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의 행복에 대한 인식

        박재국 ( Jaekook Park ),정계숙 ( Kaisook Chung ),서보순 ( Bosoon Seo ),김은라 ( Eunla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행복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어머니들의 행복한 삶에 대해 고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부모와 장애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지원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생존영역, 관계영역, 성장영역으로 구성된 부모의 행복에 대한 인식 설문지를 B시의 장애아동 어머니들 에게 의뢰하여 어머니들의 행복감을 살펴보고, 이를 행복요소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비교하였으며, 어머니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들의 행복감은 다소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관계영역에서의 행복감이 가장 높고, 성장영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행복요소별 행복감은 중요도에 대한 인식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으로 어머니의 학력, 직업 유무, 자녀의 장애유형이 있었으며, 어머니의 연령, 자녀의 연령, 자녀의 성, 자녀의 장애등급은 영향력이 미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행복에 대한 인식경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어머니들의 행복한 삶을 지원함에 있어 성장영역의 행복요소에 더욱초점을 맞추고, 이들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rceive their own happiness level, to offer informatio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explore ways to support them. To this ends,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requir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3 domains;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Then data were us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happiness and to compare the happiness level according to mothers’ personal backgrou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perception of happiness was more or less positive and, in particular, showed the highest level in relatedness domain. Also mothers perceived their present happiness level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 of happines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variables: mother’s level of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nd classification of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의 부모역량 연구

        박재국(Park, Jaekook),서보순(Seo, Bosoon),김은라(Kim, Eunra)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부모의 역량요소를 구인하고, 역량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경향을 살피며, 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43개 역량요소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를 평정하도록 구성된 어머니용 부모역량 질문지를 B시의 장애아동 어머니들에게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장애아동 부모의 역량요소는 ‘사회적 역량’, ‘자기체계 역량’, ‘양육기반 역량’, ‘양육수행 역량’으로 구인되었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부모역량에 대한 인식은 다소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4가지의 역량요소 중 사회적 역량을 더 많이 보유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었고, 지식과 태도보다 기술의 습득정도를 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부모역량에 대한 인식에는 어머니의 학력과 연령이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직업 유무나 소득수준의 영향은 미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아동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며 주도적인 삶을 살기 위한 역량의 요소들을 찾아내고, 어머니들의 역량 수준에 대한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 이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장애아동 부모들을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parental competence perceived by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lore the tendency of perception on their own competence, and identify variables affecting the perception. To these ends,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sked to rate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43 competences elements, each was formed by 3 levels, such a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petences were constructed by 4 domains like ‘social competence’, ‘self-system competence’, ‘development support competence’ and ‘parenting implement competence’. Second, almost mothers perceived on competence positively, and, in particular, thought they have more social competences than the others. In addition, they perceived they possess less skills than knowledge and attitude of competences.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ollowing variables such as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age, but mother’s job or income level affected little.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competence elements which help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live self-directed life, raise the understanding level on competence, and offer the specific supports.

      • KCI등재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의 메타포(metaphor) 분석

        서보순 ( Bosoon Seo ),박재국 ( Jaekook Park ),박량은 ( Lyangeun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는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주관적인 인식을 살펴보고, 장애인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실제적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메타 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개 대도시, 2개 도의 평생교육원 종사자,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학교 교사 132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해 이들이 제시한 메타포와 메타포의 근거를 반복적으로 읽고 범주화한 결과 93가지의 메타포와 5가지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메타포의 주제는 ‘필수 불가결’, ‘더 나은 삶’, ‘지속의 필요’, ‘삶의 원동력’, ‘요원히 먼 실현’이었으며, 주제에 따라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인식은 직종과 장애인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평생교육기관 종사자들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인식을 검출해내었으며, 이를 기초로 장애인 평생교육의 기반 구축과 전문인력 양성ㆍ지원체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workers towards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rough metaphors analysis and find a way to vitalize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ata was collected from 132 participants who are currently employed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social welfare centers, and schools in two major metropolitan cities and two provinces and this was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After reviewing participants’ responses repetitively, ninety three metaphors were withdrawn and those were conceptually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1) Indispensable; (2) Better life; (3) Need to continue; (4) Driving force of life; (5) Difficult to realize. Metaphors concerning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differed according to workers’ occupational category and teaching experience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found a variety of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 workers o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n a basis of the results, ways how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rain professionals, and develop support system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공동체를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 척도 개발

        황순영(Hwang, SoonYoung),박재국(Park, JaeKook),이후희(Lee, Ho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본 연구는 교육공동체를 만드는데 필요한 특수교사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특수교사 역량 척도의 문항을 구성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들의 이론적 검토와 전문가 논의를 바탕으로 총 30개 문항의 척도를 1차로 개발하였다. 이후 내용타당도를 통한 2차 예비문항 개발하고, 2016년 11 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약 4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통하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의 특수교사 30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자료들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민주적 참여 및 책임감’ 7문항, ‘소통을 통한 공유된 목표’ 8문항, ‘정서적 관계’ 9문항으로 3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Cronbach s α 계수를 통해 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항양호도를 검토할 수 있는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를 살펴본 결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본 척도는 교육공동체를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척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scale for educational community. A primary draft of the scale that consisted of 30 items was developed after analyzing related theories and having a discussion with experts, and a secondary draft was developed after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imary one was checked 308 selected peopl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cal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made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making the factor analysis, three sub-factors that were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seven items, shared goals through communication eight items, emotional relationship nine items. When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Cronbach s α coefficients, the scale turned out reliable. In addition, distribution of item response and item discrimination were measured to evaluate item quality, and the scale turned out to be good in that regard. Therefore this scale could be said as one of good scales to analyz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ompetency scale for educational community.

      • KCI등재

        잠재계층성장모형을 활용한 지적장애인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 분석

        조영희 ( Cho Younghee ),박재국 ( Park Jaeko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3

        [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의 변화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석하고 인지 및 언어사용능력과 관련된 의사소통능력과 문해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자료 중 지적장애인 363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3년에 걸친 삶의 만족도를 잠재계층성장모형으로 분석하여 잠재집단의 유형을 확인하고, 인지능력, 의사소통, 문해능력 변인이 잠재집단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 로지스틱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지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따른 잠재계층은 ‘높은 삶의 만족도 집단’, ‘점차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집단’, ‘점차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집단’, ‘평균 삶의 만족도 집단’ 등 4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다항로지스틱 분석 결과, 인지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해능력이 높을수록 ‘평균 삶의 만족도 집단’ 보다 ‘높은 삶의 만족도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으며, 문해능력이 높을수록 ‘점차 삶의 만족도가 낮아지는 집단’보다 ‘평균 삶의 만족도’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삶의 만족도 잠재집단 및 영향요인에 관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에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latent groups according to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amined effects of cognitive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literacy skills on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s. [Method] Data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N=363) from 2n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re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class modeling.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effect factors of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ults] Latent subgroups according to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4 groups : ‘high life satisfaction’, ‘average life satisfaction’, ‘Decreased life satisfaction over time’, and ‘Increased life satisfaction over time’.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gnitive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literacy skills are effect factors on classification of latent subgroups. [Conclusion] Based on this results, practical way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일-삶 균형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장지현 ( Jang¸ Jihyun ),박재국 ( Park¸ Jaekook ),김은라 ( Kim¸ Eunr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일-삶 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을 파악하고, 교사효능감과 일-삶 균형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여 향후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일-삶 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일-삶 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 수준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수준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교수효능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수교사의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 향상을 통해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eacher’s sense of efficacy, Work-Life Balance, Teacher-Student Interaction. [Method] 251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First, th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nse of efficacy is positive. Second,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normal. Third, the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s positive. Fourth,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which are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we will use it as basic data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teacher efficacy, work-life balance, and level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of special teachers. Also it can be used as evidence when planning a counseling program for people having difficulties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자폐성장애 진단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11-2020년까지 발행된 국내 전문학술지 중심으로

        최진혁(Choi, Jinhyeok),박재국(Park, Jaekook),김민영(Kim, Minyoung) 한국행동분석학회 2021 행동분석․지원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자폐성장애 진단과 관련된 논문들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논문은 2011-2020년까지 발표된 자폐성장애 진단과 관련된 논문 42편이었다. 분석자료는 텍스톰과 UCINET을 활용하여 일반적인 연구동향 및 주요 키워드의 빈도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42편의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폐성장애의 진단과 관련된 논문은 대부분 특수교육 분야의 학술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폐성장애의 진단과 관련된 연구의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살펴본 결과, ‘자폐성장애’, ‘조기진단’, ‘포커스’, ‘조기선별’, ‘영유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TF-IDF 가중치 분석 결과 출현 빈도의 순위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섯째, N-gram 분석에서 “자폐성 장애”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키워드는 ‘조기진단’, ‘조기선별’, ‘아동’, ‘영유아’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미연결망 분석에서는 ‘자폐성장애’ 키워드는 ‘조기진단’과 가장 높은 연결정도 중심성을 보여주었다. 여섯째, CONCOR 분석에서는 주요 클러스트인 ‘자폐성장애 특징과 지원체계’, ‘진단도구 개발’, ‘조기진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의 진단과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is study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papers were 42 papers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m disorder published from 2011-2020. As for the analysis data, general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of major keywords, an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extome and UCIN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 total of 42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11 to 2020. Second, most of the papers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found to be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major keywords in research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m disorder,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autism spectrum disorder’, ‘early diagnosis’, ‘focus’, ‘early screening’, and ‘infants’. Fourth, the result of TF-IDF weight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order of appearance frequency. Fifth, in the N-gram analysis, the keywords that are highly related to the keyword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early diagnosis’, ‘early screening’, ‘children’, and ‘infants’.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the semantic network, the keyword ‘autism spectrum disorder’ showed ‘early diagnosis’ and the highest degree of center of connection. Sixth, in the CONCOR analysis, the main clusters such as characteristics and support system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diagnosis tool development’, and ‘early diagnosis’ were identified.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the diagnosis of autistic disorder, and discussed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초등학교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스트레스 및 학교적응 수준 비교

        최은주 ( Eunju Choi ),박재국 ( Jaekook Park ),김혜리 ( Hyeri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스트레스 및 학교적응 수준을 비교ㆍ검토하고 이들 두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겪는 스트레스에 올바르게 대처할 수 있는 교육적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나아가서 그들의 바람직한 학교적응으로 위한 교육적 지원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563명으로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스트레스의 5가지 하위요인에서 영재아동이 일반아동 보다 스트레스를 다소 적게 받았으며 둘째, 학교적응에서 전반적으로 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영재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는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심리ㆍ정서적 지원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offer educational information that helps to deal with stress of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lso to guide educational support for their appropriate school adaptation by comparing and examing the level of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and identifying relation between 2 variables. To this end, 563 gifted and non -gifted students were employed and completed questionnaire. Results analyzed from collected date were as follows. First, among 5 sub-factors of stress, gifted students were under less stress than non-gifted. Second, in terms of school adaptation, gifted students adapted to school better than non-gifted students did. Third, resulting from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nega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in both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and, in general, gifted students showed more higher negative correlation than non-gifted. Based on these results, divers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ing plans that help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to cope with stress and improve school adaptive abil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ASD 조기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최진혁 ( Choi¸ Jinhyeok ),박재국 ( Park¸ Jaekook ),김지훈 ( Kim¸ Jihoon ),최민혁 ( Choi¸ Minhyeok ),김민영 ( Kim¸ Min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ASD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조기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SD 진단과 관련된 기존 진단도구 및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진단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후 ASD의 진단 관련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진단 문항의 적절성과 연령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ASD 조기진단도구의 문항은 ‘사회적 상호작용’, ‘감각반응’, ‘제한된 관심과 반복적 행동’ 총 3개 영역, 33개의 문항이 산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ASD 조기진단 문항이 추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ASD 조기진단도구의 추후 방향 및 논의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arly diagnosis tool that can diagnose ASD at an early stage.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diagnostic question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existing diagnostic tool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SD diagnosis. Afterwards,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on 20 ASD diagnosis-related experts. Through the Delphi survey, the relevance and age fit of the diagnostic items were verified.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33 items were calculated for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in 3 areas: 'social interaction', 'sensory response', and 'restricted interest and repetitive behavior'. Conclusion: In this study, ASD early diagnosis items were extracted, and based on this, the future direction and discussion points of the ASD early diagnosis tool were presented.

      • KCI등재

        장애아동부모의 우리성과 교육공동체 역량의 인식구조

        구신실(Gu, Sinsil),박재국(Park, Jaek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장애아동부모가 교육공동체에 대해서 가지는 우리성과 교육공동체역량의 요인구조를 분석하고, 우리성 인식요인이 교육공동체역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 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장애아동부모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 23.0 for window와 Mplus7.1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첫째, 우리성 인식요인은 공감과 배려, 경험의 공유, 상대적 인정의 차이, 시간의 공유와 같이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교육공동체역량 요인은 공동체적 목표와 가치의 공유, 소통을 통한 관계와 인정, 민주적인 참여와 공유된 책임, 정서적 관계 형성과 같이 4가지 요인 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교육공동체역량 요인 중 ‘공동체적 목표와 가치의 공유’, ‘소 통을 통한 관계와 인정’, ‘민주적인 참여와 공유된 책임’ 세 가지 요인 모두에, 우리성 인식요인 중 ‘공감과 배려’, ‘상대적 인정의 차이’가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공동체의 ‘정서적 관계형성’요인에는 ‘경험의 공유’와 ‘상대적 인정의 차이’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특수교육공동체를 구축하기 위한 부모역량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 structure of weness and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ies that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on educational communities and to explore how our perceptual factors affect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e. After conducting the questionnaire survey on 212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for window and Mplus 7.1.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First, our weness recognition factors were derived from four factors such as empathy and consideration, sharing of experience, difference of relative recognition, and sharing of time. Second, the factors of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e are derived from four factors such as sharing of goals and values, communication and recognition through communication,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shared responsibility, and emotional relationship formation. Third, among the factors of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e, shared goal and value of community , relationship and recognition through communication ,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shared responsibility and difference in relative recognition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emotional relationship formation of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is, we discussed the fundamental research resources of the parent competency education program to build desirable special education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