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손다미,노진아,김태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1 No.1

        이 연구는 기술교육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기술교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발간된 228편의 논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첫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매년 2회의발행을 통해 일정량의 논문을 꾸준히 게재하고 있다. 둘째,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경우 기술교육 논문이 공업교육이나 기타교육 관련 논문에 비해 주를 이루고 있으며,기술교과교육학 연구는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공학과 같은 일부 영역에 편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술교과내용학 연구에서도 제조기술과 통신기술에 치우친 연구를 하고 있음을 미루어 보았을 때 한국 기술교육의 연구는 특정 영역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술교육연구에 사용된 연구 방법으로는 조사연구, 문헌고찰/내용분석, 개발연구를 선호하고 있고, 사례연구는 거의 드물었다. 넷째, 연구자는 단독에 비해 공동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특히 대학교에 소속을두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228 article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the first edition of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central part i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Korean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When it comes to the result from the conclusion, firstly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has steadily published a sort of the article twice a year. Secondly,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e articles of Technology Education are published more than the other kind of the article such as vocational industrial education and the rest of education In the research of The Pedagogy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Teaching-learning method, Curriculum, Educational Technology. Also in the research of The Contents of Technology Education it reveals that most of the studies researches on Manufacturing Technology,Communications Technology. As we can see through, the research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 has studied around of specific area. Third, the research methods which are used for the study of Technology Education are Survey Study , Literature investigation, Contents Analysis, development research but Case Study has been used rarely. Fourth, most of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y co-research which especially belongs to the university more than one researcher.

      • KCI등재

        기술 교과에서 기술적 창조성 교육 방안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류창열 한국기술교육학회 200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8 No.1

        If technology teacher wants to teach student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classroom, he wanders how to, and what it mean. In spite of the value of teaching technological creativity, the cognitive process of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echnology class are not defined clearly yet. In going to approach to teach technological creativity, one must consider both the thinking that is involved and what constitutes creativity itself.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technological creativity research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1)'how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the area of educating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2)what content areas were studied and what were the valuable researches findings for improving student's technological creativity in the classroom.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s trends of teaching technological creativity were review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uld be useful resources to improve technology education and could giv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es. 21세기에 들면서 기술교육에서는 어떻게 하면 학생의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이 연구는 기술적 창조성에 관한 선행 연구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고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 분석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 선행연구는 기술적 창조성의 의미와 그에 관한 교육 방안에 관하여 국내 및 국외에서 10년 동안에 발표된 기술교육 관련 학술지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그리고 외국 학술지로는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JTE),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JTER),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IJTDE),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JITE)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이들 학술지에서 최근 10년 동안 발표된 기술적 창조성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학문적 연구와 실천 사례 등의 경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기초로 우리 기술교육에서 창조성 함양교육을 위하여 어떻게 하여야 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와 실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 KCI등재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연구 동향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강경균,이승원,김승현,연정아,홍영지 한국기술교육학회 2016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trend of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by analyzing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engineering technology,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 and flow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on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5 types of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analyzed. The 5 domestic academic journals, as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engineering technology wer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and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based on the journal’s published edition till April 30th 2016.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journals, out of 83 volumes in total, more than 10% per academic journal contained thesi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most number of thesis were being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This indicates that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more actively in the secondary education tha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in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re were more researchers who were middle-school teachers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regards to the subject of the study, literature analysis was indicated to the highest and with regards to the research method, researches such as education trend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s were being conducted in majority of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es so quantitative researches took up a large part. As for researche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verifications on the assessment and effects were conducted the most a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per researcher, the number of professor researches was the highest in both independent research and joint research. In case of joint research, there were many field teachers. This confirms that as researches are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sites in the majority of STEAM education researches, joint re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rather than independent researches.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기술에 기초한 융합교육 관련 논문 분석을 통하여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동향을 탐색하고, 그 특징 및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공학기술 중심의 융합교육 연구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학기술 관련 국내 5종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5종 학술지는 공학기술 관련 학회지로서 학회지 발간 호부터 2016년 4월 30일까지를 기준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실과교육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공학교육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학회지 분석 결과 전체 83편중 각 학회지 별로10%이상의 융합교육 관련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한국기술교육학회지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 되고 있었다. 이는 실과교육보다 중등교육에서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연구자별 분석 결과에서도중학교 교사가 초등학교 교사보다 연구자가 많았다. 연구 대상에 있어 문헌분석이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 방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융합교육 연구에서 교육 동향분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양적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융합교육에 대한 연구로는 평가 및 효과에 대한 검증을가장 많이 실시하였고, 연구자 별 분석결과는 단독 연구 및 공동 연구 모두 교수 연구자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 연구의 경우는 현장교사가 많았다. 이는 대부분의STEAM 교육 연구에서 교육 현장과 연계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단독연구보다 공동연구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기술교과 수행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타당성 검증

        임완성 한국기술교육학회 2010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a model for developing performance-based curriculum in technology education based on the technology education specialist. To attain this purpose, the researcher planned theoretic model for developing ‘performance-based curriculum' in technology education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model for developing 'performance-based curriculum' in technology education by three times Delphi survey with technology education speciali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related on ‘validity ratio' in the delphi survey, the CVR of all criteria were .59~.93 and it's over the minimum of the CVR(.338) considered 29 delphi panels. So, all criteria ensured the validity. Second, it's valid the procedure of the model for developing 'performance-based curriculum' was consists of 5 steps and 12 sub-steps. Third, there were some characteristics in the design of performance-based curriculum as follows. 1)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objectives should contain to choose technological capabilities needed learning and to descript general performance objectives and specific performance objectives with considering performance conditions and performance standards. 2)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hould contain to analyze knowledge,skills, and attitudes on each technological capability needed learning. 3) On the sel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t's valid to apply integrated performance-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4) On the selection of evaluation methods, it's valid to apply integrated performance- 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o.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과 전문가들의 인식에 기초하여, 기술교과 수행중심교육과정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기술교과 수행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이론적으로 구안하고, 3차에 걸친 기술교과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이론적으로 구안된 기술교과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과 수행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대한 델파이 전문가 패널의 인식과 관련하여, 모든 항목에 대한 ‘내용타당도 비율(CVR)’이 .59 ~ .93으로 응답 패널수(29명)를 고려한 CVR 최소값(.338)을 넘어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교과 수행중심 교육과정 개발 모형’ 절차는 ‘5개 대단계’ 및 ‘12개세부단계’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수행중심 교육과정 설계’는 ‘교육목표 설정’, ‘교육내용 선정’, ‘교수․학습방법 선정’, ‘교육평가방법 선정’ 등으로 구성된다. 1) ‘교육목표 설정’은 분석된 기술적 능력 중 교육이 필요한 기술적 능력을선정한 후, 각각의 교육 필요 기술적 능력의 ‘수행조건'과 ‘수행기준'을 고려하여 ‘수행목표' 및 ‘세부목표'를 제시하여야 한다. 2) ‘교육내용 선정'은 분석된 기술적 능력 중 교육이 필요한 기술적 능력을선정한 후, 선정된 교육 필요 능력별 지식, 기능, 태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토대로 주제 중심의 기술교과 교육내용을 선정하여야 한다. 3) ‘교수․학습방법 선정'은 교수·학습방법과 교육평가방법을 상호 고려한‘통합된 수행중심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수행평가를 고려한 실천·경험 중심의 교수·학습방법 선정'과 ‘수행평가를 고려한 실천·경험 중심의 교수·학습을 위한 교재 개발 및 선정' 등이 필요하다. 4) ‘교육평가방법 선정'도 교수·학습방법과 교육평가방법을 상호 고려한‘통합된 수행중심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수행중심 교수·학습과 통합된 수행평가 도구 개발 및 선정'과, ‘수업시간 내 수행과정 평가 및 수업 후 수행결과를 평가하기위한 평가계획 수립 및 평가방법 선정'과 ‘평가준거, 평가기준 및 수행평가도구별 채점기준표 제시'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제조기술’ 관련 단원 체제 분석

        김미영,이경택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manufacturing technology'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provide basic data for 'manufacturing technology' class. The subject of analysis is a total of 12 books in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edited under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which contain conten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system of unit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in each textbook is analyzed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elements and the composition elements of the unit. The unit organization elements are composed of the number of uni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ratio of unit composition, content presentation way, and the number of illustrations for each textbook. The unit composition elements include learning objectives, content composition system, experiment and practice activities, and evaluation by each text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analysis result of the unit organization elemen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technology' related middle-class units are 2 ~ 3 and small-class units are 5 ~ 11. The proportion of 'manufacturing technology' related units is within the range of 16.1 ~ 32.2% in all textbooks. In order to know how to present contents related to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contents of learning reflected in the standard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in all textbooks. Illustrations are presented in the order of picture, drawing. Second, it is the analysis result of the unit composition element. In the section on 'manufacturing technology', If the analysis of the statement type is divided into content-behavior classification, the learning goals are classified into cognitive domain, definitive domain, and dynamic domain in order of quantity. Most textbooks are similar in content structure. The type of supplementary enrichment activity is mostly survey activity. In order to summarize and evaluate large learning and intermediate learning units, the form of unit summarization and problem solving is mainly presented. 이 연구는 ‘제조기술’ 수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제조기술’ 관련 단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제조기술’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①권으로 총 12권이며, 단원 조직 요소와 단원 구성 요소로 나누어 각 교과서의 ‘제조기술’ 관련 단원 체제를 비교·분석하였다. 단원 조직 요소는 교과서별 ‘제조기술’ 관련 단원 수, 단원 구성 비율, 내용 제시 방식, 삽화 수로 설정하였으며, 단원 구성 요소는 교과서별 학습 목표, 내용 구성 체제, 실험·실습 활동, 보충 심화 활동, 정리 및 평가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 조직 요소 분석 결과이다. ‘제조기술’ 관련 단원 수는 중단원이 2~3개, 소단원이 5~11개로 교과서별로 차이가 있다. ‘제조기술’ 관련 단원 구성 비율은 모든 교과서가 기술 전체 분량 대비 16.1~32.2% 범위 내에 있다. ‘제조기술’ 관련 내용 제시 방식을 알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학습 내용을 교과서별로 분석하였으며, 삽화는 사진과 그림 순으로 많이 제시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원 구성 요소 분석 결과이다. ‘제조기술’ 관련 단원에서 학습 목표 진술 방식을 내용-행동으로 이원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 목표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동적 영역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구성 체제는 대부분의 교과서가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다. 실험·실습 활동은 교과서별로 1~2개로 구성되어 있다. 보충 심화 활동 형태는 조사활동이 가장 많았다. 대단원 정리 및 평가, 중단원 정리 및 평가를 위해 단원 정리 및 문제 풀이 형태가 주로 제시되고 있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 내용 분석

        이상봉,이도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of 12 kind of textbooks at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in Practical Art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9. Frequency and intensity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in the 12 textbooks were analyzed by category, theme and so on. For the content analysis, framework for analysis was adopted from the construction technology system of Jackson`s mill industrial arts theory, and category was selected by ‘input-process-output’ system, and unit was selected by theme. First, the analytical framework by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was measured and analyzed the frequency. Second, the analytical framework by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Unit, was measured and analyzed the intensity. These procedures a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new curriculum did accurately reflect the content in the textbooks and what is more emphasis on the content elements is presen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Disconnecting the rate of 12 kind of textbooks configuration, input, process, output, environment category and all its theme and sub-theme were present. (2) The results from the frequency analysis on category appeared to be in order of input, process, output, environment, and on each theme appeared to be in order of structures on a site, productive, people, materials, natural environment, energy, etc. (3) The results from the Intensity analysis on category appeared to be in order of output, process, input, environment and on each theme appeared to be in order of structures on site, productive, people, natural environment, materials, energy, etc. Based on the findings of a new textbook,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reflects a combination of analysis and study the textbook selection is proposed to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2013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12종 교과서의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있다.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내용 분석을 위하여 분석틀은 잭슨스밀 공업과교육과정의 건설 기술 체제로, 범주는 ‘투입-과정-산출‘ 체제로, 단위는 주제로 선정하였다. 첫째, 분석틀에 의해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빈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강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위 절차에 따라 분석된 결과를 통해 새로운 교육과정 내용이 교과서에 명확히 반영되었는가와 더욱 강조된 내용 요소가 무엇인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 의한 ‘건설 기술과 환경’ 단원의 내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2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비율은 다르나 투입, 과정, 산출, 환경 범주별로 내용 요소가 모두 구성되어 있었다. (2) 빈도 분석 결과 범주별로 투입, 과정, 산출, 환경의 순이었으며, 주제별로 현장 구조물, 생산 과정, 사람, 재료, 자연환경, 에너지 등의 순이었다. (3) 강도 분석 결과 범주별로 산출, 과정, 투입, 환경의 순이었으며, 요구 비율과 비교하여 산출과 환경은 증가하고, 투입과 과정은 감소하였다. 주제별로는 현장 구조물, 생산 과정, 사람, 자연환경, 재료, 에너지 등의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결과가 교과서의 편성과 선정에 따른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의 입학 동기 및 중‧고등학교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김성일,김기선 한국기술교육학회 2015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about recognition of secondary schools' technology lesson and admission motives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The 30 questionnaires of 6 parts (admission motive, recognition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before admission, recognition of technology teachers, technology laboratory environment, technology classes, and satisfaction in secondary school days) were collected by 72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freshmen of 3 universities and analyzed by using SPSS(Ver. 2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45.8% of students heard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by relatives and 48.6% heard from secondary school teachers, school senior's, and friends. They could choose their majors from senior of high schol to the period of early action. It is shown that about 60% of students had teacher in their family and their parents preferred students to become a teacher. The graduate students from natural sciences were 72%, liberal arts graduate students were 21%, an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 students were 7%. Second, the highest motive they chos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is possibility(M=4,22) of becoming a teacher. On the other hand, freshman showed that students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before entering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M=2.40), thus more information about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are requested. Third, students have higher preference level(M=3.58) than normal about technology teachers. The recognition of laboratory environment is almost normal (M=3.11). Even though they have high level of interests and concerns(M=3.33), the other students who do not choos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evaluated low(M=2.81). Students with high satisfaction level had lots of practical lessons at laboratory than theoretical lesson when they were in middle school.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in order to increase interest and attention in technology clas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laboratory environment's importance are needed. In conclusion, students did not know about technology education before entering and were likely to know about this major mainly through teachers and relatives. Many students has relatives who are teachers. The admission motive of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was high possibility of becoming teachers even the education curriculum is difficult than other departm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echnology lesson, technology classes should include a lot of practice lessons than theoretical lessons. Technology teachers should select an appropriate theme in each practice lessons at technology laboratory.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기술교육과 입학 동기와 중‧고등학교 시절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3개 대학교 기술교육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6개 영역(대학 입학 동기, 입학전 기술교육과에 대한 인식, 중등학교 시절의 기술교사와 기술수업환경,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30개 문항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얻어진 72명의 데이터를 SPSS(Ver. 2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육과를 알게 된 경로는 친척이 45.8%, 학교 교사와 선배, 친구가 48.6%였고, 대학 학과 선택시기는 주로 고 3 ~ 수시원서 접수 전이었다. 친척 중에 교사가 있는 학생은 60% 정도이며, 교사 집안에서 교사를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고등학교별 출신은 일반계 고등학교 이과 72%, 일반계 고등학교 문과 21%. 전문계(특성화)고등학교 7%이다둘째, 기술교육과를 선택한 동기로는 교사가능성이 가장 높기(M=4,22) 때문이다. 기술교육과가 주위에 잘 알려져 있다는 응답은 보통 이하의 수준(M=2.40)이다. 따라서 주위에 기술교육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대책이 요청된다. 셋째, 기술교사에 대한 호감도 인식은 평균(M)이 3.50 정도로 보통 보다 높은 편이며, 수업환경 평균(M)은 3.11로 보통 수준, 기술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본인은 보통 이상(M=3.33)이지만, 주위 학생들은 보통 이하(M=2.81)이라고 하였다. 기술교육과를 입학한 학생들 중 수업에 만족도가 높은 학생은 중학교 때 기술교사가 수업을 담당하고, 기술실에서 준비된 실습재료로 이론보다는 실습시간이 많았던 학생들이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은 대학 입학 전에는 기술교육과에 대해 거의 모르는 편이었고, 기술교육과를 알게 된 동기는 주로 교사와 친척이다. 많은 학생들은 친척 중 교사가 많은 편이며, 입학 동기는 공부는 조금 어렵더라도 타 학과보다 교사 가능성이 많아서였다. 기술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려면 기술교사들은 기술실을 활용하여 적절한 시간에 맞는 주제를 선정하고 이론 보다는 실습수업을 더 많이 하여 기술 수업을 책임질 수 있는 역량을 높여야 한다.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유명인 분석

        이은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mous people present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of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recently published in Korea. To do this, 83 illustrations present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s of the last two curriculums were analyzed. The researcher used analytical methods that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methods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 First, a very limited historical famous people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presented. The main figures for famous historical were Bell, Moss, Marconi, and Gutenberg. Most famous people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ere westerners, and all were males. Second, the type of characteristics of famous people were similar in two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출판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유명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83개 유명인 이름이 포함되어 있는 삽화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기술과 관련된 매우 제한된 고전적인 인물이 제시되고 있었다. 정보통신기술 단원에 제시된 주요 유명인의 이름은 벨, 모스, 마르코니, 구텐베르크 등 이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과 관련된 유명인은 대부분 서양인이었으며, 성별은 모두 남자라는 특징이 있었다. 둘째, 두 교육과정에서 유명인 특징의 제시 유형은 거의 유사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에 실린 유명인들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과 향후 정보통신기술 단원의 집필 방향 등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김동연,김진수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3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3년도 10월까지 국내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관련하여 개발 발표된 석․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를 포함하여 정부연구기관 및 정보서비스기관에서 검색 수집한 총 265편의 연구물들을 중심으로 연구 실태와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분석 대상과 분석 절차에 의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진들과 함께 1, 2차 검토․수정 및 개선․보완 단계를 거쳐 개발한 분석 준거(틀)에 따라 연구 기관, 연구 형태, 직무 분야, 연구자 구성, 연구 방법,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분석 항목별 기술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기관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한국산업인력공단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한국노동연구원, 교육부, 대한상공회의소 등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형태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석사학위 논문 수에 비해 박사학위 논문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그 다음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 농업교육학회, 대한건축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외 나머지 학회는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셋째, 직무 분야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이러닝콘텐츠개발 직무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고등교육, 기업교육, 경력지도, 유통관리, 출판기획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외 나머지 학회는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자 구성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단독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공동 연구의 경우 연구원 수가 2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3인과 4인 이상의 연구원 수는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개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문헌 연구, 내용 연구, 양적 연구, 실험 연구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 대상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 기업체(대․중소기업)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 고등학교(직업교육기관), 기타(혼합) 순으로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status and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hich were released in Korea from 2001 to October 2013; they are a total of 265 pieces of research data including master’s thesis, doctoral dissertation, academic journals, and data researched and collected from institutions of government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stitutions, types, occupational fields, composition of researchers, methods, and target of studi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analysis criteria(framework) developed through first and second review, improvement, and complement with NCS researchers, in line with analysis target and procedure. Seco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descriptive statistics program by the analysis ite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institution,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Korea Labor Institut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Second,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type, the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master’s thesis, followed by The Korea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Agricultural Education Associatio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nd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All other societies were at a similar level, representing the lowest proportion. Third,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occupational field, e-learning content development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higher education, corporate training, career guidance, distribution management, and publishing planning. All other academic societies were at a similar level, representing the lowest proportion. Fourth,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composition of researchers, independent studies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As for joint studies, those with 2 researchers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It was followed by studies with 3 researchers, and those with 4 or more researchers, which were at a similar level representing the lowest proportion. Fifth,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method, development research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content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and experimental research. Sixth, when the trends of studies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development were analyzed by research target, corporations (large ones, small and medium-sized ones) represented the highest proportion, followed by 2-year colleges, 4-year-universities, high schools(vocational schools), and others(mixed).

      • KCI등재

        표준․표준화 교육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요구

        이명한 한국기술교육학회 2018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a preliminary data for standard and standardization education research by finding out the recognition and needs by the technology teachers about the contents element of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area in 2015 revised curriculum.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technology teachers teaching technology subject at middle school across the country, and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bout the standard and standardization teaching experiences of technology teachers and a lack of experience in activities such as relevant training and education research meetings. Second, understanding of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achievement standard is common, but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contents element is considered to be relevant element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Third, technology teachers said that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contests element i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middle school level, and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is judged to be more suitable than the middle school. Fourth, technology teachers did not agreed on expanding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the content of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or forming an independent unit. Fifth, the method of standardization, industri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were high as the contents to be includ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the ‘using technology and standard’. 이 연구는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내용요소 중 하나인 ‘기술의 이용과 표준’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해 조사․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다양하게 진행될 표준․표준화 교육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국의 중학교에서 기술 교과를 가르치고 있는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사들의 표준․표준화 수업 경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관련 연수 및 교육 연구회 등의 활동 경험이 매우 부족하다. 둘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의 성취 기준에 대한 이해 정도는 보통이나 ‘기술의 이용과 표준’ 내용 요소를 기술 교과에 타당한 요소로 판단하고 있다. 셋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 내용 요소의 성취 기준이 중학교 수준에 적합하다고 하였고, 고등학교 1학년까지 확대하면 고등학교 1학년이 중학교보다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넷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 내용에 대한 성취 기준의 확대나 독립 단원으로 구성되는 것에 대해 동의하지 않고 있다. 다섯째, ‘기술의 이용과 표준’의 성취기준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표준화의 구체적인 방법과 산업 표준, 인증 표준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