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SM-5에 나타난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보육서비스 진단체계 고찰

        고재욱(Ko, Jea-U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1

        2013년에 개정된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에 나타난 신경발달장애는 장애아동 교육과 보육에서도 판정 기준과 장애진단 지원 방향 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애아동 중심으로 고찰 결과 첫째, 지적 장애에 대한 DSM-5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지적 장애의 진단을 지능점수에만 근거해서 진단하지 않고 적응기능의 평가를 추가한 것에 있다. 적응기능은 개념적, 사회적, 실용적 분야의 세 가지 영역에서 결함의 심각 정도를 평가하게 되어 있다. 둘째, 자폐스펙트럼 장애(Austic spectrum disorders: 이하 ASD)’에서는 연령 제한이 사라짐으로써 이전과 같이 전반적 발달장애 하에 하위 범주로 구분하던 범주적 구분을 하지 않고, 모두 자폐스펙트럼 장애로 진단받으며, 공통된 행동 이상을 보이는 차원적 접근을 하고 있다. 셋째, 의사소통 장애에서는 일상생활의 기능을 중심으로 사회적 의사소통과 제한적인 관심과 반복행동 증상의 심각성을 평가하여 지원 정도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넷째, ADHD에서는 DSM-5차 개정을 거치면서 진단기준에 변화는 DSM-Ⅳ까지 증상 발현의 시기가 6세 이전이었던 반면 DSM-5에서는 12세 이전으로 변화하였다. 다섯째, 특정학습장애의 진단 시기가 초기 학령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밝혔다. 후기 학령기에도 학습장애가 발견ㆍ진단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여섯째, 운동장애는 신경발달 장애의 원인은 중추신경계, 즉 뇌의 발달지연 또는 뇌 손상과 관련되어 있고, 운동장애는 나이나 지능수준에 비해 움직임이나 운동능력이 현저하게 미숙하거나 부적응적인 움직임을 반복적으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 DSM-5에서는 좀 더 신경학적인 면에서 발달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려는 의도가 보인다. 이에 장애아동 교육과 보육서비스에서도 DSM-5 시스템에 맞는 판정 기준과 진단 도구개발 및 활용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The neurodevelopmental disability presented in the DSM-5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revised in 2013, will also influence decision criteria and the direction of disability support in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rominent feature of DSM-5 for intellectual disability is the addition of assessment of adaptive function without diagnosis of intellectual disability based on intelligence score only. The adaptive function is intended to assess the severity of the defect in three areas: conceptual, social and practical. Second, in Austic spectrum disorders (ASD), the age restriction disappears, so that they are not classified as subcategories under the general developmental disability as before, but all are diagnosed as autism spectrum disorders. Is taking a dimensional approach. Fourth, in communication disorders, the degree of support is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severity of social communication, limited attention, and repetitive behavior symptoms centering on the functions of everyday life. Fourth, in ADHD, DSM-5 changes were made before the change of diagnosis criteria to DSM-IV. Fifth, it was clear that the timing of diagnosis of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was not limited to early school age. It was emphasized that learning disabilities may be discovered and diagnosed in later school age. Sixth, the cause of the neurodevelopmental disorder is related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that is, the developmental delay of the brain or brain damage. It is characterized by. It explains. In DSM-5, the intention is to focus on the more neurological aspects of development. This is because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required to develop and use criteria and diagnostic tools suitable for the DSM-5 system.

      • KCI등재

        신경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관계에서 자녀애착에 의해 조절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황영주,김윤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6

        본 연구는 신경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에 의해 조절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신경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5.0과 SPSS PROCESS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불안정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장애수용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수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녀애착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장애수용을 통한 자녀애착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하여, 신경발달장애아동 어머니가 안정적인 심리적 안녕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개변인인 장애수용과 조절변인인 자녀애착 향상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through disabilityacceptance between the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of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vebeen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in the effects of mothers’ insecureadult attachmen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re have been significantmoderated mediation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psychologicalwell-being. Third, there have been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attachment through disability acceptance in effects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need for intervention through theimprovement of disability acceptance as mediating variables and maternal attachment asmoderating variables for stable psychological well-being.

      • 발달장애아의 신경안정과 녹차테아닌(Thenine)의 효능 -문헌을 중심으로-

        박화문 ( Hwa Moon Park ),김미숙 ( Mi Suk Kim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13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5 No.1

        발달장애 아동은 뇌기능장애를 지니고 있다. 즉, 자폐아의 경우에는 뇌기능의 전달물질인도파민(dopanine),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n), 세로토닌(sertonin) 등의 신경전달물질에 관련된 뇌내의 신경네트워크에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 아동의 지도에 있어서는 뇌기능 장애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 쉬운 신경전달물질의 기능을 적절히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지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여기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들이 일상 생활속에서 쉽게 마시고 있는 차(茶)에 포함되어 있는 테아닌(theanine)의 성분 효능에 관하여 관련된 문헌을 통하여 테아닌의 효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녹차의 테아닌은 발달장애 아동에게 나타나는 수면장애를 개선시켜 그들에게 안전하고 중요한 부가적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었다. 특히 발달장애 아동의 테아닌 섭취 후 뇌의 측면과 후두엽 부분에서 알파파가 현저하게 나타나 심신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변화를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녹차에 포함되어 있는 테아닌은 카페인의 약리작용과 길항작용(dntagonism)을 하는 성분으로 녹차 중에 가장 많이 포함된 아미노산으로 독특한 감칠맛을 나타낸다.셋째, 테아닌의 화학구조는 뇌내에서 중요한 생리작용인 정보전달 기구로써의 역할을 하는 글루타민과 글루타민산과 유사하여 뇌의 생리작용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신경계의 안정과 기억 및 학습을 포함한 각종 행동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테아닌은 인체의 섭취에 의하여 모노아민(monoamine)량이 변동하여 혈압에 대한 작용이 일어난다. 즉, 테아닌의 투여에 의하여 고혈압 자연발증 실험쥐의 혈압이 저하되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스키너의 학습상자를 이용한 먹이 섭취 학습에 있어서도 보다 효과적인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다섯째, 테아닌의 섭취 후 손발가락이 따뜻해지는데 이것은 이완에 의한 말단의 혈관이 확장되어 따뜻한 감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테아닌 섭취에 의하여 뇌에서 안정이 취해지는 알파파가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녹차의 감칠맛을 나타내고 있는 테아닌을 포함하고 있는 녹차를 우리들은 일상생활에서 수시로 마실 수 있으므로써 발달장애 아동의 신경계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으며 신경계의 안정을 통하여 일상생활 활동의 안정과 심신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brain dysfunction. Neurotransmitters, like dopamine, noradrenaline, and sertonin, in autistic child have disorder associated with interneuronal network. For lead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may be very important for the function of neurotransmitter to remain steady properly that is caused by brain dysfunction. In this study, we would understand the effect of Theanine in tea, which is easily access to our daily lives,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the Theanine.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anine in green tea improve sleep disorders of children with developmnetal disabilities, it could provide safety, additional treatment for them. Alpha wave was significently shown in brain side and occipital lobe, it can lead to psychological stability, aft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ntook Theanine . Secondly, Theanine in green tea is contained the most amino acid, is the ingredient for phammacological reaction and antagoism of caffeine, is very unique tasty. Thirdly, chemical structure of Theanine has effect on physiologic action of brain because it is very similar with the structure of glutamine and glutamic acid as information transfer for physiological action of brain. Especially, it has effect on various behaviours, including stability for nervous system, memory and learning. Fourthly, taking Theanine changes volume of monoamine and works for blood pressure, that is, it has been reported that taking Theanine after making experiment of spontaneous high blood pressure dropped in blood pressure. Learning feed intake by using Skinner`s box was shown more efficient. Fifthly, fingers and toes were getting warmer after taking Theanine, it caused by peripheral vasodilataion with relaxation. Taking Theanine leads to promote alpha wave which remains stability in brain As mentioned above, we can often drink green tea in daily life that includes a special unique tasty Theanine, it helps stabilize nervous system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ead to stability of daily life and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brain dysfunction. Neurotransmitters, like dopamine, noradrenaline, and sertonin, in autistic child have disorder associated with interneuronal network. For lead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may be very important for the function of neurotransmitter to remain steady properly that is caused by brain dysfunction. In this study, we would understand the effect of Theanine in tea, which is easily access to our daily lives, through literature related to the Theanine.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anine in green tea improve sleep disorders of children with developmnetal disabilities, it could provide safety, additional treatment for them. Alpha wave was significently shown in brain side and occipital lobe, it can lead to psychological stability, aft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ntook Theanine . Secondly, Theanine in green tea is contained the most amino acid, is the ingredient for phammacological reaction and antagoism of caffeine, is very unique tasty. Thirdly, chemical structure of Theanine has effect on physiologic action of brain because it is very similar with the structure of glutamine and glutamic acid as information transfer for physiological action of brain. Especially, it has effect on various behaviours, including stability for nervous system, memory and learning. Fourthly, taking Theanine changes volume of monoamine and works for blood pressure, that is, it has been reported that taking Theanine after making experiment of spontaneous high blood pressure dropped in blood pressure. Learning feed intake by using Skinner`s box was shown more efficient. Fifthly, fingers and toes were getting warmer after taking Theanine, it caused by peripheral vasodilataion with relaxation. Taking Theanine leads to promote alpha wave which remains stability in brain As mentioned above, we can often drink green tea in daily life that includes a special unique tasty Theanine, it helps stabilize nervous system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ead to stability of daily life and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DSM-5의 개정에서 본 발달장애의 새로운 진단명과 진단 기준 그리고 ASD의 명칭 도입과 ADHD의 변화

        추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2014 발달장애연구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해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DSM)의 개정 변화를 DSM-5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했다. 이 연구를 통해 본 DSM-5의 개정 변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경발달장애군(ND) 신설을 통해 좀 더 임상적 증거를 기반으로 진단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변화로는 다축진단의 폐지, 중증도의 평가 도입, 19개 장애군에서 22개 장애군으로 증가, 차원적 평가 도입, 특정불능(unspecified)의 대책으로 달리 분류되지 않는 전반적 발달장애(PDD-NOS)의 명칭을 없애고 있다. 둘째, 자폐 스펙트럼장애(ASD)로의 장애명칭 변경과 그 준거가 3세 이전의 증상 발현에서 아동기로 확대되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하나의 차원인 사회적 의사소통으로 보고, 반복적 상동행동과 함께 2가지 진단차원으로 줄여서 진단준거를 제시하고 있다. 셋째,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의 진단기준을 7세 이전의 발생 나이에서 12세로 확대하고 청년, 성인(17세 이상)은 진단기준 5항목으로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발달적 산술장애(Developmental Dyscalculia)의 교육 신경과학적 특성에 대한 고찰

        김소희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f educational neuroscience focussing on developmental dyscalculia(DD) and to predict the future contribution of educational neuroscience withrespect to the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view about definitions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neuroscience was conducted. Next, current research findings regarding neurological aspects of DD were reviewed. From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the core deficits of DD lies in intraparietal sulcus & right supramarginal gyrus (for counting numbers), left intraparietal sulcus & fusiform gyrus (for comparing number magnitudes), left temporal lobe especially angular gyrus (for calculating). In addition, low level of activation of overall neural network involved with number processing was reported. Finally, future research questions in the area of educational neuroscience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학과 신경과학이 연계된 새로운 학문분야인 교육 신경과학(educational neuroscience)의 현황을 발달적 산술장애(developmental dyscalculia)의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교육 신경과학이 산술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적 중재에 기여할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육 신경과학의 정의와 학문적 성격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발달적 산술장애 아동의 특성에 대한 교육신경학 분야의 최근 연구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발달적 산술장애 아동은 기초수학 과제 수행 시 주로 수 세기 과제에서 좌측 두정엽내구열 및 우반구 상측연상회의 활성화, 수 크기 비교에서 좌측 두정엽내구열 및 방추상회의 활성화, 수 계산 과제 에서 측두엽, 특히 각회의 활성화 면에서 비장애 아동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측하전회, 방추상회, 전측대상피질 등 수 정보처리에 관여하는 신경 연결망의 구조적 비전형성과 활성화 실패가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신경학적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말미에는 발달적 산술장애 아동에 대한 교육적 중재를 비롯하여 교육 신경과학 분야에서 연구할 필요성이 있는 과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놀이치료 내담 아동의 놀이 주제 비교: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불안장애, 신경발달장애 아동을 중심으로

        김다정,선우현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play themes in play therapy process on forty–four children with the traits of Trauma–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nd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The play themes in the play therapy process were analyzed with BETPT(Benedict’s Expended Themes in Play Therapy).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play themes from Sixty–eight kinds of play themes were Mastery, Aggression, Nurturing, Constancy, Game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Trauma and Stressor Related Disorders, Mastery, Game, Nurturing, Boundary setting, Aggression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s, and Mastery, Game, Aggression, Boundary setting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Second, it showed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hemes of Powerful figure overcoming weaker figure, Bridge building and Escape Game in the analysis of three groups of the children with Trauma and Stressor Related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Neurodevelopmental Disorder. It has the significant that this study provide grasping the play therapy process objectively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y themes on the main issues of children through analyzing play themes using BETPT as a tool in this study. 본 연구는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특징을 보이는 아동, 불안장애 아동, 신경발달장애 아동 총 44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놀이치료 과정에서 나타나는 놀이 주제를 BETPT(Benedict’s Expended Themes in Play Therapy)로 분석하여,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불안장애, 신경발달장애 아동들의 놀이 주제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집단에서 놀이 주제는 총 68가지의 놀이 주제 중 숙달, 공격성, 양육, 항상성, 게임 주제가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장애 집단에서는 숙달, 게임, 양육, 건설하기, 경계 설정, 공격성 주제가, 신경발달장애 집단에서는 숙달, 게임, 공격성, 경계 설정 주제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아동, 불안장애 아동,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세 집단의 놀이 주제를 분석한 결과, 힘 있는 피겨가 보다 약한 피겨를 이김, 건설하기, 회피/탈출, 게임 놀이 주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놀이 주제를 BETPT 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한 것으로, 놀이치료 과정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아동의 주호소에 따른 놀이 주제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신경발달장애를 중심으로 한 DSM-5의 변화: 특수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권회연 ( Hoe Yeon Kweon ),전병운 ( Byung Un Jeo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2

        2013년에 새롭게 개정된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는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표준화된 진단체계로 2000년에 개정되었던 기존의 DSM-Ⅳ-TR과는 진단명과 진단기준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새롭게 추가된 신경발달장애 영역의 진단기준은 정신건강 분야뿐만 아니라 특수교육의 적격성 판정을 위한 장애진단 및 특수교육 서비스 지원 방향에도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DSM-Ⅳ-TR 하에서 사용되어온 ‘정신지체’라는 진단명이 ‘지적장애’로, ‘전반적 발달장애’가‘자폐스펙트럼장애’로 변화한 것은 정신장애 뿐 아니라 다양한 학제에서 그동안 논의되어 온 연구 성과를 적극 수용한 것이며, 학제 간 논의와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DSM-5의 개정이 교량적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특수교육법에서 특수교육대상자로 명시한 장애명과 진단기준을 기준으로 DSM-5가 개정된 2013년 5월 이후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논문들을 고찰하고, DSM-5와 특수교육 진단체계의 차이점 및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향후 특수교육법 상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기준과 지원, 보 완책을 위해서는 다양한 학제 간 전문가 협력과 논의의 장이 필요하며, 타당성이 높은 도구 및 DSM-5 시스템에 맞는 진단도구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A considerable changes made to the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diagnostic criteria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 revised in 2013 were compared with the DSM-Ⅳ-TR diagnostic criteria, and this changes will influence on the diagnosis of disability for the judgment of eligibility and the determination of support on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the area of mental health. A diagnosis being "mental retardation" under the DSM-Ⅳ-TR have changed to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ability" to "autism spectrum disorder", which this reflect the results and the achievement of the professionals across the various study area. The DSM-5(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diagnostic criteria will play a role as a bridge of the discussion and the study across the studies. To invigorate the productive discussion for a arrangement for supplement, there should be wider discussion of this issue and the development of the valid instrument for the evaluation indexed to DSM-5 diagnostic criteria and classification.

      • KCI등재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를 위한 인지조기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분석

        이지희,박혜원,안동현,이현주 인지발달중재학회 2016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 및 신경발달장애아를 포함한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를 위한 인지조기중 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인지조기중재 프로그램은 2세 6개월-7세 7개 월 유아의 발달적 특성 및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인지, 신체, 감각, 실행기능 발달을 위한 통 합내용으로 개발하여 총 16회기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발달문제로 S시 소재 대학병원의 소아과와 소아정신과에 내원하고 있거나 내원했었던 발달지연 위험군 유아 24명으로 인지조 기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집단 13명을 실험집단, 참여가 어려운 11명을 통제집 단으로 배정하였다. 두 집단 모두에게 동일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2회 실시하였다. 인 지발달은 한국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Ⅳ)의 2가지 소검사로, 실행기능 발달은 실행기능 행동평가-유아용 (The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BRIEF-P) 부모 평정척도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인지조기중재 프로 그램은 지능의 수행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고 실행기능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으 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다양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필 요가 있으며 더 장기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장기적인 효과 또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한국인 정신분열병과 양극성 기분장애에서 Ciliary Neurotrophic Factor(CNTF)유전자 변이에 관하여

        이충숙,신석철,지익성,왕성근,이영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정신분열병과 양극성 기분장애 같은 주요 정신질환의 발병에서 유전적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최 근 정신분열병과 양극성 기분장애의 원인을 신경병리학적 연구와 신경영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신경발달 학인 면에서 이해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Ciliary neurotrophic factor(CNTF)는 해마신경원와 내측 중 격신경원을 포함한 다양한 신경세포의 강력한 생명 유지인자로 작용하여 중추신경계의 발달과 유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면서, 주요 정신질환의 원인적인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결 과는 일치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 등은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 112명과 양극성 기분장애 환자 81명 그리고 정상 대조군 125명을 대상을 CNTF 유전자 변이와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NTF의 유전자형은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N/N 80(70.4%), N/M 32(28.6%), M/M 0(0.0%)이 었고, 양극성 기분장애 환자군에서 N/N 58(71.6%), N/M 23(28.4%), M/M 0(0.0%)이었으며, 정상 대조군에서는 N/N 94(75.2%), N/M 30(24.0%), M/M 1(0.8%)이었다.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정신분 열병 환자군에서 N 192(85.7%), M 32(14.3%)이었고, 양극성 기분장애 환자군에서는 N139(85.8%), M 23(14.2%)이었으며, 정상 대조군에서는 N 218(87.2%), M 32(12.8%)이었다. 3군간의 유전자형과 대립유전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한국인 정신분열병과 양극성 기분장애에서 CNTF 유전자의 변이가 원인적 요인으 로 작용할 것이라고 볼 수 없었다. Genetic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and recently the neural maldevelopment hypothesis is suggested by neuropathological and neuroimaging studies. Neurotrophic factors, including ciliary neurotrophic factor(CNTF), play a central role in the regulation of neural develop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ll mutation of CNTF gene and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in a Korean population. The CNTF gene were typed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112 patients with schizo-phrenia, 81 with bipolar disorders and in 125 healthy controls. The distributions of the CNTF genotype in schizophrenic patients with N/N, N/M, M/M were 80(71.4%), 32(28.6%), 0(0%), in bipolar disorders were 58(71.6%), 23(28.4%), 0(0%) and in the controls were 94(75.2%), 30(24.0%), 1(0.8%). The allele frequencies of the CNTF gene in schizophrenic patients with N and M were 192(85.7%), 32(14.3%), in bipolar disorders were 139(85.8%), 23(14.2%), and in the control were 218(87.2%), 32(12.8%).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genotype distributions and the allele frequencies of CNTF gene null mutation among the 3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CNTF gene null mutation is not causal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