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층지원체계 중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한국과 미국의 실험연구 비교분석

        장은진,이미영,정재우,조광순,이동형,송원영,한미령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mmarize the empirical literature on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within a multi-tiered system of supports in American and Korean schools and to compare its key features and outcomes in an attempt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a Korean school-wide PBS model and implementation manuals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wenty-four American articles and 11 Korean articles (total 35 articles) that reported the outcomes of implementation of PBS at a tier 1 and/or tier 2, or tier 3 level and that met established inclusion criteria were analyzed using systematic procedures. Comparisons were made in the areas of key features and outcomes of PBS in addition to general methodology (e.g., participants, design, implementation duration, dependent measures) at each tier of PB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sitive outcomes for student behavior and other areas were reported across tiers in all American and Korean studies. At the tier 1 level, teaching expectations and rules were the primary focus of PBS in American and Korean schools. However, Korean schools focused on modifying the school and classroom environments and teaching social skills whereas American schools focused on teacher training on standardized interventions or curricular by experts and teacher support during implementation of PBS. At the tier 2 level, more American studies reported implementation of tier 2 interventions within school-wide PBS, and Check/In Check/Out (CICO)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used tier 2 intervention.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n comparison to Korean schools, American schools were more likely to use systematic screening tools or procedures to identify students who need tier 2 interventions and more likely to promote parental involvement with implementing interventions. At the tier 3 level, more Korean studies reported the outcomes of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but more American studies reported that design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 plans based on comprehensive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results and establishment of systematic screening systems were focused when implementing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Furthermore, few Korean studies reported the assessment of procedural integrity, social validity, and contextual fit in implementing PBS across tiers, indicating the need for development of valid instruments that could be used in assessing these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일반학교에서 실행한 다층지원체계 중심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에 관한 실험연구 논문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형 학교차원 PBS 모형 및 매뉴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한국에서의 PBS 실행에 관한 연구 방향의 제시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의 학술 검색엔진을 통해 2005년부터 2018년까지의 PBS 실행 논문 중, 보편적 1차 지원, 또는 1차 지원을 실행하면서 2차 혹은 3차 지원을 실행한 한국의 연구 논문 11편과 미국의 연구 논문 24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연구특성(대상, 설계, 기간, 종속변인 등)과 PBS의 주요특성 및 결과(대상자 선별과정, 중재 과정과 내용, 사회적 타당도 등)를 지원 차원 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의 모든 연구에서 PBS는 지원 차원을 막론하고 학생 행동과 기타 영역에서 긍정적 성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었다. 1차 지원의 경우 한국은 학교 또는 학급의 교육환경 수정과 사회적 기술교수에 초점을 둔 반면, 미국은 이 외에도 표준화된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교사훈련과 체계적인 교사지원에 초점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지원의 경우 미국은 한국에 비해 학교차원의 PBS 내에서 1차 지원과 함께 실행하고 있는 학교가 많았고, 주로 Check/In Check/Out(CICO)를 중재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대상 선별방법에서 보다 체계적인 선별도구나 절차를 사용하였고, 부모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가정에서도 중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이를 보였다. 3차 지원의 경우, 미국은 종합적 행동기능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중재계획을 수립한 점과 선별방식이 체계화되었다는 점이 한국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다층지원체계 중심의 학교차원 PBS 실행을 위한 각 차원별 PBS 실행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 및 맥락적 적합성(contextual fit)에 대한 타당화된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 등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가정학대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조민경,조한익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and whether aggression and depression have any mediating effects on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of 1,937 eighth grade stud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violence aggression and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Second, aggression and dep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child abuse on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respectively. Third, aggression mediated the effect of child abuse on victimization. Fourth, although there was a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school violence victims who were abused by their parents were less likely to be the perpetrators of violence themselve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regarding the use of counseling intervention to prevent violence in schools. 본 연구는 가정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공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생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학대경험이 많을수록 이후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의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학대는 공격성을 매개로 학교폭력가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피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가해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매개로 다시 학교폭력 피해자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정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학교폭력 피해자의 경우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하게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는 상호인과적인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가정학대경험이 선행할 경우 학교폭력 피해자가 다시 가해자가 될 가능성은 매우 낮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학대가 공격성과 우울을 매개로 학교폭력 가해 혹은 피해로 이어지는 경로에 대한 통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가정학대가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경로를 규명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후기 아동기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부모 방임과 학대 경향성의 동시 및 지연효과

        최수빈,유미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 아동기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부모 방임과 학대 경향성의 동시 및 지연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YCPS)의 초1 패널 자료 중 4차년도에서 7차년도(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후기 아동기 학교적응 변화에 대한 부모 방임과 학대 경향성의 동시 및 지연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 LGM)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적응의 수준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과 학대는 학교적응에 대한 동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임은 학교적응에 대한 지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대의 경우 지연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으며, 추후 방임과 학대를 경험하는 후기 아동의 학교적응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parental neglect and abuse on longitudinal changes in late childhoo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utilized survey data from the fourth through seventh iterations of the Korean Child Youth Panel Study conducted on fourth-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decreased gradually. Second, both neglect and abuse had concurre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Third, neglect had lagged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ut abuse did not. The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better understand and support children who have suffered neglect or abuse adjust to school during late childhood.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의 적응과정

        김영희,최보영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2 No.1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의 적응과정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성화고등학교를 그만둔 이후 1년 이상 경과하였고 제도권 내로 복교하지 않은 청소년 16명으로부터 근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이 적응과정에서 겪는 중심현상은 ‘불안’이었고, 인과적 조건은 ‘진로성숙’, ‘성취감’, ‘트라우마’였으며, 중심현상에 대한 맥락적 조건은 ‘의지력’, ‘심리적 안정’, ‘성향’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지원체계 활용’과 ‘자극’이었으며, 중심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도전하기’, ‘탈출하기’, ‘시도하지 않기’였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결과는 ‘성장’과 ‘미해결’로 나타났다. 이들은 방종단계, 자각단계, 변화시도단계, 재정립단계를 거쳐 적응수준을 높여갔으며, 변화시도단계에서 겪는 시행착오에 적절하게 대응을 못할 땐 안주단계에 머물렀다. 핵심범주는 ‘불안을 딛고 정체성 찾아가기’였고, 이에 따른 적응유형은 목표추구형, 과도기형, 무기력형, 탈출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의 적응과정을 발달과정으로 이해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적응수준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djustment process of the youth who quit vocational high school. For this study, the base data of 16 adolescent who left vocational high school over a year and didn`t return to school was collected and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 showed that dropouts experienced ‘anxiety’, causal conditions were ‘career maturity’, ‘achievement’, ‘trauma’ and contextual conditions of the phenomenon were ‘willpowe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inclination’. Also, Intervening conditions were ‘support system utilization’ and ‘motivation’,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phenomenon were ‘to challenge’, ‘to escape’ and ‘not to try’. Finally, ‘being developed’ and ‘being unsettled’ were observed as the consequence of the phenomenon. As the youth passed through indulgence stage, consciousness stage, trying change stage, and reestablishment stage, their adjustment process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youth stayed with status quo when they couldn't respond appropriately. The core category was ‘overcoming anxiety and finding identity’ and goal pursuit, transition, lethargy and escape types were showed as the following from the core category. This study gave an idea not only that process of development is needed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 youth`s adjustment process, but also provided basis data that could help in increasing level of them.

      • KCI등재

        학교참여 다차원 구인에 대한 성별 및 학교급별 잠재평균분석

        신현숙,염시창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2

        School engagement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has been known not only as a predictor of academic achievement, school adjustment, and school dropout but also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 between school/family context or personal variables and adjustment outcom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fit of a multidimensional model of school engagement consisting of three factors (i.e., affective, behavioral, cognitive) and examine the decreasing tendency of school engage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Wang, Willett, and Eccles’s (2011) school engagement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1,172 students in Grades 5 to 8.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latent mea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research questions. First,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that, in all of the four groups (i.e., elementary school boys, elementary school girls, middle school boys, middle school girls), the three-factor model of school engagement fit the data better than the one-factor model and the two-factor model. Second, the four group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 composition of the three factors and factor loading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cepts of the observed variabl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each gender. Given that both factor loadings and intercepts were invariant, latent mea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the latent mean differences on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engagement. Both boys and girl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each factor of school engagement. The effect sizes of latent mean differences on each factor by gender and school level showed that after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affective engagement declined to a greater extent than did behavioral and cognitive engagement and the three factors of school engagement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for girls than for boys. Finally, the necessity of identifying school engagement styles and testing the second-order model with one second-order factor (i.e., school engagement as a meta construct) and several first-order factors (e.g., affective, behavioral, cognitive engagement) was discussed. 학교참여는 학업성취, 학교적응, 비행, 학교중도탈락 등을 예측하며, 환경 맥락변인과 학생 개인변인이 결과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이처럼 교육연구와 실제에서 중시되고 있는 학교참여가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참여로 구성된 다차원 구인인지를 확인하고, 중학교 진학 이후에 학교참여의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 599명과 중학교 1, 2학년 573명(총 1,172명)에게 Wang, Willett와 Eccles(2011)의 학교참여척도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에 확인적 요인분석과 잠재평균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참여의 다차원적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및 학교급에 따라 구분된 4집단(초등학교 남학생, 초등학교 여학생, 중학교 남학생, 중학교 여학생) 모두에서 3요인 모형의 적합도가 1요인 모형이나 2요인 모형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명되어 학교참여 요인구조의 형태동일성이 지지되었다. 둘째, 4집단에서 학교참여 요인별 요인계수가 동일하다고 가정한 측정동일성 모형이 수락되었다. 셋째, 각 성별 집단에서 초등학생과 중학생간 학교참여 요인별 잠재평균을 비교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되는 절편동일성과 요인분산동일성이 충족되었다. 이에 집단간 잠재평균을 비교한 결과, 남녀 각 집단에서 중학생의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참여 수준이 초등학생보다 낮았다. 잠재평균 차이의 효과크기에 근거해 볼 때, 초등학생의 학교참여 수준과 중학생의 학교참여 수준 간 차이가 정서적 참여 요인에서 가장 컸고, 이러한 차이가 남학생 집단보다 여학생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참여의 3요인이 조합을 이루는 학교참여 양식을 확인하고 이에 적절한 학교심리개입을 제공하며 학교참여 메타구인을 2차 요인으로 설정한 ‘2차 요인 모형’을 검증할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들의 학교중퇴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아동기 외상경험, 학교폭력 및 정신의학적 문제의 효과

        석미란,장은영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victimizing and perpetrating of bullying, psychiatric problems and academic achievement stress o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in a city of Gyeonggi-do. In order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effect of childhood trauma and the mediational role of psychiatric problem, bullying and academic stress,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odel confirmed a good fit to the data. Generally,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sociated with psychiatric problem in adolescents which resulted in intention of school dropout. Also, childhood emotional abuse associated with victimizing which resulted in the intention. Even though perpetrating and academic stress failed to predict the intention, physical abuse was associated with victimizing and perpetrating and neglect was associated with perpetrating academic stress. We also explored gender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by multi-sample S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ths from neglect to psychiatric problems and from victimizing to intention of dropout were significants only in females. Additionally, the effect of psychiatric problems on intention of dropout was stronger in males. Finally,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discussed with the stream of previous research. 아동기의 외상경험과 현재의 정신의학적 문제, 학교폭력의 가해와 피해경험 및 학업성적 스트레스가 중학생들이 학교를 중퇴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경기도 한 도시에 소재한 한 중학교의 1학년과 2학년, 총 72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아동기 외상경험이 현재의 정서나 행동문제, 폭력경험 및 성적스트레스를 거쳐서 학교중퇴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들을 검증하였다. 전체 자료에 대해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조모형은 자료를 적절히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보면,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은 현재의 정신의학적 문제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다시 학교중퇴 의도를 예측했다. 또한 아동기 정서적 학대는 현재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쳤고, 이는 다시 학교중퇴 의도를 예측했다. 신체적 학대는 학교폭력의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방임은 학교폭력의 가해경험 및 학업성적스트레스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만, 학교폭력의 가해경험과 학업성적스트레스는 학교중퇴 의도를 유의하게 직접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유의한 경로들 가운데 성차를 보이는 것이 있는지 추가적으로 탐색하였는데, 아동기 방임이 청소년기 정신의학적 문제에 미치는 효과와 학교폭력의 피해경험이 중퇴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여학생들에게서만 유의하였다. 반면에 정신의학적 문제가 중퇴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그 강도가 남학생들에게서 더 높았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시사점과 선행연구들과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진로의사결정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김대선,탁진국,강지연,정재희,김기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areer Decision Making Profiles-Youth(CDMP-Youth) in Korea and to validate the scale. First, preliminary 130 items with 14 factors were obtained based on a number of ways. Second,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to 316 adolescents. Based on the first preliminary study, 53 items with 9 factors were obtained.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to 233 adolescents. Based on the second preliminary study, 61 items with 9 factors were obtained. Third,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to 1,206 adolescents, and finally 34 items with 9 factors were obtained. The to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in order to check cross-validity of the scal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the 9 factor model with 34 items were satisfactory. The reliabilities of 9 factors were also satisfactory. These career decision making profiles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riteria such as career satisfaction as well as grade, supporting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Also these fact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ctors of the Career Decision Making Profiles developed by Gati et al (2010), supporting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Last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의사결정검사 개발을 위해 기존 문헌 연구 및 중․고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들로 구성된 전문가 그룹과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14개 요인을 도출하고, 130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한 예비문항을 중․고등학교 청소년 316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 분석과 문항 검토 과정을 통해 9개 요인과 53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1차 예비조사에서 분석된 문항에 보완된 문항들을 추가하여 9개 요인, 69문항으로 중․고등학교 청소년 233명을 대상으로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9개 요인 61문항을 도출하였다. 셋째,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전국의 중․고등학교 청소년 1,206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 구성 개념 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 수렴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9개 요인 34문항을 완성하였다. 신뢰도 및 요인분석 결과 적합한 수준의 신뢰도와 9개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에서는 진로만족, 진로의사결정 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진로불안감, 학업성취도를 준거변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결과 진로의사결정 요인과 5개 준거는 정적 및 부적으로 유의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

        유신복,손원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happiness. Also we identified the sub-groups by a cluster analysi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n explored their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3 students sampled from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city and K province. We hypothesized a structural model in that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influ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onomy, and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petence, or relatedness and in turn, thes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fluence their school happiness.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s, while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on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terms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from a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at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can also play a positive role for the child’s psychological needs and happi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ternal expressiveness can contribute to their child’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Finally, it was discussed that future work with the person-oriented perspective is need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ar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ts effects on other psychological trai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크게 두 가지의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먼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 등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한 정서표현성의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정서표현성 프로파일별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및 K지역에 위치한 8개 초등학교 5, 6 학년 총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변인 측정을 위하여 자기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정서표현성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뿐 아니라 학교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다. 반면 어머니의 부정 정서표현성은 자율성 및 학교행복감에는 부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으나, 자녀의 유능성 및 관계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또는 부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자율성-관계성, 자율성-유능성 등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유능성 및 관계성은 긍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단순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프로파일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는데,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모두 평균 이상인 집단, 모두 낮은 집단, 또한 둘 중 하나의 정서표현성이 높은 집단 등이었다. 이 중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균형을 이루거나 긍정 정서표현성만 높은 프로파일의 경우가 다른 프로파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행복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정 정서표현성의 효과와 더불어서 보다 적응적인 형태의 정서표현성 유형을 탐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지닌 가치가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계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1

        This study was explored for two purposes. The first was to examine the school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nd the second was to find the influence of the school teachers' values on attitudes toward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For the purpose, 440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males had negative cognitive attitude and feeling pity toward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nd they were high in authoritarian personality tendency, pure-blooded ethnic identity, and ethnocentrism. Second, age of 50 over group were higher authoritarian personality tendency, pure-blooded identity and ethnocentrism than the younger group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more positive emotional attitude and higher civilized ethnic identity and positivity of multicultural society th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ourth, the teachers in the schools including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were more negative cognitive, negative emotional attitudes, and high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than the opposite. Fifth, in positive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toward the childr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positivity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civilized ethnic identity were influencing factors, but, in the negative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 authoritarian personality tendency and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were influencing factors. Lastly, in behavioral attitude, uncertainty avoidance tendency, positivity of multicultural society, civilized ethnic identity and ethnocentrism influenced to a-little-close relationship formation, but, in close relationship formation, pure blooded ethnic identity and positivity of multicultural society were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instruction of the students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teachers were discussed. 본 논문은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고, 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가치가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교사 대상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학교 내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지도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내 초·중·고등학교 교사 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남자교사들이 여자교사들에 비해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부정적 인지 및 연민정서가 높고, 권위주의 경향성, 순혈주의정체성 및 자민족중심주의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0대 이상의 비교적 연령이 높은 교사들이 낮은 연령의 교사들에 비해 권위주의 경향성, 순혈주의정체성 및 자민족중심주의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중·고등학교 교사에 비해 긍정적 정서태도, 문화민족 정체성 및 다문화사회의 긍정성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재학 중인 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들이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없는 학교의 교사들보다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부정적 인지 및 정서태도가 높고, 불확실성 회피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긍정적 인지 및 정서태도에는 다문화사회의 긍정성 및 문화민족정체성이, 부정적 인지 및 정서태도에는 권위주의경향성과 불확실성회피 경향성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제결혼가정 자녀에 대한 행동의 측면 중 가벼운 관계요인에는 불확실성회피 경향성, 다문화사회의 긍정성, 문화민족정체성 및 자민족중심주의가, 친밀한 관계요인에는 순혈주의정체성과 다문화사회의 긍정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초·중·고등학교 내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지도 및 교사대상 다문화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생이 경험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관련 교사역량에 관한 연구

        임재연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eachers' competency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based on students'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this, a total of 10 students (victims and perpetrator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nd how it was handled by the school were interviewed. Afterward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competency on school violence which were considered important by the students have been divided into a total of 4 areas and 16 categories. 4 areas are the following; awareness and attitudes of teachers toward school violence, procedure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by teachers, skills and competence of teachers in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issues, and ability of teachers in preventing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have awareness and attitudes in acknowledging the seriousness of even the minor school violence cases and trying to resolve those cases actively and properly, to have methods to intervene in an educational way to follow the principles of the procedures, to have skills and competence to counsel, mediate and supervise relevant students,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to have leadership and class managing skills to prevent school viol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research data to reinforce the competency of teachers i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chool violence. Especi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esents teachers' competency of differentiated intervention when dealing with victims and perpetrators at school. Als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mmonal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and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from the preceding research) regarding the competency of teachers concerning school violence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학생의 경험을 토대로 학생의 관점에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해 필요한 교사역량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폭력과 사안처리 과정을 경험한 피해학생 및 가해학생 총 10명을 대상으로 면접하고, CQR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이 중요하게 여긴 학교폭력 관련 교사역량은 총 4개 영역 16개 범주로 도출되었다. 교사역량의 4개 영역은 교사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태도, 사안대처의 절차와 방식, 사안대처 관련 능력과 기술,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교사역량 등으로 분류되었다. 학생들에 의하면 사소한 학교폭력 사안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인식하며 적극적이고 제대로 해결하려는 교사의 인식과 태도, 사안처리 과정에서 절차의 원칙을 지키며 교육적인 관점에서 개입하는 방식, 해당학생을 대상으로 상담, 중재, 지도하는 능력과 기술, 그리고 학생과의 긍정적 관계형성, 학급 관리 및 리더십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등의 교사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학교폭력 관련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피해학생과 가해학생을 위한 교사의 차별화된 대응역량에 관한 정보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에 나타난 교사의 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관련 교사역량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