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성적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 연구

        유평수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records,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8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in Jeollabuk-do in accordance to convenience sampling. The statistics program used to achieve the purpose was SPSS/PC+ 14.0. The statistics methods applied were M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data analysis.: First,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is more open for students who showed positive academic records than those who showed poor academic records. 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 is higher among students who showed poor academic records than those who showed positive academic records. Seco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 is higher for the students whose parents hav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than those whose parents have open communication.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records and the open communication.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records and th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pen communication a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a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s. Finally, the academic records affect 7.3%, the open communication affect 2.5%, and th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affect 1.0% of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교성적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학교성적별에 따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에 따라 휴대폰 중독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학교성적,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 그리고 휴대폰 중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1,033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 수준을 알아보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결측치가 많은 25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1,008명의 반응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학년별, 거주지별, 그리고 학교성적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은 SPSS pc+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였으며, 다변량분산분석(MANOVA, Pearson의 상관계수, 그리고 단계별 중다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성적별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에서,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개방적인 의사소통 수준이 더 높다. 학교성적별에 따른 휴대폰 중독 수준에서, 학교성적이 낮을수록 휴대폰 중독 수준이 높다. 둘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에 따른 휴대폰 중독 수준에서, 개방적 의사소통 양식의 자녀보다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 양식의 자녀가 휴대폰 중독 수준이 더 높다. 셋째, 학교성적과 개방적 의사소통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학교성적과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다. 학교성적과 휴대폰 중독 간에도 부적인 상관이 있다. 개방적 의사소통과 휴대폰 중독간에는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과 휴대폰 중독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다. 넷째, 휴대폰 중독에 대한 설명력은 학교성적이 7.3%, 개방적 의사소통이 2.5%, 그리고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이 1.0%이다.

      • KCI등재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이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학교급별 비교

        박병선 ( Byung Sun Park ),배성우 ( Sung Woo Bae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부모, 교사, 친구)와 학교성적의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동시에 이러한 효과가 성별 및 학교급별(중학교, 고등학교) 집단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의 직접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성별과 학교급별 집단에서도 차이 없이 같은 형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인관계가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및 교사관계가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인 형태로 나타났으나 친구관계가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가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여학생의 경우 부모, 교사, 친구관계가 모두 학교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남학생은 부모, 교사관계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인관계가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교급별 차이를 검토한 결과, 고등학생의 경우 부모, 교사, 친구관계가 모두 학교성적에 영향을 미쳤지만, 중학생의 경우에는 교사관계가 학교성적으로 가는 경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학교성적의 매개효과가 성별집단 및 학교급별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rect & mediate effects of b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among school adolescent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se effects had any differential impact based on gender and school types(middle or high school).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had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theses effects were maintained regardless of gender and school types. Second, the degree of relationships with both parents and teach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friend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Third, for female students,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had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relationship with friend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male students. In the comparison of school types,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all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But, for middle school students, only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diat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had a differential effects based on gender and school typ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농업계 고등학교 출신 대학생의 대학수학능력과 고교 내신성적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의 관계

        김진구,김강호,이건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4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30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7 agricultural government-established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llege scholastic ability is related to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rather than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2) Controling the universities' characteristic, the result shows the difficulties of completing liberal arts and majors are mainly from CSAT's mathematics score. 3) In comparison with academic high school graduates, the recognition of liberal arts and majors grade is influenced by CSAT's mathematics score. In particular, students recognize highly their liberal arts grades if CSAT's mathematics score is high, but majors grade is recognized as lower point if CSAT's mathematics score is high.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proposed: 1) college scholastic ability of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should be analysed continually, 2) longitudinal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for the effect of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and CSAT's score on achieving process, type of job selecting, and wages.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교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교과 이수의 어려움 및 성취수준에 대해 고교 성적과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7개 대학에 재학중인 303명의 응답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계 고교 출신 대학생의 대학교과 이수의 어려움은 고교 성적보다는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와 많은 관련이 있었다. 둘째, 재학중인 대학의 속성을 통제한 후의 분석결과 교양 및 전공과목 이수상의 어려움은 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 점수에 기인하고 있었다. 셋째, 일반계 고교 출신자와 비교할 때 자신의 교양 및 전공과목 성적 수준에 대한 인식 역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 성적에 기인하고 있었으나, 교양과목의 경우 수리영역 성적이 낮을수록 자신의 성적이 일반계 고교 출신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반면 전공교과의 경우는 수리영역 성적이 높을수록 자신의 성적이 일반계 고교 출신 학생에 비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농고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고교성적, 수학능력시험 등이 학생들의 대학성취과정 그리고 취업형태, 임금 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종단적 분석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사례연구에 기반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향상 요인 고찰

        조지민,이명애,노은희,김동영,권영락,윤영순,양승호,박찬호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achievement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by conducting a case study of schools with high or improved CSAT scor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under which conditions the factors operated in practice. Using the results of CSAT conducted from 2005 to 2010, one hundred schools were selected and surveyed based on the four criteria: such as increased ratios of CSAT levels 1 and 2, decreased ratios of CSAT levels 8 and 9, increased means of standardized scores, and high means of standardized scores. The schools for case study were finally selected with consideration given to the survey results, CSAT analysis result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schools. Based on the interview results, factors improving achievement were explored as follows: 1) provision of practical programs for improving achievement specifically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2) persistence of programs and policies for achievement improvement; 3) provision of programs for career path and emotional cultivation compensating for achievement-oriented policies; 4) activ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communication with school members; and 5) active support from the community. These schools with improved achievement have exerted themselve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ir programs and policies based on their conditions or characteristics. 본 연구에서는 수능성적이 우수하거나 향상된 학교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학교 특성에 따른 성적 향상 요인을 파악하고 이 요인들이 어떤 조건 하에서 작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5∼2010학년도 6개 학년도의 수능성적 결과를 이용하여 수능성적이 우수하거나 향상된 100개 학교를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학교 배경 정보와 학교 특성을 파악한 다음, 최종적으로 8개 학교를 선별하여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에 의하면 수능성적이 우수하거나 향상된 학교의 성적 향상 요인으로, 첫째, 학교별 특성에 따른 실질적인 성적 향상 프로그램 마련, 둘째, 성적 향상 관련 프로그램 및 정책의 지속성, 셋째, 성적 중심 정책을 보완하는 진로 및 정서 함양 프로그램 마련, 넷째, 교사의 적극적 참여와 학교 구성원 간 원활한 소통, 다섯째,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적 향상 학교들은 학교가 처한 여건이나 학교의 특성에 따라 프로그램과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는 차별화된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 KCI등재

        수능 전국연합평가 영어 점수와 고등학교 영어 내신 성적과의 상관관계 분석

        김용명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8

        In korea, two major criteria for student selections are utilized in university admissions systems: the high school grades,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gra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classroom test in high school and those of the English Domain in the CSAT.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the scores of classroom tests and the those of Regional Coalition Academic Tests (RCAT), which have the identical format as the CSAT English test, of 400 students of a high school.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scores is 0.6, which represents highly correlated.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from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high school grades. It can also be used by the university admissions officials as a reference point. In addition,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can benefi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 to balance these two tests.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은 시행된 지 22년이 지났지만, 학교와 학생들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고등학교 내신 성적이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 결과, 학교와 학생들은 수능 대비 학습에 치중하는 반면, 내신 대비 학습은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향은 한편으로 수능 대비 사교육을 유발해왔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학교 교육의 파행을 야기해왔다.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수능 관련 연구는 문항 분석, 수능 대비 학습법, 수능과 교육과정과의 관계 등의 연구에만 치중해왔으며, 수능 성적과 내신 성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찾을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능 영어 성적과 내신 영어 성적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A 지역의 S 고등학교 400명의 3년간 내신 성적과 수능 모의평가 성적을 분석 자료로 삼았다. 두 시험 성적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는 0.6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능 성적과 내신 성적은 높은 상관관계에 있으므로 내신과 수능이 별개라는 것은 허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학교와 학생들은 내신에 대비하는 학습이 곧 수능에 대비하는 학습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학교 수업에 보다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영어과 교육과정을 충실히 이행하여 공교육을 정상화하여 사교육을 경감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사특성 및 학교만족도가 고등학생 학업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모형을 통한 탐색

        김소영,라종민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1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high-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the teacher's characteristics(teacher's morale and teaching ability)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on the student's first-year English & Mathematics achievement scores and the growth rate during the high-school using the data gathered in 2012(wave1), 2013(wave2), 2014(wave3) by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In this study, we consider English and Mathematics achievement for three years in high-school as outcome variables and sex, students' degree of comprehension of English and Mathematics class, household income, teachers' characteristics(teacher's morale and teaching ability),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as predictor variables. For this study, we utilize the growth model assigning the student achievement to the level-1 and students' initial scores and the rate of growth to the level-2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basic model, the results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nitial English and Mathematics achievement scores and variance of the rate of the change. We found significant influence of student variables, the teacher's morale and teaching ability on the first-year English achievement scores. However, the effect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indicate that only the student's school satiscation rate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growth rate of English scores through the three years of high-school. While the teacher's morale influences significantly on the first graders' initial Mathematics scores, the effect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does not. Through the high-school years, the teacher's teaching ability show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rowth rate of Mathematics scores in a negative way. 본 연구는 고등학생 1학년 성적 및 3년 동안의 영어·수학 성취도 성장 정도에 학생이 인식하는 교사특성(교사의 사기, 교사 수업 능력)과 학생의 학교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고등학교 1차(2012년), 2차(2013년), 3차년도(2014) 자료를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고등학생 3년 동안의 영어, 수학 성취도는 종속변인이었고, 성별, 학생의 영어, 수학 수업에 대한 이해도, 가정소득, 교사특성(교사의 사기, 교사 수업 능력), 학생의 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독립변인으로 활용하였다. 다층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이용하여 학생 성취도를 1수준, 학생의 초기 성적과 변화율을 2수준으로 하는 성장모형을 이용하였다. 기초모형 분석결과에 의하면 영어·수학 성적의 초기치와 변화율 분산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성적 초기치(1학년 성적)에는 학생관련 변인, 교사의 사기, 교사 수업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학교만족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고1에서 고3 동안의 영어 성적 변화율에는 학생관련 변인 외에 학교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수학 성적 초기치(1학년 성적)에는 학생관련 변인 외에 교사의 사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만족도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고1에서 고3 동안의 수학 성적 변화율에는 학생관련 변인 외에 교사 수업능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으로 수학 성적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교사특성과 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학생의 성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좀 더 정교한 방법을 통해 이러한 영향력을 좀 더 명확하게 탐색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아분화수준이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

        장경문 한국아동권리학회 2011 아동과 권리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이들의 자아분화수준,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성적 간에는 어떤 상관이 있는지,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자아분화수준은 이들의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성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마지막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자아분화수준이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서울과 인천지역의 초등학생 총318명(남아 173명, 여아 145명; 5학년 146명, 6학년 17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아동의 자아분화와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성적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이 중에서 부의 심리적 통제는 학교생활적응과, 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아분화와 좀 더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자아분화수준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교성적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어 자아분화가 높을 때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성적이 더 높았다. 둘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자아분화수준과 부 통제의 영향을 받으며, 학교성적은 자아분화수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설명력은 크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자아분화수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은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적응의 경우에, 남아는 자아분화, 여아는 부의 심리적 통제가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이었고, 성적에서는 남아는 모의 심리적 통제, 여아는 자아분화가 가장 중요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ree-folds:the first is to investigate how the perceived paternal/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level of children's self-differentiation are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econd is to study the relative influences of paternal/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children'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third is to investigate if the influences of paternal/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the children'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differ in the boys and the girls. The total of 318, 5th or 6th graders (173 boys and 145 girls) residing in either Seoul or Incheon area. The results are following:First, Both the paternal and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re negatively related to the level of children's self-differentiation (except the subfactor of self-integration),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o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level of an individual's self-differentiation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the two significant predictors, and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Third, Som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boys and the girls in the predictor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chool adjust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arenting was discussed.

      • KCI등재

        고교성적, 수능성적, 대학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찰 :

        이경희(Gyeoung h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고등학교 학생부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 대학학업 성취도 분석을 통하여 입학사정관제 활용 및 전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는 수도권에 위치한 A대학교의 2005~2009학년도 신입생 6,679명의 고교 학 생부성적 등급평균, 수능시험 영역별(언어, 수리, 외국어) 등급평균, 대학 1개년간의 대학학업성취도 평점평균이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시모집 학생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부성적은 높으나 수능점수는 떨어지는 수시모집 학생들 의 경우, 대학학업성취도의 평점평균은 정시모집 학생들의 평균평점보다 낮았다. 둘째, 학생부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상호간 그리고 수능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상 호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 중 학생부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상호간의 관계가 더 높았다. 셋째, 학생부성적과 수능성적이 대학 1개년간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 향력을 회귀분석한 결과, 학생부성적이 수능성적보다 더 영향력이 컸다. 이러한 연 구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각 대학이 입학사정관제를 활용하기 위해 학생부 성적은 높으나 수능성적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학생들에 대한 맞춤식 교육프로그 램을 준비해야 하며, 개별 고등학교와 학생 개개인에 대한 포트폴리오적 접근과 다 양한 전형자료 및 전형요소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doption and strategy of admissions officer system through analysis among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CSAT) grade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freshmen in the university. The object and data of research comprises several averages among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CSAT grades(linguistics, mathematics, English) and the first year s academic achievements of 6,679 freshmen enrolled during 2005-2009 in A university located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he outcomes resulting from this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the average of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of students accepted through nonscheduled admission, who got relatively superior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but inferior CSAT grades to students accepted through the regular admission procedure, is lower than that of students admitted during the regular application period. Secondly, there are correlations not only between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but also between CSAT grades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The correlation of the former is higher than that of the latter. Thirdly, th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influence of both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and CSAT grades on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s shows also that the former is more influential.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 makes some suggestions; To take advantage of admissions officer system, each university should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customized for students who got relatively superior high school grade point averages but inferior CSAT grades. It should implement portfolio approach suitable for individual high schools and students. Also, the development of diverse factors and materials for screening is required.

      • KCI등재

        중학생들의 학교중퇴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아동기 외상경험, 학교폭력 및 정신의학적 문제의 효과

        석미란,장은영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victimizing and perpetrating of bullying, psychiatric problems and academic achievement stress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a city of Gyeonggi-do. In order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effect of childhood trauma and the mediational role of psychiatric problem, bullying and academic stres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odel confirmed a good fit to the data. Generally,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sociated with psychiatric problem in adolescents which resulted i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Also, childhood emotional abuse associated with victimizing which resulted in the intention. Even though perpetrating and academic stress failed to predict the intention, physical abuse was associated with victimizing and perpetrating and neglect was associated with perpetrating academic stress. We also explored gender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by multi-sample S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ths from neglect to psychiatric problems and from victimizing to intention of dropout were significants only in females. Additionally, the effect of psychiatric problems on intention of dropout was stronger in males. Finall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discussed with the stream of previous research. 아동기의 외상경험과 현재의 정신의학적 문제,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경험 및 학업성적 스트레스가 중학생들이 학교를 중퇴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경기도 한 도시에 소재한 한 중학교의 1학년과 2학년, 총 7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아동기 외상경험이 현재의 정서나 행동문제, 폭력경험 및 성적스트레스를 거쳐서 학교중퇴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들을 검증하였다. 전체 자료에 대해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은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보면,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은 현재의 정신의학적 문제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다시 학교중퇴 의도를 예측했다. 또한 아동기 정서적 학대는 현재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다시 학교중퇴 의도를 예측했다. 신체적 학대는 학교폭력의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방임은 학교폭력의 가해경험 및 학업성적스트레스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만, 학교폭력의 가해경험과 학업성적스트레스는 학교중퇴 의도를 유의하게 직접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유의한 경로들 가운데 성차를 보이는 것이 있는지 추가적으로 탐색하였는데, 아동기 방임이 청소년기 정신의학적 문제에 미치는 효과와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이 중퇴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여학생들에게서만 유의하였다. 반면에 정신의학적 문제가 중퇴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그 강도가 남학생들에게서 더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시사점과 선행연구들과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선지원후추첨제’에 기반한 ‘고교평준화’ 정책이 고교 간 격차 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희숙(Hee-sook Han),이수정(Soojeong Lee)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5

        본 연구는 고교평준화 정책의 도입이 고교 간 격차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중소도시인 A지역을 대상으로 선지원후추첨제를 기반으로 하는 고교평준화 정책 도입 이후에 그 이전과 비교하여 학교 간 성적 격차, 학교 서열 및 지원율이 어떻게 변동되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2014~2017학년도 기간 동안 A지역 내 전체 일반고의 입학성적과 학교 지원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고교평준화 정책을 도입한 이후에는 고교평준화 정책이 시행되기 이전과 비교해 볼 때 학교 간 입학성적의 격차는 상당히 줄어들었고, 비평준화시기였을 때 고착화되어 있던 학교 서열은 정책 도입 직후에 크게 변동되었으며, 학교 간 지원율의 격차는 정책 도입 직후에 갑자기 커졌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다시 격차가 서서히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선지원후추첨제에 기반한 고교평준화 정책의 도입은 고교평준화 정책 도입 이전과 비교해 볼 때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선택권을 보장하면서도, 학교 간 성적 격차를 지속적으로 감소시키고 성적의 위계에 따라 고착화되었던 학교 서열을 변동시킴으로써 고교 간 격차 완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how the equalization policy based on application-forward-assignment-afterward system influenced the gap of high schools in City A. Data were drawn from K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One-way ANOVA,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qualization policy based on application-forward-assignment-afterward system on the gap of high schools in City A. Findings showed that the gap of schools’ entrance scores of 2015~2017 was decreased more, the mean of the schools’ entrance scores in the area went up higher, the schools’ ranking fixed in 2014 and before was changed a lot more, but the gap of school application rates were increased more just after introducing the equalization policy based on application-forward-assignment-afterward system than in 2014, and decreased gradually and constantly in 2016 and 2017. The findings imply that the equalization policy based on application-forward-assignment-afterward system is very effective in decreasing the gap of schools’ entrance scores, changing the fixed schools’ ranking, and ensuring students’ and parents’ right of school cho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