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모막성에 따른 쌍태아 체중 불일치의 주산기 예후

        길기철 ( Ki Chul Kil ),이귀세라 ( Gui Se Ra Lee ),강영화 ( Young Hwa Kang ),김연희 ( Yeon Hee Kim ),김사진 ( Sa Jin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1

        목적: 본 연구는 융모막성에 따라 쌍태아간 체중불일치와 주산기 예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0~2007년 동안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에서 분만한 쌍태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체중불일치는 체중이 큰 신생아를 기준으로 20% 이상 차이가 있는 경우이며 체중일치는 20% 이하의 차이가 있는 경우로 정의하여 단일융 모막성 및 이중융모막성 쌍태아에서 체중불일치군과 체중일치군 간의 주산기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38명의 단일융모막성 쌍태아에서 34.2%는 체중불일치였고 66.8%는 체중일치를 보였으며 144명의 이중융모막성 쌍태아에서 9.9%의 체중불일치와 91.9%의 체중일치를 보였다. 단일융모막성 쌍태아의 체중불일치군과 체중일치군을 비교한 결과 자궁내태아사망, 쌍태아간 수혈증후군, 자궁내발육저하 및 신생아 저혈당증의 발생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중융모막성 쌍태아에서는 자궁내발육저하와 저혈당증의 발생이 체중불일치군에서 증가하였다. 기타 주산기 결과는 두 융모막성쌍태아의 각각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단일융모막성 쌍태아의 체중불일치는 태아 사망, 쌍태아간수혈증후군, 자궁내태아발육부전 및 신생아 저혈당의 발생의 가능성이 높으며 이중융모막성 쌍태아의 체중 불일치는 자궁내태아발육부전 및 신생아 저혈당의 발생 가능성이 높지만, 불량한 주산기 결과를 단정적으로 예측하기에는 미흡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trapair birth weight discordance and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the chorionicity. Methods: Twin births in St. Vincent`s Hospital of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for the period 2000~2007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Discordance was defined as an intertwin birth weight difference ≥20% and concordance was defined as weight difference <20% calculated from the larger newborn.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discordant and concordant pairs in monochorio-diamnionic and dichorionic twins. Results: Among 38 monochorionic twin births, 34.2% was discordant and 66.8% was concordant. Among 144 dichorionic twin birth, 9.9% was discordant and 91.9% was concordant. The incidences of intrauterine fetal death (FDIU), twin-to-twin transfusion syndrome (TTTS),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 and neonatal hypoglycemia of discordant group of monochorionic twins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cordant group of monochorionic twins. The incidences of IUGR and neonatal hypoglycemia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in the discordant group of dichorionic twins compared with concordant group of dichorionic twins. The others were not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in the both chorionic twins. Conclusions: Birth weight discordance in monochorionicity seems to predict fetal death, TTTS, IUGR and newborn hypoglycemia. Birth weight discordance in dichorionicity does not seem to be good predictor of adverse perinatal outcomes except IUGR and neonatal hypoglycemia.

      • KCI등재

        증례 : 임신 제 2삼분기에 합병된 급성 간질성 폐렴 2예

        길기철 ( Ki Cheol Kil ),이귀세라 ( Lee Gui Se Ra ),이세연 ( Se Yeon Lee ),최정수 ( Jung Soo Choi ),유희정 ( Hee Jung Yu ),권동진 ( Dong Jin Kwon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주산의학회 2006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7 No.4

        임신 제 2삼분기에 발생한 급성 간질성 폐렴을 기계호흡과 고용량 corticosteroid로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임상 양상, 검사 및 영상 진단 기술. 증례 1) 29세 G1P1 임신 24+3주의 산모가 3주간 지속된 기침, 객담, 호흡 곤란과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양쪽 폐에서 수포음을 동반한 거친 호흡음이 들렸으며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폐렴을 의심하여 시행한 HRCT에서 ARDS를 동반한 급성 간질성 폐렴을 의심하는 소견을 보여 기계 호흡 치료 및 기관 절개를 시행하였고 항생제와 고용량 corticosteroid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제왕 절개로 사산아를 출산 후 증상이 좋아져 corticosteroid 용량을 줄인 후 퇴원하였다. 증례 2) 33세 G1P1 임신 24+4주의 산모가 3개월간의 지속적인 기침과 객담, 호흡 곤란 주소로 내원하였다. 양쪽 폐에서 거친 호흡음이 청취되었고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간질설 폐렴을 의심하는 소견을 보여 시행한 HRCT에서 ARDS를 동반한 급성 간질성 폐렴 혹은 좁쌀 결핵의 소견을 보여 즉각적으로 항생제 및 고용량 corticosteroid를 정주하였지만 호전이 없고 호흡 곤란 심해져 기관 삽관 후 기계호흡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임신 26+1주에 분만을 하였고 분만 후 DIC가 발생하여 사망하였다. 급성 간질성 폐렴은 매우 드물며 치명적인 질환으로 59~100%의 사망률을 보인다. 임상 양상, 검사실 소견, 치료 방법이 아직 확립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흉부 방사선 검사와 HRCT가 진단에 도움이 되며 고용량 steroid와 면역억제 요법이 사용되지만 그 효과는 장담할 수 없다. We present two cases of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AIP) during the second trimester of pregnancy managed by mechanical ventilation, high dose corticosteroids. We described clinical course, laboratory data and imaging studies. Case 1) A 29-year-old woman, G1P1, was referred for aggravated continuous coughing, sputum and dyspnea, pleuritic chest pain and mild fever for 3 weeks at 24+3 weeks of gestation. There were coarse breathing sounds with crackles on the both lung field. Her chest X-ray showed diffuse haziness in both lungs with suspicious nodular opacities and suggested pneumonia. HRCT showed diffuse ground glass opacities with interstitial thickening and suspicious fine nodular infiltration in both lungs suggesting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combined with ARDS. Because her symptoms were more aggravated, she was performed mechanical ventilation treatment. After that, she was performed cesarean hysterotomy and delivered a dead male 850grams. After her symptoms were much more improved. All antibiotics were stopped and reduced the doses of steroids, she was discharged with t-tube capped state. Case 2) A 33-year-old woman, G1P1, was referred for continuous coughing, sputum and dyspnea for 3 months and low abdominal discomfort at 24+4 weeks of gestation. There were coarse breathing sounds with rales on the both lung field. Her chest X-ray showed diffuse haziness in both lungs with suspicious nodular opacities and suggested interstitial pneumonia. HRCT showed diffuse ground glass opacities with some intralobular and interlobular interstitial thickening and suspicious fine nodular infiltration in both lungs suggesting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or miliary TBc combined with ARDS. She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oxygen, high dose corticosteroids, and tocolytics. There was no evidence of TBc in the bronchoscopy. She showed decreased mentality and decreased O2 saturation below 90% in spite of mechanical ventilation, high dose steroids and IVGV therapy. She delivered a boy of 870 g (Apgar score 1/5). After delivery, she was expired due to combined aggravating DIC. Her baby was expired at the next day, too. The outcome of AIP is fatal, reporting 59~100% mortality rate. The clinical course, laboratory data and treatment are not well established due to rarity of this disease entity. Chest X-ray and HRCT may be helpful in diagnosis and high dose steroid and immunosuppressive agents usually used but the efficacy is not guaranteed.

      • KCI등재

        전치 태반에서 응급 제왕 자궁절제술의 위험 요인

        길기철 ( Ki Cheol Kil ),임시연 ( Si Yeon Lim ),고현선 ( Hyun Sun Ko ),김사진 ( Sa Jin Kim ),권동진 ( Dong Jin Kwon ),신종철 ( Jong Chul Shin ),김수평 ( Soo Pyung Kim ),이귀세라 ( Gui Se 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전치 태반 산모에서 응급 제왕 자궁절제술의 임상적 위험요소와 전치 태반의 제 3삼분기 경질 초음파로 응급 제왕 자궁절제술을 예측할 수 있는 지를 알기 위해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전치 태반으로 제왕 절개술을 시행한 산모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자궁 절제술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31명의 전치 태반 산모가 있었으며 3명이 응급 제왕 자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10.83%). 산모의 연령 (31.53±4.41 vs 34.06±4.12, p<0.05), 분만력 (0.81±0.70 vs 1.29±0.63, p<0.05), 기 제왕절개 횟수 (0.36±0.56 vs 0.91±0.75, p<0.05), 전치 태반의 과거력과 유착 태반인 경우에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재태 연령, 산전 질 출혈, 유산 횟수, 응급 제왕절개술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제 3삼분기 경질 초음파 기록에서 자궁 경부로부터의 거리 (1.18±3.66 vs 2.67±2.94, p<0.05)와 하부 태반 변연부 두께 (1.91±1.55 vs 2.96±1.33, p<0.05)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라쿠나 (lacuna)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전치태반의 경우 응급 제왕 자궁절제술을 시행하게 되는 위험요인은 산모의 유착태반과 태반 부착 부위가 자궁 경부로부터의 양의 방향으로 먼 거리, 태반 변연부의 두꺼운 두께 등이 관련된다. 다른 임상적 위험 요인은 산모 연령, 분만력, 제왕절개 횟수, 전치 태반의 과거력 등이 관련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risk factors of emergency cesarean hysterectomy in patients with pregnancies complicated by placenta previa and whether the third trimester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placenta previa would predict emergency cesarean hyste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5 and March 2005,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and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pregnancies complicated by placenta previa who underwent cesarean hysterectomy and patients with pregnancies complicated by placenta previa who did not undergo cesarean hysterectomy. Results: There were 314 had placenta previa and 34 patients were performed cesarean hysterectomy (10.8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basis of maternal age (31.53±4.41 vs 34.06±4.12, p<0.05), parity (0.81±0.70 vs 1.29±0.63, p<0.05), the number of cesarean section (0.36±0.56 vs 0.91±0.75, p<0.05), previous history of placenta previa and presence of placenta accreta, but not on the basis of gestational age, the number of antenatal vaginal bleeding, the number of abortions and emergency operation between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ird trimester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finding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distances from the internal os of cervix (1.18±3.66 vs 2.67±2.94, p<0.05) and thickness of lower placental edge. However, the presence of lacuna in the lower placenta was not associated with emergency hysterectomy. Conclusions: Patients with placenta previa are at a higher risk of undergoing cesarean hysterectomy when they are associated with placenta accreta, thick lower placenta edge, and positively longer distance to the internal os of cervix. The other clinical factors such as maternal age, parity, the number of cesarean section and previous history of placenta previa might be associated the risk of cesarean hysterectom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궁각 임신의 임상 양상 분석

        이세연 ( Sae Yeon Lee ),길기철 ( Ki Chul Kil ),최미나 ( Mi Na Chai ),정문영 ( Moon Young Chung ),김연희 ( Yeon Hee Kim ),권동진 ( Dong Jin Kown ),이귀세라 ( Gui Se R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7

        목적: 자궁각 임신의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의 효능성과 자궁각 임신의 조기 진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 병원에서 2000. 1. 1.부터 2004. 12. 31까지 자궁각 임신으로 진단된 26예 중 치료 전에 이미 진단된 군 (A군)과 수술 후 자궁각 임신으로 진단된 군 (B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과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 group은 8예 (30.77%)였으며 B군은 18예 (69.29%)였다. 두 군간에 연령 (33.0±6.21세 : 31.0±5.82세), 무월경 기간(7.32±1.07주 : 8.90±5.44주), 제왕절개의 기왕력 (25% : 27.8%), 자궁근종 (12.5% : 11.1%), 증상의 발현 중 복부동통 (50% : 77.78%), 질출혈 (50% : 55.6%), 쇽 (0% : 27.8%)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출산력 (1.63±0.74 : 1.0±0.77, p=0.032), 유산의 회수 (2.25±1.16회 : 1.11±1.18회, p=0.016) 및 자궁외 임신의 기왕력 (37.5% : 0%, p=0.022) 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료 방법 중 자궁각 절제 (50% : 94.4%, p=0.02)만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결론: 초음파에 의한 자궁각 임신의 조기 진단은 30.8%였다. 자궁각 임신을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요인에서 출산력 및 자궁외 임신과 유산에 대한 과거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되며 이는 이러한 기왕력이 있는 경우에는 의료진을 조기 방문하고 의료진 역시 자궁각 임신의 가능성에 대하여 주의를 요한다면 자궁각 임신의 조기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ultrasonogram in the detection of cornual pregnancy and the factors that might be affected on early diagnosis. Method: We studied 26 cases which were diagnosed as a cornual pregnancy from Jan, 1, 2000 to Dec, 31, 2004 at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St. Vincent`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 compared two groups about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ne group (A group) was diagnosed as cornual pregnancy before beginning of treatment, another group (B group) was not diagnosed as cornual pregnancy until operation. Results: A group was 8 cases (30.8%) and B group was 18 cases (69.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33.0±6.21 years : 31.0±5.82 years), duration of amenorrhea (7.32±1.07 weeks : 8.90±5.44 weeks), previous cesarian section history (25.0% : 27.8%), present myoma (12.5% : 11.1%) and abdominal pain (50% : 77.78%), vaginal bleeding (50% : 55.6%), shock (0% : 27.8%)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ity (1.63±0.74 : 1.0±0.77, p=0.032), number of abortions (2.25±1.16 : 1.11±1.18, p=0.016), previous history of ectopic pregnancy (37.5% : 0%, p=0.022). Of the method of treatments, only cornual resection (50% : 94.4%)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30.8% of cornual pregnancy was early diagnosed by ultrasonogram. The important early detective factors for cornual pregnancy might be parity, previous ectopic pregnancy history and abortion history. Therefore if the patient has the previous ectopic pregnancy and abortion history, she can visit early to the hospital and the doctors do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cornual pregnancy.

      • KCI등재
      • KCI등재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를 동반한 임산부 94예의 임신 경과 및 산과적 고찰

        안현영 ( Hyun Young Ahn ),김연희 ( Yeon Hee Kim ),길기철 ( Ki Chul Kil ),박인양 ( In Yang Park ),이귀세라 ( Guisera Lee ),김사진 ( Sa Jin Kim ),박성환 ( Sung Hwan Park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목적: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가 합병된 임신에서의 임신 결과를 평가하고 불량 주산기 예후 중 조기분만과 임신 중 루푸스 악화와 관련한 임상적, 실험실적 요인을 조사하여 루푸스 환자에서의 임신이 태아와 모체에 미치는 영향과 임신 결과, 임신이 루푸스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 임신 시 임상적, 혈청학적 지표의 변화와 임신 및 태아의 예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7년 1월부터 2004년 9월까지 가톨릭대학교부속 강남성모병원 산부인과와 류마티스 센터에서 임신을 경험한 환자 중 임신 경과와 루푸스 병력 기록이 추적 가능한 60명의 환자들의 총 94예의 임신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임상적 증상과 증후, 혈액, 면역, 혈청학적 검사 수치로 루푸스의 경과를 평가하였으며, 임신의 임상 경과 및 결과와 산과적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5.0 V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Fisher`s exact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신 당시 평균 연령은 30.01±3.49세 (22~39)였으며, 질병 이환 기간은 평균 69.36±47.18개월이었다. 총 74예 (78.7%)의 생존 출생아, 11예 (11.7%)의 자연유산, 2예 (2.1%)의 치료적 유산과 4예 (4.2%)의 사산이 발생하였고 47.4%의 제왕절개분만을 보였다. 제태 연령 20주 이상의 임신에서 산과적 합병증으로 조기분만이 17.9%, 전자간증이 26.9%, 자궁내 발육제한은 20.5%였고 31예 (39.7%)는 합병증이 없었다. 태아 및 신생아 합병증으로 12예의 일과성 신생아 루푸스와 조기분만에 따른 신생아 사망이 2예 발생하였고 정상 신생아는 51예였다. 결론: 임신 전 저C4보체혈증, 심근염, 흉막염, 임신 시 활동성의 루푸스 질환, 항인지질항체 증후군은 조기분만과 관련있고 루푸스 신염, 단백뇨, 혈뇨, 그리고 임신 당시 활동성의 루푸스는 임신 중 루푸스 악화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다. 그러나 루푸스 여성의 임신에 경험이 풍부한 각 전문 분야의 팀에 의해 루푸스 추적 관찰과 분만이 이루어지면, 임신 중 루푸스의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aternal and fetal outcomes in pregnant women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and to evaluate clinical and laboratory markers for preterm birth and lupus flares. Methods: 94 pregnancies of 60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from Jan 1997 to Sep 2004. We used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from the medical records and statistics analysis by Chi-square test, using SPSS 15.0 V. Results: Pregnancy resulted in 74 (78.7%) live births, 11 (11.7%) spontaneous abortions, 2 (2.1%) therapeutic abortion, and 4 (4.2%) stillbirths. Thirty-seven cases (47.4%) were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Obstetric complications included 17.9% of preterm births, 26.9% of preeclampsia, and 20.5% of IUGR. There were 31 (39.7%) uncomplicated cases among the pregnancies over 20 gestational weeks. There were 12 of transient neonatal lupus, 2 of neonatal death due to prematurity, and 51 of normal births. Low C4, myocarditis, pleural effusion prior to pregnancy, activity at conception, 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eterm birth. The maternal long-term effect of pregnancy was poor, because 44.7% were in deterioration of cardiovascular, hematologic or renal function after delivery. Lupus nephritis, proteinuria, hematuria, and activity at concep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upus flare during pregnancy. Conclusion: Pregnant women with active SLE at conception should be intensively monitored with maternal and fetal surveillance. It is essential to control disease activity during pregnancy. However, adequate pregnancy follow-up and delivery care by multidisciplinary effort with experience in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LE resulted in a better outcome of lupus pregnancy.

      • KCI등재

        자궁내태아발육저하에 있어서 양수과소증의 임상적 의의

        강영화 ( Young Hwa Kang ),이귀세라 ( Gui Se Ra Lee ),길기철 ( Ki Cheol Kil ),권지영 ( Ji Young Kwon ),신종철 ( Jong Chul Shi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

        목적: 자궁내태아발육저하에서 양수과소증 동반의 의의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2005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 산전 태아초음파상 10 백분위의 자궁내태아발육저하를 보인 138명의 태아 중 양수과소증이 동반되었던 태아 82예와 양수과소증의 동반 없이 발육저하만 보인 태아 56예를 대상으로 모체의 임상학적 특성과 신생아의 예후를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모체의 임상학적 특성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태아의 임상적 특성에서는 양수지수와 진단~분만까지의 기간을 제외한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신생아의 임상적 특성에서는 고빌리루빈증의 발생과 비뇨기계의 문제 발생이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군에서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으나 그 외 신생아 합병증 발생에서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궁내태아발육저하와 양수과소증이 동반된 경우 양수과소증의 동반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출생 후 신생아에서 고빌리루빈혈증의 발생 증가 및 신장의 문제 외 다른 합병증의 발생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 같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e the significance of the oligohydramnios in the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Methods: Eighty two patients were identified to have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ith oligohydramnios (Group of IUGR+Oligihydramnios) and fifty six patients were identified to have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ithout oligohydramnios (Group of IUGR) on ultrasound examination from January 1st, 2005 to December 31st, 2007 at St. Vincent Hospital of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shown between two groups in the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fetal clinical features except amniotic fluid index and the duration between diagnosis and delivery. The incidence of hyperbilirubinemia and complications in the urogenital syste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roup of IUGR+ Oligihydramnios. The other complications were no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Oligohydramnios may not seem to be significant predictor of adverse neonatal outcome of IUGR except the development of hyperbilirubinemia and urogenital co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