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와 학교장신뢰의 매개효과

        유평수,임명희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and principal's trust in the effects of high school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high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the Office of Education A, Korea, and a total of 429 subjec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tness index, and bootstrapping were calculat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 empowerment, trust in principals, and job satisfaction. Teacher empowermen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distributed leadership perceived by high school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teacher empower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ut the principal's trust had no mediating effect. The high school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improved teachers' empowerment, and empowerment enhanced job satisfaction. However, there was no indirect effect of the high school principal's distributed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school principal's trus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와 학교장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A 교육청에 소속된 고등학교 교사들로 자료분석에 사용된 대상은 429명이다. SPSS 25.0와 AMOS 25.0을 통해 Pearson의 상관,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Bootstrapping 등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산적 지도성은 교사 임파워먼트와 학교장신뢰,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사 임파워먼트도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고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분산적 지도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임파워먼트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으나 학교장신뢰는 매개효과는 없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의 분산적 지도성이 교사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교사의 직무만족 수준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분산적 지도성이 학교장신뢰를 매개로 직무만족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없었다는 것이다. 미래 사회의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교사들의 전문성과 역량을 강화시키고 직무만족 수준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학교에서 분산적 지도성을 활성화하고 교사들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수준을 향상시킬 방안을 마련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도서관사서의 조직헌신성과 조직시민행동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

        유평수,최흥식 한국정보관리학회 2016 정보관리학회지 Vol.33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a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OCB)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librari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First,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make no difference by age level.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makes no difference by career. The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make no difference by employment status. Second, the highest correlation is maintain commitment factor and all of the commitment. The second high correlation is sportsmanship behavior factor and all of the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The third high correlation is conscientiousness behavior factor and all of the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Thir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affected 13.4% by a librarian’s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5.6% by librarian’s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사서의 조직 헌신성과 조직시민행동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관 사서의 헌신성, 조직시민행동, 조직효과가 사서의 연령, 사서경력, 그리고 고용형태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였으며,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 및 사서의 헌신성과 조직시민행동이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사서의 연령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은 다른 집단보다 50세 이상이 더 높고, 조직효과의 수준은 29세 이하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사서경력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은 15년 이상이 다른 집단보다 높은 수준이며, 조직효과는 1년 미만이 5~15년 미만보다, 15년 이상 집단이 5~15년 미만보다 높다. 고용형태에 따른 조직효과는 정규직보다 계약직 직원이 더 높다. 둘째, 변인들 간의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은 유지적 헌신과 헌신성 전체, 비불평적 행동과 조직시민행동 전체, 양심적 행동과 조직시민행동, 적극적 행동과 비불평적 행동의 순으로 높다. 셋째, 조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헌신성에서는 정서적 헌신이고, 조직시민행동에서는 적극적 참여행동이다. 조직효과에 대해 조직헌신성은 5.6%의 설명력을, 조직시민행동은 13.4%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 조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 중의 하나인 조직헌신성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조직의 리더는 정서적 헌신에 해당되는 소속감, 애착심, 가족적 친밀감을 형성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조직시민행동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서들의 개인적 성장과 발전에 특별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며, 부서의 각종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생의 임파워먼트 향상 프로그램 효과 분석

        유평수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effect on the improvement program of empowerm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181 students(experimental group 93 , comparison group 88)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in A city in according to convenience sampling. The measurement instrument of empowerment levels was composed of 50 items. The domains of the instrument were classified as meaningfulness, impact,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To analysis of effect on the program was used SPSS/PC+ 14.0 statistics program. The statistics' methods applied were paired-Samples t Test, F test, Repeated Measure ANOVA, Wilk's λ of Multivariate Test e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First, The immediate effect of the empowerment program was very high promoting in the empowerment level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continuous effect was also significantly positive for enhancing in the empowerment level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empowerment program could be developed the cognitive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Fourth, the empowerment program should be appli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생에게 임파워먼트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는바, 하나는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사후검사에서 임파워먼트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다.”이고 다른 하나는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추후검사에서 임파워먼트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다."이다. 이 두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도시지역 전문계 고등학교 1개교를 선정하였으며 사전, 사후, 추후 검사는 각각 실험집단 93명, 비교집단 88명 총 18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전체 5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측정도구는 4개의 영역, 즉 의미성, 영향성, 역량성이, 자기결정성으로 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한 사전ㆍ사후ㆍ추후검사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대응표본 t 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1차, 2차, 그리고 3차 실시집단의 임파워먼트 수준의 변화를 시기별로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 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 다변량 검정의 Wilk's λ값, 개체내 대비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전문계 고등학생의 임파워먼트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자존감을 지닌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임파워먼트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하위영역에서 의미성, 영향성, 역량성에 관한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을 대폭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은 추후검사에서 임파워먼트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가 즉시적으로는 나타나지만 지속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환경이나 인간관계 등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등을 개선함과 동시에 개인의 인지적 특성, 즉 삶의 의미를 찾기, 학생 개인의 잠재 능력을 계발하기, 할 수 있다는 자신감 회복, 자율적 의사결정 능력 등이 변화되어 임파워먼트의 수준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 뿐만 아니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에게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농어촌 고등학생이나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청소년들에게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 및 수정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體制接近에 의한 學校經營體制의 改善方向 考察

        유평수 全北大學校 師範大學 敎育學科 1986 行動硏究 Vol.- No.8

        최근에 와서 교육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교육체제를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현장적용가능성을 조심스럽게 타진하고 있다. 이 새 교육체제는 새로운 수업과정모형을 개발하고 다양한 학습자료의 제작 및 교육 TV프로그램을 사용하는데 새 교수체제와 이를 학교현장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원체제로서의 학교경영체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교육의 개선은 수업사태의 변화만으로는 부족하며 교육활동의 제영역에 걸쳐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체제접근과 학교경영체제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들을 살펴보았고 근자에 교육경영의 각 영역에 적용되고 있는 체제접근의 이론을 학교경영체제의 발전에 활용하여 Kaufman의 체제접근 모형을 각 단계별로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학교경영상에 나타난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살펴 보았다. 불합리한 학교경영의 문제를 경영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계획단계에서는 교육의 문제상황을 명활기 파악하거나 그 문제의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특히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채택하는 의사결정과정이 타성적이며 불합리하다는 것, 둘째로, 실행단계에서는 교무분당이 무원칙하게 과분화되어 업무수행적 과정에서 서로 협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어렵다는 점, 셋째로, 평가단계에서는 대부분 학교의 학교평가가 불합리하고 관례적이고 특히 산출에 대한 분석이 비과학적이고 환류효과가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학교 경영상의 문제점은 공통적으로 학교경영이 관례적인 경험에 따라 수행되고, 법규해석적인 학교경영론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명백한 교육ㆍ경영목표를 설정하고 그 달성을 위하여 학교 교직원의 주관적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과학적인 학교경영이론의 창안이 기대된다 하겠다.

      • KCI등재

        중학생의 학교성적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 연구

        유평수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records,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8 students of the middle schools in Jeollabuk-do in accordance to convenience sampling. The statistics program used to achieve the purpose was SPSS/PC+ 14.0. The statistics methods applied were M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data analysis.: First, Th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is more open for students who showed positive academic records than those who showed poor academic records. 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 is higher among students who showed poor academic records than those who showed positive academic records. Seco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 is higher for the students whose parents hav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than those whose parents have open communication.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records and the open communication.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records and th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pen communication a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s.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a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s. Finally, the academic records affect 7.3%, the open communication affect 2.5%, and the problem-oriented communication affect 1.0% of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교성적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학교성적별에 따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에 따라 휴대폰 중독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학교성적,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 그리고 휴대폰 중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1,033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과 휴대폰 중독 수준을 알아보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결측치가 많은 25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1,008명의 반응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학년별, 거주지별, 그리고 학교성적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은 SPSS pc+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였으며, 다변량분산분석(MANOVA, Pearson의 상관계수, 그리고 단계별 중다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성적별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에서,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개방적인 의사소통 수준이 더 높다. 학교성적별에 따른 휴대폰 중독 수준에서, 학교성적이 낮을수록 휴대폰 중독 수준이 높다. 둘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양식에 따른 휴대폰 중독 수준에서, 개방적 의사소통 양식의 자녀보다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 양식의 자녀가 휴대폰 중독 수준이 더 높다. 셋째, 학교성적과 개방적 의사소통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학교성적과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과는 유의한 상관이 없다. 학교성적과 휴대폰 중독 간에도 부적인 상관이 있다. 개방적 의사소통과 휴대폰 중독간에는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과 휴대폰 중독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다. 넷째, 휴대폰 중독에 대한 설명력은 학교성적이 7.3%, 개방적 의사소통이 2.5%, 그리고 문제 중심적 의사소통이 1.0%이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 학교폭력 예방프로그램의 효과분석

        유평수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중학생 학교폭력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도시와 농촌 중학교 1개반에 투입하여 사전검사-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 초기인 중학생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수준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실험집단에 12회차 프로그램을 투입하였고, 학교폭력의 하위요인을 신체폭력, 심리폭력, 언어폭력, 집단폭력, 금품폭력, 그리고 성희롱 등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사전검사-사후검사 결과의 비교ㆍ분석을 통해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향후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의 문제행동 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실험 결과, 하위요인 중에서 신체폭력, 심리폭력, 언어폭력, 집단폭력에 있어서 투입된 프로그램이 문제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중학생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금품폭력과 성희롱은 프로그램 투입에 따른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금품 및 비행폭력에 대한 인식도 향상을 위한 대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and analysis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middle schools. The hypothesis of study designed to accomplish this purpose: Hypothesis 1: the sub-factors of violence prevention program will be effect perception level of the School violence by the background characteristics. Hypothesis 2: this program will be increase perception level of the school violence. The experimental group is consisted of two groups. They were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52), a control group(n=53).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s was given 12 sessions of the school-violence prevention problem. is used to discern the difference among post-hoc comparis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positive effects on the awareness of the school violence factors(physical violence, psychological violence, verbal violence, and group violence). Second,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dose not effect on the awareness of the school violence factors(money & articles violence, sexual harassment violence).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임파워먼트 수준이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평수 교육종합연구원 2011 교육종합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friendship and school adjustment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80 students of the high schools in Jeollabuk-do in accordance to convenience sampling. The statistics program used to achieve the purpose was SPSS PC+ 12.0. The statistic methods applied were the one-way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imple regress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data analysis: First, the empowerment level is no different between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The empowerment level is higher among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r the empowerment level is. Second, the friendship level is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The friendship level is higher amo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friendship level is higher among students who had parents with a lower academic background than those who had higher academic background. Third, the school adjustment level is no different between fe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The school adjustment level is higher among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parents and the school adjustment level. Fourth, the friendship level is no different by the empowerment level. The higher the empowerment level, the higher school adjustment level is. Fifth,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empowerment level and the friendship level. There is a pass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powerment level and the school adjustment level. Finally, the empowerment affects 23.1% of the friend adjustment, 9.0% of the life adjustment, and 0.5% of instruction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