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공립유치원 방과후과정 운영 실태 및 유아특수교사의 요구

        김현숙,박소영,이예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 운영 실태와 어려움,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자 전국 183명의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를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일반유아의 ‘방과후과정’은 대부분 ‘방과후과정’ 명칭을 사용하며 유치원 정교사 자격을 가진 전담교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은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며, 특수교육대상유아 2명 중 1명만 ‘방과후과정’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었다. 셋째, ‘방과후과정’이 운영되는 3곳 중 1곳은 전담교사가 없었고, 전담교사의 자격은 유치원 교사, 특수학교(유치원) 교사, 보육교사 등이었다. 넷째, 특수교육대상유아가 ‘방과후과정’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방과후과정’ 개설 방안을 찾으려고 노력하였고, 학부모들 역시 ‘방과후과정’이 생기길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은 지원인력 부족과 강사 채용 및 관리, 일반 방과후과정 참여 거부로 운영의 어려움이 있었고, 이러한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원인력 배치, 전담교사 및 관리자의 장애인식 개선, 지원금 인상 등을 제안하였다.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 운영의 시도별 격차와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교육부의 특수교육대상유아를 방과후과정 지원 및 운영 지침 마련 방안을 논의하였고,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위한 ‘방과후과정’의 질적 운영을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를 제시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difficulties, and requirements of ‘after-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83 public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Most ‘after-school programs’ for general children used the name ‘after-school courses.’ In addition, it was run by a dedicated teacher qualified as a full-time kindergarten teacher. Second, Various naming were used for ‘after-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only one out of two students was receiving integrated education in the ‘after-school program’. Third, One out of three places where ‘after-school courses’ were operated did not have a dedicated teacher. In addition, the qualifications of dedicated teachers were diverse, including kindergarten teachers, special school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Fourth, when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ere unable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courses,’ teachers tried to find ways to open ‘(special) after-school courses.’ Parents often waited for ‘after-school programs’ to be established. Fifth, the ‘after-school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had difficulties in operation due to a lack of assistant personnel, hiring and managing instructors, and refusal to participate in general after-school courses. The above-mentioned difficulties resulted in requirements such as deployment of assistant personnel, improvement of disability awareness among dedicated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increase in support fun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esented the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the qualitative oper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y discussing the results of a surve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public kindergartens across the country.

      • KCI등재

        유아특수교육 현황 분석 및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논의

        박계신,김태영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ime sequential trend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15 years from 2008 through 2022 based on the data of「Special education annual report」,「Special education statistic report」,「Education statistic report」,「Disability statistic annual report」, and etc.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identified young children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consistently has been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has been decreased and so been even number of identified students for special education for 15 years. Second, preschools of special schools and full-time inclusive classes of preschools has been increased to 1.2 times and special classes of preschools has been increased to 7.6 times for 15 years. Establishment of special class vs. the total number of preschools has been increased up to 6.7 times for 15 years that means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been increasingly went to preschools. In additi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been increasingly went to childcare up to 5.7 times comparing with them going to childcare onl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1.1 increase rate) or inclusive childcare(1.3 increase rate). Finally, the findings of financial status of ECSE present that operating expenses of public preschools have been increased to 1.9 times and the of private preschools to 1.3 times for 15 years. However, operating expenses of private preschools were approximately three times of them for public preschools in 2008 and thus supports for operating expenses of public preschools are need to be increased in the future. Costs for ECSE have been increased up to 4.65 times for 15 years that present a greater rate than costs for special education(2.99 increase rat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in the field of ECSE.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의무교육화와 장애영아의 무상교육 지원 정책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된 2008년 이후부터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이 종료된 2022년까지 총15년 동안의 유아특수교육 현황을 시계열적 데이터로 제시하여 그 변화추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특수교육연차보고서」,「특수교육통계」,「교육통계연보」등의 자료에 담긴 유아특수교육현황 관련 통계 자료를 세 가지 연구 문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영유아 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육대상영유아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학령기의 특수교육대상자 수와 대비했을 때도 증가추세를 보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육기관 설치 현황과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15년간 특수학교, 유치원 전일제 통합학급, 유치원 특수학급은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또한 어린이집의 경우 장애전문어린이집이나 통합어린이집에 비해 일반 어린이집 취원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육기관 재정의 현황과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공사립 유치원 운영비 지원액이 증가하였고, 사립유치원 지원액이 공립유치원 지원액의 3배 정도 높았다. 유아특수교육비는 15년간 4.65배로 증가하여 특수교육비(2.99 증가배수) 보다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특수교육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특수교육 수강경험에 따른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지식변화연구

        이연선,최남정,이시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3

        In this study, concept maps were used to investigate how pre-teachers understandspecific concepts and knowledge in the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Three researchersanalyzed the conceptual mapping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31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nts were asked to draw conceptmaps two times, before and after the clas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Open-ended interview was followed after concept map drawing. Based on Novakand Gowin’s (1984) methodological idea, that is, concept mapping, this study examinedthe number of upper categories, the number of subcategories, characteristics, hierarchy,and density of a total of 62 conceptual maps in the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seemed to make an influence on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particularly,instructional skills. First, ‘social awareness and emotion’ (14.9%) about disabilitieswas recorded as the highest number in the upper categories before taking the specialeducation course. After taking the course, ‘instructional methods and skills’ (19.0%)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ecame the highest. Secondly, participants’ knowledgelevel seemed to be reorganized deeply after class. With regards to the densityand hierarchy of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re were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class.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participantsmight not have strong hierarchical and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concep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ue to the lack of practical experiences inclassrooms. This study will provide foundation for the contents and direction for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지식의 내용 및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유아특수교육 수업 수강 전ㆍ후에 개념도를 작성하였고, 두 차례에 걸쳐 비구조적 면담을 실시하였다. 개념도는 상위개념 범주화 및 빈도,종속개념 내용 및 빈도, 개념도의 위계, 밀도, 깊이를 산출하였으며, 면담내용은 개념도작성 전ㆍ후의 변화에 대하여 범주화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개념의 내용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수업 전 사회인식 및 감정에서수업 후 특수교육방법으로 전환되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지식수준은 수업 후 ‘장애’, ‘특수교육’, ‘특수유아’에 관한 개념으로 넓고 깊게 재조직되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개념 특성은 개념도의 위계와 깊이 및 밀도에서수강 전ㆍ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특수교육 관련 교과목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높이고,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특수교육 교과목의 내용과 방향 선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실행에 따른 유치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 유치원 교사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김현숙,홍은숙,박계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kindergartens and special schools that have chang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in order to promote the qualitative implementation of「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asures to improve organizational culture were proposed.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3 themes, 6 subcategories, and 14 concepts were derived.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application of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pen curriculum operation through consultation and active scholarship guidance by administrators were activated. Through these changes, we have experienced a change in the system to operate a high-quality curriculum for all young children, including those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n this, the ba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all children, including children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as formed. Second, as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ed o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play and play behaviors of children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they came to perceive the play of children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positively. Third, although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was applied and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the education field, the previous curriculum or show-type curriculum operation method was still maintained. In addition, administrators tended to distrust teachers’ autonomous management. In order to form a more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necessary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e ne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manag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suggest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the operation plan of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as a ‘curriculum for everyone’. 본 연구는「2019 개정 누리과정」의 적용 이후 변화된 유치원과 특수학교 조직문화를 살펴보고, 향후「2019 개정 누리과정」의 질적 실행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문화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1명의 유아특수교사와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시행하였고, 면담 결과 3개의 주제와 6개의 하위범주, 14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2019 개정 누리과정」적용 이후 협의를 통한 열린 교육과정 운영과 관리자의 적극적인 장학지도가 활성화되었고, 이러한 변화를 통해 특수교육대상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되는 체계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대상유아를 포함하여 모든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의 기초가 형성되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와 놀이 행동의 발달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2019 개정 누리과정」이 적용되고 교육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으나 여전히 과거 교육과정이나 보여주기식 교육과정 운영 방법을 고수하거나 교사의 자율적 운영을 신뢰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효과적인「2019 개정 누리과정」운영에 필요한 더욱 긍정적인 조직문화 형성을 위해 관리자와 유아특수교사의 역량 강화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윤전,이병인,배성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 of restructuring a play-centered curriculum based on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4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working in special classes in public kindergarten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4 upper categories, 16 lower categories, and 49 concept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mselves as curriculum designers and made efforts in various ways to restructure the play-centered curriculum. Seco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tructured the play-centered curriculum through their own pract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through this, they had various experiences. Third,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reating a dynamic but stable curriculum with their children. Fourth,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demanded various support measures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examining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play-centered curriculum by teachers in the「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hich emphasizes teacher autonomy and expertise, and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e. 본 연구는「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해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공립 유치원 특수학급에서 근무 중인 경력 5년 이상의 유아특수교사 4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상위범주 4개, 하위범주 16개, 개념 49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자신을 교육과정 설계자로 인식하고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노력하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자신만의 실천적 지식과 경험을 통해 놀이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을 하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유아와 함께 역동적이지만 안정적으로 교육과정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넷째, 유아특수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다양한 지원방안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강조하는「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특수교사가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여 유아특수교육의 질을 제고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각 생활영역에 대한 교수역량의 자기평가

        김연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2

        This study was to explore prospective teachers' self-reported instructional competencies in five areas(Health, Society, Expression, Language, Exploration) in the 7th national preschool curriculu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95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78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measure prospective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ies, an instrument based on teaching strategies recommended in the 7th curriculum was developed. Also, participants' years of schooling, levels of experience with children, knowledge of the 7th curriculum and course credits regarding each of the five areas were entered as variables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s with instructional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ospective teachers tended to have lower instructional competencies in Exploration and Language areas comparing with Expression, Health, and Society areas. Prospectiv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had higher instructional competencies than prospectiv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n Health and Society areas. Prospective teachers' years of schooling, levels of experience with children, and knowledg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d positive associations with their instructional competencies. However, their course credits regarding each areas did not have associations with instruction competenci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학생들과 유아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제 7차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영역별 교수역량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 7차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제시된 아홉 개의 교수방법들을 기초로 예비교사의 생활영역별 교수역량을 자기 평가하는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충청, 경기 지역의 3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하는 학생 95명과 충청 지역의 2개 대학의 유아특수교육과에 재학하는 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의 학년, 유아들과의 경험, 제 7차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사전지식, 그리고 각 생활영역과 관련하여 수강한 학점이 변수로 투입되어 영역별 교수역량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로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들 모두 언어생활과 탐구생활영역의 교수역량을 다른 생활영역에 비하여 낮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로 유아교육학과에 재학하는 예비교사들보다 유아특수교육학과에 재학하는 예비교사들이 건강생활과 사회생활영역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로, 예비교사의 학년, 유아들과의 경험,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사전지식은 예비교사들의 생활영역별 교수역량지각과 상관이 있는 변인이었으나, 각 생활영역과 관련하여 수강한 학점은 교수역량 자기지각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생활영역별 예측변인을 추출해본 결과 건강생활영역은 전공과 학년이, 사회생활영역과 표현생활영역은 학년이, 그리고 탐구생활과 언어생활영역은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사전지식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 영ㆍ유아 지원현황 및 역할 중요도에 대한 전담교사의 인식과 효율적 지원방안

        홍은숙,박경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i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by examining the current nationwide status and importance of the role, local discrepancy and support needs for the management of ECSE. To estab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and interviewed the teachers in charge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is study surveyed 237 teachers from 98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17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less than average to support for ECSE i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roles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ECSE we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and importance of center’s roles, second, wide districts(urban) have more operative than medium/small districts and farming/fishing villages, third, lack of specialized staff for ECSE, specialized curriculum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and publicity activities were a hindrance to support for ECSE i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Lastly,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promotion plans based upon these results.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 영ㆍ유아에 대한 지원현황, 영ㆍ유아 지원에 대한 역할 중요도, 지역규모별 운영 및 역할 중요도 차이를 알아보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효율적인 장애 영ㆍ유아 지원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장애 영ㆍ유아 지원 운영현황에 대해 전담교사들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하였고(M=2.89, SD=.75), 장애 영ㆍ유아 지원에 대한 역할 중요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M=4.23, SD=.51), 장애 영ㆍ유아 운영현황과 역할 중요도 간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t=24.35, p<.001)로 밝혀졌다. 둘째, 지역규모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현황을 비교해 본 결과, 광역도시가 중ㆍ소도시나 농ㆍ산ㆍ어촌에 비해 장애 영ㆍ유아 지원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ㆍ소도시와 농ㆍ산ㆍ어촌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장애 영ㆍ유아 운영의 어려움으로는 홍보부족, 업무대비 인력부족, 전문성을 갖춘 전담인력 확보의 문제, 지역규모별 교사 수급의 문제, 장애 영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미비 등을 들고 있었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자격을 갖춘 전담인력 배치, 지역별로 차별화된 영ㆍ유아 지원 시스템 개발, 통합교육지원 및 가족지원을 통한 장애 영ㆍ유아 지원 등이 효율적 운영방안으로 도출되었다.

      • KCI등재

        국공립유치원 특수학급배치에 대한 특수교육대상유아 학부모들의 인식

        박은실,김건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국공립유치원 특수학급배치에 대한 학부모들의 관점을 알아 본 것이다. 이에국공립유치원에 자녀를 입급 시킨 경험이 있는 학부모 8명을 대상으로 하여 심층면담을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주제들은, 입급 하기 어려운 특수학급, 배치기준의부재, 특수교육대상유아 교육기관에 대한 정보 부족 이었다. 학부모들은 인근의 국공립유치원의 특수학급 미설치로 인한 이주나 통학상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또한 한 명의 유아특수교사가 네 명이상의 특수교육대상유아를 교육하고 있는 현실에 대하여 교육의 효율성면에서 우려하였고, 배치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음에 대한 불편함을 나타내었다. 또한,특수교육대상유아를 배치할 수 있는 교육기관에 대한 정보 부족의 어려움을 이야기 하였다. 이러한 심층면담 결과는 특수교육대상유아가 배치될 수 있는 특수학급의 증설이 필요하며,지원자가 많은 경우에 대한 배치기준의 설정, 특수학급이 설치된 학교기관에 대한 안내와홍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d perception of parents o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public kindergarten.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on 8 parentswho have experiences of placing their children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the public kindergarten. They were interviewed on the background, experience inthe kindergarten special classes, and the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purpose. Findings were the difficulty in placing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heissue of placement with criteria, the lack of information of kindergarten with a specialeducation program. Th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stallationof special classes in kindergarten in order to realize the compulsory education of earlychildhood special education. Also, it is important to provide parents with informationof kindergarten which has special classrooms.

      • KCI등재

        놀이 중심 교육과정과 연계한 개별화교육계획(IEP) 운영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황인영,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1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with 10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in connection with a Play-ba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their conceptual definitions of an IEP, according to their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s. Second,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it as appropriate to appl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hich supports a Play-based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ird,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perspective on play, changes in teaching/learning practices, and changes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n IEP as they applied a Play-based Curriculum to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experiencing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an IEP in connection with a Play-based Curriculum, and they were making various efforts to address the difficulties. Fifth,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mphasized the needs for improvement in implementing an IEP in connection with a Play-based Curriculum at the kindergarten, regional, and national level. 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a plan for implementing an IEP in connection with a Play-based Curriculum by identifying the purpose and nature of an IEP and re-establishing the cor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an IEP. 이 연구는 놀이 중심 교육과정과 연계한 개별화교육계획(IEP) 운영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유아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IEP에 대해 사전 지식이나 선행 경험에 따라 서로 다른 개념적 정의를 내리고 있었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유아에게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하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의 당위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으로 인해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에 대한 관점의 변화, 교수ㆍ학습 실천에서의 변화, IEP 수립 및 실행에서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넷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놀이 중심 교육과정과 연계한 IEP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사들은 놀이 중심 교육과정과 연계한 IEP 운영에 대해 유치원, 지역, 국가 차원에서의 개선을 요구하였다. 향후 IEP 목적과 성격의 규명, 교육과정과 IEP의 관계에 대한 재정립을 통해 놀이 중심 교육과정과 연계한 IEP 운영 방안의 제시가 요구된다.

      • KCI등재

        의무교육기관으로써 특수학교 유치원의 질적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os to survey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qualitative management of the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s compulsory education institutions. By surveying current problems and future improvement, some basic guidelines and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s are then sugges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special school kindergarten teachers, one vice principal of a special school, two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were participated in-depth interviews. Five subcategories in perceptions, six in problems and five in improvement were made based on research problems.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early childhood os an critical period of time on development and kindergartens in special schools are easy to support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dividually, and also especially proper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severe developmental delays. Second, they responded that kindergarten classes on special schools had various advantages but it was passively operated without clear standard due to low level of recognition of administrators, fellow teachers and parents. Third, they required the maximization of its advantages for the qualitative management of kindergartens on special schools, and the unique operation that can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separated education and special curricula for them should be implemented. For this goal,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improvement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fellow teacher’s recognition, disposition of professional school commissioners, the support for teachers’ research meeting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on curriculum are suggested. Based of these results, the support plans were discussed and sought for normalization of the curriculum management of kindergarten classes on special schools in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유치원 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과 특수학교 유치원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조사하여, 향후 의무교육기관으로써 특수학교 유치원의 질적인 운영과 이를 위한 지원방안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유치원 교사 2명과 특수학교 교감 1명, 유아특수교육과 교수 2명 등 관련 전문가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문제에 따라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인식에서 5개, 문제점에서 6개, 개선방안에서 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유아기는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시기로써 특수학교 유치원은 유아의 개별적 지원이 용이하기 때문에 중요하며, 중도발달지체유아의 교육에 적합한 기관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특수학교 유치원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관리자 및 동료교사, 학부모들이 운영에 대해 낮은 인식을 갖고 있고, 뚜렷한 기준 없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특수학교 유치원의 질적인 운영을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으로서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분리교육의 단점을 보완하는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행ㆍ재정적 지원 기준 마련과 학교 관리자 및 동료교사들의 인식 개선, 전문장학사 배치, 교사 연구모임 지원 교육과정 평가문항 개발 등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특수학교 유치원 과정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