을 띠고 있다.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풍속-문화론적 연구와 문학 연구가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경성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 이 두 연구의 ‘차이’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경성의 공간과 장소 연구에 있어서 문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풍속-문화론적 연구가 모더니티의 공간으로서 경성을 시각화하여 소비하는 동시에 경성이라는 공간을 획일화·균질화하고 있는 반면, 문학 연구는 식민지도시로서의 경성 장소화의 불가능성을 포착하면서 그곳의 내적 차이화·분절화 양상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경성에 관한 연구에서 문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은 문학의 언어가 경성에 대한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을 어떻게 획일화·고정화하지 않고 있는지, 아니 그러한 획일화·고정화에 어떻게 저항하고, 그것들을 무력화시키고 있는지 밝혀야 한다. 식민 지배 권력에 의한 경성의 도시계획과 공간 변용이 ‘식민지도시’로서 경성을 획일화·고정화하고자 한 것이라면, 당대 한국문학이 보여주고 있는 허구의 경성은 그러한 획일화·고정화 방식의 권위주의적 담론을 전복해 경성에 관한 다양하고 이질적인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을 갖게 한다. 따라서 경성에 관한 연구에서 문학 연구의 자리는 문학의 언어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의 전복적 상상력을 포착하는 것, 바로 그 지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