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의무교육기관으로써 특수학교 유치원의 질적 운영을 위한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
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os to survey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qualitative management of the special school kindergartens as compulsory education institutions. By surveying current problems and future improvement, some basic guidelines and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s are then sugges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special school kindergarten teachers, one vice principal of a special school, two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were participated in-depth interviews. Five subcategories in perceptions, six in problems and five in improvement were made based on research problems. The survey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early childhood os an critical period of time on development and kindergartens in special schools are easy to support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dividually, and also especially proper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severe developmental delays. Second, they responded that kindergarten classes on special schools had various advantages but it was passively operated without clear standard due to low level of recognition of administrators, fellow teachers and parents. Third, they required the maximization of its advantages for the qualitative management of kindergartens on special schools, and the unique operation that can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separated education and special curricula for them should be implemented. For this goal,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nd improvement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fellow teacher’s recognition, disposition of professional school commissioners, the support for teachers’ research meeting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on curriculum are suggested. Based of these results, the support plans were discussed and sought for normalization of the curriculum management of kindergarten classes on special schools in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유치원 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과 특수학교 유치원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조사하여, 향후 의무교육기관으로써 특수학교 유치원의 질적인 운영과 이를 위한 지원방안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유치원 교사 2명과 특수학교 교감 1명, 유아특수교육과 교수 2명 등 관련 전문가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문제에 따라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인식에서 5개, 문제점에서 6개, 개선방안에서 5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유아기는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시기로써 특수학교 유치원은 유아의 개별적 지원이 용이하기 때문에 중요하며, 중도발달지체유아의 교육에 적합한 기관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특수학교 유치원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관리자 및 동료교사, 학부모들이 운영에 대해 낮은 인식을 갖고 있고, 뚜렷한 기준 없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육 전문가들은 특수학교 유치원의 질적인 운영을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으로서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분리교육의 단점을 보완하는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행ㆍ재정적 지원 기준 마련과 학교 관리자 및 동료교사들의 인식 개선, 전문장학사 배치, 교사 연구모임 지원 교육과정 평가문항 개발 등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특수학교 유치원 과정 운영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모색하였다.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연계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백지연,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IEP)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special classes in public kindergarten. To this end, 7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special classes in public kindergartens who have qualifications as teachers in special schools (kindergarten) were sampled for the purpos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nd 2 upper categories, 8 sub-categories, and 35 main content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ith the IEP as ‘education made by early children and teachers together’. The sub-categories were ‘unified education met by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barrier met by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required support in an inclusive environment’. Second,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ith the IEP as an ‘educational practice process for one early child’. The sub-categories were ‘connecting with the curriculum’, ‘putting the early child at the center’, ‘teachers who create fences’, ‘obstacles encountered in connecting with the curriculum’, and ‘required support for an early child'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useful resource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lated researchers who are striving to successfully link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ith IEP.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연계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유치원) 정교사 자격을 가진 공립유치원 특수학급 유아특수교사 7명을 목적 표집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범주화하여 2개의 상위범주, 8개의 하위범주, 35개의 주요 내용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연계 경험을 ‘아이들과 교사들이 함께 만드는 교육’으로 인식하였으며, 하위범주는 ‘유아특수교사가 만난 어울림 교육’, ‘유아특수교사가 만난 벽’, ‘통합 환경에서 필요한 지원요구’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과 개별화교육계획 연계 경험을 ‘한 아이를 위한 교육 실천 과정’으로 인식하였으며, 하위범주는 ‘교육과정과 연결 지어보기’, ‘유아를 중심에 두기’, ‘울타리를 만들어주는 교사’, ‘교육과정과 연결 짓기에서 만난 장애물’, ‘한 아이의 교육을 위한 지원요구’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교육 환경의 유아특수교사 및 관련인들에게 2019 개정 누리과정과 IEP 연계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각 생활영역에 대한 교수역량의 자기평가
김연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0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0 No.2
This study was to explore prospective teachers' self-reported instructional competencies in five areas(Health, Society, Expression, Language, Exploration) in the 7th national preschool curriculu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95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78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measure prospective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ies, an instrument based on teaching strategies recommended in the 7th curriculum was developed. Also, participants' years of schooling, levels of experience with children, knowledge of the 7th curriculum and course credits regarding each of the five areas were entered as variables to examine their relationships with instructional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ospective teachers tended to have lower instructional competencies in Exploration and Language areas comparing with Expression, Health, and Society areas. Prospectiv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rograms had higher instructional competencies than prospectiv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n Health and Society areas. Prospective teachers' years of schooling, levels of experience with children, and knowledg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d positive associations with their instructional competencies. However, their course credits regarding each areas did not have associations with instruction competenci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학생들과 유아특수교육과 학생들의 제 7차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생활영역별 교수역량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 7차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제시된 아홉 개의 교수방법들을 기초로 예비교사의 생활영역별 교수역량을 자기 평가하는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충청, 경기 지역의 3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하는 학생 95명과 충청 지역의 2개 대학의 유아특수교육과에 재학하는 학생 7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예비교사의 학년, 유아들과의 경험, 제 7차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사전지식, 그리고 각 생활영역과 관련하여 수강한 학점이 변수로 투입되어 영역별 교수역량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로 예비유아교사와 예비유아특수교사들 모두 언어생활과 탐구생활영역의 교수역량을 다른 생활영역에 비하여 낮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로 유아교육학과에 재학하는 예비교사들보다 유아특수교육학과에 재학하는 예비교사들이 건강생활과 사회생활영역을 더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로, 예비교사의 학년, 유아들과의 경험,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사전지식은 예비교사들의 생활영역별 교수역량지각과 상관이 있는 변인이었으나, 각 생활영역과 관련하여 수강한 학점은 교수역량 자기지각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생활영역별 예측변인을 추출해본 결과 건강생활영역은 전공과 학년이, 사회생활영역과 표현생활영역은 학년이, 그리고 탐구생활과 언어생활영역은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사전지식이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유아교사의 일반유아 문제행동 지도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한혜원,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 전공 유아교사의 문제행동 지도 과정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반복적 비교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 확인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는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며 문제행동을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되어 문제행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고, 문제행동에 대한 접근 방식을 새롭게 모색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는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며 문제행동의 이해와 해결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나타났고 문제행동을 이해하고자 노력하며 예방적 중재 전략으로 환경 조정을 시도하였다. 셋째, 유아교사는 문제행동 유아의 개별적 요구를 파악하여 행동변화를 기대하였고, 가정 상황의 이해가 확대되었다. 또한, 특수교사를 포함한 동료교사나 전문가와의 협력을 통해 긍정적인 중재 경험을 하였다. 넷째, 유아교사는 반성적 사고를 통해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자기 성찰을 통해 성장하였다. 다섯째, 유아교사는 유아특수교육을 전공하며 문제행동 중재에서도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의 통합적 접근과 협력적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유아특수교육의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고 구체적인 방법을 습득한 경험을 밝혀 유아교육 현장에서 일반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regarding the process of managing problem behaviors. To achieve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dditionally, member checking was utilize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a shift in their perspectives on problem behaviors as they pursued their major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leading them to adopt a new viewpoint and seek alternative approaches to addressing problem behaviors. Second, as they studie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participants engaged in various attempts to understand and resolve problem behaviors, striving to comprehend them better and implementing proa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such as environmental adjustments. Third, participants identified the individual needs of children exhibiting problem behaviors and sought behavioral changes while also broadening their understanding of family circumstances. Furthermore, they had positive experiences in interven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fellow participants and specialists, including special education participants. Fourth, through reflective thinking, participants transformed their perceptions of problem behaviors and experienced professional growth through self-reflection. Fifth, participa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approach and collaborative support between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 managing problem behavio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by revealing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ir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undergo a shift in their perception of problem behaviors and acquire concrete strategies for managing them.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애 영ㆍ유아 지원현황 및 역할 중요도에 대한 전담교사의 인식과 효율적 지원방안
홍은숙,박경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i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by examining the current nationwide status and importance of the role, local discrepancy and support needs for the management of ECSE. To estab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and interviewed the teachers in charge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is study surveyed 237 teachers from 98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17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less than average to support for ECSE i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roles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ECSE we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and importance of center’s roles, second, wide districts(urban) have more operative than medium/small districts and farming/fishing villages, third, lack of specialized staff for ECSE, specialized curriculum for infants with disabilities and publicity activities were a hindrance to support for ECSE in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Lastly,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promotion plans based upon these results. 본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애 영ㆍ유아에 대한 지원현황, 영ㆍ유아 지원에 대한 역할 중요도, 지역규모별 운영 및 역할 중요도 차이를 알아보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효율적인 장애 영ㆍ유아 지원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장애 영ㆍ유아 지원 운영현황에 대해 전담교사들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하였고(M=2.89, SD=.75), 장애 영ㆍ유아 지원에 대한 역할 중요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M=4.23, SD=.51), 장애 영ㆍ유아 운영현황과 역할 중요도 간에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t=24.35, p<.001)로 밝혀졌다. 둘째, 지역규모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현황을 비교해 본 결과, 광역도시가 중ㆍ소도시나 농ㆍ산ㆍ어촌에 비해 장애 영ㆍ유아 지원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ㆍ소도시와 농ㆍ산ㆍ어촌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장애 영ㆍ유아 운영의 어려움으로는 홍보부족, 업무대비 인력부족, 전문성을 갖춘 전담인력 확보의 문제, 지역규모별 교사 수급의 문제, 장애 영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미비 등을 들고 있었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에 자격을 갖춘 전담인력 배치, 지역별로 차별화된 영ㆍ유아 지원 시스템 개발, 통합교육지원 및 가족지원을 통한 장애 영ㆍ유아 지원 등이 효율적 운영방안으로 도출되었다.
「2019 개정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지원 경험과 인식
이소현,윤선아,안의정,허수연,나지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2 No.1
It is necessary to explore what experiences teacher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experiencing i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sinc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has been implemented.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ECSE teachers support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inclusive preschools implementing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ir needs for support accordingly. For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ECSE teachers working in inclusive preschool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4 main-themes and 10 sub-themes were emerged. Main-themes were (1) revised Nuri Curriculum, the beginning of a change, (2) practice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3)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4) needs for support of ECSE teachers. The sub-themes were ‘child-centered curriculum’, ‘play-based curriculum’, ‘change in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 ‘teacher’s worries’, ‘teacher’s efforts’, ‘change of children’ ‘change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romoting social integration’ ‘improving teacher competency’ and ‘nstitutional suppor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 role of ECSE teachers, and the needs for suppor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discussed. 「2019 개정 누리과정」시행에 따라 특수교육대상유아를 지원하는 유아특수교육 현장에서도 새로운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2019 개정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통합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특수교육대상유아 지원 경험과 인식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경험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에 따른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 12명을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이에 따른10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대주제는 (1) 개정 누리과정, 변화의 시작, (2)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 (3) 개정 누리과정의 성과, (4) 유아특수교사의 지원 요구이며, 하위주제는 ‘유아 중심 교육과정’, ‘놀이 중심교육과정’, ‘교사의 인식과 태도 변화’, ‘유아특수교사의 고민’, ‘유아특수교사의 노력’, ‘일반 유아의 변화’,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변화’, ‘사회적 통합 증진’, ‘교사 역량 강화’, ‘제도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과 및 유아특수교사의 역할,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유아특수교육전공 일반유치원 교사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특수교육대학원 석사과정 학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숙,이병인,조현근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how the inclusive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studie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have become positive perception on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experience.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narrative inquiry study was used and two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of operating inclusive classrooms for more than five years while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Research design was us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research participants’ diaries, an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e following changes while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rst, general kindergarten teachers have become education philosophy as an inclusive education teacher by study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cond, they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wi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studying the graduate studies. Third, they have become more active teachers of education to the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urth, it is possible to talk about how to implement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provide helpful data and effective methods for effectively operating inclusive education for inclusive kindergarten teachers. 본 연구는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들이 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며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대학원에서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면서 5년 이상의 통합학급 운영 경험이 있는 일반유치원 교사 2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과 연구 참여자 일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유치원 교사들은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하면서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유아특수교육을 공부함으로써 통합교육 교사로서의 교육철학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유아특수교사와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셋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장애유아 부모에게 교육전문가로서 담임교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극성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일반유치원 교사는 효과적인 통합교육 실행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통합유치원 교사에게 통합학급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와 실제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의 의미
강성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play participation and teacher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practicu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deriving major concepts through semantic unit analysis and categorizing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49 main concepts, 15 subcategories, and 5 upper categories were analyzed, and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pla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upport for play by teachers is as follows: ‘The story of play that is specially created and disappears’, ‘The power that makes play possible: external conditions of play’, ‘Searching for various ways to support play’, ‘Rediscovering the meaning of play-centered curriculum’, ‘New changes needed: suggestions for teacher training course’. This study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oper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support for play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teacher training course.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육실습 과정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 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와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의미단위분석을 통하여 주요 개념을 도출하여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49개의 주요개념과 15개의 하위범주, 5개의 상위범주로 분석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유아의 놀이참여와 교사의 놀이 지원의 의미는 ‘특별하게 생성되고 소멸되는 놀이 이야기’, ‘놀이를 가능하게 하는 힘: 놀이의 외적 조건’, ‘놀이 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법 모색하기’,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재발견하기’, ‘새로운 변화가 필요함: 교원양성과정에 제언’이라는 내용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 2019 개정누리과정 운영과 놀이 지원에 대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을 중심으로
심솔비,이병인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1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5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2018-2022) and to identify implications through IPA analysi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eachers were analyzed. and 29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through t-test, we conducted an IPA matrix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recognized as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gal members, Open and extension of special schools(classes), Early identification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performance of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appeared ‘Educating & improving disability-awareness’, ‘Implemen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trengthen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early identification & diagnosis’.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related education policies for special education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ques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provided basic data for the 6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8~20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고, 293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t-검증을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본 후,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정책에 대한 중요도는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 특수학교(급) 신․증설, 조기발견이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정책에 대한 실행도는 장애 인식 개선 교육,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대다수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책 시행의 중간 점검과「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빈도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통한 「유아특수교육연구」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안재준,노진아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유아특수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 초록을 토대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22년까지「유아특수교육연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513편의 초록을 활용하여 주제어 빈도 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여 나타나는 주요 주제어와 토픽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F와 TF-IDF 분석에서 교사, 중재, 지원, 행동과 같은 주제어들이 해당 분야의 주요 연구 동향을 나타내는 핵심 주제어로 나타났다. 둘째, 토픽모델링 분석 결과, 도출된 토픽 8개는 토픽 1(언어 및 의사소통 중재), 토픽 2(조기중재를 위한 가족지원), 토픽 3(실습을 통한 예비교사의 역량 강화), 토픽 4(유아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토픽 5(장애영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토픽 6(부모를 위한 양육 프로그램), 토픽 7(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행동중재), 토픽 8(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실행주기에 따라 토픽의 변화 경향을 분석한 결과 토픽 7과 토픽 8은 주기별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다른 토픽들 역시 꾸준한 관심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는 향후 유아특수교육 분야의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