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造形敎育學會소식 / 國內外의 美術敎育

        편집부 한국조형교육학회 1999 造形敎育 Vol.0 No.15

        1999년 2월 25일 오전11시 서울 영동호텔에서 한국조형교육학회 창립15주년을 축하하는 기념식이 있었다. 이자리에는 전 동덕여대 학장이었던 미협 이사장, 홍성우 본학회 고문 변호사등 15주년기념을 축하해주기 위해 내빈으로 참석했으며 신극범 한국학술 단체 연합회 회장 오경환 국립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장 미노루 데이도꾸 일본 미술과 교육학회 이사장 힐다 잔트너 독일 안스베르겐 미술교육학회 고문등이 축하 전문을 보내왔다. 특히 오경환 원장은 꽃다발대신 금일봉을 보내왔다. 기념식은 박한진 교수의 학회 15년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김춘일 학회장의 축하 기념인사말이 있었다.

      • KCI등재

        중등미술 교육에 있어 한국화 감상 방안 연구

        민병권,박점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60

        This study looks into developing curriculum education method in art education middle school through utilizing observing and appreciating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 which contains aesthetic value intrinsic to Korean consciousness. Since the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Korean art education has been centered on Western art legacy. This lack of balance has led to biased sense of aesthetics in the impressionable minds of middle school students. Hence, the author of this research explored curriculum education methods that can potentially restore a more balanced sense of aesthetic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o the adolescent students through introducing ways to observe and appreciate Korean traditional painting in the art education. By study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education’s way of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painting, the paper aimed at formulating a foundation on which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can be better understood and appreciated by the adolescent subject of education. Bearing the aforementioned as the base of the study, the paper offers three perspectives in the method of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painting so as to systematically articulate the focal point: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ontext’, ‘visual-perceptual emotional development’, and ‘appreciating Korean traditional painting as a way of cultivating personality character’. Through such method, the study looks at the issues and problems arising from middle school art education which is overly centered on Western art contents, and seeks curriculum education method employing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 which is embedded with traditional aesthetic legacy. 본 연구는 한국인으로서 심미의식을 가장 잘 함유하고 있는 한국화 작품에 대한 감상을 통한 중등 미술교육에 있어 교과 교육의 방안을 다룬 것이다. 해방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은 실기 및 방법론에 있어 서구미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음으로 인하여 미적 체험에 있어 매우 중요한 청소년기에 한쪽으로 편중된 미감을 가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초래하여 왔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화의 감상 방법에 있어 새로운 교육의 방안을 통한 청소년들의 동서양의 균형 잡힌 미감을 갖게 해줄 교과교육 방법을 찾고자하였다. 연구 목적의 실행을 위하여 현행 중등미술교육의 한국화에 대한 감상법의 장단점을 살펴봄으로써 한국화를 통한 교과교육 방법론을 개발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자는 한국화 감상의 방법 개발을 ‘역사적 맥락의 이해’, ‘시지각적 감성개발’, ‘인성도야로서 감상’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제시함 으로써 체계적으로 논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본 연구는 중등 미술 교육에 있어 서구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제점을 살펴보고 전통적 미감을 갖고 있는 한국화의 감상을 통하여 교과교육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 KCI등재

        대학 조형교육에서 윤리적 교육의 필요성 및 제안

        윤민희(Minhie YU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8

        본 연구는 대학의 조형교육에서 윤리적 교육의 중요성 및 제안을 연구·분석하였다. 최근의 시민교육의 중요성의 대두와 함께 예술교육에서도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윤리적 교육의 필요성이 등장하였다. 근대이후의 조형교육이 심미성과 창의성에 기반한 미적 가치의 추구가 중요한 교육목표였다면, 오늘날은 이러한 가치와 함께 전 지구적인 차원의 현황에 기반한 ‘사람과 지구를 위한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조형교육 영역에서 환경보호와 공익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형교육을 통해 지속가능한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윤리적 교육의 현황 분석 및 제안을 연구하였다, 세부적으로 예술의 미적 가치와 도덕적 가치의 역사적 고찰, 대학의 윤리적 교육의 시대적 필요성, 조형교육 영역의 윤리적 교육 현황, 윤리적 교육 제안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윤리적 교육 현황은 대학의 조형교육 관련 개설 교과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윤리적 교육 제안은 국내·외 전문가들의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분석하였 다. 본 연구는 조형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의식의 함양과 함께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성을 제안 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research studied and analyzed the proposal and importance of ethical education in the formative arts education of college. With the recent rise of the importance of civic education, the necessity of ethical education based on community consciousness emerged in arts education. The pursuit of aesthetic values based on esthetics and creativity was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in modern era s formative arts education, with these values, today s trend is shifting to education for people and the earth based on the global situation. In particular, it emphasizes sustainable education that pursue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public interest in plastic ar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ethical education as a way to implement sustainable education through formative arts education. In detail,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were composed of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and moral values of art, the necessity of ethical education, the ethical education situation in formative arts education, and the ethical education proposal. The ethic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on the curriculums related to plastic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ethical education proposals are studied and analyzed with reference to literature of domestic and foreign exper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global citizen consciousness as well as realizing sustainable education for all through formative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100주년을 맞이한 바우하우스 조형교육의 재조명과 현대적 의미

        윤민희(Min Hie YU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4

        본 연구는 100주년을 맞이한 독일 바우하우스 학교의 교육이념과 교육과정이 현대 조형교육에 끼친 영향과 의미를 연구하였 다. 1919년에 개교한 바우하우스는 1933년에 폐교하였지만, 바우하우스 교육은 오늘날까지 건축, 회화, 디자인, 공예 등의 영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는 1) 바우하우스 100주년의 의미 및 현황, 2) 바우하우스 학교의 설립 목적 및 교육과정, 3) 바우하우스 교육의 현대적 영향 및 의미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바우하우스 100주년의 의미 및 현황은 독일을 중심으로 2019년 진행되었던 바우하우스 관련 전시 등의 행사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바우하우스 학교 설립 목적 및 교육과정은 선행 연구된 문헌 및 베를린의 바우하우스 아카이브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바우하우스의 현대적 영향 및 의미는 국내·외 대학 교육과정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분석하였다. 총체적 예술을 지향한 바우하우스의 교육이념은 오늘 날의 융복합 시대에도 전공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는 한국 조형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바우하우스 교육에 대한 현대적 재조명을 통하여 융·복합 교육의 중요성을 제안하는 연구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concept and curriculum of Bauhaus School in Germany, which celebrated its 100th anniversary, on modern art education. Although Bauhaus opened in 1919 and closed in 1933, Bauhaus education still has a profound influence on the areas of architecture, painting, design and crafts to this day. This study focuses on 1) the meaning of the 100th anniversary of Bauhaus and the current status, 2) the purpose and curriculum of the Bauhaus school, 3) the modern influence and meaning of Bauhaus education. The meaning of the Bauhaus 100th Anniversary and the current status centered on 2019 events such as the Bauhaus-related exhibitions which held in Germany. The purpose and curriculum of the Bauhaus were studied based on the documents and archives in Berlin. The modern influence and meaning of Bauhaus education were studied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curriculum. Bauhaus educational concepts, which aims for Gesamtkunstwerk, offer many implications for Korea s art education, which provides a major-oriented education even in the age of convergence.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by reillumination of Bauhaus education.

      • KCI등재

        한국미술 감상교육에서의 문화적 다원성 - 문화 변용의 관점에 의한 방법론 -

        류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8

        A lo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done recently. I think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 viewpoint of the culture and cultural understanding that passes the art are important.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another culture and one's culture clearly. Moreover, it is also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expecting generally the traditional culture will be plurally seen clea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ill research seeing the culture on a plural side.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discuss it concerning a social cultural viewpoint that sees the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in cultural pluralism. The present study is a part of the methodological research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to put the base on cultural diversity at the present period was examined here. Especiall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class progressed and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viewpoint to acculturation in Korean art.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Cultural pluralism improves communications skills through an affirmative concern for the opened attitude to the art and the culture, especially other cultures. It is necessary to deepen recognition to the culture like cultural contact and the transformation, etc. in the class to which cultural pluralism is done by the subject. It is possible to grope for the identity of one's culture through this. Through Art appreciation education, cultural pluralism expands the outlook on the world for approach to the culture. 미술 감상을 통한 문화적 다원주의의 교육과 다문화교육은 동일한 것인가,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또한 만약 다문화교육의 개념을 ‘타문화와 우리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나아가 차이가 생기는 원인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찾는 것’(류재만, 2010; 박미진, 2010)이라고 본다면, 물론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이나 미술을 통한 문화이해의 측면이 강조된다. 그러나 ‘타문화’와 ‘우리 문화’라는 구분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무엇보다도 ‘타문화’와 ‘우리 문화’는 과연 확고하게 구분될 수 있는가. 또 전통문화를 다원적으로 접근할 때와 일반적인 전통문화로 접근할 때의 차이는 무엇인가 등 특히 다원적 측면에서 문화에 대한 접근 방식에는 아직 미흡함이 보인다. 특히 문화적 다원성 가운데 한국의 전통 문화를 보는 사회문화적 관점에 관한 논의가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는 감상교육의 방법론 연구의 일환으로, 여기서는 현대에 있어서 문화적 다양성에 기반을 둔 감상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전통미술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에서 문화변용의 관점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및 수업을 진행하고 이에 대해 분석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감상 교육에서 문화적 다원성은 다음 관점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본다. 첫째, 문화적 다원성은 미술과 문화에 대한 열린 태도, 특히 타자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하도록 한다. 문화적 다원성에 대한 모색은 미술과 문화에 대한 열린 태도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다른 문화, 타자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을 통해 미술에 기반을 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또 그렇게 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적 다원성을 주제로 하는 한국미술 감상수업은 문화 접촉과 변용 등 문화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며 이는 자기 문화의 정체성 모색으로 연결된다. 문화의 전통과 문화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이문화간 문화접촉, 갈등, 수용의 과정을 거쳐 온 동아시아 미술 맥락에 의한 감상을 통해 더 보완될 수 있다. 문화적 다원성을 고려한다는 것은 ‘한국미술은 훌륭하다’ ‘중국 미술도 일본 미술도 모두 훌륭하다’는 식의 문화 상대주의적인 입장이나 ‘불교미술의 공통성’ ‘미적 원리의 유사성’, 그래서 문화는 다 비슷하다는 식의 보편주의만이 아니라 상호간의 관계, 그 사이의 미적 원리를 맥락에 의해 모색하고자 하는 노력인 것이다. 이러한 문화변용의 측면에서 한국미술의 특징을 모색하는 것은 정치적이며 집단적인 이데올로기를 벗어나 자기문화의 정체성을 새롭게 확립해 나가는 과정이 된다. 셋째, 문화적 다원성은 감상교육에서 문화에 대한 다원주의적 접근을 통해 세계관을 확대시키도록 한다. 한국미술 감상교육은 ‘우리 것’으로, 애호와 보존의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기 쉬운 한국미술을 과거의 전통을 주어진 방식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새롭고 흥미로운 문화를 받아들이거나 새로운 것들의 홍수에 휩쓸려 그저 순종적인 소비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 감상교육을 통해 자신의 눈으로 새롭게 발견하도록 하면서 기존 사고의 틀을 깨뜨려 가는 것이다. 자신과 타자의 만남에 의해 상호간 차이, ‘다름’의 단계를 발견하는 것, 나아가 자기 자신에게서 타자의 모습을 발견하는 것, 만남을 통해 자신과 타자의 연결점을 찾으려는 태도는 오늘날 다원주의적 접근의 중 ...

      • KCI등재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 비교문화적 미술교육 연구

        고은실 한국조형교육학회 2010 造形敎育 Vol.0 No.38

        I have taught Korean art appreciation class for four years at a college to the international foreig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In the classroom setting, I found its cross-cultural aspects of art education such as the combination of international-foreign students and Korean students, their diverse backgrounds and motives of taking the course, and teaching Korean art and culture in English, a foreign-international language. Through this study, I found teaching Korean art appreciation course in English as a practical example of cross-cultural art education. This study reflects the current issues of English medium instruction (non-english subjects in English) which is booming in Korea's higher educa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English course of Korean art appreciation let students understand Korean art as a cultural and historical products and basic to human survival and helps the students develop their awareness of their own cultures and identities as well as those of others'. This study suggests the English course of Korean art appreciation in the classroom with foreign and Korean students as cross-cultural art education is for the students a means to teach tolerance and empathy and a nourishing environment to make global citizens in this inevitably globalized and multiculturalized Korean society. 세계화, 국제화 시대에 영어가 세계 공용어, 국제 중심언어가 되자, 사회에서는 전공을 불문하고 영어능력을 요구하고 있고, 대학에서의 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이 취업률 향상으로 이어지고 글로벌 지식을 얻기 위해서는 영어의 습득이 필수라고 주장하며 대학들에서 영어강의를 확대되었다. 대학에서는 ‘대학의 국제화가 곧 강의의 영어화’라는 생각에서 학생들에게 세계와 경쟁하는 마인드를 심어주고 이를 통한 대학의 세계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한국경제, 2010.10.10).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의는 이러한 국내 대학들의 전공 영어강의 붐에 따른 정책의 일환으로 생겨났고,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외국학생들과 한국학생들의 통합수업에서 한국미술감상을 영어로 진행하는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는 급속도로 다문화․세계화․국제화되는 한국 사회와 미술계의 변화를 반영한다. 사람들은 전 세계로 여행을 다니고, 다른 나라의 언어로 소통하며,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세계의 모습과 현상을 보고 있으며, 다른 인종과 민족과 문화의 사람들이 이웃에 살고 있고, 이들이 결합된 다문화 가정들을 한국의 도시와 지방, 언론 매체 등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즉, 한국 사회를 더 이상 단일 문화의 나라라고 말할 수 없다. 미술계 또한, 한국 작가들이 뉴욕을 포함해 전 세계에 나가 전시를 하고 있고 세계적인 작가들이 국제적으로 자신들의 작품을 국제 관객들에게 보여주고자 한국에 온다. 훅(hooks, 1998)에 따르면 유목생활(nomadism)은 포스토모더니즘 시대의 현상이며 인간 경험은 계층, 문화, 인종, 성별, 국적을 놀랍게도 넘나들고 있다고 설명한다. 비교문화적 미술교육의 한국미술이론 영어강좌는 학생들에게 공감어린 감상과 이해와 다른 문화의 사람들에 대한 존중을 발전시키도록 하며 개인의 자신과 타인의 문화와 세계관의 영향을 더 깊이 이해하도록 돕는다. 미술수업에서 다른 배경과 문화와 전통을 가진 사람들을 자신과 같은 인간으로 보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나아가 단지 인류학적 인간적인 이타심만이 아니라 이 사회와 세상을 살기 위한 능력으로 인식된다. 즉, 개인을 전인적인 한 개인이자 더 큰 세상의 시민이 되게 한다(Anderson & Milbrandt, 2005; Erickson, 2000; Garber, 1995). 비교문화적 미술교육은 개인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에서 세계에 대한 공감으로 옮겨간 것을 의미한다(Davenport, 2000; Garber, 1995). 한국 사회는 더욱 다문화화될 것이고 세계화되고 국제적으로 통합되는 환경이 될 것이다. 그 현상은 대학의 전공 영어강의를 진행하는 강의실에서만이 아니라 초중등학교와 지역사회와 생활 주변에서 보편적이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로 다른 문화와 국적을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문화와 미술의 주제를 외국어로 의사소통하는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좌는 비교문화적 미술교육의 실제 적용으로 현 사회의 현상과 현대의 한국 미술교육의 변화를 보여준다. 한국미술감상 영어강의를 통하여 학생들은 사회 속에서의 개인의 경험과 인간 존재에 대한 이타적이고 공감적인 이해와 현대 사회에 개인들에게 요구되는 세계 시민으로서 세계 공동체에 대한 인식을 배우게 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Banks, 2004; Anderson, 1995; Garber, 1995). 즉, 이 연구의 정당성과 필요성과 중요성은 변화하는 미술계와 사회 현상에 대한 반영일 뿐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들과 함께 급속화되는 한 ...

      • KCI등재

        차원적 사고(dimensional thinking) 훈련을 위한 미술교육 방안: 대학생의 종이조형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임하나,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造形敎育 Vol.0 No.53

        This study examins the model of ‘dimensional thinking’ training with thefocus of visual art to suggest effective and practical ways for teaching thinkingskills as the 21st century learners’ core competencies. This idea is based on theconcept of ‘dimensional thinking’ devised by R. Root-Bernstein and M. Root-Bernstein and the five steps of ‘thinking in new boxes’ by Luc deBrabandere and Alan Iny. Our study also explores the possibilities and strategies of art education forthe ‘dimensional thinking’ training by analyzing college students’ artworks,interviews, self and peer assessmen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ing:Firstly, the ‘dimensional thinking’ training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inkingeducation for it provides the training activities for creative thinking and cognitiveflexibility, and the experiences of diverse perspectives and thinking processes. Secondly, by combining an existing thinking training method and art education, acase of paper art class in this study provides possibilities and a practical model of‘dimensional thinking’ training with the focus of visual art. Lastly, art educationfor ‘dimensional thinking’ training has shows the possibilities for expanding anexisting language-centered thinking education towards the visual one. This thinkingtraining is also useful for it makes the thinking process visible. Therefore, the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 should seek systematic ways andactual models of thinking training to apply them to various school subjects, anddevelop and implement thinking training programs with the focus of visual art foreach school level along with teacher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는 21세기 핵심 역량으로서 사고력 교육을 위한 효과적이고 실제적인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R. 루트번스타인과 M. 루트번스타인(R. Root-Bernstein & M. Root-Bernstein)의 ‘차원적 사고(dimensional thinking)’ 개념을 사고력 교육의 중심 도구로 선정하고, 뤼크 드 브라방데르와 앨런아이니(Luc de Brabandere & Alan Iny)의 ‘새로운 틀에서 생각하기’ 5단계 접근법을 적용하여 미술(조형 표현)에 초점을 맞춘 ‘차원적 사고’ 훈련 모형을 고찰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위의 모형을 적용한 종이조형 수업의 결과물과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인터뷰 및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분석함으로써 ‘차원적 사고’ 훈련을 통한 미술교육의 가능성과 방안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론은 다음의세 가지이다. 첫째, 2차원과 3차원을 넘나드는 ‘차원적 사고’ 훈련은 사고의 창의적인 전환과 인지적유연성에 대한 훈련을 제공하고, 관점과 사고 과정의 다양성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고력 교육의 맥락에서 매우 필요하다. 둘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종이조형 수업 사례는 기존의 사고훈련 프로그램과 미술교육을 결합함으로써 미술(조형 표현)에 초점을 맞춘 ‘차원적 사고’ 훈련의 가능성과 실제적 수업 모형을 제공한다. 셋째, ‘차원적 사고’ 훈련을 위한 미술교육(조형 수업)은 언어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사고력 교육을 언어 외적인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사고를 시각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사고 훈련 과정을 쉽게 가시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따라서 이 연구가 사고력 교육과 미술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고 훈련에 대한체계적 접근법과 실제적인 모형을 학교 교과에 적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미술(조형 표현)과 같은 언어 외적인 방법을 통한 사고 훈련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도록 수준별교육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교사교육 및 연수를 개발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박소영,양윤정,배경선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9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for schools to implement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based on key competencies. First,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we made operational defini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n drew general directions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based on 2015 national curriculum.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competencies reflected on directions of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nature, objective, content structure, standard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as well as foreign examples that gave implications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chools. In order to cultivate five competencies defined by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we could confirm the basic directions that art lessons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based on the curriculum and explore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cusing on curriculum reorganization based on teachers autonomy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based on reorganized lesson plans. We floated the ideas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to develop objective,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and presented the feedback process about results and review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ssessment, and the whole lesson through implementing the lesson planned by reorganized curriculum with examples. We also suggested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supports needed for implementation of lessons based on competency-based art curriculum. 본 연구는 핵심역량에 기반하여 개정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도록 실행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실행의 의미를 이론적 탐구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 부합되게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근거 하여 개괄적인 교육과정 실행 방향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 반영된 역량을 분석하고, 학교 수준에서의 실행 방안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외국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섯 가지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미술 수업이 계획되고 실행되며 평가되어야 한다는 실행의 기본 방향을 확인하였고, 교사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과 재구성한 수업 계획에 기반한 교수·학습 및 평가를 중심으로 실행 방안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미술 수업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계획하는 교육과정 재구성 방안, 교육과정 재구성에 의해 계획된 수업의 실행으로써 교수·학습과 평가, 수업 전반에 대한 검토와 결과에 대한 피드백의 과정을 사례를 들어 제시하였다. 그밖에 미술 교과 역량 교육과정에 기반한 수업 실행을 위해 필요한 인적, 물적 지원 사항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메이커교육 기반의 3D 제품디자인 프로그램 개발 연구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신지현(Jihyun SHIN),심영옥(Youngok S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5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ability to produce 3D product designs based on mak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ability of the learners to integrate crea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art subjects, and to improve the ability of design thinking and spatial visualization through the newly developed learning program. The right people, who are being pursued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and in the era of the fourth revolution. As a result, education is highlighted by convergence education that can avoid the existing uniform education, realize individual dreams and talents, and express creativity. Thus, in order to develop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learners, a product design class based on maker education was proposed by combining technology and art.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as valued in exploring and embodying ideas, and the 3D program of Tinker CAD was used to visualize ideas. Through these courses, learners will be able to develop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design thinking skills,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practical design studies and become self-directed art education in the exploratory aspe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메이커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3D 제품디자인 제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미술 교과에서 창의 융합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디자인적 사고와 공간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었다. 4차 혁명 시대로 흘러가고 있는 요즘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추구하고 있는 인재상은 창의·융합형 인재이다. 이로 인해 교육은 기존의 획일적인 교육을 지양하고 개인의 꿈과 끼를 실현시키고 창의력을 발현할 수 있는 융합교육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력을 길러 주기 위해 기술과 예술을 접목하여 메이커교육 기반의 제품디자인 수업을 구안하였다.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구체화 하는 데 있어서 학생들 간의소통을 중시하였으며, 아이디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 Tinker CAD의 3D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공간시각화 능력과 문제해결력, 독창적인 디자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실용적인 디자인 학문에대해 이해하며 탐구적 측면의 자기 주도적 미술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창조의 관점에서 본 ‘가르침의 예술성’에 관한 교육학적 이해: 예술기반 교육연구에 기초한 실행연구

        옥영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60

        본 연구는 기존의 ‘과학적 사고’에 근거한 이론적 탐색에 집중되었던 가르침에 대한 연구를, 교사가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고 경험한 사실로부터 새로운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창조의 관점’에서 가르침의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창조의 관점에서 가르침을 이해하는 차원은 가르침에 함의되어 있는 ‘예술성’의 의미를 보다 명료화하고 실제 가르침의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교육학적 시사점을 찾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조를 기반으로 하는 ‘예술기반 교육연구’에 근거하여 연구자의 실제 수업현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되는 ‘실행연구’ 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가르침의 예술성의 의미와 교육학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르침의 예술성은 교육예술가가 되고자 노력하는 교사의 몸부림으로 노력 그 자체가 최고의 예술이다. 둘째, 수업에서 다루어지는 예술적 대상과 형식은 지각훈련을 위한 훌륭한 도구가 된다. 셋째, 예술에 의한 질성적 사고는 ‘하나의 경험’의 핵심요소로서 창조적 교육활동의 터전이 된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 다.’는 불변의 진리(?)와 ‘교사의 예술적 가르침은 교사와 학생 모두가 행복한 삶이 될 수 있음’을 경험하는 작업이었다. 이러한 경험은 구체적으로 교육활동 자체가 예술성을 띠는 교육의 미학화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교육의 미학화는 예술의 의미확대를 통한 예술교 육의 본질적 변화를 촉구한다. 나아가 교사는 학습자의 훌륭한 모델이 될 수 있음으로 교사의 권위회복과 교육현장의 정상화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eachers ‘artistic value of teaching’ in pedagogical respect from creative viewpoint. The level to understand teaching from creative viewpoint has significance in finding educational suggestions by clarifying the meaning of ‘artistic value’ that is implied in teaching and by showing some practical cases of teaching.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artistic value of teaching is a struggle of teacher who tries to be an artistic educator, and the best arts are the efforts of teacher. Second, the object and form of arts in class become good tools for sensory training. Lastly, the qualitative thought through arts is a core element of experience and becomes the ground for creative activity of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have effects as follows. First, they will contribute to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hrough aesthetisation of education. Second, they suggest an essential transformation of artistic education. Third, they suggest transformation over the whole learning activity with wide understanding of teaching. Lastly, they are expected to contribute positively to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through recovery of dignity of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