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 :‘미래교육연구’발행 논문을 중심으로
송시현,김성길,원종숙 한국미래교육학회 2020 미래교육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the article on 'Future Education Research' and to suggest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121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uture Education Research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uture Education Study’ from 2011 to December 2019. The analysis was largely composed of five part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Future Education Research'. Second, summary of ressearcher’s characteristic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 the most used method was Mixed Research, and the unusual point was 'thought experiment'. Fourth, the main research subjects were students, which is predictable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researchers are professors and teachers. Finally, in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 words', many theme words such as 'Erudition', 'future education', and 'multicultural' were repe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First, education cannot have a single character, so it is necessary to try fusion and complex research between other fields and academic fields as well as researchers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especially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expert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is expected to study long-term and various methods. Last,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originality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In particular, I hope that we will be able to find original and professional research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Future Education Study’ through serious and steady research and practical activities on the 'Erudition paradigm'.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연구’ 투고논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미래교육학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분석대상은 한국미래교육학회의 학술지 ‘미래교육연구’에 2011년부터 2019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121편이다. 분석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미래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현황을, 둘째로는 연구자 특성을 정리하였다. 셋째로는,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혼합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특이한 점은 '사고실험'이 사용되었다. 넷째, 주요 연구대상은 학생이었는데, 이는 연구자의 대부분이 교수와 교사임을 감안해보면 예측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어' 분석에서는 '배움', '미래교육', '다문화' 등의 주제어가 다수 반복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미래교육연구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면, 첫째, 교육은 단일한 성격을 가질 수 없으므로 향후 연구에 있어서 타 분야 및 학문 간 뿐만 아니라 연구자간 융·복합적인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연구방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현장의 전문가와 연구자가 많이 있는 점을 활용하여 장기적이고 다양한 방법의 연구를 기대할 수 있다. 끝으로, ‘미래교육연구’만의 독창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배움 패러다임'에 대한 진지하고 꾸준한 연구와 실천 활동을 통해 한국미래교육학회만의 독창적이고 전문적인 연구자를 발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미래교육 교육과정 내용 분석: 미래교육 관련 국책연구기관 보고서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조미미,임선아 한국미래교육학회 2022 미래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국책연구기관 보고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미래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통찰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연구보고서 11편을 의미연결망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미래교육의 주요 키워드는 ‘미래지향’, ‘인공지능’, ‘학습주제’, ‘다양성’, ‘융복합’, ‘미래핵심역량’, ‘민주시민교육’, ‘사고력’, ‘교육정책’, ‘리터러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주요 키워드 중, ‘교육개혁’은 ‘미래지향’, ‘미래핵심역량’ 그리고 ‘교육정책’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고, ‘미래핵심역량’은 ‘미래과학’과 ‘사고력’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미래과학’은 ‘학습주제’와 ‘융복합’과 서로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내용’은 ‘다양성’, ‘리터러시’, ‘인공지능’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심성 지수를 확인한 결과, ‘미래지향’이 연결망의 중심에 위치하는 중심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미래지향’을 중심으로 ‘학습주제’, ‘다양성’, ‘리터러시’, ‘인공지능’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지향’, ‘학습주제’, ‘인공지능’은 전체 의미구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 논점을 논의하였다.
김성길 한국미래교육학회 2011 미래교육연구 Vol.1 No.1
미래는 창의력과 도전정신이 요구되는 시대다. 미래는 다양성이 존중되는 시대다. 미래는 소통과 상생이 배어있는 시대다. 이를 통틀어서 미래는 배움의 시대다. 다가오는 미래는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를 부여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학교는 스스로의 가치와 역할에 대해서 다시금 반추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실행해 온 학교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과연 미래 사회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인지에 대한 원론적인 질문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지금의 학교교육이 지닌 한계를 직시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학교교육의 비전과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 필요한 시간이다. 미래 학교교육의 성패는 인간 본성으로서의 배움을 여하히 드러내고 복원해내고 증진시켜 나가느냐에 달려있다. 학생들 각자가 지닌 잠재력과 배움력을 극대화 하는 작업이 미래의 학교교육에서 성취해 나가야 할 과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창의력과 도전정신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다양성을 배양하고, 나아가 언제 어디서든지 원하는 내용을 접하고 익히고 만들어 낼 수 있는 배움 정신을 회복하는 일이 미래 학교교육의 비전이며, 이를 바탕으로 열린교육, 대안교육, 배움의 교육이 미래 학교교육의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confirming the essence of erudition paradigm and discussing the visions and 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 for schooling. For this, first of all, this study debates the necessities of the future and the future education, and confirms the limitations of the pedagogy, that is to say, school-oriented paradigm. By doing so, this study suggests three visions, that is, creativities and challenge-minds, difference and tolerance, and inter-experience and win-win solution. And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three directions of the future education for schooling. They are the direction of open education, alternative education, and erudition paradigm. After all, the erudition paradigm must be an alternative plan to resolve the educational conflicts. The school-oriented paradigm can not realize the human being’s value and his/her erudition instinct. Erudition paradigm needs to deconstruct the pedagogy which is on behalf of edufascism and school-oriented paradigm. And erudition paradigm persists in redefining and retranslating the ideology and concepts utilized in the age of pedagogy. It is originally because erudition paradigm is an environment-focused and lifelong education-oriented paradigm.
다문화교육 분야 연구동향 분석: 『미래교육연구』학술지 중심으로
김효선 한국미래교육학회 2020 미래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한국미래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인 미래교육연구에서 연구되었던 다문화교육과 관련 한 연구동향과 쟁점을 분석하고 미래지향적이며, 실천지향적 관점으로 다문화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미래교육연구』 2011년 창간호부터 2020년 4월까지 게재된 다문 화교육관련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교육 연구동향 유형 및 범주를 분석한 결과, 실증연구 75%, 이론연구 25%로 실증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가 50%, 양적연구 12.5%로 질적연구가 4배나 높은 게재율을 보였다. 연구주제 분석결과, 실태 및 현황과 인식 및 태도에 관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대해 다룬 연구도 다수 존재 했다. 연구대상은 성인 특히 학교교육 밖에 있는 다수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였 다. 연구주제 측면에서는 앞서 언급했던 학령기 이후 성인을 위한 다문화교육이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future education research and to find future educational implications. This study was analyzed the paper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of 2011 through 2020 in the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a representative academic journal discussing future education. As a result of thesis analysis, empirical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tre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75% of empirical research and 25% of theoretical research. As a result of research subjec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urrent status, current status, perception and attitude, and there were many studies dealing with curriculum and program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earch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it seems that research on adults targeting a large number of adults outside of school education is necessary. As shown in the study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t was analyzed that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ensitivity were lower in adults in their 30s and older than in their 10-20s. Therefore, research on education for adults outside the school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r educational programs for adults after school age.
다문화인 강사의 관점에서 분석한한국 다문화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민정,최항석 한국미래교육학회 2012 미래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다문화인(人)으로서 다문화강사들의 한국 다문화교육에 관한 의견을 통해 현행 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미래 한국 사회에 다문화교육이 제대로 정립할 수 있는 초석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다문화인(人)으로서의 다문화강사 3인과 라포(rapport) 형성을 위해 그들이 진행하는 다문화교육 현장 수업에 참여하였다. 면담법을 연구기법으로 하여 그들과의 심층면접을 진행했으며, 면담 내용을 토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한국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연구 참여자 3인 모두의 의견을 종합한 결과, 다문화인(人)으로서의 다문화강사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은 다문화교육의 실제와 다른 한국 사회의 현실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교육의 개선 방안은 다문화교육의 내실화와 다문화교육 정책의 체계화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다문화교육의 문제 개선을 위한 과제로 배움의 기회들을 적극 활용하여 문화 차이에서 기인하는 갈등을 극복하고자 하는 여성결혼이민자 본인의 노력과 가족구성원들의 노력은 당연히 필요하며, 이들을 인정하고 함께하려는 한국 사회 일반구성원들의 의식 변화, 학생·교사·학부모들과 같은 교육당사자들의 협조와 이해 등 다양한 방면에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성·지속성·일관성이 부족한 다문화교육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다문화적 자긍심과 성취의 전형이 될 수 있는 모델들을 발굴하여 이를 교육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더하여, 지금 여러 곳에서 진행 중인 ‘찾아가는 다문화교육’을 제도적으로 학교 교육(공교육 과정)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것도 다문화교육의 지속성을 위한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through the opinion of multiculture instructors as multiculturalists about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in order to empirically seek a research problem. After synthesizing the present status of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and the opinions of all three research participants,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as for problems about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and improvement plans for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The problems about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which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e instructors as multiculturalists, were indicated to be the substa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the realistic problem about other Korean society. The improvement plans for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which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e instructors as multiculturalists, were indicated to be the substantia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 and the systematization of multiculture education polic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by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First, in order to overcome a conflict, which originates from cultural difference, by positively utilizing opportunities of learning as the task for improving problems about Korea's multiculture education, there is naturally a need of an effort in married immigrant women themselves and of an effort of family members. Second, as a method for improving multiculture education that is lacking in diversity·continuity· consistency, there is a need of suggesting this educationally by excavating models available for being a pattern of multicultural pride and achievement.
정지영,최운실 한국미래교육학회 2017 미래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초고령 사회를 목전에 둔 시점에서 신노년의 역할을 배움학적 관점에서 파악한 문헌연구이다. 한국은 2018년경부터는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고 2026년이 되면 초고령 사회로 변모하게 된다. 1955년 이후로 출생한 베이비부머가 본격적으로 노인세대로 편입되면, 우리사회는 말 그대로 노인국가가 된다. 초고령 사회의 미래 노년의 삶은 참으로 예측하기 어렵다. 앞으로 일어날 노년의 사회적 시나리오가 필요하다. 빠르게 변화하는 고령사회인 ‘시니어붐’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미래의 노년 교육이 중요하다. 노년교육의 안정적인 정착과 발전을 위하여 노년을 위한 평생교육을 배움학적으로 바라보고 바람직한 노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인식하고, 베이비부머의 배움의 활동을 알아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노년교육은 환원적이고 파편화되어 있어 유기적이고 총체적인 배움 활동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배움은 조화로운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과도 같다. 배움은 자기실현의 시작이자 마무리이다. 삶의 자기실현 실천을 제시한 이론이 배움학 이론이다. 이는 한준상교수가 주장한 평생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배움은 삶을 위한 밧줄이며 삶의 밧줄 꼬기 과정”으로 미래노년교육의 핵심 키워드이다. 배움학의 배움소인 생명경외, 학습탐구, 연단조리는 모든 세대가 서로 즐기고 함께 성장하는 삶의 뿌리를 제공하며 미래노년교육의 3단 통합원리를 추구한다. 배움소의 3단 통합 원리에 의해 호모 에루디티오로서 노년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학습탐구 배움을 위해 노년은 현실을 직시하고 이에 맞는 직업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노년은 생명경외를 기본으로 한 세대 간의 배움을 위해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노년은 연단조리와 함께 하는 정신건강을 위해 영성개발을 해야 한다. 넷째, 노년은 생명경외을 기본으로 한 적극적으로 사회봉사와 사회 참여를 해야 한다. 다섯째 노년은 생명경외를 위한 노년과 모든 세대의 정책을 구축하기 위해서 활발한 정치참여를 해야 한다. This study shows that Korea will enter an aged society by the year of 2018, and will become a post aged society by 2026. Once the baby boomer generation becomes a part of the elderly population upon their retirement, Korea will become an elderly nation. In terms of preparing for a 'senior boom,' an era of rapid change.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becomes salient. Lifelong education is vital to the preparation for the approaching 'senior b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ifelong education in terms of erudition. I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gerontologic education and determines beneficial activities the new aging generation should engage in. There are three learning elements in erudition; reverence for life, learning for truth, and discipline for the body and mind. In the study, the role of the elderly, that is, Homo eruditio, is analyzed based on the so-called principle of three-step intergration of the learning elements. First, for the sake of learning for truth, the elderly should accept their circumstances and be given appropriate vocational training. Second, for the sake of learning between generation based on the idea of reverence for life, an interaction between generations should be promoted. Third, for the sake of mental well-being through discipline for the body and mind, the elderly should pursue spiritual well-being. Fourth, for the sake of the idea of reverence for life, the elderly should participate in community service and activities. Fifth, for the sake of aging with reverence for life and forming a policy for all generations, the elderly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political activities. In order to live an organic and balanced life, the roles of the new elderly are grounded on the three-step integration principle of learning elements of erudition. This could not have been done in a traditional paradigm.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s of the likely emerging social problems due to the retirement of the baby boomers; and to develop a program that fulfills the needs of the new elderly for learning. Erudition should be applied to both the literature and field of lifelong education.
박주희 한국미래교육학회 2018 미래교육연구 Vol.8 No.2
본 논고에서 필자는 미래의 한국의 교육이 고민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누스바움의 강연 및 저서를 토대로 미래사회에 어떠한 교육이 중요한지 제시하려고 한다. 첫째, 인문학과 예술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제시하고, 둘째, 민주시민교육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감 또는 연민(컴패션, compassion)의 교육에 대한 주장을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하여 최종적으로 공존(co-existence)을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는 누스바움의 주장이 우리가 사는 시대에 교육철학이 지향할 바가 될 수 있음을 하나의 안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누스바움은 역사적으로 위대한 교육자와 나라를 세우는 데 앞장선 인물들이 모두 예술과 인문학이 어떤 식으로든 맹목적인 전통적 권위의 힘에 맞서는 지적인 저항과 독립적 행동에 필수적인 능력인 아이들의 비판적 사색 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었음을 우리에게 상기시킨다. 예술과 문학을 배우는 학생들은 또한 타인의 상황을 상상하는 법을 배우며, 그 상상력은 민주주의의 성공에 근본적으로 필요한 능력이다. 나아가 세계시민교육의 바탕이 되고 인류가 함께 살아가는 데에 반드시 필요함을 역설한다.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in terms of social culture, In this paper, based on the lecture and book of Nussbaum, which is considered to suggest its own proposal in the direction of Korean pedagogy, firstly, the reasons why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are needed are suggested. Second, the education through Socrates' dialog And the third, the need to move toward democratic civic education. Finally, I want to look at the claims of education of compassion or compassion. Thus, we want to show that Nussbaum's argument, which ultimately suggests co-existence as a goal of education, can be an orientation toward educational philosophy in our time. Nussbaum argues that historically great educators and those who are leaders in building a nation can all raise critical request for children, in which art and humanities are in any way intellectually opposed to the power of blind traditional authority, Remind us that we understood. Students who learn art and literature also learn how to imagine the situation of others, and their imagination is a fundamental need for the success of democracy. Furthermore, it emphasizes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foundation of world citizen education and humanity to live together.
한국 근현대교육의 식민성에 따른 미래 고등교육의 교육사회학적 논의
방재임 한국미래교육학회 2018 미래교육연구 Vol.8 No.3
This research explores develop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times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Korean universities and attempts to suggest directions for higher education of Korea in the future through an educational sociological discuss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the coloniality of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 in the past. With regards to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its colonialit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era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discussion on the future higher education in the perspectives of sociology of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future Korean higher education, teachers and learners may investigate on whether nationalist education under Japanese rule retained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while examining the remains of the colonial education and revealing developments undiscovered in today’s history of education. Second, there lies a possibility of the future higher education for learners to recognize the role of universities as socialization in higher education process, realize and identify the reproduction of specific ideologies and the occurrence of symbolic violence, acknowledge inequalities reproduced in various aspects, and consistently develop their thoughts by having interests and various perspectives in their society. Third, teachers and learners are required to constantly examine and study the discriminated and reversely discriminated-structure feigned as equalization, dichotomy on tradition and education, and the possible reproduction of inequalities across races, nationalities, genders and regions. 이 연구는 한국 근현대고등교육의 형성 초기가 되는 시기의 흐름과 특성을 살펴보고, 과거 근현대교육의 식민성에 따른 고찰을 중심으로 미래 고등교육의 방향성을 교육사회학적 논의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근현대교육은 일제 강점기, 미군정 시대의 교육적 식민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래 고등교육에 대한 교육사회학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 식민 통치하의 민족주의 교육이 우리의 언어와 문화를 지켜왔는지 살펴보는 것과 동시에, 식민지 교육의 잔재가 남아있는지 살펴보는 것, 이 시기의 교육사에 밝혀지지 않은 것은 무엇인지 연구해 보는 것도 고등교육의 미래를 위함이다. 둘째, 학습자들은 고등교육의 과정에서 대학의 사회화 기능 역할을 인지함과 동시에 특정 이데올로기 재생산, 상징적 폭력을 알아차리고 구분하는 것, 여러 분야에서 재생산되는 불평등함을 인지하는 것, 사회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관점의 존재, 더불어 자신의 생각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행위에 그 가능성이 있다. 셋째, 평준화를 가장한 차별·역차별구조,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관행과 교육, 인종적·민족적·성적·지역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고등교육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해체하고 배울 필요가 있다.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교육모델 분석 : 그룬트비의 교육사상 기반 평생교육 미래방향 탐색
김유미(You-me Kim) 한국미래융합교육학회 2024 미래융합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덴마크의 그룬트비 교육사상을 기반,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교육모델의 개념과 선진사례를 통해 한국의 평생교육의 정책적 시사점과 미래교육에 방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협회 관계자 인터뷰, 다각도의 추가자료 분석,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덴마크 교육제도는 그룬트비의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공교육과 비형식 교육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성인의 계속 교육을 통해 평생교육 정책이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폴케호이스콜레 교육방법과 대상과 정부 지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폴케호이스콜레는 삶을 위한 교육, 전인교육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실생활 중심의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정부와 민간단체 간 협력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 교육모델이 북유럽 국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나라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평생교육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미래교육의 선진사례로, 한국형 폴케호이스콜레 정책을 알리고, 추후 정책 수립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licy implications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and advanced examples of the Danish Grundtvig educational thought base, Folkeh øjskole educational model. To this end, qualitativ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 derive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additional data analysis on interview angles with stakeholders of the Folkeh ø jskole Association, and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Grundtvig's educational philosophy, Denmark's education system confirmed that public education and informal education are organically connected, and that lifelong education policies continue through adult continuous education. Second, we looked at the Folkeh ø jskole education methods, targets, and government support. Third, Folkeh øjskole stipulates that education for life, education for all people, and that it provides real-life-oriented education, especially through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Fourth, Denmark's Folkeh ø jskole education model was confirmed to be introduced and operated in various countries from Nordic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nform the Korean Folkeh ø jskole policy as an advanced example of future education and use it as a useful basic data for future policy establishment.
한국미래교육학회 한국미래교육학회 2016 미래교육연구 Vol.6 No.1
사교육비가 우리나라 가계와 사회 전체에 부담을 주고 있다. 교육부의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교육비 총 규모는 17조 8천억 원이며, 1인당 월평균 명목 사교육비는 24만 4 천원으로 나타났다. 사교육비의 대부분은 대학입학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선행학습에 투여되고 있다. 선행 학습을 규제하기 위한 정부의 법적, 제도적 노력들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교육과 선행학습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입시를 앞두고 있는 고등학교 재학생과 학부모의 선 행학습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았다. 선행학습을 경험했거나 인지했던 고등학생이 지니고 있는 선행 학습에 대한 필요성과 개념, 공교육정상화법 실행 이후의 변화와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의견 등을 청취하 였다. 결국, 공교육의 활성화와 선행학습의 규제는 어느 하나의 법률 제안이나 개별 대학의 입시정책 개선 으로 바꿀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사회 전반의 의식 수준을 높이고 미래교육에 대한 패러다임 구축을 통 해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사안이다. 앞으로의 미래교육은 점수 위주의 경쟁보다는 서로 배움과 상 호 나눔을 통한 자아실현과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성장을 추구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as an extra learning form, ‘prerequisite learning’ refers to those which study the subject in advance at least one month or more than their regular curr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ognitions and experiences on the prerequisite learning in high school students. By doing so, we can try to reflect the educational viewpoints not for the score-gathering but for the self-realizing and sustainable developing community-constructing, and to contribute to changing our educational paradigms for the futur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