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학교 체육 진로교육의 재구조화 방향 탐색

        오정훈(Jeong Hun Oh),권민정(Min Jung Kw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최근 정부 주도의 진로교육 강화 추세에 따라 그동안 학교에서 이루어진 체육 진로교육의 한계를 진단하고 시사점을 찾아 논의함으로써 향후 초.중.고등학교 체육 진로교육의 재구조화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체육 진로교육의 한계점으로는 진로교육의 개념 및 진로교육 대상의 편향적 교육, 중도포기 학생선수의 방황과 갈등에 대한 무관심, 은퇴 선수의 진로경로에 대한 선별적 교육, 체육분야의 직업가치 교육의 부재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토대로 국내 초.중.고등학교 체육 진로교육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재구조화 방향은 크게 4가지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체육진로교육의 재개념화, 시대적 요구 반영 중심의 체육 분야 직업교육 중시, 생애주기별 체육진로 로드맵생성, 체육 진로교육 전문가 양성 및 활용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체육 진로교육의 재구조화가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 성과를 거두기 위한 제언으로 4가지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학교급별 맞춤형 체육 진로교육 내용 체계 개발, 체육진로교육 전문가 양성과정 개설과 교육청 파견 및 배치 제도 수립, 스포츠산업과의 네트워크 및 직업별 밸류 체인(Value Chain) 생성, 체육 관련 직업군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화 시도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s for restructuring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y diagnosing the limitations of the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so far conducted in schools and discovering and discussing its implications, in step with the trend for reinforcing government-led career education. Thus, the study presents as limitations of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the biases involved in the concept and the recipients of career education, indifference to the wandering and conflict involving those drop-out student athletes, selective training for retired athletes, and the absence of education in occupation value of physical education. Based on such findings, the study presents broadly four directions for restructuring that may contribute to fundamentally changing the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in domestic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pecifically, they are reconceptualizing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laying great store on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focused on reflecting demands of an era, creating a roadmap for life cycle-based physical education careers, and fostering and using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or. Lastly,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four suggestions to see that such restructuring of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reaps educational outcome in schools. Specifically, the study suggests developing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content system customized to school levels, installing a program for fostering physical education career education specialists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 dispatching and placing them to offices of education, creating a network with sports industry and job-specific value chain, and trying to incorporate physical education related jobs into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 KCI등재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진로교육 실태

        최동규,서원석,이창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2

        The present study is to offer useful information and accumulate career educationsituation through analyzing th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education in meiste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he students in 21 domestic meister high school as survey samp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are consisted of job choice motivation (4 questions), career education operation type (2 questions),information for career education (3 questions), problem and improvement in career education (2 questions) were surveyed to study the actual conditions in career education.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employed. First, the reason why students want to enter a meister high school is to escape financial difficulties through getting a new job. The people who influence on students' life are parents. Moreover, most students agonize about their career pathway, such as entering university and getting a job in the future. They prefer to get a new job after graduating meister high school. Second, the students in meister high school recognized the career education in meister high school is led by the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class. The number of career counseling was done two or three times. Third, the students prefer to learn career education from a career counseling teacher. Prospective students for university want to find the information about future vision. The vocational aptitude test was seemed to be higher by most job seekers. Forth, when it comes to the problem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meister high school, it is caused by the lack of full time teachers' population in career education and the temporary program operation.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교육 실태를 조사한 것으로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교육 실태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마이스터고 진로교육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유용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전국 21개 마이스터고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도구는 진로 선택 동기(4문항), 진로교육 운영 유형(2문항), 진로교육 정보(3문항), 진로교육 프로그램 문제점 및 개선사항(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398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빈도 분석, 교차 분석 및 x2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스터고의 진학 이유는 취업을 통한 경제적인 독립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진학에 영향을 준 사람은 학부모였다. 또한 학생들의 고민은 취업과 진학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졸업 후 진로계획으로는 전공분야에 취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마이스터고의 진로교육은 직업․진로교과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진로상담 횟수는 2-3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진로교육 희망 상대로 진로상담교사를 선호하고, 진학 시 원하는 정보는 장래 전망안내, 취업 시 원하는 정보는 직업 적성 안내가 가장 높았다. 넷째, 마이스터고 학생들은 마이스터고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진로교육 전담교사가 부족과 단발적인 프로그램 운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진로교육 시 바라는 점은 견학 및 현장 실습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학원구성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연구

        임정빈,박명희 한국미래교육학회 2016 미래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해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안정적인 정 착과 발전을 위하여 학교교육뿐만 아니라 학원교육에서도 바람직한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인식하 고, 학원구성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원 구성원은 진로교육이 학생들의 ‘교육기회 탐색>일과 직업 이해>진로계획과 준비’ 등을 위해 학원에 도입 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자신의 교육능력은 낮게 인식하였다. 경영효과성은 ‘원생입시>이미지 개선>연속 수강’ 등 대체로 높았다. 둘째, 학원구성원은 학원에서 진로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학부모의 관심과 참여>학원장의 관심과 의지>강사의 진로교육 전문성 확보’ 등이 필요하고,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진로· 진학 상담>학부모 대상 교육>전문기관과의 협력>학원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진로교육 내용은 ‘자아이해>교육기회 탐색>진학 준비>일과 직업이해>진로계획과 준비>직업정보 탐색> 진로의사결정 능력개발>대인관계 및 의사소통>건강한 직업의식’ 순이었다. 셋째,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는 ‘광역시’와 ‘중소도시’가 ‘서울시’보다 높았고, 진로교육을 실시 하는 학원이, 진로교육에 대한 경험이 있는 구성원이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높았다. 결론적으로 학원에서 진로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원구성원, 학원장, 학부모,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at desirable career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in not only public schools but also in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stabl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which prepares for rapidly changing future. The results show firstly that private tutoring center members considered career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private tutoring centers for students to ‘explore education opportunity > understand work and career >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while their career education ability was recognized to be low. Management effectiveness was overall highly recognized in the fields of ‘student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mage improvement > consecutive registration’. Secondly, private tutoring center members recognized ‘parents’ interest and involvement > private tutoring center directors’ interest and involvement > instructors’ acquirement of career education expertise’ to be needed. For vit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periodic career/higher education counseling > parent education > collaboration with specialist organization > private tutoring center care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was deemed to be necessary.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were ‘self-understanding > exploration for education opportunity> higher education preparation > understanding work and career >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 exploration of career information > career decision-making capability development > 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 healthy work ethic’ in sequence. Thirdly, recognition and demand for career education was higher in private tutoring centers that carried out career education, and in members who had experience in career education than in cases with no experience. In conclusion, for career education to be desirably carried out in private tutoring centers, interest and support of private tutoring center members/directors, parents, and government is required.

      • KCI등재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국가교육정책 고찰과 진로교육 개선방향 탐색

        김진호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진로교육이 최근에 국가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적절한 진로교육을 모색하기 위하여, 진로교육과 관련된 국가교육정책을 고찰하고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교육 개선방향을 탐색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진로교육과 관련된 국가 교육정책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제시된 진로교육법,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을 고찰하였으며, 진로교육 관점에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도 살펴 보았다. 둘째 부분은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교육과 관련하여 진로와 직업 및 전환교육의 관계 정립, 진로발달단계에 따른 진로교육, 국가교육정책에 따른 진로교육의 관점에서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장애특성과 교육적 요구에 맞는 진로교육 체계와 내용 및 방법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술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의 내실화 방안

        이주연,안금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4 No.-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 art curriculum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of care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in Korea and abroad, to examine the case of career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National Art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from the 3rd to 6th grades), and to present case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through art education. The suggestions for this study was as follows: It was possible to link the most closely with art education, such as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understanding of work and career world’, ‘search for a career path’,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Through the nature of the arts curriculum, ‘self-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of work and career world’ have naturally been linked with career education through understanding of artists and art-related people and improving self-identity through art. However, ‘search for a career path’ and ‘career design and preparation’ has been heavily dealt with at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Therefore, a more diverse programs in art education for career education was required to be developed for a balanced approach in each area. 본 연구는 국가적 시책으로 추진되고 있는 진로교육에 발맞추어 초등학교 미술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꾀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진로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점검하고, 미술교과와 연계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진로교육의 사례를 탐색하였다. 또한 진로교육이 본격화된 제5차 교육과정부터 현재까지의 총론과 미술과 교육과정, 2018년 현재 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 4학년 교과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 6학년 교과서)에서 진로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과 가장 밀접하게 연계시킬 수 있는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15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일과 직업 세계 이해’, ‘진로 탐색’, ‘진로 디자인과 준비’ 영역에 준하여 각 영역별 미술교과 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미술교과의 특성상 ‘자아 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및 ‘일과 직업 세계 이해’ 영역은 미술을 통한 자아 정체성 신장이나 미술가와 미술 관련 직업에 대한 이해 등의 학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진로교육과 연계되어 왔으나, ‘진로 탐색’과 ‘진로 디자인과 준비’는 초등학교 수준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이의 균형적 접근이 요구된다.

      • KCI등재

        근거이론을 활용한 고등학교 교사의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 경험 분석

        김나라,이현민,이윤진,정윤경,조연수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teache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subjects-related career education’s teaching plans. and We interviewed 8 high school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heory and procedure of Strauss & Corbin (1994). As a result of the study, 62 concepts of open coding, 38 subcategories, and 18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 of the paradigm component, the central phenomenon is that the subject teacher runs the curriculum - linked career education class. Causal conditions are teachers’ perception of career education and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education. Contextual conditions appeared to be the development of class environment, class consent, school cooperation. And we conducted interventional conditions and interaction strategies.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First, Linkage between curriculum goals and career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Use of records and evaluations in student life records, Third, Diffusion of best practices, Forth, Close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이 연구는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일반고등학교 교사의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 운영 경험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과연계 진로교육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 수업을 운영하기 위하여 일반고등학교 교사 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자료 분석은 Strauss & Corbin(1994)의 이론과 절차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개방코딩 결과 62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18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구성 요소 결과로서 중심 현상은 교과 담당교사가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진로교육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다. 맥락적 조건은 기존 수업 환경에서 운영 가능, 적절한 수업 시기 고려, 긍정적 수업 동의, 긍정적 학교 협조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진로교육 전문성 부족 인식, 내용 및 방법적 연계에 대한 고민 속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교과와 진로교육 간 연계 내용 및 비중의 적절성 고민, 수업의 방향성 설정의 어려움, 수업내용의 구체성 설정에 대한 요구, 적절한 수업시간의 안배가 있었다. 중재적 조건은 새로운 교수학습자료의 생성 및 활용, 진로교육전문가 컨설팅, 전문지식 가진 교과교사의 도움이 있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교과연계 방법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연구, 학생의 사전과제 수행 정도, 학생의 적극적 참여가 있었으며, 이의 결과로서 교과연계 진로교육 수업에 대한 교사 자신감, 교과연계 진로교육을 통한 학생 성취목표 달성, 교과연계 수업 확대의지로 확인되었다.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수업운영과 학생들의 진로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진로교육 성취기준과의 연계, 학생생활기록부에서의 기록 및 평가 활용, 우수사례 발굴 및 보급, 진로전담교사와 교과교사간의 긴밀한 협업을 위한 환경 제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미술영재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강주희,박지숙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9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a basic research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Interests in career education increases nationally but there is an almost complete lack of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The gifted tend to achieve high career maturity comparing to other kids their age and they experience the difficulties to decide their career because of their versatile tal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literature to explain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investigated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the gifted. Then we did survey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Gifted resource teachers realize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education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n career education depending on level of school. On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s of gifted resource teachers, we found that teachers considered self knowledge, understanding of careers related to visual arts, and career planing as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And for career education method they preferred work study and special lecture of professionals. Teachers answer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gifted, searching information on careers related visual arts, and contacting with professionals in arts. Career education for the gifted in visual arts needs to be differentiated based on clear understanding of career education, holistic approaches, and foundational artistic competencies. 본 연구는 미술영재를 위한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실시되었다. 진로교육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관심이 높은 반면, 미술영재 진로 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 다. 영재는 일반 아동에 비해 진로 성숙도가 높으며, 다재다능하여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는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영재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프로그램 사례를 살펴보고, 미술영재 진로교육의 현황 파악을 위해 미술영재 교육 기관 대상 진로교육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담당 교사들은 진로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으나, 학교 급에 따라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며, 교육 자료의 부족, 전문가 섭외의 어려움, 시수의 부족 등으로 인해 진로교육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교급에 따라, 교사별로 진로교육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영재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교사들은 미술영재들의 자기적성탐색, 미술관련 직업군에 대한 이해 및 진로 계획 세우기 등을 진로교육의 주요한 내용으로 언급하였다. 진로교육 방법으로는 직업 체험과 특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에 있어서는 영재 지도 교사로서 학생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의 어려움, 진로 관련 정보의 부족, 전문가 섭외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인터넷 강의, 지역연계 프로젝트, 자기성 찰을 위한 시간 등이 보완되어야 한다고 답하였다.. 따라서 미술영재 진로교육은 학교급에 따라 차별화할 필요가 있으며, 진로교육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한 노력 및 총체적 접근, 예술적 역량 함양을 위한 충실한 기본 교육을 전제로 해야 한다.

      • KCI등재

        급격한 사회적 변화와 진로교육의 중요성

        안이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5

        It was relevantly recent since career education has become emphasized and systemized in Korean schools. As the trend for focusing studies on college entrance admissions continued for a long time,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was not given attention. However,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continuously through various methods. In particular,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ourse, the character pursued by career education and educational goals per grade were set in detail, and with the level of achievements becoming more elaborate, a clear standard for evaluating the level of educating career education was set. Accordingly, it appears that the actual foundation for career education was completed through school education. In fact, the phenomenon of emphasizing career education at schools is a global trend.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ccelerated migration and movement of the global population, it has become more likely for a person to become a foreigner, and this is inevitably accompanied by various changes in the vocational world as well. This paper aims at reevaluating the need and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by reviewing various influences in which the contents and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ffect career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of career and NCS that appear as national response strategies to changes in the times, understanding on presenting directions and support systems for national career education that appear in career education act, and lastly, the impact of contents, direction, systems, etc. of career education that appeared through the multiple revisions of educational courses on existing career education, and to view it from a new perspective to promote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and need for career education. 리나라의 학교에 진로교육이 강조되고 체계화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입시경쟁에 의한 학업중시 풍조가 오랫동안 계속되면서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방법으로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계속해서 강조되었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발표되면서 진로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과 학교급별 교육목표가 구체적으로 설정되고 성취기준이 정교화되면서 진로교육의 수행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분명한 기준이 설정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교육을 통한 진로교육의 실질적인 기초가 완성되었다고 보여진다. 실제로 학교장면에서 진로교육이 강조되는 현상은 세계적인 추세다. 제4차 산업혁명과 전세계 인구의 이주와 이동이 가속화되면서 누구나 외국인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직업세계 또한 다양한 변화를 동반할 수 밖에 없었다. 본고에서는 무엇보다 제4차 산업혁명의 내용과 변화가 진로교육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력의 검토를 통해서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재고찰해 보기로 하였다. 아울러 시대의 변화에 따른 국가적 차원의 대응전략으로 나타난 NCS와 진로와의 관계성에 대한 이해, 진로교육법에 나타난 국가 차원의 진로교육에 대한 방향 제시와 지원 체계에 대한 이해, 마지막으로 여러 번에 걸친 교육과정의 개정을 통해서 나타난 진로교육의 내용, 방향, 체계 등이 기존의 진로교육에 미친 영향력을 분석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조망해 봄으로써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해외의 정책과 운영 사례 비교

        민춘기(Min, Chun-Gi)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이 논문은 한국 대학 진로교육의 개선을 위해 능력 개발을 위한 교과과정이나 프로그램을 개설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연구 목적은 해외 기관이나 대학들의 진로교육 관련 정책이나 운영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한국 대학에서의 진로교육방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을 보다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해외 진로교육의 정책과 운영 사례들을 정리하였으며, 한국 진로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해외 대학에서는 진로교육의 정책과 운영차원에서 핵심능력 포함, 실무자 전문성 강화 등의 특징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 대학의 진로교육에서도 핵심능력과 전문성 강화 지향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문헌연구 의존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고등교육의 보편화와 청년 실업률의 증가로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실질적인 대학생 진로교육에 대한 논의에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olicies and management of the career education for improving the collegiate career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this article dealt with the following issues: Defining the terms regarding career education, reviewing the previous literature, describing the features of the polices and managements abroad, and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korean environment. First of all, the term career education was defined as a range of activities which help students develop key skills and competences needed in the labor market through the appropriate courses. Next, the policies and management of the career education abroad was described in terms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UNESCO, OECD, European Union and some exemplars at the national and collegiate level.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career education included the development of the key competencies and emphasiz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actitioners.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hould be aware of the polices and management for the effective and realistic career education and revise the current content and methods accordingly. Despite the methodological limits of the study, this article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for improving the future career education at the korean universities. To further study is desirable.

      • KCI등재

        미래 직업 변화와 현장 요구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 및 실과교과에서의 전개 방안 탐색 연구

        장현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9 實科敎育硏究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s of elementary schools career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way of developing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Practical Arts subject according to the future work change and the needs of schools sites. This study was conducted mainly by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he researcher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alyze the change of human competencies according to future work chang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The direction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nd its development plans in Practical Arts subject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rsue career education that reflects changes in future work and competencies. Second, establishes the philosophy of career education customized to elementary schools. Third, revise the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Fourth, comprehensive planning and management of career education in each elementary school. Fifth, establish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career teachers and enhance career education capac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 - service teachers. Sixth, develop career education standard program and reinforce infrastructur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s. Seventh, we will continue to strengthen the Practical Arts subject as the cor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Eighth, promotes curriculum integrated career education in the field of practical arts subjects. Ninth, develop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career education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이 연구는 미래 직업의 변화에 대응하고 초등학교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실과교과에서의 진로교육 전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주로 문헌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진로교육과 실과교육의 관계를 고찰하고, 미래 직업의 변화에 따른 미래 역량 및 교육에 대하여 검토하며,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실태와 학교 현장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이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과 실과교과에서의 전개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미래의 직업 변화와 미래 역량을 반영하는 진로교육을 추구한다. 둘째, 초등학교에 맞춤하는 진로교육의 철학을 정립한다. 셋째,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을 개정한다. 넷째, 단위학교 진로교육을 종합적으로 기획 및 운영한다. 다섯째, 초등 진로전담교사의 역할을 정립하고, 현직 및 예비 초등교원의 진로교육 전문성을 제고한다. 여섯째, 초등 진로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교내외의 진로교육 인프라를 강화한다. 일곱째, 실과교과를 초등 진로교육의 중핵 교과로서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가도록 한다. 여덟째, 실과교과의 전체 영역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활성화 한다. 아홉째, 실과교과 내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개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