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고 전,김영옥,박병기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ademic productivity of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JKE) and to suggest the tasks that lie before it in the future. To begi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journal, including objectives and processes, were reviewed briefly. The JKE has three official objectives: 1)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2) to accelerate the advance and exchan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education policy, and 3) to establish an intellectual foundation to contribute to Korean education policies. The strengths and the weaknesses of this journal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the procedures of submission, acceptance, publication, and quality control.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journals that shared certain characteristics with the JKE: journals published by governmental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such as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nd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a journal that covered comprehensive issues of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 in-depth analysis of the JKE. Targeted populations were the contributors to the JKE and members of the editorial boards of the JKE; one hundred and fifty-two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survey. In addition to the survey data,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former editorial board member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current status of the JKE and expectations for it were identifie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JKE focused on three goals: 1) to ensure the journal’s status as a main educational journal; 2) to fulfill its role as an institutional journal of KEDI, a primary governmental educational policy research organization; and 3) to function as a mediator between scholars, researchers, schools, and other figures in education in Korea. 이 논문은 학술지 「한국교육」(제1호(1974)∼제40호(2013))에 대하여 그 학술적 성과를 평가하고, 개선하여야 할 과제를 모색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먼저 이 학술지의 발간 배경과 과정을 개관하였고 그 성격을 진단하였다. 우선 이 학술지의 발간 규정에서 표방하고 있는 세 목적(1. 한국교육의 발전에 기여 2. 교육정책 관련 지식과 정보의 발전 및 교류 촉진 3. 한국교육정책 개발에 기여할 지적 기반의 확보)에 비추어 그 달성 성과를 논의하였다. 이어 이 학술지의 편집 및 발간에 있어서 특징과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끝으로 국책연구기관 학술지로서 특징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및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학술지와의 비교 통해 논의하였으며, 종합학술지로서의 성격에 대하여 한국교육학회와의 비교를 통해 논의했다. 보다 구체적인 학술지의 문제점 진단을 위하여 학술지의 주요 수요자이자 관계자였던 최근 6년 동안의 투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회수 152건)를 실시하였고, 한국교육개발원 내외의 전임 편집위원을 대상으로 검토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교육』에 대한 이해도 및 기대수준, 문제인식, 개선방안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으로서 향후 학술지 『한국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개선 과제는 첫째로는 교육학 정론지로서 위상 확립 측면에서, 둘째로는 국가 교육정책연구 주무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 기관 학술지로서 역할 측면에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학자․연구자․교육현장 간의 교류 및 국제교류의 매개체로서의 기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한국교육의 실패와 희망에 대한 또 하나의 미래교육 담론: Bruner의 내러티브론을 중심으로
강현석(Hyeon-Suk Kang)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4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2
It can be said that the discourse on education problems and crises in Korea has always existed in various ways, and it is still being produced and reproduced and disseminated in various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arrative theory proposed by Bruner as a theoretical perspective for discussing the issue of Korean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and future prospects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this theory. Diagnosing the failure of Korean education and constructing a new hope here is possibl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theory of human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narrative theory 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The romantic narratives about the future of education, which are currently being discussed unreasonably, tend to be very bureaucratic and administrative, lacking authentic discussions about the nature and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way of human existence. According to Bruner's discussion, the possibility of renewing the hope of Korean education will be opened up in the path of recreating the language of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the human self as a narrative being. In order to achieve these expectations and objectives, the main issues to approaching these objectives was discussed. 한국의 교육문제와 위기에 대한 담론은 늘 다양하게 존재해왔고, 지금도 여러 방식으로 생산, 재생산되면 유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문제에 대해서 숙고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조망으로서 Bruner가 제안한 내러티브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그 기반 위에서 한국 교육의 방향과 미래 전망을 해보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교육의 실패를 진단하고 여기에서 새로운 희망의 구성은 인간교육론의 구성으로 가능하며, 그 이론적 토대로서 내러티브 이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무리하게 논의되는 미래교육에 대한 낭만적 이야기들은 교육의 본질과 목적, 인간 존재 방식에 대한 심각한 논의가 결여된 채로 매우 관료적, 행정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을 보인다. Bruner의 논의에 의하면 내러티브 존재로서 인간의 자아 구성에 주목하여 교육의 언어를 새롭게 창조하는 길에서 한국 교육의 희망을 새게 모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 이러한 기대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된 핵심 주제들을 탐색해볼 것이다.
강경숙,강성종 한국교육개발원 2012 한국교육 Vol.39 No.1
한국 특수교육학계의 연구 패러다임은 양적 연구 시각에 의해 지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특수교육 환경이 점차 변화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할 때, 양적 연구 시각만으로 특수교육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이 연구는 양적 연구 시각의 한계를 극복하고 특수교육 현상의 ‘있는 그대로’를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질적 연구 패러다임에 관심을 가지고 추진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논문 투고 편수의 경향성을 중심으로 진단해본 결과, 학술논문과 학위논문의 연구논리는 양적 연구방법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국외적으로는 특수교육관련 전문 학회와 단체가 중심이 되어 질적 연구방법론의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국 특수교육학계에서의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함으로써 질적 연구의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그 대안으로서 각각의 질적 연구방법론에 해당하는 질적 연구 아이디어, 질적 연구의 엄격성, 질적 연구 확산에 대한 재음미를 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질적 연구 동향, 문헌 연구 등의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 특수교육의 질적 연구 발전 과제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한국 특수교육의 발전 과제 다섯 가지는 ‘특수교육 연구 패러다임의 다양화’, ‘대학에서 가르칠 수 있는 인적 자원의 확대’, ‘양적 시각으로 질적 연구 보기에 대한 극복 노력’, ‘학문의 동반 발전을 위한 노력’, ‘특수교육 발전을 위한 국가적 지원 요청’이다. 여기서 제시한 한국 특수교육 질적 연구의 발전 과제는 단독으로 추진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그 효과는 배가될 것이다. Special education research in Korea has been dominated by quantitative methodology. Now that the circumstance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are gradually changing, though, a research paradigm that focuses mainly on the quantitative aspect is not effective in understanding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study in Korean special education as a mea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studies. First,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majority of academic articles and degree theses mainly use quantitativ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of overseas cases, however, tells us that there are a number of academic societies an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at suggest specific ways to adopt the qualitative methodology. Furthermore, the fundamental necessity of incorporating qualitative study in Korean special education research is confirmed by showing the limitations of the mathematical quantification method. Qualitative research ideas, the strict rules to follow in implementing a qualitative study and the five particular tasks for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 special education are presented. The five tasks are ‘diversifying special education research paradigms', ‘increasing faculty members who can teach the qualitative methods in college', ‘overcoming the dependence of the quantitative methods for primarily qualitative issues', ‘seeking the development of both research styles', and ‘demanding more governmental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research'. The tasks listed above can be fulfilled when all of them are process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when they are pursued separately.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혜원,이재분,이해영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namely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and the educa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data from research conducted by KEDI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chiev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to have a reasonable fitness by the goodness-of-fit test. Second, it was shown that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rectly affects school adaptation of the children. Third, it was shown that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ive to their children directly affects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the children.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rectly affects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the mothers give to their children. The results imply that educational support is critical in enhancing the multicultural self-effica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improve their school adaptation.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와 자녀에 대한 교육적 지원, 그리고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변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자료는 2009년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된 다문화가족 구성원에 대한 역량 조사 및 교육적지원에 관한 연구 수행을 위해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613명의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과 그들의 결혼이민 어머니들의 자료가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학생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은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사회 적응도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은 자녀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자녀학교교육에 대한 지원은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학교적응에, 그리고 어머니의 한국사회적응도는 어머니의 자녀교육에 대한 지원을 매개로 하여 자녀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간접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학교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또한 국제결혼가정 초등학생 자녀의 다문화적 자아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결혼이민 어머니의 자녀교육지원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중・고등학생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분석: 강화적 전략과 보완적 전략의 공존
전하람,심재휘 한국교육개발원 2018 한국교육 Vol.45 No.3
Purpose: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causal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nd to look into the complicated nature of Korean shadow education intertwined with enrichment and remedial strategies. Methodology: Using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2 and the first to sixth waves of 7th-graders cohort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 examined the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amount of hours students participated in shadow education. First, we compared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across countries. Next, an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analysis and a Difference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DGMM) analysis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difference i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by academic achievement at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ways, respectively. Findings: In the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PISA 2012, a very limited number of countries including Korea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The OLS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KCYPS also confirmed that positive association with significant effects of family income, the number of siblings and urbanicity o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The DGMM showed the longitudinal impact of prior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ng hours in shadow education.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effect was only significant in the group of low-achieving students. Value: Findings support that shadow education is predominantly used as an enrichment strategy to keep competitiveness for the college entrance and social success. However, shadow education is also widespread among low achievers. Furthermore, we ad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coexistence of two strategies in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본 연구는 PISA 2012 데이터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1 코호트의 1~6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의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PISA 2012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와 사교육 참여 시간 간의 관계에 대한 국제비교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업성취에 따른 사교육 참여 시간의 학생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OL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GMM 분석을 실시하였다. PISA 2012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의 관계가 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한국은 양자 간의 관계가 가장 강한 국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 데이터를 OLS 분석한 결과에서는 학업성취가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형제자매수가 적을수록, 거주지 규모가 클수록 사교육 참여 시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DGMM 분석 결과는 사교육 참여의 지속성과 학업성취가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를 종단적으로 보여주었다. 한편 집단별 분석 결과 학업성취 ‘하’ 집단에서만 사교육 참여 시간에 대한 학업성취의 종단적 효과가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강화적 전략으로서의 사교육 참여 행태가 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는 동시에 사교육 참여가 저성취 집단에서도 부족한 학업성취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에 따른 집단 구분을 통해 성적 상위집단에서는 사교육 참여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이전 학업성취가 이후 사교육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성적 하위집단에서는 이전 학업성취 향상도에 따라 부족한 학업을 보완하기 위해 사교육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이한 양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학생의 학업성취에 따라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달리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이나미 한국교육개발원 2011 한국교육 Vol.38 No.3
이 논문은 한국 특수교육 요구 학생들이 일반교육의 장으로 완전통합 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문헌연구이다. 특수교육적 요구 학생들이 점진적으로 일반교육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통합방법을 찾을 필요가 있다. 또한 단일한 제도가 모든 학생들에 대한 통합교육 제공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단일한 행·재정적 체제와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간의 단일한 교사양성제도 및 교사자격증제도도 모색되어야 한다. 특수교육 요구학생들이 효과적인 학업적, 사회적 통합이 되기 위해서는 모든 일반교육체제는 재구조화 혹은 개혁되어야 한다. 또한 자문관 혹은 협력관, 학습도움실교사, 교육과정 협력관, 팀티칭보조원, 읽기전문가, 특수교사와 같은 전문인들이 협력하고 그들이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일반교사를 도울 수 있도록 시간배당이 되어야 한다. 일반, 특수예비교사의 교육과정은 별도로 제공된다 하여도 예비교사 양성제도는 단일체제 안에서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는 자신의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이 일반교육 체제 안에서 함께 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재정적, 행정적인 체제도 모든 학생들에게 통합된 교육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점진적인 단일화를 이루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This is a theoretical study with the goal of searching for effective ways to fully includ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regular classrooms in Korea. As mor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re gradually included in the regular educational system than before, it is now necessary to find the most effective methods of inclusion. Furthermore, unifie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ystems, as well as initial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hiring systems in regular and special education, are investigated because a unified system is thought to be more desirable for inclusive education than separated systems. It is found that all aspects of the regular school systems need to be restructured or reformed in order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to be effectively included both academically and socially in the classroom. It is also found that professional personnel such as consultants, coordinators, resource room teachers, curriculum cooperators, team teaching assistants, reading specialis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must be provided with sufficient time so that they can help regular classroom teachers. The overall initial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within one unified system, though speci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may be specially assigned to the curriculum on special education. Inclusive special education becomes more effective when both regular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sharing their expertise and skills.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also need to be unified in order to give more effective integrated support to all students.
IB MYP 교육 프로그램과 공교육의 만남에 대한 사례 연구
전순정(Soon Jeong Jeon) 한국교육과정개발원 2024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 Vol.2 No.2
교육생태계가 급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교현장에서의 미래교육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탐색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논의 또한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실현 방안의 하나로 IB 교육과정이 국내에 도입, 공교육에서 실행되고 있으나,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기대와 우려에 대해 논하기 위해 IB MYP 인증학교의 수업-평가 사례(언어와 문학)를 살펴보고, 교육과정 운영의 틀로서 교수-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 경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근거로 IB MYP와 국가수준 교육과정 결합의 적합성과 타당성, 운영의 방향성에 대해 탐색해 볼 것이다. At a time when the educational ecosystem is rapidly changing, exploration of the meaning and purpose of future education in schools is more necessary, and discussions to realize this must also take place from various angles. As one of these realization measures, the IB curriculum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and implemented in public education, but the reality is that expectations and concerns coexist. To discuss these expectations and concerns, we look at teaching-assessment cases (language and literature) at IB MYP-certified schools, As a framework for curriculum operation,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impact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learners and teachers. Additionally, based on this, we will explore the suitability, feasibility, and direction of operation of combining the IB MYP with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손희권 한국교육개발원 2006 한국교육 Vol.33 No.2
Critical Analysi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Legalism of EducationSohn, Heekwon(Myongji University)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cases on the legalism of education criticall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the court defined this legalism as the stipulation of educational essence in the act and the provision of the state’s power over, duty of, and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democracy. However, it is controversial whether the subject of the power and duty should be limited to the state?Second, the court considered the promotion of the essential functions of education, the realiz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principles by education, the effective assurance of the right to ability-based equal education, and the maintenance of the autonomy and neutrality of education as the functions of the legalism of education. It is appropriate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this legalism.Third, the Constitution demands the stipulation of the fundamental part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ir operation, education finance, and the educator’s status in the act. Also, whether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is controversial. I think that it should be so considering the definition and internal limitations of educational autonomy and for the assurance of educational neutrality. Whether the educator’s rights and duties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is another issue. I think that they should be so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the educator’s legal status but only within the limit of the effective assurance of the right to education.Last, the court not only gave the congress wide latitude in deciding what should be stipulated in the act but also set the certain limits. Also, the court judged these limits differently by the issue, by the case, and even by the Justice. 본 연구의 목적은 헌법재판소가 인식한 교육법정주의의 법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첫째, 교육법정주의의 개념은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현과 형성을 위한 본질적인 사항을 법률로 정하고 교육에 관한 국가의 권한과 의무를 규정하는 것이다. 둘째, 교육법정주의의 기능은 교육이 수행하는 중요한 기능의 촉진, 교육을 통한 한국 헌법의 기본원리의 구현, 모든 국민의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효성있는 보장, 그리고 교육의 자주성 및 중립성의 유지이다. 셋째, 헌법은 교육법정주의의 내용으로 교육제도와 그 운영, 교육재정, 그리고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제시하고 있고 교육의 자주성 및 중립성 보장이라는 헌법적 요청 및 교육법정주의의 기능을 고려할 때 교육제도에 교육내용도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교원의 지위의 개념을 고려할 때 교원의 지위에 교원의 신분보장 및 의무에 관한 사항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나 교육을 받을 권리의 실효성있는 보장이라는 한계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헌법재판소는 쟁점별로 교육법정주의의 한계를 판단하는 기준을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황금중 한국교육개발원 2005 한국교육 Vol.32 No.3
이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 공교육의 개선을 위해 ‘마음교육’을 뿌리내리는 일이 긴요하다는 점을 밝히되, 성리학의 마음교육론을 준거로 고찰했다. 유가와 불가 등을 근간으로 전개된 한국의 교육전통에서는 ‘마음교육’이 교육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19세기 말 이후 교육의 근대적 재편 과정에서 이 전통은 상실되고, 대신에 교육을 주로 개인과 국가의 생존문제와 결부시키는 도구적 교육관이 교육 실제를 지배하게 된다. 그 결과 현대 한국의 공교육은 인성교육 측면은 물론이고 지성교육 측면에서도 실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마음을 돌보는’ 교육의 기초 위에서 인성과 지성을 동시에 육성하는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여기에서 성리학의 교육적 사유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성리학은 한마디로 ‘마음교육학’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인간의 ‘마음’ 및 ‘마음의 교육적 형성과 변화’의 문제를 중심 관심사로 삼고 있다. 성리학의 ‘마음교육학’의 핵심은 ‘(마음)공부론’이며, 그 주요 방법적 요소는 ‘경’과 ‘격물치지’이다. 경과 격물치지, 혹은 지와 행의 병행을 특징으로 하는 성리학의 마음교육론은, 불가의 그것에 비교해서도, 미래 공교육의 요구에 효과적으로 부응하는 특장을 지니고 있다. This paper is to propose that it is important to succeed the tradition of 'maum education', especially that of orthodox neo-confucianism, for improvement of korean public educ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on the base of Confucianism or Buddhism, the tradition of maum education had been the core of educational practice. Bu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n education since the latter half of 19th century, the educational tradition of maum education has become extinct. Instead, the instrumental viewpoint about education that regard the education as the mere means of individual or national survival has been spread out. As a result, the korean public education has failed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education as well as in moral education. The on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s to activate the tradition of maum education. Especially, the maum education in the orthodox neo-confucianism,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methodology of kung-fu (工夫) that ching(敬)(or hsing(行)) run parallel with ke-wu chih-chih(格物致知)(or chih(知)), has good points that can satisfy the many requests of the korean public education in the future.
부모의 교육적 지원이 초등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지원,전자배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the cognition of receiving educational support from their parents regarding their mental health.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For the study, from the dataset of the second year surveys of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13, the authors selected 6,104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with their parent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ental health and the degree of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considering the degree of support from their par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as a part of the analysis. Findings/Results: The result of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tudents’ adjustment to school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upport by their parents and their mental health,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school as a place for nurturing growth and building resilience in the minds of students. Value: Based on the findings of abov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effective cooperation between families and schools. Both family and education policies must be considered to foster healthy human resources. Parents also need to be empowered through parental education so that they can lead the mental growth of their children to a balanced mental growth for their future.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인지한 부모의 교육적 지원 및 학교생활적응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부모와 동거하는 6,104명의 전국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조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의 정신건강은 부모의 교육적 지원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이러한 영향은 부모의 교육적 지원 때문에 형성된 학교생활적응으로 매개된 영향임을 증명하였다. 이런 결과는 가정과 학교가 건강한 발달과 교육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학생의 정신건강 확보 및 증진을 위하여 책임을 공유해야 함을 재확인하였다. 동시에 교육정책과 가정정책의 파트너십은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두 대상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협업이 절실히 요구됨을 본 연구의 실천적 의의로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