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uclear factor I-C가 치근발생 과정에서 Hertwig's 상피초 형성에 미치는 영향

        신인철,박주철,정문진,오현주,박선화,이창섭,김흥중,Shin, In-Cheol,Park, Joo-Cheol,Jeong, Moon-Jin,Oh, Hyun-Ju,Park, Sun-Hwa,Lee, Chang-Seop,Kim, Heung-Joo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3

        치아의 형성은 상피-간엽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되어지는 복잡한 발생과정이다. 지금까지 치관의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및 그들의 신호전달경로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어 왔지만 치근의 발생을 조절하는 기전에 대해서는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최근에 NFI-C knock out 생쥐에서 정상치관에 비정상적인 치근을 가지는 치아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NFI-C가 어떻게 치근의 형태와 상아모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NFI-C knock out 생쥐의 치근 발생동안에 HERS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cytokeratin 면역조직화학적방법과 치근상아질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DSPP mRNA in-situ hybrydization법을 수행하였다. 1. NFI-C knock out 생쥐의 치근형성시 HERS의 역할 Wild type과 knock out type 모두에서 cytokeratin은 모든 HERS 세포들과 반응하였고, HERS와 법랑상피 사이의 양성반응세포들의 연속성은 치경부 부위에서 소실되었다. Knock out type에서 치근상아질이 침착된 후, cytokeratin 양성-HERS 세포들은 치경부에서 불규칙한 배열과 극성의 상실을 보였다. 2. NFI-C knock out 생쥐의 치근상아질의 특성 DSPP mRNA의 발현은 wild type에서 치관과 치근상아질의 상아모세포 모두에서 강한 발현을 보인 반면, knock out type에서는 치관부위 상아질의 상아모세포에서만 강한 발현을 보였다. 3. NFI-C knock out 생쥐의 치근 발생과정에서 HERS는 치관으로부터 정상적인 확장을 보인 반면, 치근부위에서의 상아 모세포 분화는 실패하였다. 위의 결과들로 보아 NFI-C는 치근형성 과정에서 상아모세포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ooth formation is a complex developmental process that is mediated through a series of reciprocal epithelial-mesenchymal interactions. Several signal pathways and transcription factors have been implicated in regulating molar crown development, bu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regulation of root development. It was reported that NFI-C knockout mice showed abnormal root formation with normal crown.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lucidate how the NFI-C regulate the determine of root shape and odontoblasts differentiation. We carried out immunohistochemistry using cytokeratin to investigate the role of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and DSPP mRNA in-situ hybridization to conform the nature of root dentin during root development in NFI-C knockout mice. Cytokeratin reacted with all the HERS cells and the continuity of cytokeratin positive cells between the HERS cells and enamel epithelium was lost in the cervical region both wild and K/O types. After root dentin deposition cytokeratin positive-HERS cells showed irregularity and loss of polarity in the cervical region in K/O type. DSPP mRNA was strongly expressed in odontoblasts of crown and root dentin in wild type mice, whereas expression of DSPP mRNA was restricted in odontoblast of crown dentin in the K/O type. During root formation in NFI-C knockout mice, HERS normally grow out of the crown but fail to induce odontoblast differentiation in root por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NFI-C may play important roles in odontoblast differentiation during root dentin formation.

      • KCI등재

        치근단 형성술 후 약화된 치아의 파절 저항성 보강: 증례보고

        이영호,박호원,이주현,서현우 大韓小兒齒科學會 201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9 No.4

        The vitality of immature tooth could be lost by dental caries, trauma and fracture of malformed tooth. The vitality loss might lead to halt of the development of the root. The recommended endodontic treatment for a nonvital immature permanent tooth is apexification. Apexification is a method of inducing apical closure through the formation of mineralized tissue in the apical pulp region. Calcium hydroxide is the material of choice for apexification. Long-term exposure to calcium hydroxide may form the apical hard tissue, but weaken the dentin due to its alkaline nature and thus make the roots more susceptible to fracture. It is important to preserve any weakened tooth, so a permanent restoration is needed to reinforce teeth that are prone to fracture.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describe the treatment for reinforcing immature teeth treated with long-term calcium hydroxide. In these cases, the apexes of teeth were sealed with MTA plugs and the root canals were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and fiber post. 미성숙 영구치는 치아우식증, 외상, 비정상적인 치아 형태로 인한 파절 등에 의하여 치수 생활력을 상실할 수 있다. 이때 이 용되는 치료법이 치근단 형성술로서 실활치의 치근단 치수 부위에 광화된 조직의 형성을 통하여 치근단 폐쇄를 유도한다. 현 재 수산화칼슘 치근단 형성술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데 근관 내에 수산화칼슘을 장기간 적용할 경우 치근단 경조직 형성을 유 도할 수 있지만, 강한 알칼리성으로 인하여 치근 약화를 야기하여 치아 파절 위험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근관 충전 시 치아 보강을 위한 수복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증례는 생활력을 상실한 미성숙 영구치에서 장기간의 수산화칼슘 치근단 형성술 후 치아 보강을 위하여 MTA plug, 섬 유강화형 포스트 그리고 복합 레진을 이용한 근관 충전을 시도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치근단 형성술 (Apexification)에 있어서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의 적용

        백병주,전소희,김영신,김재곤 大韓小兒齒科學會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4

        소아환자에 있어 외상성 손상은 미완성된 치근의 발육을 방해할 수 있다. 미완성된 치아의 치수가 괴사된 경우 근관은 완전히 세척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apical stop이 부족하고 얇고 부서지기 쉬운 치수벽 때문에 적절한 apical seal을 얻기 위해서는 치근단 형성술을 시행행야 한다. 지금까지 수산화 칼슘이 치근단 형성술의 선택약제가 되어왔다. 그러나, 수산화칼슘을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은 치료시기가 다양하고, apical closure도 불확실하며, 환자 follow up이 어렵고, 치료가 늦어지는 한계가 있다. 이에 인공적인 apical barrier를 형성시켜 근관의 즉각적인 충전을 할 수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 DENTSPLY Tulsa Dental, U. S. A)를 이용하였다. MTA는 tricalcium silicate, tricalcium aluminate, tricalcium oxide와 silicate oxide와 같은 친수성 입자로 구성된다. 또한 소량의 mineral oxide와 bismuth oxide powder를 포함한다. MTA는 경화후 pH가 수산화칼슘 또는 Ca(OH)₂와 유사한 12.5로 항균작용을 지닌다. 용해도가 낮고, 상아질보다 약간 더 큰 방사선 불투과성을 보인다. 또한 다른 재료들보다 미세누출이 상당히 적고 다른 재료들보다 경조직 형성 능력이 뛰어나다. 본 증례는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외상으로 인해 치근단이 미완성된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단 형성술을 위해 내원한 환아에 대해 MTA를 적용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raumatic injuries in young patients can result in the interrup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incompletely formed roots. In teeth with incomplete root-end formation and necrotic pulps, the root canals must be completely debrided. Because of a lack of an apical stop and the presence of thin and fragile walls in these teeth, it is imperative to perform apexification to obtain an adequate apical seal. Calcium hydroxide has become the material of choice for apexification. Despite its popularity for the apexification procedure, calcium hydroxide therapy has some inherent disadvantages that include variability of treatment time, unpredictability of apical closure, difficulty in patient follow-up, and delayed treatment. An alternative treatment to long-term apexification procedure is the use of an artificial apical barrier that allows immediate obturation of the canal. MTA(Mineral Trioxide Aggregate) is a powder consisting of fine hydrophilic particles of tricalcium silicate, tricalcium aluminate, tricalcium oxide and silicate oxide. MTA has a pH of 12.5 after setting, similar to ccalcium hydroxide. This may impart some antimicrobial properties. MTA has low solubility and a radiopacity slightly greater than that of dentin. Also, MTA leaked significantly less than other materials and induced hard-tissue formation more than other materials.

      • KCI등재

        미성숙 영구 전치의 외상 후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 : 후향적 연구

        정서영,안병덕,홍소이,공은경,마연주,정영정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1

        미성숙 영구 전치에서 MTA를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의 예후를 평가하기 위해, 영구 전치의 외상으로 MTA를 이용한 치근 단 형성술을 받은 환자 중 최소 3개월 이상의 경과 관찰이 시행된 환자 49명, 치아 64개의 의무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검토하 였다. 환자 정보, 치아 및 치주조직 외상 위치와 유형, 치료 전 치근단 병소 유무, 임상 증상 유무, MTA 충전 상태, 치근단 형 성술 이후 치근단 병소 치유 및 치근단 경조직 장벽 형성 여부를 조사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성공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64개의 미성숙 영구전치에 시행된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은 89.1%의 임상적 성공률과 73.4%의 방사 선학적 성공률을 보였다. 2.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에 행해진 MTA를 이용한 1-visit 치근단 형성술 비교시 상악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성공률을 보 였다. 3. 치아 외상 및 치주조직 외상 유형에 따른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MTA의 적절한 충전 여부는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utcome of MTA apexification in young permanent anterior teeth. Among the patients with the traumatized permanent incisors which were treated with MTA apexification, the dent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examined only for the patient who had follow-up examination at least 3 months after the treatment. Forty nine patients with 64 teet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Demographic information, location and type of teeth and periodontal injury, pre-treatment periapical lesion, clinical symptoms, status of MTA filling, healing of apical lesion and apical barrier formation after treatment were investigated. The outcome based on clinical and radiographic criteria were asses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64 immature permanent incisors with MTA apexification,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success rates were 89.1% and 73.4%, respectively. 2. The maxillary inciso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uccess rates than the mandibular incisors.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s among the teeth with different types of teeth and periodontal injury. 4. The status of MTA filling did not influenc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success.

      • KCI등재

        제1대구치에서 관찰되는 비정형적 치근형태에 대한 증례보고

        이은경,김영진,김현정,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1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2 No.2

        치근 형성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며, 유전적으로 그 형태가 정해져 있다. 유전이나 환경적인 요인이 치근발달과정에 영향을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1대구치의 치근형성이상을 주소로 내원한 12명의 환아들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임상적으로 이들 치아는 정상적인 치관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방사선학적 검사상 치근이 얇고 꼬여있으며 불규칙한 길이를나타내었다. 그리고 백악법랑경계에서 치근이개부까지의 길이는 짧았으며, 치수강은 협착되어 있었다. 이들 중 6명의 환아에서는 제2유구치의 치근형성이상이 함께 나타났으며, 3명의 환아에서는 상악 중절치의 치관형태이상이 함께 나타났다. 이들대부분에서 조산, 뇌신경계 감염, 선천성 심질환 등의 의학적 병력이 생후 1년 이내에 관찰되었다. 제1대구치에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치근형태이상에 대한 보고는 희소하며, 본 증례에서 열두 명의 환아에서 동시에 발생한 제1대구치의 치근형성이상은 임상가들에게 새로운 증례의 발견 및 진단함에 의의가 있다.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root formation is a complex process. Hereditary and environmental factors may affect the morphology of the developing root. A total of 12 cases was presented with permanent first molars with abberant root morphology. Clinically, these teeth appeared as a normal crown. However, radiographically, the root was slender, twisted and characterized by irregular lengths. In addition, root trunk length was shorter and pulp chamber was obliterated. In these cases, periapical radiolucency and loss of lamina dura were often observed. In 6 cases, an abnormal root of the primary second molars were also present, as well as root malformation of permanent first molars. In 3 cases, permanent central incisors also had a dysmorphic crown. These cases almost all had medical history, such as premature birth, brain infection or congenital heart disease in infants. The present paper describes cases of permanent first molars with an abnormal root that are rarely reported in literature. This case may intensify the variation in the permanent first molar and is intended to reinforce the clinician’s awareness of rare morphology of the roots.

      • KCI등재

        외상으로 실활된 미성숙 영구치에서의 계속된 치근 형성

        강유진,김혜영,김영진,김현정,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4

        치아에 외상을 받은 경우 치수 생활력의 상실은 흔한 일이다. 치수 생활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여러 가지가 있지만, 미성숙 외상치의 경우 일시적 현상과 가성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치수 괴사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매우 어렵다. 생활력을 상실한 치아는 염증성 치근흡수, 치근단 낭종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수 치료를 시행한다. 그러나 미성숙 영구치의 경우, 치수 치료를 시행 후 치근 성장이 정지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얇고 짧은 치근이 형성되어 장기적인 예후는 좋지 않다. 본 임상 증례에서는 외상으로 인하여 실활된 초기 영구치에서 치근단부의 최소한의 침습적 치근단 형성술로 계속된 치근 형성을 보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In case of luxation injuries, loss of tooth vitality is common. And in case of trauma in the immature permanent teeth, precise diagnosis of pulp necrosis is very difficult. That is because limitation in distinguishing between normal dental papilla in immature permanent teeth, transient apical breakdown(TAB), which is part of normal healing process, and apical radiolucency in pulp necrosis. Especially in non-vital immature permanent tooth, the treatment is complex and requires long time. This clinical case report shows that severely infected immature teeth with periradicular periodontitis can undergo healing and apexogenesis or maturogenesis with no definative treatment or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In the cases reported, we emphasize the considerable power of regeneration of the tooth, probably due to its large number of undifferentiated mesenchymal cells in the dental papilla, pulp tissue, periodontal ligament tissues. Thus, when endodontic treatment in immature permanent teeth, over instrumentation is not recommend for preserve the apical vital stem cells.

      • KCI등재

        치조골 골절을 동반한 유치열기 외상에 의한 영구절치의 치근 형성 이상

        지은혜,최형준,최병재,손흥규,김승혜,송제선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3

        치아형성 과정 중 치배 주위의 물리적 작용이나 대사 환경의 변화로 치아 발생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치열기에 가해진 외상은 계승 영구치의 발생에 장애를 초래시킬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물리적 요인으로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계승 영구치의 법랑질 변색 및 저형성증이 가장 흔히 발생하고 드물게 매복, 이소 맹출, 치근 형성 정지 및 치근 만곡 등이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만 6세 5개월의 여자 어린이 환자가 안면부 외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상악 좌우 유중절치의 정출성 탈구, 상 악 우측 유측절치의 함입성 탈구, 상악 좌측 유측절치의 구개측 측방 탈구로 진단되었고, 상악 치은부의 열상과 상악 전치부 의 치조골 골절이 관찰되었다. 내원 당일 치과 응급실에서 동요도가 심한 상악 좌우 유중절치의 발치 후 치은 봉합술을 시행 하였다. 24개월 정기 검진 중 방사선 사진 상에서 상악 좌,우측 측절치의 백악 법랑 경계(Cemento enamel junction, CEJ) 근방에 치근 만곡이 관찰되었고 상악 중절치 치근의 치관부 1/3부위에서 치근 형성이 정지되고 있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치조골 골절이 어린이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외상의 유형은 아니나 본 증례에서와 같이 치근 발육이상 등 여러 합병증을 일 으킬 수 있으므로 외상을 입은 환아에서 치조골 골절 여부에 대한 면밀한 검사 및 주기적인 검진은 예후 예측 및 향후 치료에 있어서 중요할 것이다. During tooth formation, tooth development can be affected by physical action or metabolic changes around dental follicle. Especially trauma to primary dentition is the most representative physical factor that can cause development disorders of succedaneous tooth. Enamel hypoplasia and crown discoloration of succedaneous tooth are common complications of trauma. And impaction, ectopic eruption, arrest of root formation and root dilaceration of succedaneous tooth are rare. In this case, a 6-year and 5-month-old female patient visited for dental evaluation after trauma. She was diagnosed with alveolar bone fracture near upper front teeth, extrusion of the upper right and left primary central incisors, intrusion of the upper right primary lateral incisor, and palatal luxation of the upper left primary lateral incisor. Upper right and left primary central incisors with severe mobility were extracted, with gingival suture on the day of the visit. During 24 months check up, root dilacerations were found near the cemento enamel junction in the upper lateral incisors and arrests of root formation were found on the coronal 1/3 of the root in the upper central incisors. Although alveolar bone fracture is rare type of trauma in children, a thorough examination of alveolar bone is essential for prognosis and follow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trauma.

      • KCI등재후보

        COMPARISON OF ULTRASONIC AND SONIC ROOT END PREPARATIONS USING ANAEROBIC BACTERIAL LEAKAGE MODEL

        Cho, Nak-Yeon,Park, Dong-Sung,Yoo, Hyeon-Mee,Oh, Tae-Seok 大韓齒科保存學會 2002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7 No.5

        최근 치근단 와동 형성 시 초음파 또는 음파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 되어 있고 여러 측면에서 평가되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혐기성 세균을 이용한 미세 누출 모델을 이용하여 초음파와 음파 기구를 사용, 치근단 와동 형성을 하였을 때 두 기구의 사용이 충전된 치근단 와동의 미세 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48개의 단근치의 근관을 crown-down 방법을 이용 Profile로 .06black까지 근관 성형을 시행하고 수직 가압법을 사용하여 gutta-percha와 AH26 sealer를 이용하여 근관 충전을 시행하였다. 각 충전된 시편의 치근단 3mm를 절제하였다. 각 시편은 이미로 4군으로 나누었으며 1군에서는 치근단 와동을 초음파 기구로 형성하였고 2군에서는 음파 기구로 형성하였다. 3군은 음성대조군으로 4군은 양성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형성된 치근단 와동은 공기 분사침을 이용하여 건조 후 super EBA 시멘트로 충전하였으며 Anaerobic chamber에서 Fusobacterium nucleatum (VPI 10197)을 사용한 혐기성 세균 미세누출 모델을 이용하여 30일간 미세 누출을 관찰한 결과, 초음파 기구를 사용한 군에서는 80%에서 음파기구를 사용한 군에서는 75%에서 미세누출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가성부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아의 구강 증상 : CASE REPORT

        김성오,홍은경,최형준,이제호,손흥규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2

        부갑상선 호르몬은 혈중 인농도를 낮추고,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호르몬으로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부갑상선이 존재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기능하여 이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는 질환이며,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부갑상선 호르몬 분비는 정상이나, 이 호르몬에 대한 괄과 신장의 반응이상으로 혈중 칼슘 농도가 감소되고 인농도가 증가되는 질환이다.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임상적으로 성장 및 발육부전, 둥근 얼굴, 조기 골단폐쇄로 인한 단지증, 이소성 연조직 석회화, 비만, 두개관의 비후, 정신지체, 백내장 등이 나타난다. 구강내 소견으로는 치아의 맹출지연, 법랑질형성부전이 가장 큰 특징이며, 그 외에 결손지, 부정교합, 높은 구개궁, 확장된 치근관과 짧은 치근, 치수강 내 석회화, 높은 우식 이환율, 치근막의 비후 등이 관찰된다. 본 증례에서 환아의 구강내 소견은 맹출한 하악 4전치와 상악 좌우측 영구 중절치, 상악 우측 영구 측절치, 상, 하악 제 1대 구치에서 법랑질형성부전을 보였고, 다수의 유치에서 심한 동요도를 보였다. 방사선 소견으로는 대부분의 미맹출된 영구치들도 법랑질형성부전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영구 견치의 경우 심한 치관의 형태이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유치의 비정상적인 치근흡수가 나타났고, 하악 전치의 경우 치근형태가 짧고, 치근단이 둥근 형태로 나타났다. 이에 저자는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인 환아의 구강내 소견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The parathyroid hormone plays a major role in the metabolism of calcium and phosphorus. In hypoparathyroidism the parathyroid glands are atrophied or absent associated with autoantibodies against parathyroid tissue. Pseudohypoparathyroidism is a metabolic disease caused by the disturbance in peripheral action of parathormone, but parathormone level is normal. In general, patients with pseudohypoparathyroidism have short stature, round face, brachydactylia, obesity, mental retardation, cataracts & ectopic calcifications on soft tissues. Dental manifestations are enamel hypoplasia, delayed eruption, blunting of root apex, hypodontia, pulp calcification, thickened lamina dura, excessive caries & malocclusion. In this case, intraoral examination showed enamel hypoplasia on the erupted permanent teeth & hypermobility on the remaining deciduous teeth. From the radiographic view, severe dental anomalies were observed on canines and shortening and blunting of root apex was observed on mandibular incisors. Pathologic root resorption was also observed on deciduous teeth.

      • KCI등재

        역위 매복된 상악 중절치의 교정적 처치를 통한 치근 형성유도

        이상호,이창섭,임광호,장은영 大韓小兒齒科學會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4

        미맹출된 상악 중절치는 비교적 흔히 임상에서 8세이상의 아동에서 관찰될 수 있다. 맹출실패의 원인으로는 치배의 비정상적인 발육이 언급되는데 아직 명백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이는 외상이나 선행유치의 치근단 감염으로 유발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외상의 병력이 없어 유치의 치근단 감염에 의한 상악 중절치의 매복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치아의 맹출과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에 의한 지속적인 치근 발육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외과적 노출과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적 견인이 치료방법으로 시행될수 있다. 본 증례는 역위 매복으로 인해 치근의 만곡이 예상되며 치근의 발육이 지연된 치아를 치근형성 전 조기에 가철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적 견인에 의해 정상적인 맹출과 인접치와 유사한 치근 발육이 얻어졌다. 하지만 향후 완전한 치근 형성 유무에 대한 주기적인 검진과 부착치은 획들을 위한 치주적인 처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It is a relatively common clinical experience to see an unerup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This phenomenon is apparent at the dental age of almost eight years and over. Among the possible cause for failure of eruption, ectopic development of the tooth germ is mentioned. This is not fully understood but trauma or periapical imflammation of primary predecessors is accepted. The case with no history of trauma may be impacted by the periapical imflammation of primary predecessors. For bringing into the tooth eruption and the continued normal root development by the 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there are early considered of surgical invention and orthodontic traction with removable appliance. We reported successful treatment for inver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proper eruption and normal root development by forced eruption using removable appliance. But further observation will be required to evaluate the final root development state and amount of keratinized attachment gingiv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