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IC 나무를 이용한 농산물 공급망의 운영 성과 평가

        민춘기,장병윤,Min, Choon-Ki,Chang, Byeong-Yu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4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3 No.4

        영농 규모의 대형화 및 농업부문에 자본투자의 확대와 더불어 6차산업의 개념이 농업에 도입됨에 따라, 농업경영의 성과 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산물 공급망의 운영성과 평가방법의 하나로 ROIC(투하자본순수익률) 나무 분석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블루베리를 모델 작물로 선정하여, 생산과 유통실태를 조사하고 이로부터 블루베리 공급망의 ROIC 나무를 작성하였다. 농가의 현황과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얻어진 실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블루베리 공급망의 ROIC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또한 이 값을 다른 산업의 ROIC 및 기존의 농업성과 분석방법과 비교하였으며, 본 분석 방식의 특성 및 차후 농업분야에의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of farming performance has been increasing with the progress of farm size and capitalization, an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the 6th industry to agriculture. In this research, ROIC(Return on Invested Capital) tree technique was examined as a new method for analyzing operations performance of supply chain for farm produce. Current practice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blueberry, model crop, were investigated and ROIC tree for blueberry has been set up from the survey of the supply chain. Then, it was simulated with real values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in the supply chain and the previous studies using a spreadsheet program. The resulting ROIC value was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industries and the conventional performance analysis method. Features of the evaluation technique were identified and it was proposed how to apply it to agricultural field in the future.

      • KCI등재

        한$\cdot$독 문형의 비료설정 시론

        민춘기,Min Chun-Gi 한국독어학회 2003 독어학 Vol.7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die deutschen Satzmodelle $f\"{u}r$ Zwecke des DaF-Unterrichts in Korea untersucht. Dabei gehen wir davon aus, dass man die deutschen Satzmodelle vergleichend mit den koreanischen neu aufbauen sollte, um sie im Deutschunterricht fur Koraner recht benutzen zu konnen. Dafur haben wir hier zunachst untersucht, wie man die koreanischen Satzmodelle im Hinblick auf den didaktischen Zweck modifizieren muss. Unter $Ber\"{u}cksichtigung$ des dabei erzielten Ergebnisses wurden $anschlie{\ss}end$end die deutschen Satzmodelle rekonstruiert. Im Koreanischen wurden die Satzmodelle ab Ende der 1960er Jahre verschiedenartig untersucht. Zwar gibt es bisher noch keine Arbeit, die Ergebnisse dieser Forschungen zusammenfasst, dennoch versuchen wir hier aus einigen bisherigen Untersuchungen einen begrenzten Rahmen von koreanischen Satzmodellen herauszufinden. Als Resultat haben wir funf grundlegende Satzmolle hergestellt: (1) Subjekt + $Pr\"{a}dikat$, (2) Subjekt + $Pr\"{a}dikativ$ + $Pr\"{a}dikat$, (3) Subjekt + Objektiv + $Pr\"{a}dikat$, (4) Subjekt + Adverbiale + $Pr\"{a}dikat$, (5) Subjekt + Obj. + Obj./$Pr\"{a}dikativ$/Advb. + $Pr\"{a}dikat$. Das Modell (1) $umfa{\ss}t$ drei $Pr\"{a}dikate$, die sich nach den Wortarten unterscheiden: (intransitives) Verb, Adjektiv und Substantiv. Auch beim Fall (5) $k\"{o}nnen$ drei verschiedene Untermodelle nach der $Kombinationsm\"{o}glichkeit$ auftreten: Sub + Obj. + $Pr\"{a}d$., Sub. + Obj. + $Pr\"{a}dikativ$ + $Pr\"{a}d$., Sub. + Obj. + Advb. + $Pr\"{a}d$. Auch im Deutschen kann man ahnlich wie im Koreanischen didaktisch geeignete Satzmodelle herausarbeiten. Auch dabei wurden bisherige Untersuchungen zu den deutschen Satzmodellen herangewgen. Zu der $d\"{a}fur$ $ausgew\"{a}hlten$ Terminologie $geh\"{o}ren$ Subjekt(S), $Pr\"{a}dikat(P)$, $Pr\"{a}dkativerganzung(PE)$, $Objekterg\"{a}nzung(OE)$, $Adverbialerg\"{a}nzung(AE)$. In der deutschen Sprache werden nach den $Valenzm\"{o}glich­keiten$ des $Pr\"{a}dikativteils$ folgende Modelle unterschieden: S + P, S + P + PE, S + P + OE, S + P + AE, S + P + OE + OE/PE/AE. Unter die OE werden okk. OE, dat. OE, $pr\"{a}d$. OE, refl. OE usw. subsumiert. Um die Stichhaltigkeit der in dieser Schrift neu festgestellten Satzmodelle zu $\"{u}berpr\"{u}fen$, sollten sie anhand eines Textkorpus heutiger Texte in weiteren Untersuchungen validiert werden. Ferner ist es zu empfehlen, die Anwendbarkeit der hier vorgestellten Satzrnodelle im Deutschunterricht $f\"{u}r$ Koreaner $gr\"{u}ndlich$ zu testen

      • KCI등재

        스마트 도시 재생에서 독일 문화-창의 경제 정책의 활용 가능성

        민춘기(Min Chun-gi)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knowledge that although Gwangju is a UNESCO creative city and runs the National Asian Cultural Complex, it still lacks a comprehensive policy to design smart urban regeneration to make the most of these advanta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e-creative economy and industry in Germany and Europe and to provide theories and informat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city regeneration policy in Gwangju, a cultural and creative city. To this end, the study describes the content presented on websites and in reports of the agencies or departments responsible for the relevant policies in the EU and Germany. The culture-creative industry is a diverse industrial sector that has a cultural and economic impact on human life. Its related fields are arts and architecture, Web and graphic design, publishing, games and multimedia, the music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fashion and arts and crafts designing, films,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First, I research the EU cases, such as those related to their cultural awareness, the new European Agenda for Culture, the Creative Europe program, the Culture-Creative Sector (CCS), and the Culture-Creative Industry (CCI) support projects. In the German example, I look at the present state of the culture-creative economic policies, the innovation effect of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and the industry-related information of some federal and city states, digitalization, and media education. Finally, I outline the considerations for smart urban regeneration and the guidelines for the culture-creative industrial policy of Gwangju as the Asian Cultural Center part of the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In the process of Gwangju’s regeneration as smart city, efforts are urgently needed to recognize the value of culture and creativity and reflect it in its policies. In the process, we will be able to make partial use of the examples offered by the European Union and Germany. Gwangju can be seen as having external requirements, such as the Asian Culture Complex, Media Art Creative City, and AI. Successful policymaking and implementation should precede the establishment of a consulting agency for experts in various fields. If the smart urban regeneration is successful, it is expected that Gwangju, which has a weak industrial base, can be reborn as a place where people can lea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rich lives based on culture and creativity. 이 논문은 광주가 유네스코 창의도시이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운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장점을 최대한 활용한 스마트 도시재생을 디자인하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이 아직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독일과 유럽의 문화-창의 경제와 산업에 대해 알아보고 문화도시이자 창의도시인 광주의 도시재생 정책 수립에 이론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럽연합과 독일의 관련 정책을 담당하는 기관이나 부서의 사이트와 보고서 등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문화-창의 산업이란 인간의 삶에 문화적·경제적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산업 부문이며, 관련 분야는 예술과 건축, 웹 및 그래픽 디자인, 출판, 게임 및 멀티미디어, 음악 및 엔터테인먼트 산업, 예술 공예 및 패션 디자인, 영화, 광고 및 홍보 등이다. 먼저 유럽연합의 사례에서는 유럽인들의 문화에 대한 인식, 새로운 유럽 문화 의제, 창의 유럽 프로그램, 문화-창의부문(CCS) 및 문화창의산업(CCI) 지원 사업, 문화-창의 도시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독일의 사례에서는 문화-창의 경제 정책의 현황 및 혁신 효과, 문화-창의 산업의 주요 내용, 연방주와 도시주의 문화-창의 산업 관련 정보, 디지털화, 미디어교육 등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와 유네스코 창의도시인 광주가 스마트 도시 재생을 위해 고려할 사항과 문화-창의 산업 정책의 방향 정립에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하였다. 광주가 스마트 도시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문화와 창의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절실하다. 이 과정에서 유럽연합과 독일의 사례들을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광주는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미디어아트 창의도시, AI 집적단지 등 외적인 요건은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성공적인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의할 수 있는 기관을 설립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도시 재생에 성공한다면, 산업기반이 취약한 광주가 문화와 창의성을 기반으로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독일과 한국의 신 산업정책 비교를 통한 정책 결정의 시사점

        민춘기 ( Min¸ Chun-gi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0 독일어문학 Vol.91 No.-

        현대 사회에서 산업정책은 부활하는 추세에 있다. 국가의 경제를 시장에 자율적으로 맡기고 방임하면 위기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독일에서는 정부 차원에서 국가 산업전략 2030 최종안을 2019년 말에 발표하였고, 한국에서는 2017년에 들어선 정부에서 새로운 산업정책을 마련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독일 산업정책 전략의 특징과 각계의 입장을 알아본 후 한국의 산업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산업정책 재정립 기준을 기반으로 논의하였으며, 관련 교과목 수업의 일부 자료 및 해당 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와 정보를 주로 인용하는 방식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독일의 국가 산업전략 2030의 목표와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주요 쟁점에 대한 산업계와 노동계의 입장 및 언론의 분석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국 산업정책에 대해 신 산업정책(2017), 제조업 르네상스(2019), 한국판 뉴딜(2020) 등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산업정책 정립의 새 기준을 토대로 독일의 전략이 한국의 산업정책 결정 과정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독일의 산업정책은 폭넓은 대화와 합의를 통해 각계의 입장도 반영하고 새로운 기준을 대체로 충족하고 있으므로, 한국의 포용적 성장을 위한 산업정책 결정의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내용을 관련 교과목 수업에 활용하거나 국가 산업정책의 전략 수립 및 시행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정책 결정에 바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더 전문적인 정보와 지식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가 한국 독어독문학의 외연을 확대하여 학생들의 사회진출에도 도움이 되는 연구와 교육을 지향하는 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eutschland hat Ende 2019 den überarbeiteten Entwurf der Nationalen Industriestrategie 2030 auf Regierungsebene veröffentlicht und auch in Korea hat die Regierung 2017 eine neue Industriepolitik vorgelegt. Das Ziel der Arbeit ist es, die Merkmale der deutschen Industriepolitikstrategie und den Lösungsprozess der wichtigsten Herausforderungen zu untersuchen und Informationen zur Verfügung zu stellen, die für die politische Ausrichtung Koreas verfügbar sind. Dazu wurden die Daten und Informationen benutzt, die von der zuständigen Organisation herausgestellt werden. Zuerst wurden die Ziele und Hauptinhalte der deutschen Nationalen Industriestrategie 2030 zusammengefasst. Anschließend wurden einige Streitpunkte im Hinblick auf der Strategie beschrieben. Die Industrie zeigt im Allgemeinen kritische und skeptische Ansichten und die Gewerkschaften haben zwar generell positive Ansichten, aber fordern Spezifizierung. Die Presse behandelt die konkrete Position relativ detailliert. Um die Auswirkungen auf Korea zu finden, wurde schließlich die neue Industriepolitik Koreas analysiert. Davor wurden ein Paar Kriterien für die Neudefinition und Neugestaltung der neuen Industriepolitik, darauf Implikation der deutschen Strategie zur koreanischen Politik basieren kann. Der hier vorgestellte Inhalt, kann in den entsprechenden Lehrgängen verwendet werden oder kann auch für die nationale Industriepolitik und -strategie teilweise angewandt werden. Es ist wünschenswert, dafür weiter zu forschen.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해외의 정책과 운영 사례 비교

        민춘기(Min, Chun-Gi)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4

        이 논문은 한국 대학 진로교육의 개선을 위해 능력 개발을 위한 교과과정이나 프로그램을 개설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연구 목적은 해외 기관이나 대학들의 진로교육 관련 정책이나 운영에 대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한국 대학에서의 진로교육방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을 보다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해외 진로교육의 정책과 운영 사례들을 정리하였으며, 한국 진로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해외 대학에서는 진로교육의 정책과 운영차원에서 핵심능력 포함, 실무자 전문성 강화 등의 특징을 볼 수 있었으며, 한국 대학의 진로교육에서도 핵심능력과 전문성 강화 지향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문헌연구 의존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고등교육의 보편화와 청년 실업률의 증가로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실질적인 대학생 진로교육에 대한 논의에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olicies and management of the career education for improving the collegiate career education in Korea. To this end, this article dealt with the following issues: Defining the terms regarding career education, reviewing the previous literature, describing the features of the polices and managements abroad, and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korean environment. First of all, the term career education was defined as a range of activities which help students develop key skills and competences needed in the labor market through the appropriate courses. Next, the policies and management of the career education abroad was described in terms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UNESCO, OECD, European Union and some exemplars at the national and collegiate level.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career education included the development of the key competencies and emphasiz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actitioners.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hould be aware of the polices and management for the effective and realistic career education and revise the current content and methods accordingly. Despite the methodological limits of the study, this article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for improving the future career education at the korean universities. To further study is desirable.

      • KCI등재

        독일 AI 국가전략의 지향점이 한국의 정책 방향에 주는 시사점

        민춘기 ( Min Chun-gi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0 독일어문학 Vol.88 No.-

        이 논문은 한국 독어독문학 분야에서 연구와 교육의 지평을 지역학으로 넓혀서 정체성의 외연을 확대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현대 사회에서 AI는 시대의 화두가 되고 있으며, 독일은 2018년 11월에 한국은 2019년 12월에 AI 국가전략을 각각 제시한 바 있다.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독일 AI 국가전략의 특징 및 지향점을 살펴보고 한국의 해당 정책 방향 설정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기관에서 제공하는 자료와 정보를 인용하는 방식으로 기술하였다. 먼저 AI 관련 용어와 관련 기술에 대해 인공지능, 증강지능, 기계학습, 인공신경망, 딥 러닝 등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독일에서는 경제에너지부, 교육연구부, 노동사회부 등 3개 부처가 중심이 되어 국가전략을 수립하고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AI 기술을 경제적 측면에서 적극 수용하면서도 교육연구부가 주도하여 인간을 중심에 두는 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점이 독일 AI 국가전략에서 특징 중의 하나이다. 독일에서는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대화를 기반으로 인간의 행복과 사회의 공익을 위한 AI 기술 개발을 지향하고 있다. 한국의 AI 국가전략 수립에 대부분의 관련 부처가 참여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인간 중심의 정책을 언급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에서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한국은 경쟁 지향적이고 독일은 목표 지향적이라는 차이도 보여준다. 따라서 독일의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여 정책 방향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한국의 AI 전략에서는 인간 중심 AI 전략에 관한 아젠다와 세부과제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AI 윤리와 같은 이슈들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여기서 제시된 내용이 관련 교과목 수업에 활용되거나 국가의 AI 정책과 전략 수립 및 실행에 일부라도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gilt Künstliche Intelligenz (KI) als eminentes Thema. Deutschland präsentierte im November 2018 eine entsprechende nationale Strategie, Korea tat im Dezember 2019 das gleiche.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es, die deutsche KI-Strategie vorzustellen und daraus mögliche Implikationen für die Strategie Koreas abzuleiten. Das untersuchte Informationsmaterial stammt aus den Quellen der zuständigen Behörden. Zuerst wird die einschlägige Fachterminologie (z. B. Künstliche Intelligenz, Erweiterte Intelligenz, Mechanisches Lernen, Künstliches Nervennetzwerk und Tiefes Lernen) diskutiert. Danach kommt es zur Gegenüberstellung der zwei nationalen KI-Strategien. Charakteristisch für Deutschland ist es, dass die Bundesregierung die KI-Technologie zwar für die Ökonomie nutzbar machen möchte, aber gleichzeitig den Menschen in den Mittelpunkt stellt. Diese Orientierung am Menschen trifft ebenfalls auf Korea, doch dessen strategischen Vorgaben lesen sich vergleichsweise abstrakt. Während Deutschland zielorientiert wirkt, scheint Korea wettbewerbsorientiert zu planen. Es wäre wünschenswert, dass Korea bei einigen Punkten dem Beispiel der deutschen KI-Strategie folg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