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구연 :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세포암의 조기진단으로 Lead-time Bias 이상의 생존율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

        엄순호,김용식,조남영,진윤태,전훈재,이홍식,이상우,최재현,김창덕,류호상,현진해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Screening을 통해 간세포암을 조기 진단함으로써 암 환자의 생존예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lead-time (조기암에서 진행암까지 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 이상의 진정한 수명연장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는 불분명한 실정이다. 이에 연자 등은 연구개시점에서 간세포암을 동반하지 않았던 간경변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추적 중 1) 간세포암의 조기진단이 실제로 간경변증 환자의 생존기간 및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는가를 알아보고, 2) 조기진단을 위한 정기적인 초음파검사가 생존율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1년 10월 이후부터 1999년 7월까지 본원에서 추적, 관찰하였던 간경변증환자 8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세포암의 병기는 아구역 이상의 맥관을 침범하지 않는 장경 5cm 미만의 단발 또는 3cm 미만의 2-3개의 다발 암의 경우 조기 암으로 정의하고, 그 이외의 암은 진행성 암으로 정의하였다. 암 진단 전 스크리닝 초음파검사가 시행되었던 간격에 따라 6개월 이하 (I), 7-12 개월 (II), 13개월 이상 (III)의 3군으로 구분하였다. 누적생존율은 Kaplan-Meier 법으로 산출하고,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나아가 Cox regression model에 의한 다변량분석을 통해 생존율을 보정, 비교하였다. 결과: 1) 추적관찰기간의 평균은 48개월이었으며, 추적 중 118명에서 간세포암이 진단되었다. 2) 암 진단시점에서 69예(59%)가 조기 간암에 해당하였으며, 59 (41%)예가 진행성 간암이었고, 80(68%)예에서 비대상성 간경변증의 증상을 보였다. 3) 진단 직후 3예가 누락되고, 80예에서 부분간절제술 (7예, 6%), 비수술적 국소치료와 간동맥화학색전술의 병합요법 (36예, 31%), 간동맥화학색전술 단독요법 (37예, 31%) 등 적극적인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나머지 35예(30%)에서는 고식적 치료만이 시행되었다. 적극적인 치료는 조기암의 경우 80%에서 시도되었고, 진행암의 경우 55%에서 시도되었다. 4) 간경변증환자의 추적 개시 후 3년 및 5년 생존율은 추적 중 조기 간세포암이 진단된 경우 각각 77%, 37%이었고, 진행성간암을 진단 받은 경우 각각 57%, 22%로 두 군간에 유의한 (p=0.008)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와 같은 차이는 다변량분석을 통해 개시점에서의 예후인자를 고려하더라도 유의하였다. 6) 암 진단전 초음파검사가 시행된 간격에 따라 각 군의 조기암의 빈도는 I군 69%, II군 63%, III군 43%로 유의한(p<0.05)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추적 개시 후 5년 생존율은 I군 30%, II군 33%, III군 2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다변량분석을 통해 개시점에서의 예후인자를 고려하더라도 유의하지 못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간세포암의 조기진단은 간경변증 환자의 생존기간 및 생존율 향상에 실제로 유의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조기진단을 위한 정기적인 초음파검사는 조기암 진단율의 부분적인 향상에도 불구하고 약 30%의 조기암을 간과함으로써 아직도 생존율 향상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보다 민감하고 효율적인 Surveillance 체계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ASD 조기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최진혁 ( Choi¸ Jinhyeok ),박재국 ( Park¸ Jaekook ),김지훈 ( Kim¸ Jihoon ),최민혁 ( Choi¸ Minhyeok ),김민영 ( Kim¸ Min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ASD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조기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SD 진단과 관련된 기존 진단도구 및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진단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후 ASD의 진단 관련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진단 문항의 적절성과 연령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ASD 조기진단도구의 문항은 ‘사회적 상호작용’, ‘감각반응’, ‘제한된 관심과 반복적 행동’ 총 3개 영역, 33개의 문항이 산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ASD 조기진단 문항이 추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ASD 조기진단도구의 추후 방향 및 논의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diagnosis tool that can diagnose ASD at an early stage.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diagnostic question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existing diagnostic tool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SD diagnosis. Afterward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20 ASD diagnosis-related experts. Through the Delphi survey, the relevance and age fit of the diagnostic items were verified.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33 items were calculated for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in 3 areas: 'social interaction', 'sensory response', and 'restricted interest and repetitive behavior'. Conclusion: In this study, ASD early diagnosis items were extracted, and based on this, the future direction and discussion points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ere presented.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진단 및 교육 연계를 위한 지원 체계 수립 요구: 부모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이소현,이수정,윤선아 한국자폐학회 2013 자폐성 장애연구 Vol.13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 dramatical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Moreover,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are considered as important components for promoting positive outcomes of educational servi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how parents experience and perceive on the process of early diagnosis of their own children as hav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ransition into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10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participated in focus interviews. Four themes and eleven sub-themes were emerging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transcripts. Four major themes are the following: (1)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ferral, (2)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diagnosis, (3) difficulties related to the results, and (4) needs for establishing support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to develop support system for facilitating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자폐 범주성 장애는 출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함께 진단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장애의 특성상 조기진단을 통하여 가능한 한 이른 시기에 발견하고 조기개입을 실시하는 경우 그 예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이 강조되면서 장애의 조기진단 및 교육 연계에 대한 관심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진단 및 교육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 체계 수립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녀의 자폐 범주성 장애 진단 과정을 경험한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1) 진단 의뢰 전까지의 어려움, (2) 진단 과정에서의 어려움, (3) 진단 결과와 관련된 어려움, (4) 지원 체계 수립 요구라는 4개의 주제 및 각 주제에 따른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 진단 및 교육 연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요구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정신분열병의 조기탐지와 개입 연구 고찰

        송현주 한국심리치료학회 2009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 No.2

        오랜 세월 동안 정신장애의 치료에 많은 발전이 있어 왔고 최근에는 다른 신체 질환과 마찬가지로 정신장애 분야에서도 조기 진단과 조기 개입과 관련된 연구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본 고찰에서는 정신분열병의 조기진단과 조기 개입에 대한 연구들 중 인지적 취약 요인에 대한 연구 흐름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후 정신분열병의 조기 진단과 조기 개입 분야에서 심리학 분야의 보다 적극적인 기여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신분열병 조기 진단과 개입 연구에서 다학제적인 접근에 기초를 둔 보다 정교화 되고 발전된 기법 적용의 필요성이 강조되었고 전구 증상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개발되어 있는 다양한 심리 사회적 프로그램들의 적극 활용이 제안되었다. 주요어 : 조기 진단, 조기 개입, 예방, 정신분열병, 인지요인, 전구 증상

      • KCI등재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역할 및 과제

        이소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0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9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 dramatical increase in research to examine the cause and core deficit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As the result, our knowledge ab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has been greatly expanded. Autism is conceived a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with a biological basi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can make a positive difference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autism and related disorders. Moreover,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play an important role as predictors of outcomes of person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systematic system for early detection and to claim the development and the practice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e purpose, research related to the early detec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e past 10 years was reviewed. Findings and discussions on early detection were provided in terms of screening and diagnosis. Current issues related to the most efficacious early intervention in autism were also provided. Finally,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early detection and early intervention were discussed. 최근에 들어서 자폐 범주성 장애의 원인을 규명하고 핵심적인 결함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자폐 범주성 장애는 태어나면서부터 지니는 생물학적 근거의 신경 발달적 장애임이 규명되었으며, 특히 적절한 중재적 접근을 통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조기발견을 통한 조기개입이 최상의 예후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일 수 있음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내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을 위한 진단 체계 구축 및 방법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진단과 연계되는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의 활성화를 촉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간 자폐 범주성 장애 조기발견과 관련된 연구 동향과 이들 연구에서 밝혀진 영아기 초기 발달 특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발달 특성과 연계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조기진단 방법론을 알아보고, 더불어 조기발견의 가능성을 전제로 한 조기개입의 최근 동향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자폐 범주성 장애의 조기발견 및 조기개입의 역할 및 과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악성 골 종양의 초기 증상

        오주한,이상훈,서성욱,이호규,김한수,Oh, Joo-Han,Lee, Sang-Hoon,Suh, Sung-Wook,Lee, Ho-Kyoo,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목적: 골 육종, 연골 육종은 흔한 질환이 아니므로, 일차 진료 현장에서 명확한 진단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고, 진단의 지연이나 오진으로 인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질환에 대한 초기 증상과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여 이를 확인하고, 조기 진단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진단된 골 육종이나 연골 육종 환자로, 기록 검토와 설문지 조사가 가능한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 육종 환자가 108명, 연골 육종이 31명이었고, 남자가 86명, 여자가 5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골 육종이 20.2세, 연골 육종이 42.4세이었다. 결과: 병원을 방문하게 된 초기 증상은 두 질병 군 모두에서 동통이 가장 많았는데, 골 육종은 101명(93.5%), 연골 육종은 19명(61.3%)이었다. 이들 중 골 육종의 49명(48.5%), 연골 육종의 1명(5.3%)에서 통증이 외상과 관련되어 시작되었으며, 야간 동통이 골 육종의 77명(76.2%), 연골 육종의 11명(57.8%)에서 있었다. 처음 방문한 진료 기관에서 악성 골 종양으로 진단된 경우는 골 육종에서는 66명(61.1%), 연골 육종에서 20명(64.5%)이었고, 오진된 경우는 골 육종에서는 골절로 본 경우가 18명(16.7%)으로 가장 많았으며, 연골 육종에서는 골 감염으로 본 경우가 6명(19.4%)으로 가장 많았다. 초진 시에 방사선 촬영을 시행한 경우 골 육종과 연골 육종 모두에서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고(p=0.009, p=0.014), 성인 군에서의 진단율이 높았다(p=0.037). 연골 육종에서 골 육종보다 환자와 의사에 의한 지연이 모두 길었다. 진단의 의사 지연을 길게 하는 요소로는 초진 시에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지 않는 것과 골반 등 축성골에 종양이 위치하는 것이었고, 외상과 미성년 환자는 진단의 환자 지연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요소로 파악되었다. 결론: 악성 골 종양의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외상이나 야간 동통 등의 병력 청취를 소홀히 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초진시의 단순 방사선 촬영과 주기적인 경과 관찰 및 방사선 사진의 비교 등으로 조기 진단의 정확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Purpose: Delay in the diagnosis of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may critically influence the chance of the patients' survival and the limb sparing, but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re so rare that most doctors have little experience in these challenging diseas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initial symptoms of osteosarcoma and chondrosarcoma, and to shorten the delay of diagnosis.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nd the medical records from 139 patients whose histological diagnoses were confirmed in the authors' institution. There were 108 patients of osteosarcoma and 31 patients of chondrosarcoma. Eighty-six were male and fifty-three were female.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20.2 years in osteosarcoma, and 42.4 years in chondrosarcoma.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 that the patient consult the doctor was pain (93.5% of osteosarcoma patients and 61.3% of chondrosarcoma patients). Among them, 76.2% of osteosarcoma and 57.8% of chondrosarcoma patients complained the night pain. The history of trauma was evident in 48.5% of osteosarcoma patients and one patient of chondrosarcoma. At the first medical visit, the malignant bone tumor was suspected in 61.1% of osteosarcoma and 64.5% of chondrosarcoma patients. Fracture was the most common misdiagnosis in osteosarcoma (16.7%), and the osteomyelitis in chondrosarcoma (19.4%). Initial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the adult age were shown to increase the rate of correct diagnosis of both diseases (p<0.05). Patient's delay and doctor's delay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chondrosarcoma patients than in osteosarcoma. Initial radiography led to shorten the doctor's delay, and the axial location of the tumor lengthened the doctor's delay. Trauma and the young age were believed to shorten the patient's delay. Conclusion: Careful history taking, including the night pain and trauma, would be mandatory for the early diagnosis of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and the initial radiographic examination and periodic follow-up can increase the rate of correct diagnosis.

      • KCI등재후보

        장애영아 진단 및 조기 개입 서비스와 양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지원 요구

        조윤경 한국발달장애학회 2013 발달장애연구 Vol.17 No.2

        Parents begin with the child-screening and diagnosis of disability, and implementing the early interven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parents' recognition of early child findings(screening), diagnosis, and early intervention services, the difficulties in raising their children, and supports needed from the parents' view, the recipients of services. 10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under 3 years were interviewed, enrolled 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pecial preschool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ilities, and segregated and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which operate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across the country. The contents of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parents responded they had experienced the psychological distresses at about the diagnosis of disability time. Second, a few parents didn't get early intervention services immediately, but most got the rehabilitation therapy and education program. The principles of early intervention as family centered program etc were carried out but the level of enforcement was low. And evaluations on the role executions of service providers we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 well. Third, parents told they suffered from psychological problems of family members, economical burdens, special need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inappropriateness of others. Fourth, based on these difficulties, the provision of family and economical supports, improvement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 and reinforcement of social and national supports were suggested. Directions toward problem solving were further discussed. 영아의 장애 발견과 조기 개입 서비스는 부모에게서 시작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시작자이면서 수혜자인 부모의 관점에서 조기 선별과 진단평가, 조기개입 서비스 제공이라는 일련의 과정과 장애영아 부모로서의 양육 어려움과 지원요구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영아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특수학교․장애전담어린이집과 통합어린이집․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10명의 장애영아 부모가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내용은 전사되었고, 내용분석 결과, 첫째, 자녀의 장애 특성을 발견해서 진단하는 과정에서 진단 후에 자녀의 장애를 받아들이기가 상당히 어려웠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진단 후 곧바로 일부 조기 개입을 시작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재활치료와 교육을 병행하고 있었다. 장애영아 가족 중심의 포괄적인 조기 개입의 원칙 등은 시행이 되더라도 낮은 수준이었고,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 수행에 대해서도 긍정과 부정적인 평가가 엇갈렸다. 셋째, 가족의 심리적인 문제, 경제적인 부담, 장애 자녀로 인한 힘듦, 기타 주변 반응의 부적절함 등으로 장애 영아 양육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였다. 넷째, 어려움에 근거하여, 가족지원 제공, 경제적인 지원,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내실화, 국가와 사회의 지원 강화 등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해결할 수 있는 추후 방안들이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 KCI등재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과 평가 시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중요성에 관한 질적연구

        윤미선(Mi Su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3

        배경 및 목적: 청각장애 아동은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능력의 제한에 의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청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청각장애 아동이 겪는 어려움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육과 재활의 방향과 목표 설정에도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과 평가 시 이러한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청각장애 진단, 치료, 교육에 관여하는 의학,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 청각학의 관련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면담 내용을 질적연구의 방법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청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평가가 아동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데에 있어 중요하다는 점에 일치된 견해를 보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통해 첫째, 청력손실 위주로 되어있는 현 청각장애의 진단과 정도 분류 기준은 의사소통능력을 나타내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둘째, 인공와우이식과 같은 기술의 발달 및 조기진단과 조기중재의 확산과 같은 내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고, 셋째, 청각장애의 진단과정에 관련 분야 전문가의 팀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과 평가를 위하여 음성언어능력에 대한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새로운 기준과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of communication abilities in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and to analyze the current evaluation criteria for hearing impairment. Method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rofessionals from four different clinical setting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a qualitative constant-comparative design. Results: Professional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gre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communic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should be performed during diagnosis and assessment procedures. Three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The limitation of current evaluation criteria, (2) A change of environment is needed such as increased technical development of hearing devices and the expansion of early diagnosis and early intervention, and (3) The requirement for a team-based approach.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ew protocol and criteria including verbal communication abilities would be needed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 KCI등재

        자궁각 임신의 임상 양상 분석

        이세연 ( Sae Yeon Lee ),길기철 ( Ki Chul Kil ),최미나 ( Mi Na Chai ),정문영 ( Moon Young Chung ),김연희 ( Yeon Hee Kim ),권동진 ( Dong Jin Kown ),이귀세라 ( Gui Se 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7

        목적: 자궁각 임신의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의 효능성과 자궁각 임신의 조기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 병원에서 2000. 1. 1.부터 2004. 12. 31까지 자궁각 임신으로 진단된 26예 중 치료 전에 이미 진단된 군 (A군)과 수술 후 자궁각 임신으로 진단된 군 (B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과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 group은 8예 (30.77%)였으며 B군은 18예 (69.29%)였다. 두 군간에 연령 (33.0±6.21세 : 31.0±5.82세), 무월경 기간(7.32±1.07주 : 8.90±5.44주), 제왕절개의 기왕력 (25% : 27.8%), 자궁근종 (12.5% : 11.1%), 증상의 발현 중 복부동통 (50% : 77.78%), 질출혈 (50% : 55.6%), 쇽 (0% : 27.8%)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출산력 (1.63±0.74 : 1.0±0.77, p=0.032), 유산의 회수 (2.25±1.16회 : 1.11±1.18회, p=0.016) 및 자궁외 임신의 기왕력 (37.5% : 0%, p=0.022) 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료 방법 중 자궁각 절제 (50% : 94.4%, p=0.02)만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결론: 초음파에 의한 자궁각 임신의 조기 진단은 30.8%였다. 자궁각 임신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요인에서 출산력 및 자궁외 임신과 유산에 대한 과거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이는 이러한 기왕력이 있는 경우에는 의료진을 조기 방문하고 의료진 역시 자궁각 임신의 가능성에 대하여 주의를 요한다면 자궁각 임신의 조기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ultrasonogram in the detection of cornual pregnancy and the factors that might be affected on early diagnosis. Method: We studied 26 cases which were diagnosed as a cornual pregnancy from Jan, 1, 2000 to Dec, 31, 2004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 compared two groups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ne group (A group) was diagnosed as cornual pregnancy before beginning of treatment, another group (B group) was not diagnosed as cornual pregnancy until operation. Results: A group was 8 cases (30.8%) and B group was 18 cases (69.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33.0±6.21 years : 31.0±5.82 years), duration of amenorrhea (7.32±1.07 weeks : 8.90±5.44 weeks), previous cesarian section history (25.0% : 27.8%), present myoma (12.5% : 11.1%) and abdominal pain (50% : 77.78%), vaginal bleeding (50% : 55.6%), shock (0% : 27.8%)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ity (1.63±0.74 : 1.0±0.77, p=0.032), number of abortions (2.25±1.16 : 1.11±1.18, p=0.016), previous history of ectopic pregnancy (37.5% : 0%, p=0.022). Of the method of treatments, only cornual resection (50% : 94.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30.8% of cornual pregnancy was early diagnosed by ultrasonogram. The important early detective factors for cornual pregnancy might be parity, previous ectopic pregnancy history and abortion history. Therefore if the patient has the previous ectopic pregnancy and abortion history, she can visit early to the hospital and the doctors do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cornual pregnancy.

      • KCI등재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조기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최진혁(Choi, Jinhyeok),박재국(Park, Jae-Kook),김지훈(Kim, Jihoon),김민영(Kim, Minyoung) 한국자폐학회 2022 자폐성 장애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ASD 조기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울산, 대구 등의 어린이집, 특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ASD 아동 564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ASD 조기진단도구의 신뢰도는 Cornbach’s a값을 산출하여 검증하였고, 타당도는 구인타당도 및 집단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ASD 조기진단도구의 각 영역별 신뢰도 계수의 범위는 .744 ~ .973로 나타나 안정적인 신뢰도 계수를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SD 조기진단도구의 각 영역별 하위 상관계수는 .335~.918으로 각 영역간의 상관이 정(+)적 상관을 나타내며, 모든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타당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지원의 요구나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분류하고, 지원요구가 다른 다섯 집단이 하위 척도의 표준 점수, 하위 척도의 표준점수 소계와 복합 표준점수(평가점수 총계)에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플랫폼 기반의 ASD 진단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됨에 따라, 효율적이고 편리한 ASD 조기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mart platform-based ASD early diagnosis tool. Accordingly, 564 children with ASD attending daycare centers,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Seoul, Busan, Ulsan, and Daegu were tes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ASD early diagnosis tool were verified by calculating Cronbach s α value and analyzing construct validity and differences among groups, respectively. First, the range of the reliability coefficient for each area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as found to be .744-.973, indicating that a stabl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secured. Second, the sub-correlation coefficient for each area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as .335-.918, implying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each area, and all correlations were significant, indicating appropriate validity. Third, in the group difference analysis result, the groups with low and high support needs were classified, and the five groups with different support needs differed in the subscale standard, subscale subtotal standard, and composite standard (total evaluation) score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developing an efficient and convenient ASD early diagnosis tool because it establish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mart platform-based ASD diagnosis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