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지적장애 학술연구 동향

        박정식 ( Jung Sik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한국지적장애의 교육과 연구에 많은 영향을 끼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와 학술대회 논문집을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주제 등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한국지적장애 학술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의 결과로 첫째, 초기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에서 활용한 대표적인 연구유형은 문헌연구가 많았고, 이후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질적연구 유형을 많이 활용했다. 둘째,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대상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다. 셋째,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주제 동향은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주제가 가장 많았고 또한 전환 및 직업교육, 자기결정, 적응행동 등이 주요 연구주제였다. 넷째, 학술대회 논문집에 나타난 연구주제는 행정지원, 통합교육, 진단평가 및 자기결정, 태도인식 및 적응행동, 전환교육, 문제행동, 공학지원 등 그 시대에 가장 쟁점이 되는 사안들을 학술대회 주제로 선택해 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have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KAID) for grasping at Korean academic trend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have influence on education and research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which divided as type of research, subjects of study, and titles of study was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literatures as representative research type appeared i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early days. and next then, there are type of survey, experimental study and qualitative study in order. Second, there are many papers which the subjects of study i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in titles of study appeared i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 are many titles regarding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n there are transition and vocation education, self-determination, adaptive behavior in order. Fourth,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KAID) have chosen titles of KAID` conference to be big issues in that era. so far these are administrative support, inclusion, diagnosis and evaluation, self-determination, paradigm shift of disabilities, transition proble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정신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

        김정현 ( Jung-hyun Kim ),박현옥 ( Hyeon-ok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정신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정신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지적장애인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사회적 거리감에 의해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예언할 수 있는가?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와 광주광역시 소재 2개 대학의 학생 165명이며, 이들에게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통계적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에는 차이가 없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종교·학년·봉사활동 경험·봉사활동 내용에 따라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에 차이가 없으며, 전공·연수 경험에 따라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에 차이가 있다. 셋째, 사회적 거리감을 통해 지적장애인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예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tance and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165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B University and N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method from 2 kinds of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WIN 12.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test, Paried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distance and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social distance and attitude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ak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religion, grade, volunteering experience, characteristic of volunteering, bu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major and experience of training. Third, authoritarianism and social restrictiven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urth, the attitude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ould be predicted by the social distance.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이성용 ( Yi Seongyong Y. ),김진호 ( Kim Jinho H.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사회과학분야에서 연구 특성 및 동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키워드 네트워크분석을 특수교육분야에서 새로이 적용하여 제시하는 데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를 검색하고, 게재논문에서 키워드가 제시되기 시작한 2002년부터 시작하여 2016년까지 게재된 총 589개의 학술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KrKwic과 KrTitl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키워드 추출 및 코딩을 실시하고 자료를 정제해 핵심 키워드 28개로 1-mode 네트워크 행렬을 만들었다.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공출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 기반한 네트워크 구조 특성 분석, 사회적 네트워크 중앙성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 도구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UCINET6와 NetDraw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지적장애연구에 게재된 연구는 총 233편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는 `지적장애`, `통합교육`, `전환교육`, `발달장애`, `특수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지적장애연구에 게재된 연구는 총 356편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는 `지적장애`, `발달장애`, `전환교육`, `특수교사`, `통합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지적장애연구에 게재된 연구는 총 589건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키워드는 `지적장애`, `발달장애`, `전환교육`, `통합교육`, `특수교사` 등으로 나타났다. 즉, 지적장애연구는 지적장애와 발달장애의 전환교육, 통합교육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의 연구 특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와 유용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JID). For investigating this journal, the final 589 papers were selected as subjects from the result of searching research databases(www.kaid.kr). After keyword extraction, coding, and data cleaning, we made a 1-mode network with the final 28 keywords using KrKwic and KrTitile programs. In order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frequency analysis, social network structural property analysis based on co-keyword network modeling, and social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ere used. The network analytic tools were UCINET and NetDraw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233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02 to 2009 in the JI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inclusion`, `transiti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and so on. The 356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10 to 2016 in the JI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transi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 `inclusion`, etc. Second, the 589 papers were published from 2002 to 2016 in the JID and the main keywords were identified as `intellectu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transition`, `i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so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understand the studies of JID.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지적장애의 개념과 시스템 고찰

        강종구 ( Jong Gu Kang ),김라경 ( Rah Kyu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사회구성주의 관점을 통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적장애와 학습장애의 법, 개념, 교육적 함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난 50년간의 지적장애의 정의와 개념의 변화와 이에 따른 정신지체에서 지적장애로의 용어의 변화의 타당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와 외국의 문헌을 검토하였으며 검토된 문헌에 대하여 사회구성주의 관점을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법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장애인복지법을 검토한 결과 장애인복지법에서는 특수교육법이 지원해 주지 못하는 장애에 대한 보완과 학습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지원이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는 달리 미국 장애인법과 재활법에서는 전장애아교육법에 해당하지 않는 장애(천식, 주의력 결핍 장애 등) 및 21세 이상의 학습장애 성인 등을 지원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유럽의 경우 지적장애 대신 학습장애나 특수교육적 요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지적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지난 50년간의 지적장애의 용어, 정의와 개념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점차적으로 IQ중심의 심리학적 분류, 교육적 분류, 의학적 분류에서 종합적이며 환경적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지원적 분류로 변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적장애 개념을 검토한 결과 지적장애는 1급에서 3급에 해당하는 중증장애로만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지적장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내포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지적장애 용어 자체에 대하여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보건복지가족부에서는 장애의 진단 명칭을 지적장애로 사용하고 있는 데 반해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정신지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교육과 복지가 협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laws, concept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ntellectual and learning disabilities using a social constructionist model.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historical overview of how the constructs underlying mental retardation and intellectual disability differ, and to explain why the field is shifting from the term mental retardation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First, unlike the IDEA eligibility system that is based on clinical categories of disabilities, definitions of disability under ADA and Section 504 are broad. These definitions may provide appropriate, reasonable adaptations and accommodations to eligibl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at IDEA cannot cover (e.g., attention deficit disorder, asthma). To the contrary, in order to receive services in Korea,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consider the specific categories detailed in the laws. Some European counties favor to use the term "learning disabilities" to prevent bias agains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over the last 50 years, the field has moved from the IQ-based medical model of classification to an ecological focus and supports paradigm. This new model focuses on the actual functioning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fic environments. Third,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may have negative attitudes if they are registered as hav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current Korean system,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represents having severe disabilities. The denial of registering as hav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hinder this population from receiving appropriate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se negative perceptions about using the term intellectual disability, the experts` leadership role is crucial.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use different terms (MR, ID) for the same disability category, a clear indication of collaboration among Ministries is needed.

      • KCI등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함의

        정동영 ( Dong Young Ch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과 관련된 법률과 그 현황을 고찰한 다음,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 현황과 실제를 분석하고, 그 함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미국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의 현황과 실제는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하여 중등학교와 대학에 이중 또는 동시 등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경로를 다원화하며, 혼합·혼성모형과 통합모형을 개발하여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이를 위하여 인간중심계획, 교육적 코칭, 멘토링 등을 제도화하는 일이 필요함을 함의해 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최근 증대되고 있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미국의 현황과 실제를 토대로 미국의 지적장애학생 중등과정 이후 교육모형은 우리나라에 지적장애학생들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을 위하여 교육경로와 교육모형을 다양화하고, 우리의 실정에 적합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는 일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legislation and its current statu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analyse its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and analyse out a implication to seek a wa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path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need multiple ways for expanding opportunity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not only having college-initiated program and individual- or family-initiated supports program but also developing dual or concurrent enrollment program Second,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of educational model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U.S.A implicate that Korea should diversify educational model by developing mixed/hybrid model and inclusive individual model as well as separate model, and then, to achieve these, Korea need to establish person-centered planning and systematize educational coaching and mentoring and so on. Therefore Korea must rush in preparing legislation and system appropriate for its actual condition to deal with increasing needs of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recent years based on current states and practices in U.S.A.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포함 연구

        전정식 ( Jung Sik Jun ),김경미 ( Kyung Mee Kim ),유동철 ( Dong Chul Yu ),김동기 ( Dong Ki Kim ),신유리 ( Yu Ri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3 지적장애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전문연구자들과 12명의 지적장애인 연구참여자들이 공동으로 수행한 질적 연구이다. 5명의 참가자는 장애인복지관 이용자들이고 7명의 참가자는 장애인보호작업장 근로자들이다. 자료수집은 2012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간 이루어졌다. 연구기법은 당사자참여연구이면서 지역기반참여연구인 포토보이스를 활용했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지적장애인 당사자들이 느끼는 사회적 포함의 상황과 그들의 소망, 지적장애인들의 사회적 포함을 제약하거나 강화하는 의미 있는 조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적 포함은 참여, 관계,속하기의 세가지 기준으로 고찰되었다. 연구결과 연구에 참여한 지적장애인들은 나름대로 다양한 사회적포함의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시간적, 공간적, 관계적으로 제한적인 포함이었다. 즉 시간적으로는 낮시간에 한정되었고, 공간적으로는 집, 작업장, 동네, 극소수의 문화공간에 묶여 제한되었다. 또한 관계적으로는 가족과 직장에 한정되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일터는 배제에서 사회적 포함으로 나가는 통로였다. 집에만 갇혀 있던 관계와 활동의 확대를 가져왔으며 일터 생활로부터 얻는 그들의 경제적 수입은 가족 사회에서의 위상 강화를 가져왔다. 일과 수입이 없는 참여자들의 경우 모든 활동에 있어서 가족사회로부터 상당한 저평가와 무시를 겪었지만 일과 수입이 있는 참여자들의 경우 사회적 활동에 대한 가족의 적극적 지지화 지원을 확보했다. 이번 연구는 지적장애인들의 유급고용 참여확대와 사회적 포함 가능성 고양을 위해서는 교육선택지의 다양화와 더불어 경제 활도 선택지의 가능성도 다양하게 열려야 함을 확인했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ful conditions which restrict or promote the social inclusion of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has been performed by academic researchers and 12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gether during 3 months in 2012 and use a Photovoice method as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riteria of social inclusion are participation, relationship and belong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eople with learning disabit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various aspects of social inclusion. But the inclusion was limited in terms of time, space and relation. Their inclusion was limited during the day time and spatially around home, workshop, and neighborhood. Also, it was limited to family and co-workers in respect of relationship. For participants of the study, workshop seemed like the pathway toward social inclusion, which brought expansion of relationship and activities blocked within home. Economical income earned from the workshop strengthened their status in family society. While participants not working and having regularly income experienced being undervalued and being ignored from family members, those having work and income received active support of family. This study identified that paid employment expanded social inclusion in participation, relationship, and belonging in a society.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중등 이후 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최우형 ( Woo Hyoung Choi ),박정식 ( Jung Sik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 이후 교육 프로그램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 및 2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의 대상으로서 서울, 경기지역의 중등교사 중 표시과목이 직업교육인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1차 델파이 설문지와 동일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 대상으로 모집단으로서 학교현장에서 직업교육을 담당하고 교육경험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 다양한 의견제공이 가능한 실제적인 전문가 집단인 166개교의 특수학교에서 직업을 담당하는 직업교육 및 전공과담당 교사, 전국 24개교의 학교기업담당 교사, 39개교의 직업교육 거점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특수학교의 경우 142부, 학교기업 24부, 통합형 직업 거점 학교 39부를 배포하였다. 1차 122부, 2차 64부를 회수하여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첫째, 성과관련 지표 분석을 위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하여 지적장애인 중등 이후 교육 평가 프로그램에서 요인Ⅰ는 프로그램계획, 요인Ⅱ는 직원채용, 요인Ⅲ은 행정, 요인Ⅳ은 학생 계획, 요인Ⅴ은 학생활동, 요인Ⅵ은 자기결정, 요인Ⅶ은 기관 간 협력, 요인Ⅷ은 감독, 요인Ⅸ는 평가로 명명하였고 지적장애인의 중등 이후 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 영역으로서 상기의 9가지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상기의 9가지 요인 81개 문항을 바탕으로 1차, 2차 델파이 설문을 실시한 결과 81개 문항전체가 타당하며 중요한 지표라는 결과가 나왔으며 이에 따라 지적장애인의 중등이후 교육프로그램 평가도구를 제시하였다. 프로그램계획, 직원 채용, 행정, 학생계획, 학생 활동, 자기 결정, 기관 간 협력, 감독, 평가의 9개 영역에 따른 8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이 평가 도구는 교육과 평가를 동시에 수행하면서 향후의 추수지도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도구이며 이러한 9가지 영역은 장애학생들을 중등 이후 고육기관에서 지도하는 전문가들에 의해서 수행되거나 학부모, 학생, 본인에 의해서 수행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utcome-related indicator on post-secondary education evaluation program and then is to develop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tool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took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wice delphi metho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earcher carry out a survey targeting 20 special teachers who have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certificate for secondary eduction in Seoul and Gyeonggi-do. For delphi method, to collect professional and practical informa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6 special schools and 24 school based enterprise programs, 39 integrated vocational education core schools. Among them, the returned ones were 46 special schools and 20 school based enterprise programs, 36 core schools. Total 122 were collected. For second delphi, surveys were distributed to 122 first survey respondent and returned 64 surveys. the research results were based on these survey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outcome-related indicator on post-secondary education evaluation program draw following conclusion.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tool have 9 values. ValueⅠ is Program Planning, ValueⅡ is Staffing, ValueⅢ is Administration, ValueⅣ is Student Planing, ValueⅤ is Student Activities, ValueⅥ is Self Determination, ValueⅦ is Interagency Collaboration, ValueⅧ is Monitoring, ValueⅨ is Evaluation. Based on these 9 Values and it’s 81 questions, twice the delphi survey were made and distributed to study targets. And result of twice delphi survey are all these 9 values and it’s 81 question have validity. So, this study propose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tool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t composed of 9 values and it’s 81 qu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 further proposals can be suggested. In Korea, there are lack of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tool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ther disabilities. So, with this tool, it is possible to assess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is can the program better and strengthen the weak point. And then the program can provide practical and realistic service to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this study have a limit because research respondent were only special teachers who are not real post-secondary education service provider. And also, other rehabilitation professional were not participate this surveys. So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gather the opinions of the hands-on workers and to standardize this tool.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과 과제

        김양화 ( Yang Hwa Kim ),김남순 ( Nam Soon Kim ),박상희 ( Sang Hee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들의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고, 창의·인성교육이 활발하게 실시되기 위해 필요한 과제를 살펴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창의·인성교육의 개념과 창의·인성교육 요소 및 사고기법을 분석하고 실제 적용의 예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창의·인성교육기법 자료집과 주제 관련 논문 등의 문헌 검토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방과후학교와 예술교육, 교육과정 재구조화, 소통 중심의 국어교육, 인성 핵심역량을 실천으로 체득하는 도덕·사회교육, 독서활동 강화, 학생생활규칙을 통한 실천, 프로젝트형 창의·인성교육, 적정성 평가, 연중 캠페인 실시, 주말프로그램 운영, 실천·체험 위주의 봉사단 활동 확대, 배려와 나눔 실천 등을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또 선행연구 논문 고찰을 토대로 지적장애학생들에게 창의·인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고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지적장애학생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적용이 후속 연구를 통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ddress the challenges for active implementation of the strategie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analysed concepts and factor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thought processes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examples of their actual implementation. The study was based on a bibliographical examination using collection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and relevant theses.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strategies: after-school programs, art education,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ing on communication, education in ethics and social studies to nurture a personality-oriented capability, reinforcement of reading activity, practices based on student life rules, project-typ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evaluation of appropriateness, annual campaigns, operation of weekend programs, volunteering activity consisting of practice and hands-on programs, and sharing and consideration. Also the challenges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were presented. Then it wa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help nurture people who adjust to changes and consider and share with others and the application of those programs are needed.

      • KCI등재

        어머니와 지적장애자녀간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특수교육교사들의 인식

        강경숙 ( Kyung Sook Kang ),김은주 ( Eun Jew Kim ),김영준 ( Young Jun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부모와 지적장애자녀가 가정환경에서 형성하는 부적강화의 덫은 지적장애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실패를 초래하여, 교사는 지적장애학생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많은 갈등과 어려움을 보이게 된다. 특히, 교사는 이러한 부모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해 비판적, 회의적으로 대응함으로서 해결을 시도하는 한계를 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한 가정과 학교의 협력에 기반을 둔 행동중재로 대처할 수 있는 동기가 저하되기 쉽다. 교사는 이와 같은 측면을 경계하여 부모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자기 인식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부모상담을 통하여 부모와 상호 합의 및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전문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지원서비스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중재되어야 할 어머니와 지적장애자녀간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특수학교 중등부에서 지적장애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많은 담임교사 세 명을 선정하여 이들에게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로써 특수학교 중등부 교사들의 어머니와 지적장애자녀간의 부적강화의 덫에 대한 인식을 다섯 가지의 영역(부적강화의 덫에 따른 교사와 지적장애학생의 수업 상호작용 영향 등)에 따라서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지원서비스 측면에서 다섯 가지의 연구문제별로 논의되었으며, 후속연구의 제언 및 제한점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As negative reinforcement tra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home environment causes failure in school lif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eachers have a lot of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educating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responding critically and skeptically to such issues, teachers may limit the efforts to settle the problem as well as lower their motives to cope with the issue based on a desirable cooperation between family and school. Considering the above side, teachers need specialty to check their recognition about mother` negative reinforcement trap and to form mutual consent and sympathy with parents through consulting with the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recogni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recognition about negative reinforcement trap between mother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have to be necessarily intervened in the side of family support service. To be so, The study selected three class teachers who had ever taugh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pecial middle schools for a long time and applie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to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y closely suggested recognition of teachers of special middle schools about negative reinforcement trap between mother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five scopes. In addition, the study discussed the recognition by five research issues in the side of family support service and suggested a proposal and limits on succeeding researches.

      • KCI등재

        비디오 자기 모델링이 지적장애 축구 선수의 축구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성기태 ( Ki Tae Sung ),김원경 ( Won Kyung Kim ),한민규 ( Min Kyu Ha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1 지적장애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자기 모델링을 통해 지적 장애 학생들에게 패스, 드리블 및 컨트롤 그리고 슈팅 기술을 지도한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지적장애 D 특수학교의 지적장애 학생 2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A그룹 10명과 비실험집단 B그룹 10명으로 선정배치하였다. 그리고 스페셜올림픽 축구 팀 경기 테스트 검사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비디오 자기 모델링 프로그램을 3회 걸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은 지적장애 축구선수들의 드리블 기술 향상 효과에 대해서는 드리블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은 지적 장애 축구선수들의 컨트롤 및 패스기술 향상 효과에 대해서는 컨트롤 및 패스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디오 자기 모델링은 지적장애 축구선수들의 슈팅 기술 향상 효과에 대해서는 슛팅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디오 자기 모델링은 특수학교 지적 장애 축구선수의 드리블 기술, 컨트롤 및 패스 기술 그리고 슛팅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there are many studies using multimedia for teaching soccer skills to mentally retarded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focus on self-modeling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s, Here are the steps we will use in our research. First, we have developed and verified the program of self-modeling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s. And we have selected 20 students who are at special schools in Seoul. And then these student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Group One is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This groups(20 students) implemented the self-modeling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 Group Two is known as a Control group. This group(10 students) implemented the traditional teacher-centered programs without watching a recorded video program. We have used Social Maturity Assessment to measure the students social maturity ability and Special Olympic Soccer Team Function Evaluation Test which tests soccer skills. And we have run SPSS 12.0 version and analyzed the data by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of independent-Sampled T test to test hypotheses. Our data and statistics analysis summary will show that self-modeling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s has significantly positive results with students compared to teacher-centered programs without using a recorded video programs. This research has these implication. First, it is important that this research is conducted using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verifying the self-modeling program of watching a recorded video. A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tested the effects on Special Olympic Soccer Team Function Evaluation Test by that program.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to special education because special education teacher can apply video self modeling instruction to soccer and also apply to other sports in special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