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 첫 체험

        조성우,정철현,김경선,주석중,송현,송명근,이재원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5

        Background: In general, cardiac surgery has been performed via median sternotomy. During the past decade, improvements in endoscopic equipment and operative techniques have resulted in development of minimally invasive cardiac operation using small incisions. With the advent of a voice controlled camera-holding robotic arm (AESOP 3000, Automated Endoscope System for Optimal Positioning), cardiac surgery entered the robotic age. Material and Method: Between April 2004 and December 2004, a total of seventy eight patients underwent robotic cardiac surgery, of whom sixty four patients underwent robot-assisted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y via 5cm right lateral minithoracotomy using voice controlled robotic arm, femoral vessels cannulation, percutaneous internal jugular cannulation, transthoracic aortic cross clamp. Other fourteen patients underwent MIDCAB via internal mammary artery harvesting using AESOP. Result: Robotic cardiac surgery were mitral valve repair in 37 cases, mitral valve replacement in 10 cases, aortic valve replacement in 1 case, MIDCAB in 14 cases, ASD operation in 9 cases, and isolated Maze procedure in 1 case. In mitral operation, mean CPB time was 165.3±43.1 minutes and mean ACC time was 110.4±48.2 minutes. Median length of hospital stay was 6 days (range 3 to 30) in mitral operation, 4 days (range 2 to 7) in MIDCAB, and 4 days (range 2 to 6) in ASD operation. For complications, 3 patients were required by reoperation for bleeding. There was no hospital mortality. Conclusion: Our experience of robot cardiac surgery suggests that many cardiovascular surgeons will be able to perform minimally invasive cardiac operations through small incisions with robot-assisted video-direction. Well-designed studies and close long- term follow-up will be required to analyze the benefits of robot-assisted operation. 배경: 일반적으로 심장수술은 정중흉골절개를 통해 행해져 오고 있으며, 과거 십 년간 내시경 장비와 수술 수기의 향상은 작은 절개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의 발전을 이끌었다. 술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내시경을 움직이는 로봇 팔(AESOP 3000, Automated Endoscope System for Optimal Positioning)의 등장으로 심장수술은 로봇 시대에 진입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12월까지 총 78명의 환자들에게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시행하였고 그 중 64명의 환자들에게는 음성명령으로 조절되는 로봇 팔과 대퇴 동정맥관 삽관, 경피적 내경정맥관 삽관, 흉곽을 통한 대동맥 겸자를 사용하여 5cm 우외측 최소개흉으로 로봇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을 시행하였다. 다른 14명의 환자들에게는 AESOP을 이용한 내흉동맥 박리를 통해 최소 침습적 관상동맥 우회술(MIDCAB)을 시행하였다. 결과: 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은 승모판막 성형술이 37예, 승모판막 치환술이 10예, 대동맥판막 치환술이 1예, MIDCAB이 14예, 심방중격결손증 수술이 9예, Maze 수술만 시행한 경우가 1예였다. 승모판 수술의 경우 평균 체외순환시간은 165.3 43.1분이었고 평균대동맥 차단 시간은 110.4 48.2분이였다. 재원일수의 중간값은 승모판 수술인 경우 6일(3∼30일), MIDCAB은 4일(2∼7일), 심방중격결손증 수술은 4일(2∼6일)이였다. 합병증으로는 술 후 출혈로 재수술한 경우가 3예이였고 사망환자는 없었다. 결론: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을 시행한 우리의 경험으로 볼 때 많은 심장외과 의사들이 로봇을 이용하여 작은 창상을 통해 최소 침습적 심장수술이 가능하리라 본다.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의 이점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잘 계획된 연구와 긴밀한 장기간의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최소 침습 척추 수술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박상민,홍재영,박시영,손은석,임수택,최소침습 척추치료 연구그룹 대한척추외과학회 202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30 No.4

        Study Design: Review article. Objectives: To introduce the past and present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as well as future development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Spine surgery has evolved into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 that requires skin incisions that are as small as possible. This has become a topic of interest for both patients and doctors, as it not only solves cosmetic problems by reducing skin incisions, but also reduces postoperative pain and complications by preserving as much normal tissue as possible while reducing blood loss, shortens the recovery period, and facilitates the return to normal life. At the same time, the surgical instruments required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re being actively developed. Materials and Methods: Review of the relevant articles Results: The history of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is well described in the evolution of the surgical treatment of lumbar disc herniation. Minimally invasive lumbar discectomy bega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many advances were made with the development of microscopes and tubular retractors. The development of endoscopes also led to the popularization and use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also used in the thoracic and cervical spine, but many advances remain to be made in the lumbar spine. More recently, technologies such as navigation, robotics, and augmented reality have been developed and are helping to improve the safety of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Conclusions: Minimally invasive spine surgery is rapidly evolving with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Advances in technology are expect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it is likely to become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surgery for a variety of spinal diseases.

      • KCI등재

        DHS를 이용한 안정형 전자부 골절의 최소 침습적 수술

        김원유 ( Weon Yoo Kim ),박상은 ( Sang Eun Park ),지종훈 ( Jong Hun Gi ),윤종성 ( Jong Seong Yoon ),김영율 ( Young Yul Kim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3

        목적: 안정형 대퇴골 전자부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시행한 활강 압박고나사 내고정술의 술식을 소개하고 그 결과를 기존 고전적 방법과 비교하여 이러한 술식의 유용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4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전자부 골절로 본원에 내원하여 압박나사못 내고정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32명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존의 방법으로 압박활강 나사로 고정한 16명과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수술한 16명을 나누어 이에 대한 역행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남녀비는 11: 21이였고, 평균 연령은 73.2세였다. 수술시간, 실혈량, 술 후 평균 혈색소 하강정도를 측정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Harris Hip Score(HH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골 유합은 술후 정기적으로 시행한 방사선 촬영을 근거하여 판정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시간은 고전적 방법은 69.3분, 최소 침습적 방법은 42.5분으로 관찰되었고, 실혈량에서는 기존 방법으로 수술시 hemovac으로 배출된 총 혈액은 평균 640cc의 실혈이 있었으며, 최소 침습적 압박나사 고정술에서 는 평균 143 cc의 실혈을 보였다. 임상적 결과로서 술후 HHS는 최종 추시시 평균 85.9점, 89.2점으로 양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평균 혈색소 하강정도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방사선학적 소견상 불유합은 일어나지 않았다. 결론: 고관절 전자부 골절에서 최소침습적 수술법은 안정형 골절에서 실혈량의 감소와 수술시간의 감소를 보이면서 고정술의 약화나 골절 치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현저한 실혈량의 감소와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좋은 술식으로 생각 된다. Purpose: To report the surgical skills needed, and the clinical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hip surgery with dynamic hip screws and the comparison with the classical technique in stable p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with per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femur who were treated with dynamic compression hip screws between April 1999 and March 2004, and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and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2 months. 16 cases were treated with a classical dynamic hip screw technique and 16 cases with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in random order. The mean age was 73.2 years, and there were 11 males and 21 females. The operative times, total hemovac bleeding loss, functional scores, and average hemoglobin decrease ratios were evaluated. The clinical assess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Harris Hip Score (HSS) and bony union was evaluated with serial follow-up plain radiographs. Results: The average operative time was 63.9 minutes with the classical technique and 42.5 minutes with the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The total average hemovac blood loss was 640 cc with the classical technique and 143 cc with the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Clinically, the HHS was an average of 85.9 and 89.2 in groups 1 and 2, respectively, by the last follow-up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The hemoglobin decrease ratio was the same in both groups and there was no nonunion.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dynamic hip screw insertion was useful in stable pertrochanteric fractures, because it decreased blood loss and operative times; and there were no changes in fracture healing and functional outcomes.

      • KCI등재

        승모판 성형술에 있어 최소 침습적 수술 방식과 고전적 정중흉골 절개술을 통한 접근 방식의 비교

        조원철,이재원,제형곤,김정원 대한흉부외과학회 200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40 No.12

        배경: 최소 침습적 심장 수술은 전통적인 정중 흉골 절개술에 비해 수술 후 조기 회복 및 우수한 미용적 효과 등의 장점이 있지만 승모판막 성형술과 같이 복잡한 개심술에서의 성적은 아직 국내에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승모판 폐쇄 부전증의 환자군에서 로봇을 이용한 최소 침습적 승모판 성형수술의 유용성에 관해 정중 흉골 절개술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2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승모판막 폐쇄 부전으로 승모판막 성형술을 시행받은 520명의 환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정중 흉골 절개술을 통하여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한 군을 S군(n=432), 최소 침습적 우측 개흉술을 이용한 환자군을 M군(n=88)으로 하여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우측 개흉술시에는 AESOP (Automated Endoscopic System for Optimal Positioning) 3000이라는 로봇을 이용하여 5 cm 이하의 절개로 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양 군 간의 나이, 성별, 수술 전 좌심실 구출률 등은 양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S군에서 2예의 조기 사망이 있었으나 M군에서는 수술 사망예가 없었다. M군이 대동맥 차단 시간과 심폐기 가동 시간은 S군에 비해 유의하게 길었지만, 중환자실 재원기간과 수술 후 재원 일수는 S군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 제한된 절개에도 M군에서 승모판막 성형술식에 사용된 수술 술기는 제한이 없었으며, 술 후 의미있는 잔존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의 빈도는 양 군에서 유사하였다. 결론: 최소 침습적 우측 개흉술을 통한 승모판막 성형술을 시행하더라도 조기 성적은 차이가 없었다. 향후 최소 침습적 승모판막 성형술의 중-장기 성적의 관찰을 요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승모판막 성형술의 일차적인 접근 방법으로 최소 침습적 개흉술이 보다 폭넓게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다분절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의 안정성 및 효용성

        민상혁(Sang Hyuk Min),유재성(Jae Sung Yoo),윤성현(Sung Hyun Yoon),이철우(Chul Woo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6

        목적: 유합된 분절의 수에 따라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전통적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다분절 최소침습적 유합술을 통해 출혈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는지, 술 후 합병증 감소 및 빠른 회복에 기여하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관 협착증 환자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367명(최소침습적 유합술 170명, 전통적 유합술 19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두 비교군의 실혈량, 수술 후 배액량, 수술시간, 시각통증등급(visual analogue scale score), 술 전, 후의 단백질 및 알부민 수치, 술 후 침상 안정 기간을 조사하였고, 수술 주위 기간의 합병증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을 각각 유합된 분절의 수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출혈량은 최소침습군에서 전통적 유합술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유합된 분절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두 비교군 간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반면에 수술 시간은 최소침습군에서 전통적 유합술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유합 범위가 증가할수록 두 비교군 간의 차이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전체 합병증의 발생은 최소침습군에서 7.1%, 전통적 유합술군에서 15.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분절 간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수술 시간의 단축을 통하여 최소침습적 유합술의 문제점이 보완된다면 다분절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실혈량과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술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ways to reduce bleeding through minimally invasive multi-segmental fus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versus those of conventional posterior interbody fus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fused segment. Moreover, the study identified how the new method of fusion contributed to reduc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o fast recovery.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on 367 spinal stenosis patients who had been followed up for at least one year (170 patients underwent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and 197 patients underwent conventional posterior interbody fusion). The study examined blood loss volume, postoperative drainage volume, operation time, visual analogue scale score, pre- and post-operative levels of protein and albumin, as well as postoperative bed rest period between the two groups. Moreover, the study analyzed the presence of complications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Results: The minimally invasive fusion group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intraoperative bleeding than the conventional infusion group when the number of fused segments in each group was compar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s the numbers of fused segments rose (p<0.05). On the other h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shown in the operation time between the minimally invasive fusion group and the conventional fusion group. The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s the distance of fused segments was extended (p<0.05).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is thought to be a useful surgical method to minimize bleeding when the limitations of minimal invasive fusion are supplemented by shortening the operation time.

      • 외과 영역의 복강경 수술 현황

        정호근,오민구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복강경 수술이 도입된 이래 기구와 술기의 발달로 복강경 수술의 발전과 적용의 확대를 가져왔다. 소개당시 담낭절제술, 충수절제술 등 기본적인 수술에 국한되었던 복강경 수술이 현재는 다양한 장기의 수술에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많은 장점을 가지는 최소침습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로서 받아 들여지게 되었다. 최근의 수술 술기의 발달, 의료 기기나 기구들의 발전은 기존의 많은 외과 수술을 복강경 수술로 대체하고 있다. 복강경 수술의 적응이 확대된 현재 외과영역에서 이용되는 여러 종류의 복강경 수술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After introduction of laparoscopic surgery in the general surgical field, laparoscopic surgery has improved and was widely practiced with development of medical instruments and surgical technologies. Initially laparoscpic surgery had been limited to a basic operation such as cholecystectomy and appendectomy, but now it has been used to a variety of surgery in several organ. As a minimally invasive surgery, laparoscopic surgery has a number of merit. To date, by improving surgical skills and developing medical equipments and instruments, many kinds of the traditional open surgery were replaced by a laparoscopic surgery. With expanding indications of the laparoscopic surgery, this article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the laparoscopic surgery in the surgical field.

      • KCI등재

        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이 환자의 통증, 수면 및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수현,장인실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difference in pain, sleep,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performed by sternotomy and robotic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ies. The participants were 64 patients with sternotomy and 64 patients with minimal thoracotomy in heart valve surgeries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2 test, paired t-test. with SPSS/WIN(22.0). The participants with minimally invasive thoracotomy felt severe pain than the patients with thoracotomy at post operation day 2 & 5. The severe pain site were the surgical site in both groups. The participants with sternotomy had better sleep than minimally invasive thoracotomy patients. Self-care behavior was higher in the minimally invasive thoracotomy group. Therefore, 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robotic surgery such as rapid recovery and shortening of length of stay in hospital, accurate pain assessment and application of differentiated protocols are needed for the management of pain in the patients with robotic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ies. In addition, a structured education program intervention is needed to improve comfort by considering gender, age, and method of operation. 본 연구는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절개술 접근과 기존의 정중흉골절개술 접근을 이용한 심장판막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수면, 자가간호수행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서울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심장수술을 시행한 대상자 중 정중흉골절개술군 64명, 최소침습절개술군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χ2 검증,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2일째, 5일째 모두 통증은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절개술군이 정중흉골절개술군에 비해 높았다. 통증발생부위는 두 군 모두 수술접근부위로 크게 나타났다. 수면은 수술 후 2일째 정중흉골절개술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자가간호수행은 최소침습절개술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로봇 수술의 재원기간 단축과 빠른 회복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대상자의 통증관리를 위해 정확한 통증 사정 및 차별화된 프로토콜의 적용이 필요시 된다. 또한 성별, 연령 및 수술방법의 차이를 고려하여 안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중재가 요구되어진다.

      • KCI등재

        저도의 척추 전방전위증에서 최소 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의 결과 - 최소 2년이상 추시 -

        정흥태,조재림,김우철,김도근,김문찬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1

        Study Designs: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spontaneous reduction via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Mini-TLIF) as the treatment for low-grade symptomatic spondylolisthes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lthough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is technically demanding, this procedure is an effective method for spontaneous reduction of low grade spondylolisthesi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consecutive series of 41 patients with low grade spondylolisthesis who underwent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between April 2008 and July 2009.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2 years.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by an analysis of Visual Analogue Scal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For the radiological evaluation, disc space height, slip percentage, and slip angle were analyzed. At the final follow-up, the fusion rate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Bridwell’s anterior fusion grade. Results: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the Visual Analogue Scale for back pain decreased from 6.8±1.2 to 2.0±1.1, and that for radiating pain decreased from 7.9±1.3 to 1.7±1.1. Oswetry Disability Index decreased from 38.5±8.4 to 13.4±6.1. For the radiological evaluation, disc space height increased from 8.4±2.14mm to 11.8±1.54mm(P<0.05), slip percentage was reduced from 18.4±5.1% to 13.3±3.1%(P<0.05) and slip angle decreased from 10.6±4.5° to 6.2±3.4° (P<0.05). At the final follow-up, radiological union was obtained in 38 cases (92.7%).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appears to be an effective method for spontaneous reduction of low grade spondylolisthesis if the surgeon becomes familiar with this method.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통한 저도의 척추 전방 전위증의 자연 정복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최소 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저도의 척추 전방 전위증의 자연 정복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4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증상있는 저도의 척추전방전위증으로 진단받은 최소 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41례를 대상으로 최소 2년이상 추시관찰을 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시각통증등급, Oswetry장애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추간판 높이, 전위정도 및 전위각을 측정하였으며 최종 추시상 방사선학적 유합 평가는 Bridwell’s 전방 유합 등급을 이용하였다. 결과: 임상적 결과 및 평가는 시각통증등급은 요통은 술전 6.8±1.2점에서 최종추시 2.0±1.2점으로 감소하였으며 방사통은 술전 7.9±1.3점에서 최종추시 1.7±1.1점으로 감소하였다. Oswetry장애지수는 술전 38.5±8.4점에서 최종추시 13.4±6.1점으로 감소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추간판 높이는술전 8.4±2.14mm에서 최종추시 11.8±1.54mm로 증가하였으며(P<0.05) 전위 정도는 술전 18.4±5.1%에서 최종 추시 13.3±3.1%로 감소하였으며(P<0.05) 전위각 또한 술전 10.6±4.5°에서 최종추시 6.2±3.4°로 감소하였다(P<0.05). 최종추시상 방사선학적 유합율은 38례(92.7%)에서 보였다. 결론: 최소 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술기가 익숙하다면 저도의 척추 전방 전위증의 자연 정복에 효과적인 술식이라 생각된다. 약칭 제목: 최소 침습 경추간공 유합술의 결과

      • KCI등재

        식도암에 대한 최소 침습수술

        유경민,정요천,조석기,진성훈,전상훈,성숙환,박도중,김형호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3

        The operation for esophageal cancer is both complex and challenging, and may b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compared to other oncologic surgeries. Minimally invasive surgeries have been applied on various kinds of surgery to enhance better recovery with minimal surgical complications. But for the esophageal cancer, it has not been actively applied yet. With improvement in instrumentations and increasing experience with endoscopic surgical techniques, minimally invasive surgical approaches to esophageal cancer are being explored to determine feasibility, results and potential advantages. We experienced eight cases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for esophageal cancer and report here focusing on surgical techniques and tips. 식도암의 수술은 일반적으로 개흉술과 개복술이 동시에 시행되며 경우에 따라 경부절개까지 추가되므로 다른 수술에 비해 이환율과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수술에 따른 합병증을 최소화하고 빠른 회복을 유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양성 질환 뿐만 아니라 악성 종양의 수술에도 저 침습적인 방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으나, 식도암에는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지는 않으며 아직 국내보고도 없다. 최근 저자들은 8예의 식도암 환자에게 저 침습 수술을 적용하였기에 수술 기법을 중심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누두흉과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의 최소 침습적인 동시수술 -1예 보고-

        조덕곤,조민섭,조규도,김경수,왕영필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2

        최소 침습성 흉부수술은 최근에 가장 발전되어온 중요한 수술의 한 분야이다.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폐질환으로 누두흉, 선천성 심장 및 폐혈관 질환 같은 여러 가지 선천성 기형 등이 동반될 수 있다. 저자들은 우하엽 폐에 선천성 낭종성 선종양 기형이 있으며 누두흉이 동반된 5세 된 남아 환자를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치료 경험하였다. 저자들은 흉강경을 이용하여 우하엽 폐절제술을 실시하였고, 동시에 누두흉에 대해서는 흉골 하 금속막대를 이용한 너스 술식으로 교정하였다. 이와 같이 이러한 질환에 대한 최소 침습적인 수술방법은 유용하고 미용적으로 우수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